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유와 귀의(歸意) -류성룡 시심(詩心)에서 읽다 (1)

        송복 ( Song Bok ) 서애학회 2021 서애연구 Vol.3 No.-

        이 글은 서애(西厓)의 시(詩)를 통해 西厓의 7개 리더십을 구명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西厓 연구는 사회과학적 분석을 통한 西厓 리더십 연구였다. 西厓의 언사, 西厓의 행태와 정책 그리고 전쟁에 대한 그의 수많은 기록들과 실록을 위시한 다른 사람들의 기록이 西厓 연구의 기본 자료들이었다. 연려실기술 등 후대에 쓰여진 자료들도 물론 기본 자료로써 연구에 크게 이바지해온 것 또한 사실이다. 이 자료들의 기본 특징은 모두 밖으로 드러난 사건 사실 등 현실세계의 자료들이고 그리고 그 현실세계를 가능한 한 왜곡됨이 없이 있었던 그대로 관찰해서 기록한 자료들이라는 것이다. 지금까지 사회과학적 연구에 동원된 자료는 이같이 모두 ‘밖으로 드러난’ 사실 사건들에 근거한 자료들이라는 점, 거기에 이 글은 주목한다. 그런데 그 자료들이 보여주는 현실세계는 어떤 세계인가. 그 세계는 눈으로 그리고 피부로 감지하는 세계이다. 이 세계는 바로 ‘표층의 세계’이다. 지금까지 西厓 연구는 이 ‘표층의 세계’를 연구한 것이다. 이 글의 목적은 西厓의 ‘심층의 세계’를 보려는 데 있다. 사건 사실들을 서술한 ‘의식의 세계’가 아닌 ‘의식의 저류’를 찾는 것이다. 그 ‘심층의 세계’, ‘의식의 저류’는 지금까지 눈으로 피부로 확인되고 감지된 서사적 기록이 아니라, 마음 한가운데서 솟아 나온 영혼의 소리다. 이 글에서는 그것을 시(詩)라 명명하고, 이 시를 통해서 西厓 ‘본연의 세계’를 찾으려 하는 것이다. 이 글은 그 ‘본연의 세계’를 설명하는 도구로 西厓의 7개 리더십이 어떤 것인가를 먼저 설명한다. 그리고 그 리더십이 다른 리더들의 리더십과 근본적으로 차별화될 수밖에 없는 이유를 그의 시심(詩心)에서 찾아 설명한다. This article seeks to illuminate seven aspects of leadership through a close reading of Seo-ae's poems. Scholarship to date on Seo-ae's leadership has been predominantly social scientific. Seo-ae's sayings, his actions and policies, his extensive writings on war, historical records in the Veritable Records have served as primary sources on Seo-ae studies. Historical records constructed in the later periods such as the Narratives of Yeollyeosil (燃藜室記述) have also been used extensively by researchers as the basic historical sources. Such sources are basically the sources of the external world, historical records describing the real world. This article begins with an observation that the sources used by social scientists describe the events that had been externally revealed. What kind of world is the real world that those sources present? It is the world seen by the eye and felt by the skin; it is the world on the surface. Studies on Seo-ae have focused on the world on the surfac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look into the deeper world of Seo-ae, not to observe the world of consciousness that is shown in the descriptions of events and facts, but to explore the undercurrent of consciousness. "The deeper world" and "the undercurrent of consciousness" is not historical narratives, but the sounds of a soul welling from the center of his heart. I call it poetry, and try to seek Seo-ae's real world through his poems.

      • 류성룡의 주역 이해가 리더십에 미친 영향

        정승안 ( Jung Seung An ) 서애학회 2021 서애연구 Vol.4 No.-

        오늘날의 세계화와 4차산업혁명과 같은 시대적 변화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리더십을 요청하고 있다. ‘수평적’, ‘동반자적’, ‘배려’, ‘유연적’ 등등의 다양한 개념들을 적용한 리더십 모델은 서애 류성룡에게도 충분히 적용가능하다. 서애 선생은 이러한 리더십을 발휘했던 실존적 인물이면서 동양적 리더십의 전형적인 역할모델에 해당한다. 이를 통해 서애 선생을 재조명하는 것은 충분한 가치와 의미가 있다. 서애 류성룡의 재세시는 전쟁을 경험한 혼란한 정국, 이른바 난세였다. 당시의 혼란상과 어려움을 상세하게 기술한 위대한 저서『징비록』이 있었기에, 우리는 400년 전의 참담하고 비참한 사회역사적 사실을 우리가 마치 오늘의 일인 것처럼 이해할 수 있다. 이 기록 하나만으로도 우리는 위대한 학자로서의 선생의 풍모와 삶의 흔적을 읽어내는 데 모자람이 없을 것이다. 그는 조선중기의 난세의 시대에, 의심 많던 왕과 당파간 갈등으로 어지러운 조정에서 재상으로서의 역할을 잘 수행했다. 또 외적방어와 백성들을 아울렀던 선생의 리더십은 탁월한 것이었다. 뛰어난 도학자이자 경세가로서의 류성룡의 리더십의 원천에는 여러 가지 요소들이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주역읽기’와 ‘활용’이 류성룡의 리더십과 사회적 처세의 풍부한 자원과 원천이 되었을 것이라고 본다. 류성룡은 역경(Iching)을 읽으면서 얻었던 깨달음의 순간과 심사를 여러 가지의 글과 시에 남겨놓았다. 또 주역자체에 대한 연구와 메모는 『독역기의』와 『잡저』라는 책에 남기고 있다. 또 주역을 활용하는 데 있어서는 주역의 점서법과 『초씨역림』등의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 결과적으로는 주역이 유가(儒家)와 선도(仙道)를 연결하는 수련법의 요지를 설명하고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선생의 학문과 깨달음을 추구하는 데 있어서 주역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음에 분명하다. 이는 오늘날 동양사상과 사회과학의 접목을 주된 관심사로 하는 연구자들이 주목해야 하는 지점이다. 이 연구에서는 서애 류성룡의『역경』에 대한 이해와 활용, 기록들에 관심을 두고 그 흐름을 따라가며 정리한다. 주역에 대한 풍부한 이해와 활용이 선생의 리더십에 조용한 영향력을 행사했을 것이라고 보고 논의를 전개해 나갈 것이다. 동양적 리더십(주역)에서의 역할모델은 성인, 군자이다. 성인과 군자는 깨달음을 추구하는 도학자의 눈으로 사회적 삶을 천착한다. 이는 오늘날 사회과학의 현실인식의 논리와 같은 맥락에서 충분히 고려될 필요가 있다. 결과적으로 ‘격물치지’를 통한 대상인식은 변화의 학문으로서의 주역의 주된 방법론이다. 기미(幾微)와 조짐(兆朕)의 사회적 현상에 주목하고 이를 미래예측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또 주역의 핵심원리를 담고 있는 ‘건(乾)괘’에 대해 서애 선생이 남긴 자세한 기록을 그대로 살펴본다. 조선 중기의 선비들이 주역 건괘에 대한 해석과 기록을 남기고 있다는 사실 그것만으로도 충분한 사료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선생이 주역을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하고 있는 사례들을 살펴볼 것이다. 여기에서는 일상과 서당건립, 가족의 안위는 물론 국가의 미래까지 하나의 성찰적 맥락에서 점쳐보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In the rapidly changing era of Globalization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 new paradigm of leadership should be established. New concepts of leadership such as 'horizontal,' 'partisan.' 'considerate,' and 'flexible' models can also be applicable to Ryu Seong-ryong’s leadership. As an existential individual in wartime crisis, Ryu Seong-ryong exercised remarkable leadership, and became the paragon of leadership in traditional East Asia. Ryu Seong-ryong’s Jingbirok 懲毖錄, describes in detail the turbulent years of war with Japan. Especially, it is worthwhile to study Ryu Seong-ryong’s leadership as prime minister in wartime crisis. Especially, in terms of implementing policies for the people in times of war with Japan, Ryu exercised dramatic leadership. Among the sources of Ryu’s leadership, this article will focus on Ryu’s uses of the Iching in diverse contexts and conditions. He left essays and poems describing the moments of enlightenment while reading the Iching. In addition, he also left research notes and memos on Iching in such books as < Dokyeokgi 讀易記疑 > and < Japjeo 雜著 >. As to how to use the Iching, Ryu employed diverse methods. He also referenced the Yeokrim of the Cho 焦氏易林. It seems clear that the Iching had a large presence in Ryu Seong-ryong's learning and enlightenment. This article will focus on Ryu Seong-ryong's uses of Iching. The sages (聖仁) and gentlemen (君子) described in the classics, especially the Iching have been generally considered the traditional icons of leadership. The full implications of these concepts in contemporary social sciences should explored as well. “The investigation of things and the extension of knowledge“(格物致知) should served as the main method of research. This article will analyze Ryu’s detailed records on Qian 乾 hexagram as it contains the core principles of the Iching. Finally, this article will analyze the various ways in which Ryu Seong-ryong used the Iching. It will be shown how Ryu prognosticated with the Iching for such diverse issues as routines of daily life, building of local schools, family matters a s w ell as the country’s future at the level of contemplation.

      • 서애 류성룡의 경력역량에 대한 탐구 -경력자본가 모델을 중심으로

        권대봉 ( Kwon Dae-bong ),박용호 ( Park Yong-ho ) 서애학회 2021 서애연구 Vol.3 No.-

        서애 류성룡의 삶에서 그가 발휘한 경력역량을 파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경력자본가 모델을 기초로 류성룡이 어떠한 역량을 발휘하였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활용하고 있는 경력자본가 모델은 의문지 역량(knowing-why competency), 관계지 역량(knowing-whom cometency), 방법지 역량(knowing-how competency) 등으로 구성된다. 이 세 가지 역량은 각각 경력과 관련된 방향설정, 전문성추구, 관계지향 등과 관련된 행동을 기반으로 한다. 류성룡의 삶을 다룬 자료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분석하여 각 세 역량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역량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의문지 역량에는 성찰을 통한 학습, 미래 비전제시 등의 역량이, 관계지 역량에는 상황에 맞는 설득, 타인 존중과 인정, 관계에서의 진실성 추구 역량이, 끝으로 방법지 역량에는 위기관리 능력과 문제해결 능력 등의 세부 역량이 포함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류성룡이 한 시대의 사상가이자 학자 및 관리로서 나타낸 역량이 지금 이 시대를 살아가는 개인들에게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고 이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quires into Ryu Seong-ryong's competency as shown in the long tenure of his political career. By using the "career capitalist model", this study observes Ryu's competency. The model used in this study is composed of "knowing-why competency," "knowing-whom competency," and "knowing-how competency." These three types of competency are based on setting the direction of career path, the pursuit of excellence, and the orientation of relations. Through a close observation of Ryu's career, we have found specific competencies in Ryu's case. As to "knowing-why competency," we focus on Ryu's abilities to learn through reflections and to propose future visions; as to "know-whom competency," we show Ryu's abilities to persuade others, to recognize and respect others, and to pursue truthfulness in relations; as to "know-how competency," we include his abilities to manage crises and solve problems. Based on such results, this study illuminate Ryu Seong-ryong's competencies as thinker, scholar and statesman.

      • 진성리더십의 패러다임으로 본 서애 류성룡

        이민수 ( Lee Minsu ) 서애학회 2020 서애연구 Vol.2 No.-

        본 연구의 목적은 서애 류성룡이 보여준 리더십의 근간을 그가 지녔던 진성성이라 보고, 최근 새로운 리더십의 패러다임으로 주목받고 있는 진성리더십의 관점에서 류성룡의 리더십을 분석하고 평가해 보는 것이다. 류성룡은 삶의 지침을 제시하며 나침반 역할을 해주는 마음의 지도인 정신모형 Ⅱ(Know-Why Model)를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정신모형 안에는 조선의 자강이라는 사명, 백성들의 편안한 삶이라는 비전, 애민(愛民)이라는 핵심가치가 잘 구성되어 있었고, 이것이 류성룡과 다른 유사 리더들을 구별해주는 특징이었다. 진성리더십의 핵심 구성요소인 자기인식, 자기규제, 관계적 투명성, 균형있는 정보처리에 해당하는 리더 행동들을 도출한 후에, 류성룡이 실제로 이러한 행동들을 얼마나 보여주었는지를 확인해 봄으로써 류성룡의 진성리더십을 평가해 보았다. 이를 통해 류성룡은 높은 감수성과 도덕성을 지녔으며, 타인과 솔직한 관계를 유지하고 합리적 판단을 하는 높은 수준의 진성리더십을 발휘한 리더였음을 알 수 있었다. 비전제시 능력과 실행력을 기준으로 류성룡의 리더십을 분석해본 결과, 류성룡은 조직의 미션과 비전에 대한 명확한 인식과 함께 이를 실천하기 위한 실행력을 겸비한 진성 변혁적 리더였다. 임진왜란이라는 국가적 위기에 탐욕과 연기가 아닌 진정성을 생명으로 명과 왜의 조선분할 획책을 막아내고, 조선의 자강만이 살 길이며 백성들의 삶을 편안하게 해야만 나라의 중흥도 있을 수 있다는 신념을 숱한 어려움 속에서도 몸소 실천한 류성룡이야말로 오늘날 우리가 원하는 ‘진성리더십의 원형’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reassess Ryu Seong-ryong’s leadership from the perspective of authentic Leadership, which has recently drawn attention as a new paradigm of leadership. Ryu Seong-ryong had the “Know-Why Model,” a map of the mind, which offers guidelines and compass of life. Within this mental model were the mission of Joseon’s self-reliance, the vision of peaceful livelihood for the people, and fraternity, which distinguishes Ryu Seong-ryong from other leaders. After deriving leadership behaviors that correspond to self-awareness, self-regulation, relational transparency, and balanced information processing, Ryu Sung-ryong’s true leadership was evaluated by checking how much he actually showed these behaviors. Through this, we can see that Ryu Seong-ryong was a leader with a high level of authentic leadership who maintained honest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made rational judgments with a high level of sensitivity and morality. After analyzing Ryu Seong-ryong’s leadership based on his ability to present and execute visions, he was a authentic transformational leader who combined the organization’s clear perception of its mission and vision with the execution power to implement them. It is clear that Ryu Seong-ryong’s story is a prototype of the authentic leadership that we want today because he prevented the division of Joseon between Ming and Japan by his authenticity rather than greed and acting, in the national crisis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and practiced the belief that Joseon’s self-reliance was the only way to live and that only when the people’s lives are comfortable, the revival of the country can be achieved.

      • 류성룡의 공익지향의 실용적 리더십 -CIP-sp 모델에 의한 분석

        백기복 ( Baik Kibok ) 서애학회 2021 서애연구 Vol.3 No.-

        본 연구는,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7년(1592년∼1598년) 동안 병조판서, 영의정, 도체찰사 등의 직책을 가지고 국난을 극복했던 서애 류성룡(西厓 柳成龍) 선생의 리더십을 CIP-sp(Charismatic, Ideological, Pragmatic; socialized, personalized) 모델의 관점에서 평가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징비록과 선조실록 및 선조수정실록에 기초하여, 류성룡을 (1)인물평가, (2)민심관리, (3)명군 대응, (4)군사전략, (5)분석기록 등 다섯 가지 차원에서 계량역사학적(historiomatric)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류성룡은 “공익적(사회적) 권력지향의 실용적 리더(socialized pragmatic leader)”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는 개인적 이득보다는 사회적, 공익적 이익을 위해서 헌신했으며, 카리스마 리더가 추구하는 것과 같은 먼 미래 희망보다는 구체적, 실용적 문제에 천착했고, 이념적 리더가 추구하는 신념의 동질성을 추구하기보다는 실용적 리더로서 장기적 관점의 근본적 문제해결에 집중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위기 상황에서 실용적 리더가 유효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으며, 위기 속에서는 ‘공익적(사회적) 권력 지향’이 필수적이라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아울러, 계량 역사학적 방법론의 가능성을 다시 한번 확인했으며, 나아가 류성룡의 역사적 가치를 재인식할 수 있었다. 류성룡은 단순히 징비록의 저자가 아니라 우리 역사에서 ‘공익적 실용주의’의 기틀을 마련한 위인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향후의 연구 방향은, S-N-D-F 모델에 입각한 종합적 조망 연구의 필요성을 역설하였으며, 한국형 리더십 8요인을 통한 한국형 리더십의 뿌리 찾기 연구와 ‘두름성’(versatility) 연구, 오늘날의 관료 리더십의 표준 설정 연구, 그리고 류성룡 리더십의 독자영역구축의 필요성 등을 제시하였다. The current study evaluates Ryu Seong-Ryong’s leadership with the CIP-sp(C=Charismatic, I=Ideological, P=Pragmatic; s=socialized, p=personalized) Model as deveoped by Michael Mumford in 2006. As a prime minster, defence minister, and the Commander-in-Chief, Ryu Seong-Ryong made great contributions in defending the country against the Japanese invaders during the period from 1592 to 1598. With the ‘historiometric method,’ this study analyzes Ryu Seong-ryong's roles and abilities in five distinct perspectives: (1) the standards of evaluating military generals; (2) the management of wartime human resources; (3) the methods of responding to the Ming troops; (4) military strategies; and (5) the historical records. This article argues that Ryu was “the socialized pragmatic leader.” He made contributions to the country, sacrificing his personal interests, for the sake of public interests. He addressed specific and pragmatic problems rather than pursuing visions for a remote future like a charismatic leader does; he sought to find fundamental solutions as a practical leader with a far-reaching vision rather than try to forge the homogeneity of faith as an ideological leader often does. This article shows that a pragmatic leader could be effective at times of military crisis, and that pragmatic leadership entails the ‘socialized power orientation.’ The article confirms the value of historiometric method. Moreover, it illuminates Ryu Seong-ryong's place in history. Ryu should be recognized not simply as the author of the Jingbirok, but as a heroic leader who pursued ‘socialized pragmatism’ in Korean history. By analyzing Ryu Seong-ryong’s leadership in S-N-D-F model and conceptualizing eight factors of Korean-style leadership, this study suggests new directions in future researches,

      • 류성룡의 실학사상과 그 실천에 관한 연구

        백권호 ( Paik Gwon Ho ) 서애학회 2020 서애연구 Vol.1 No.-

        이 논문은 서애 류성룡을 실학사상의 원조라는 논지를 주장하고 증명하는 것이 연구 목적이다. 기존의 한국 실학연구에서 그를 경세가로 부르면서도 정작 실학자로 인정하는데 궁색한 것은 350년 후의 후학들이 실학이라는 학문을 세우면서 학문적 사조로서 실학자 계보를 구축함에 있어 엄격성을 담보하지 못한 태생적 한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본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실학 연구에서 성리학적 가치의 배경과 뿌리를 확인한 연구들의 기초위에 징비록에 나타난 구체적인 실학적 요소와 에피소드 들을 찾아서 정리한다. 서애 류성룡의 성리학에 바탕을 둔 실학적 정치 경륜은 그의 징비록에서 수많은 업적과 에피소드로 나타나 있다. 징비록이야 말로 류성룡의 실학적인 실사구시적 정치구현을 그대로 보여주는 저술이자, 국가적 위기의 전란 속에서 그가 실천한 정치 현장 현장보고서이다. 서애 류성룡은 임진왜란이라는 국난의 비상시기 중에도 이미 무너져 내린 국가 체제와 정부 시스템을 작동 가능하도록 혼신을 다하고 있다. 그는 경제는 흐름이고 순환이며 시스템이라는 것을 명확히 이해하고 있었고, 국경무역을 포함한 시장 메커니즘의 작동에 대하여 정확하게 이해하고, 이것이 작동하도록 정책적 조치들을 취하고 있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면천법(免賤法)을 제정하여 천민도 전공을 세우면 양인(良人)은 물론 벼슬까지 얻을 수 있는 길을 터주어, 비록 전시에 그쳤지만 ‘국민국가’의 초기적 형태라 할 수 있는 제도적 개혁이자 혁신을 시도하였다. Ryu Seong-ryong, one of the most renowned premiers in the Chosun Dynasty, empirically developed the real-world policy of action. Toward the end of the 16th century, the world had already witnessed the emergence of the modern mercantile state. Based on Confucianism, Ryu Seong-ryong tried not only to study with a convergent model but also to take a consilience approach with an intense curiosity of other relevant fields of learning. This point shows most clearly in Ryu Sung-ryong’s attempt to complete his own philosophical theory of realism which emphasizes self-guided learning for practicability. His philosophy is based on the Neo-Confucian theory. In specific terms, this article inquires into practical elements and episodes found in the Jingbirok with a view to identifying the roots of traditional Neo-Confucian values in the existing studies on Silhak. This article will show that Ryus practical political theory rooted in traditional Confucianism informed his practical policies in the real world. In this light, the Jingbirok can be considered a field report on the actual political settings he had experienced during the Imjin War. Ryu was devoted to re-making the national system as well as the government system in a highly innovative way during the crisis of the Imjin War. Ryu clearly understood that the economy is a flow, a circulation, and a system. In addition, he had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operation of market mechanisms including the cross-border trade. He implemented policy measures to make this work. In addition, by enacting the law of manumission from slavery (myoncheonbeop, 免賤法); according to this law, slaves could elevate their status as commoners, and were even granted opportunities to enter public office. Although such policies were abolished toward the end of the war, Ryu’s innovative attempt at’ institutional reforms presaged an early phase of the “national state”.

      • 서애 류성룡의 양명학 이해에서 보이는 중층성 해명 - 17세에서 29세 사이의 기록을 중심으로

        최재목 ( Choi Jae-mok ) 서애학회 2023 서애연구 Vol.8 No.-

        Focusing on the records of adolescence and the ideological backgrounds of the time, this paper elucidates the middle layer of Ryu Seong-ryong's approach to Yangming Learning. Ryu Seong-ryong’s scholarship was well established in his early years before he studied under Toegye Yi Hwang’s (李滉, 1502-1572) guidance. Sources show that from in the year of 1558, when he was no more than seventeen, Ryu Seong-ryong came across Wang Yangming’s (王陽明, 1472-1529) literary collection. He recounted the gratifying experience of reading Wang Yangming’s writings to his father, and produced a hand-copied version of the Wang Yangming’s literary collection, which he kept for thirty-five years until it was burned during the Imjin War. This article addresses the following points: (1) neither Ryu Seong-ryong nor his father had antipathy towards Yangming learning; (2) his father did not caution Ryue against Yangming learning, which shows that he did not agree with the anti-Yangming voices of Joseon literati at the time; (3) It seems that Ryu Seong-ryong was excited to learn new intellectual trends from Ming China; (4) in his later years, Ryu Seong-ryong seems not to have lost interest in Yangming learning. Before meeting with Yi Hwang, Ryu Seong-ryong was far from being critical of Yangming learning. At the age of 21, he began to be critical of Yangming learning. In 1562, Ryu Seong-ryong studied at the Dosan Academy in Andong for several months. The influence of Yangming learning on Ryu Seong-ryong is shown in a poem he wrote at the age of 27 in 1568. In 1569, under the heavy influence of Yi Hwang, Ryu Seong-ryonhg criticized Wang Yangming and the relevant scholars, which Yi Hwang unhesitatingly endorsed. To King Seonjo who also developed a fondness for Yangming learning, Ryu Seong-ryong emphasized that importance of balance in learning between respecting innate virtue and learning the way. Between the two, it was that Ryu who set great store by the practicality, creativity, and dynamism of the mind was more intent on respecting innate virtue.

      • ‘서애정신’이란 무엇인가

        송복 ( Song Bok ) 서애학회 2020 서애연구 Vol.1 No.-

        이 글의 주제 ‘서애정신’은 西厓라는 인물의 ‘정신’을 추구해서 이론적으로 정립해 보려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그리고 그 정신을 가능한 후대의 정신적 모형으로 상징화해보려는 데 부수적 목적이 있다. 이 글에서 ‘서애정신’은 3가지로 구성된다. 하나는 징비(懲毖)이고, 하나는 진정(眞情)이고, 또 하나는 자강(自强)이다. 징비의 첫째 의미는 자기비판, 자기책임으로서의 자기주체화이고, 또 다른 의미는 시관(time-perspective)으로서의 미래지향성이다. 그런 의미에서 징비는 ‘서애정신’의 라벨(label)이다. 둘째로 진정은 이념·가치와 분리되어 공사(公事, public affairs)를 처리한다는 것과 정파와 당파를 초월해서 자기 입장(position)과 자기 지위(status)를 갖는다는 의미를 갖는다. 그런 의미에서 진정은 중용이고 균형이고 그리고 협치의 기본이 된다. 셋째로 ‘서애정신’은 자강이다. 자강은 부국강병을 지향해서 자립(自立)이며 독립(獨立)을 지키고 유지한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임금에게 충성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에 충성해야 하는 것, 다시 말해 서약(誓約, oath)에 의한 충성(royalty)이 아니라 계약(契約, contract)에 의한 충성(loyalty)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보론(subsidiary)으로 화랑정신과 충무공정신, 그리고 로마정신을 함께 설명했다. 그리고 이 정신들이 각기 서애정신과 어떤 유사성을 지니는지, 그리고 그 정신들이 그 시대에 어떤 의미를 가졌는지 설명함으로써 서애정신을 오늘날 사람들은 말할 것도 없고, 다음 세대 사람들에게 정신적, 도덕적 귀감이며 지주가 될 수 있도록 하려 한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ursue the spirit of the historical figure Seo-ae Ryu Seong-ryong (1542-1607) and establish his thought as a political theory. The secondary purpose is to symbolize his spirit into an ideal-type for our times. In this article, the Seo-ae spirit consists of three things: jingbi 懲毖 (lit. to look into the past mistakes in order to guard against later calamities), jinjeong 眞情 (lit. true conditions), and jagang 自强, self-strengthening. First of all, jingbi primarily means self-criticism, self-responsibility, and self-subjectivity, and also means the future-orientedness in terms of time perspective. In this sense, jingbi is the hallmark of the Seo-ae spirit. Secondly, jinjeong, literally translated as true conditions, implies that one ought to manage public affairs beyond his/her personal ideas or values as well as to maintain one’s position and status by overcoming his/her factional interests. In this light, jinjeong means the doctrine of the mean, balance, and the basis of governance. Thirdly, the Seo-ae spirit is self-strengthening. Self-strengthening is to stand alone, to maintain independence by making the state wealthy and the military strong. For such purposes, the ministers ought not to be loyal to the king but to the state; in other words, it implies allegiance not by oath but by contract. On a subsidiary note, this article also discusses the Hwarang spirit, the Chungmugong spirit, and the Roman spirit. By shedding light on the Seo-ae spirit in comparive perspective, this article aims to find in the Seo-ae spirit the moral paragon as well as the spiritual pillar not only for us living in the present times but also for later generations.

      • 서애 류성룡의 양명학 이해에 보이는 ‘양면성’ 해명 시론 - ‘尊德性’ vs ‘道問學’ 문제를 매개로

        최재목 ( Choi Jae-mok ) 서애학회 2022 서애연구 Vol.6 No.-

        이 논문은 ‘존덕성(尊德性)’과 ‘도문학(道問學)’ 문제를 매개로 서애 류성룡의 양명학 이해에 보이는 ‘양면성’ 해명을 위한 시론이다. 종래의 연구에서 류성룡이 한편으로는 양명학을 ‘긍정’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양명학을 ‘부정’하는 상반된 이해를 두고 논란이 일어 왔다. 이 논문에서는 류성룡에게 왜 이러한 문제가 야기되는지 그가 이해한 <주자학의 ‘도문학’ 경향>과 <양명학의 ‘존덕성 경향>을 대비해보는 식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르렀다. 첫째, 류성룡은 존덕성, 도문학 어느 한쪽에만 치우치지 말 것을 강조한다. 그 근거는 『중용』의 ‘덕성을 높이고, 묻고 배움에 말미암는다[尊德性而道問學]’라는 구절이다. 둘째, 존덕성과 도문학은 불가분의 관계이지만, 존덕성이 본질이고 도문학은 그 실현을 위해 수반되는 것임을 분명히 한다. 존덕성은 공부의 기초이자 방향성(=아젠다)이고, 도문학은 그 존덕성을 위한 실제적 로드맵으로 이해한다. 즉 류성룡은 『중용』에서 하필 ‘묻고 배움에 말미암고, 덕성을 높인다’라 하지 않은 점에 주목하고, ‘덕성을 높이고, 묻고 배움에 말미암는다’라고 말한 점을 그대로 수용한다. 그래서 ‘존덕성’(ⓐ)에 근본을 두고 ‘도문학’(ⓑ)을 실행하는 방법을 취한다. ⓐ와 ⓑ가 서로 연결되어 있어 둘 다 중시되어야 하나, ⓐ는 공부의 기초이자 방향성(아젠다)이고, ⓑ는 (존덕성을 실현하기 위한) 현실 경험 세계의 로드맵으로 이해한다. 존덕성=도문학(ⓐ=ⓑ)이 아니라 도문학이 존덕성에 포함되는(ⓐ⊃ⓑ) 관계이다. 셋째, 류성룡은 ‘존덕성’을 중시하는 ‘심학’에 중심을 둔다. 이를 토대로 ‘격물치지’를 내용으로 하는 ‘도문학’이 동시에 수반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존덕성, 도문학에 선후 관계는 있지만 양자는 상호보완적으로 불가분의 관계임이 명시한다. 이렇게 류성룡이 존덕성, 도문학의 위상을 이해하는 방식이 곧 양명학과 주자학을 이해하는 태도로도 연결되고 있다. 그래서 류성룡은 양명학은 주자학의 ‘격물치지’ 같은 도문학적 측면에 소홀하고, 주자학은 양명학의 ‘치양지’ 같은 존덕성적 측면에 소홀하다는 식으로 논의를 이끌게 된다. 이 점이 바로 류성룡의 양명학 이해에서 ‘양면성’을 드러내는 요인이라고 하겠다. This article attempts to resolve the problem of duality in Ryu Seong-ryong’s approaches to Yangming Learning by addressing the classic tension between “honoring the moral nature (zun dexing)” and “following the path of inquiry and study (dao wenxue).” Scholarship to date has shown that Ryu Seong-ryong endorsed Yangmin Learning on the one hand, and denied its legitimacy on the other. With regard to this problem, this article explains that it arose from the classic tension between Zhu Xi’s emphasis on “following the path of inquiry and study” and Wang Yangming’s emphasis on “honoring the moral nature.” This article argues the following points. First, Ryu Seong-yong emphasizes the balance between “honoring the moral nature” and “following the path of inquiry and study” referring to its locus classicus in the Doctrine of the Mean. Second, Ryu Seong-ryong makes it clear that, although inseparable, “honoring the moral nature” should be primary, and “following the path of inquiry and study” should be considered secondary as the practical method of honoring the moral nature. “Honoring the moral nature” is the purpose of learning and, therefore, sets the direction of moral self-cultivation; “following the path of inquiry and study” is the practical road map for “honoring the moral nature.” Ryu Seong-ryong heads the sequence in which the two are state in the Doctrine of the Mean: “honoring the moral nature(ⓐ) and following the path of inquiry and study(ⓑ)” instead of vice versa. In this view, Ryu arguest that the former should be the basis on which the latter could be achieved. ⓐ sets the direction of learning and its ultimate goals, and ⓑ is the road map of the empirical world one should follow ⓐ=ⓑ but as ⓐ⊃ⓑ. Third, Ryu takes seriously the Learning of the Mind which emphasizes “honoring the moral nature.” Based on such premise, Ryu also emphasizes “following the path of inquiry and study” which begins with the investigation of things. In this regard, honoring the moral nature precedes following the path of inquiry and study; however, in fact, the two are inseparable. In this way, Ryu Seong-ryong understands the relation between Zhuzi Learning and Yangming Learning. Speaking of Zhuzi Learning, Ryu points out its weakness in terms of “honoring the moral nature”; speaking of Yangming Learning, he points out its neglect of “following the path of inquiry and study.” In this way, this article explains the apparent duality of Ryu’s approaches to Yangming Learning.

      • 류성룡 주도의 임진왜란 대응전략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중심으로

        백권호 ( Paik Gwonho ) 서애학회 2021 서애연구 Vol.3 No.-

        이 논문은 임진왜란 발발에서 정유재란까지 전쟁 전 기간을 통해서 왜군과 조선군(의병 포함) 및 명 지원군 등 전쟁 주체들 간의 승전을 둘러싼 상호작용을 시스템 다이내믹스로 풀어낸 연구이다. 이와 함께 환경 및 여건 등 상황 요인들이 시스템 다이나믹스(System Dynamics, 이하 SD) 속에 어떻게 맞물려 들어갔는지를 음과 양의 균형적 관점에서 추가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속에서 조선에 유리하게 SD가 돌아갈 수 있도록 서애 류성룡이 어떤 메커니즘을 작동시켰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전쟁 전 기간에 걸쳐서 SD를 지배한 변수들을 중심으로 전세가 어떻게 변해갔는지를 분석하였고, 이 과정에서 서애 류성룡의 메커니즘적 개입이 전세 전환 및 반전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규명하였다. 분석 결과 왜군의 절대적 우세는 전쟁 발발 초반 2개월에 국한되었고, 그 이후부터는 의병과 승병의 활발한 유격전과 그리고 이순신 수군의 연전연승으로 조선군의 대응이 강화되면서 전력이 대등해지기 시작했고, 전세가 반전될 기회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다만, 실질적인 전세의 반전으로까지 전환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명 지원군의 참전을 계기로 확실한 반전의 기회를 맞게 되었고, 그 결과 약 1년 만에 한양성 수복이 이루어졌다. 이와 함께 명ㆍ왜 강화협상이 진행되면서 왜군은 경상도 남부 해안지역으로 퇴각하게 되었다. 이 기회를 이용하여 서애 류성룡 주도하에 전시 국가체제 개혁 및 군사력의 체계적 조직화와 자원 동원체제의 구축이 추진되기 시작하였다. 명ㆍ왜 강화협상이 결렬되자 정유재란이 발발하였으며, 초기 원균의 칠천량 해전 패전으로 전라도가 왜의 수중에 들어가는 등 위기를 맞았다. 하지만, 직산 전투에서 명 지원군 기마병이 왜군의 북진을 막아냈고, 이순신이 명량해전에서 승리하면서, 서남해 해안의 제해권을 되찾아 왔고, 왜군은 다시 경상도 연해 지대로 퇴각하였다. 이후 명 지원군과 연합한 조선군 주도하에 사로 병진이라는 공세적 전략으로 울산, 사천, 순천에 있던 왜성을 공격하였다. 승패를 보지는 못했으나, 제대로 된 공세적 전투를 전개하였고, 전세가 불리해진 왜군이 도요토미의 사망을 기화로 완전히 퇴각함으로써 전략적으로 전쟁에서 승리하였다. 이 과정에서 서애 류성룡은 군량 조달, 병력모집 및 전술 배치 등 전투 현장에서의 지휘를 비롯하여 의병ㆍ승병의 궐기 독려, 전시 국방 체제개혁 및 조직화와 자원동원 체제 구축 관련 메커니즘을 작동시켜 SD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조선에 유리하도록 전세를 반전시키는데 절대적으로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article studies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Japanese troops and the Joseon troops during the Imjin War and the Jeong-yoo War with the conceptual framework of system dynamics (SD). Noting the balance of yin and yang, this article further shows how situational factors such as environment and conditions were closely inter-locked in SD. We have analyzed how the war situation changed, focusing on the variables that governed SD over the entire war period. Our analysis shows that the absolute superiority of the Japanese army was limited to the first two months since the outbreak of the war; as the response of the Joseon army strengthened with the active guerrilla battles of militiaman, the uprising of monk soldiers, and the successive victories of Yi Sun-sin, the Korean forces began to match the Japanese forces. As a result, the opportunities began to present themselves to reverse the war situation although it was not enough to reverse the situation of war. However, the arrival of the Ming troops in Joseon made it possible to reserve the war situation. As a result, the Hanyang Castle was restored in about a year. As the Ming and the Wae began to negotiate the terms for peace treaty, the Japanese retreated to the southern coastal areas of Gyeongsang Province. Taking advantage of this opportunity, Ryu Seong-ryong took initiatives to reform the wartime state system, to systematize the military organization, and to establish a resource mobilization system. When the Myeong-Wae negotiations were aborted, the Jeong-yoo War broke out, and Jeolla Province fell into the hands of Japanese army due to Won Gyun’s defeat in the Chilcheon-ryang battle. Japanese army retreated to the coastal area of Gyeongsang Province again as the Japanese army lost in the Battles of Jiksan and Myongryang. After that, the Ming troops and the Joseon army led a coalition and attacked the Japanese fortresses in Ulsan, Sacheon, and Suncheon with a four-way joint attack strategy. Neither side won as the Japanese troops left Korea after Toyotomi's death, ending the seven-year war. In this process, Ryu Seong-ryong influenced SD by operating mechanisms related to military procurement, troop recruitment, and tactical deployment, as well as encouraging the uprising of guerrillas, reforming and organizing the wartime defense system, and establishing a resource mobilization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