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농촌과 도시 초등학생의 굴절상태와 관련된 환경적 요인 조사

        윤미옥,엄정희,마기중 대한시과학회 2008 대한시과학회지 Vol.10 No.2

        목적: 농촌과 도시 거주 초등학생의 굴절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방법: 경상남도 소재 농촌 지역의 3개 초등학교와 도시지역의 1개 초등학교에 다니는 166명의 어린아이(저학년 36명, 고학년 47명)를 대상으로 자각식 굴절검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나안시력은 농촌과 도시 학생에서 각각 0.75±0.34, 0.45±0.38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5.689, p=0.000), 농촌 및 도시 학교의 저학년 학생과 고학년 학생의 학년별 비교에서는 각각 0.84±0.25와 0.54±0.37(t=4.088, p=0.000) 및 0.68±0.39와 0.39±0.38(t=3.989, p=0.000)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등가구면 굴절이상도는 농촌학생(-0.52±1.02D)과 도시 학생(-1.60±1.80D)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4.869, p=0.000), 농촌 및 도시 학교의 저학년 학생과 고학년 학생의 학년별 비교에서는 각각, -0.14±0.48D와 -0.97±1.32D(t=5.048, p=0.000) 및 -0.81±1.21D와 -2.08±1.98D(t=5.051, p=0.000)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설문조사에 의한 시력 관리와 시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을 분석한 결과, 시력 검사 주기는 농촌 학생은 74.7%가 `6개월~1년`, 도시 학생은 66.3%가 `6개월`이었으며, 시력검사 장소는 농촌 학생은 `학교`, 도시 학생은 `안과`가 가장 많았다. 평일 TV 시청 시간과 공부 시간, 전기스탠드의 사용 여부는 지역간 유의한 차이를 보여 거주 환경에 따라 시력 관리 실태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영양제 복용, 컴퓨터 사용 시간, 전기스탠드의 위치, 공부 자세 책과의 거리, TV와의 거리 등은 지역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도시 지역이 농촌 지역보다, 고학년이 저학년보다 시력과 관련된 환경적 요인에 따른 영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환경에 맞는 효율적인 시력관리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 To analyze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refractive state of rural and urban elementary schoolchildren. Methods: The subjective refraction and questionnaire were performed to 166 children at 3 schools in rural and 1 school in urban Gyeongsangnamdo (low grade: n=36, high grade: n=47). Results: The means of uncorrected visual acuity were 0.75±0.34 in the rural and 0.45±0.38 in the urban. In the low grade of elementary schoolchildren, the means of uncorrected visual acuity were 0.54±0.37 in the rural and 0.84±0.25 in the urban. In the high grade of elementary schoolchildren, the means of uncorrected visual acuity were 0.68±0.39 in the rural and 0.39±0.38 in the urba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lace of residence and school year. The means of spherical equivalent refraction were -0.52±1.02D in the rural and -1.60±1.80D in the urban. In the low grade of elementary schoolchildren, the means of uncorrected visual acuity were -0.14±0.482D in the rural and -0.973±1.315D in the urban. In the high grade of elementary schoolchildren, the means of uncorrected visual acuity were -0.81±1.210D in the rural and -2.08±1.98D in the urba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lace of residence and school year. There was investigated by questionnaire survey for environmental factors having influence upon visual acuity as well as management of visual acu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rural and urban children, such as the period of refraction, place of visual function examination, the first time of glasses wearing, type of illumination on reading, studying time, and duration of watching TV on weekdays. Conclusion: Subnormal visual acuity(the prevalence of spectacle wearing and myopia) was greater as in the higher grade and in the urban children. It must be related with environmental factors than congenital factors. So multilateral vision care promo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o prevent subnormal visual acuity and keep vision care.

      • 위해성배제를 위한 의약품 평가에 관한 연구 : 경구용의약품의 균질성평가에 관한연구 (Ⅲ) Standardization of uniformity of dosage unit for oral dosage forms

        윤미옥,강신정,이수정,최현철,김호정,박창훈,홍세령,김지선,김길수 식품의약품안전청 2001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Vol.5 No.-

        의약품의 약효를 안전하게 나타내기 위해서는 정확한 용량의 복용이 중오하다. 정해진 용법 ·용량에 따라 투여를 하더라도 1회 복용단위당 항량이 균일하지 않으면 복용자의 의지에' 관계없이 과량 혹은 유효량에 디치지 못하는 양을 복용하게 되므로 복용단위당 유효성분의 균질성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국내 시판 의약품 중 경구용 성형제제를 대상으로 중랸과 항랑의 균질성 평가 및 상관성에 대한 기초적 연굴를 통하여 함량군일성시험의 규긱 설정에 관한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국내 시판 중인 총 560롯트의 경구용 성형제제에 대하여 주성분의 수 함량 등에 따라 븐류하고 함량시험, 중량편차, 함량균일성시험을 실새하여 중량편차와 함량균일성의 상관계수를 구하였으며, 상관성분석을 통하여 각 분류한 군에서 상관성 있는 것으로 나타난 롯트의 비을을 살펴보았다. 주성분 함유량 2% 미만, 혹은 2 mg 미만인 제제에서는 함량균일성으로의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형에 따라서는 당의정에서 상패적으로 상관성 있는 롯트의 수가 적게 나타나 함량균일성으로의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농촌과 도시 초등학생의 굴절이상 비교 분석

        윤미옥,마기중 대한시과학회 2007 대한시과학회지 Vol.9 No.3

        This study investigated visual acuity and subjective refraction to examine cor- relations among the place of residence, school year and gender. The subjects were 166 children at 3 schools in rural and 1 school in urban Gyeongsangnamdo(low grade: n=36, high grade: n=47). The means of uncorrected visual acuity were 0.75±0.34 in the rural and 0.45±0.38 in the urban. In the low grade of elementary schoolchildren, the means of uncorrected visual acuity were 0.54±0.37 in the rural and 0.84±0.25 in the urban. In the high grade of elementary schoolchildren, the means of uncorrected visual acuity were 0.68±0.39 in the rural and 0.39±0.38 in the urban. And by gender, the means of uncorrected visual acuity were 0.65±0.40 in the boys and 0.55±0.38 in the girl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lace of residence and school year,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The frequency of uncorrected visual acuity of 0.8 or better in at least one eye was 66.2%(n=55) in the rural and 29.8%(n=24) in the urban. In the low grade of elementary schoolchildren, the frequency of uncorrected visual acuity of 0.8 or better in at least one eye was 72.2% in the rural and 33.3% in the urban. In the high grade of elementary schoolchildren, the frequency of uncorrected visual acuity of 0.8 or better in at least one eye was 61.7% in the rural and 25.5% in the urban. And by gender, the frequency of uncorrected visual acuity of 0.8 or better in at least one eye was 51.1%(45명) of the boys and 43.6%(34명) of the girl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lace of residence and school year.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The wearer of spectacle were 53 children(rural; 12%<n=10>, urban; 51.8%<n=43>). In the low grade of elementary schoolchildren, the wearer of spectacle was 0.0% in the rural and 44.4% in the urban. In the high grade of elementary schoolchildren, the wearer of spectacle was 21.2% in the rural and 57.4% in the urban. The wearer of spectacl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lace of residence and school year. And by gender, the wearer of spectacle was 30.7%(27명) of the boys and 33.3%(26명) of the girl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lace of residence and school year.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The prevalence of myopia(-0.50D or more in spherical equivalent) was 28.9% in the rural and 62.6% in the urban. In the low grade of elementary schoolchildren, the prevalence of myopia were 13.9% in the rural and 50.0% in the urban. In the high grade of elementary schoolchildren, the prevalence of myopia were 40.4% in the rural and 72.3% in the urban. And by gender, the prevalence of myopia was 42.0%(37명) of the boys and 50.0%(39명) of the girls. The prevalence of myopia was greater in higher grade children than lower grade children, in the urban than the rural.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In conclusion, subnormal visual acuity, the prevalence of spectacle wearing and myopia were greater as in the higher grade and in the urban children. It must be related with environmental factors than congenital factors. So multilateral vision care promo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o prevent subnormal visual acuity and keep vision care. 경남 소재 농촌 초등학교 3곳과 도시 초등학교 1곳의 166명(저학년 각 36명, 고학년 각 47명)을 대상으로 나안시력과 자각식 굴절검사를 실시하여 지역별, 학년별 및 성별간 비교 분석하였다. 나안시력은 농촌과 도시 학생에서 각각 0.75±0.34, 0.45±0.38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5.689, p=0.000), 농촌 및 도시 학교의 저학년과 고학년 학생의 학년별 비교에서는 각각 0.84±0.25와 0.54±0.37(t=4.088, p=0.000) 및 0.68±0.39와 0.39±0.38(t=3.989, p =0.000)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 비교에서 남학생과 여학생은 각각 0.65±0.40, 0.55±0.38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안경 착용률은 농촌과 도시 학생에서 각각 12%와 51.8%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 7.356, p=0.000), 농촌 및 도시 학교의 저학년과 고학년 학생의 학년별 비교에서는 각각 0.0%와 44.4%(t=-5.291, p=0.000) 및 21.2%와 57.4%(t=-5.105, p=0.000)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 비교에서 남학생과 여학생은 30.7%(27명)와 33.3%(26명)으로 차이가 없었다(t=0.412, p=0.680). 등가구면 굴절이상도는 농촌 학생(-0.52±1.02D)과 도시 학생(-1.60±1.80D)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4.869, p=0.000), 농촌 및 도시 학교의 저학년과 고학년 학생의 학년별 비교에서는 각각 -0.14±0.48D와 -0.97±1.32D(t=5.048, p=0.000) 및 -0.81±1.21D와 -2.08±1.98D(t=5.051, p=0.000)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 비교에서 남학생(-0.85 ±1.24)보다 여학생(-1.31±1.78)이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성은 없었다(t=-1.952, p=0.052). 근시 유병률은 저학년보다 고학년에서, 농촌보다 도시에 거주하는 학생에서 더 높았으나 성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으로부터 초등학생의 시력저하를 예방하고 효율적인 시력관리를 위해서는 거주 지역과 연령에 적합한 다각적인 시력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연령에 따른 수평사위 비교분석

        윤미옥,배현주,소종필,이선행 대한시과학회 2010 대한시과학회지 Vol.12 No.1

        목적: 초등학생의 수평사위 검사를 실시하여 연령증가에 따른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방법: 경남 소재 초등학교 4곳의 166명을 대상으로 나안시력과 굴절검사 및 안위검사를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연령별 원거리 사위 분포는 전체 대상자 중 외사위 92명(55.4%), 내사위 39명(23.5%), 정위 35명(21.1%)이었다(f=32.259, p=0.000). 외사위와 내사위 및 정위의 연령별 분포는 각각 8세는 14명(41.2%), 11명(32.4%), 9명(26.5%)(f=13.857, p=0.000), 9세는 21명(55.3%), 8명(21.1%), 9명(23.7%)(f=16.955, p=0.000), 12세는 36명(62.1%), 13명(22.4%), 9명(1.7%)(f=8.924 p=0.000), 13세는 21명(58.3%), 7명 (19.4%), 8명(22.2%)(f=8.371, p=0.001)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근거리 사위 분포는 전체 대상자 중 외사위 107명(64.5%), 내사위 38명(22.9%), 정위 21명(12.7%) 이었다(f=33.138, p=0.000). 외사위와 내사위 및 정위의 연령별 분포는 각각 8세는 21명(61.8%), 9명 (26.5%), 4명(11.76%), 9세는 24명(63.2%), 8명(21.1%), 6명(15.8%), 12세는 36명(62.1%), 17명(29.3%), 5명 (8.6%), 13세는 26명(72.2%), 4명(11.1%), 6명(16.7%)으로 나타났다. 연령증가에 따른 상관성에서는 원거리에서는 8세와 9세간에는 r=0.303, p=0.081, 9세와 12세간에는 r=0.217, p=0.190, 12세와 13세간에는 r=-0.304, p=0.0844로 유의성이 없었으며, 근거리에서는 8세와 9세간에는 r=0.710, p Purpose: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average Tear Film Break-Up Times using the Tear Film Break-Up Time (BUT) test, which is used as a method for diagnosing dry eye and evaluating tear films. We compared BUT test results between contact lens wearers and non-wearers. Methods: We checked the BUT values of 155 adults (310 eyes) in twenties to forties who didn`t have any ophthalmic diseases that could affect the quantity of tear condition. Results: The male average value is 12.585±3.999 seconds, and the female average value is 9.761±3.339 seconds. Males have a higher average BUT value, but this tends to decrease for older men. Our findings showed that the BUT of contact lens wearer is 10.516±3.244 seconds and that of non-wearer is 12.198±4.158 seconds(p

      • KCI등재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지방산 데이터베이스 구축

        윤미옥,김기랑,황지윤,이현숙,손태영,문현경,심재은 한국영양학회 2014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7 No.6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fatty acid database (DB) for estimation of intake levels of fatty acidsin the Korean population,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NHANES). Methods: Analyticalvalues of fatty acids in foods were collected from food composition tables of national institutions (National Fisheries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Japan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and Technology,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and journal articles that previously reported analytical fatty acid content ofsome Korean foods. The coverage of fatty acids was C14:0, C16:0, C18:0, C18:1, C18:2 n-6, C18:3 n-3, C20:5 n-3 (EPA),C22:6 n-3 (DHA), SFA, MUFA, and PUFA (n-3, n-6, n-9). The fatty acids DB covered a total of 5,144 food items used in theKNHANES nutrition survey. The food items were preferentially filled with analytical values of the collected data source. Ananalytical value for each food item was selected based on the priority criteria and the quality evaluation of data sources. Missing values were replaced with calculated or imputed values using the analytical values of similar food items from thedata source. Results: A total of 1,545 analytical values, 2,589 calculated values, and 1,010 imputed values were included inthe fatty acid DB. The developed fatty acid DB was applied to 2,112 food items available for 2011 KNHANES data. Meanintake levels of total fatty acids and saturated fatty acids were 40.3 g/day and 13.2 g/day, respectively. The estimation oftotal fatty acid intake was 84.3% (men 83.2%, women 86.0%) of daily total fat intake. Conclusion: This newly developed fattyacid DB would be helpful in determining the association of fatty acids intake and related health concerns in the Koreanpopulation. 본 연구에서는 국가적 수준에서 지방산 섭취량을 추정할수 있도록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사용하는 식품목록에 수록된 5,144개의 식품에 대해 지방산 DB를 구축하고, 그 과정을 단계별로 정리하여 향후 개정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지방산 DB는 국내 국립기관에서 발행한 식품의 지방산 함량 분석 자료를 기본으로 하여, 국외의 권위 있는 기관에서 발간한 자료와 학술지에 보고된 함량 분석 자료를 수집한 후 자료의 질을 검토하고 대체하거나 계산하는 방법으로 구축되었다. 구축된 DB를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에 적용하여 지방산 섭취량을 추정한 결과, 총 지방산섭취량은 지방섭취량의 84% 수준으로 학술지에 보고되고있는 섭취량 추정수준보다는 높은 수준이나 DB 구축과정에서 확인된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자료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관련 연구 분야와 국가 영양정책의 중요한 기본 자료를 확보하였다는데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