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아시아권에서 줄다리기의 발생과 전개

        송화섭(Song Hwa-Sup) 비교민속학회 2009 비교민속학 Vol.0 No.38

        동아시아에서는 줄다리기가 전승되고 있으며, 한국도 그 문화권에 속한다. 한국의 줄다리기는 정월대보름(1.15)의 동제에서 연희되는데 비하여 이웃나라인 일본에서는 추수기의 풍년제(8.15)에서 줄다리기를 연회하는 특징이 있다. 한국과 일본의 줄다리기는 볏짚으로 줄을 만들어 사용고, 줄의 상징과 연희 방식도 기본적으로는 같다. 줄다리기는 외줄 형태도 있지만, 암줄과 숫줄에 고를 만들어 고싸움형 줄다리기를 하는 쌍줄다리기 방식이다. 이러한 한국과 일본의 줄다리기가 언제부터 연희되었는지 잘 알 수는 없다. 문헌상 줄다리기 사료의 등장은 조선전기에 연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 제주목조이다. 제주도의 줄다리기는 조리지희는 음력 8월 15일에 연행된 것으로 일본 오끼나와 줄다리기와 같은 계통이다. 그런데 줄다리기 조각상은 12세기에 조성된 캄보디아 앙코르와트 부조(浮彫)에 등장한다. 앙코르와트는 동아시아의 대표적인 힌두사원이다. 줄다리기 부조는 힌두신화가운데 우유바다젓기 신화를 조각으로 묘사한 것이다. 이 우유바다젓기신화는 3대 힌두신인 비슈누가바수키(basuki)라는 뱀을 데리고 선과 악의 무리들이 천년동안 줄다리기를 한다는 내용이다. 이러한 줄다리기는 나가(naga)줄다리기라 할 수 있다. 인도에는 밀교신앙의례로서 투륜견삭(鬪輪?索)이 있었다. 이 투륜견삭신앙이 8세기경 중국 당나라에 줄다리기와 동반, 전파하여 불공견삭관음(不空?索觀音)신앙을 발달시켰고, 일본에도 불공견삭관음신앙와 줄다리기가 전파되었다. 일본에서는 큐슈-오끼나와에 한정하여 줄다리기가 연행되고 있는데, 오끼나와는 동남아시아에서 올라오는 쿠로시오 난류가 거치는 요충지이다. 일본의 줄다리기는 동남아시아에서 해류이동을 통해서 올라오는 8월보름형 줄다리기와 중국에서 건너온 상원절(1.15) 줄다리기가 동시에 연행되고 있는데, 한국에서는 주로 상원절 줄다리기가 연행되고 있다. 상원절 줄다리기는 주로 나가형이고, 견삭형은 암줄고에 숫줄고를 끼워넣고 남녀가 잡아당기는 하원절(8.15)의 줄다리기 방식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연행되는 줄다리기는 지역으로 편차가 있지만, 대체로 나가형과 견삭형(?索形) 줄다리기가 혼재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줄다리기가 인도의 힌두신화에 등장하고, 줄다리기의 원형을 보여주는 그림과 부조가 힌두 신앙권에서 발견되므로서 줄다리기의 발원지는 인도,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베트남 등의 동남아시아권이라 할 수 있다. 이 지역을 배경으로 하는 줄다리기 문화가 쿠로시오 난류에 편승하여 일본 오끼나와를 경유하여 한반도에 전파해온 것으로 보인다. 그 시점이 고려말 조선초로 추정된다. 정월 보름(1.15)의 줄다리기는 상원절 연등회 계통의 밀교수행의례로 연행되었으나, 지금은 풍농기원의 농경의례로서 거행되고 있다. 한국의 줄다리기는 외줄다리기와 고줄다리기가 있는데, 용의 형상으로 줄을 만들어 당기는 방식과 윤회를 속박하는 밀교수행의례로써 거행되어온 줄다리기의 전통이 전승되고 있다. Tug of war has been transmitted in East Asia including Korea. It is performed at Doug Jae (Dong Festival) on the 15th of January, the First Full Moon day in Korea meanwhile, it is performed at Poong Yeon Jae (Poong Yeon Festival) on the 15th of August, Thanks Giving Day in Japan by lunar calender. The rope is made of rice grass and the symbol and the way to perform the tug of war are basically same in Korea and Japan There are two types of tug of war according to the type of rope; one rope and two ropes. At the tug of war on Dong Jae and Poong Yeon Jae, two ropes, male rope and female rope, are used. Each has a Go, a circle and the frame is wrapped with rice grass, at the forehead. It is uncertain when the tug of war started in Korea and Japan. Tug of war first appeared in Jeju wooden sculpture in the book, Shin jung dong guk yeo gi sung ram published in the early Chosun Dynasty. The tug of war in Jeju, Jorijihee was performed on the 15th of August which was the same kind performed in Japan. A picture of a tug of war appears in the embossed sculpture made in the 12th century of Angkor Wat in Cambodia. Augkor Wat is representative temple of Hindoo in East Asia. The embossed sculpture of a tug of war is a depiction of a myth, rowing in the sea of milk. The myth about the god of Hindoo, Visnu had a tug of war with a snake, Basuki against evil for a thousand years. Basuki is a snake, Naga in India. There was a ceremony making Turungyeonsak, a wheel wrapped with a rope, in Buddism in India. It was passed to Tang in China around the 8th century and it developed the belief, Bulgong gyeonsak gwanum and it passed to Japan. Tug of war is performed in Kusu-Okinawa and Okinawa is the place that turbulent flow of Kuroshio current comes from East Asia passes. There are two kinds of tug of wat performed in Japan. One is performed on the 15th of August which was from East Asia and the other is performed at the Festival of Lanterns on the 15th of January which was from China meanwhile, the second type is mostly performed in Korea. The tug of war performed at the Festival of Lanterns is usually Naga type and the tug of wat fighting with male tope and female rope is performed at Hawonjeol, on the 15th of August. Both tug of wars are performed in Korea. The origin of tug of war is supposed to be East Asia such as India, Indonesia, Cambodia and Vietnam since it appears in a myth of Hindoo and pictures and embossed sculptures of it are found in Hindoo religion. It seems that the tug of war passed to Korea through Okinawa following Kuroshio current and the time is assumed to be late Corea or early Chosun. The tug of wat performed for good harvest on the 15th of January seems to be a ceremony of Esoteric Buddhism such as lighting lotus lanterns at the Festival of Lanterns. The shape of the rope is dragon not snake with the effect of Buddhism.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암각화의 디지털콘텐츠 구축과 선사시대 생활상 복원

        송화섭(Song, Hwa Sup) 인문콘텐츠학회 2016 인문콘텐츠 Vol.0 No.43

        한반도 동남해안에는 울산만 반구대 암각화와 천전리 암각화, 영일만의 고인돌암각화가 분포한다. 반구대 암각화는 바다동물과 육지동물, 천전리 암각화는 기하학적 문양이 조각되어 있고, 영일만 고인돌 암각화는 석검형 · 석촉형 · 검파형 문양이 등장한다. 반구대의 육지 · 바다 동물 암각화은 세계적으로 찾아볼 수 없는 매우 희귀한 동물생태암각화이다. 그리고 영일만 일대 고인돌암각화도 한반도 동남해안 해역에서 발생한 고유성 암각화이다. 암각화는 유물이 아니라 유적이기에 기존 전시방식으로 관람객들에게 흥미를 끌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암각화는 문양 그 자체가 영상(影像)이미지를 갖고 있으며, 동물문양은 동적(動的)인 미를 갖고 있기에 디지털전시콘텐츠로 제작이 용이하다. 반구대 · 천전리 암각화와 영일만 일대 고인돌암각화를 디지털암각화박물관으로 만든다면 선사문화의 이해 뿐만아니라 암각화를 통해서 선사시대의 생활상을 흥미진진하게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디지털시대를 맞이하였다. 반구대 · 천전리 암각화와 영일만 고인돌암각화는 3D입체영상디지털 기술장치로 만들어져야 그 빛을 볼 수 있다. 3D디지털박물관은 3차원의 입체영상과 가상현실에서 디지털 스토리텔링과 인터랙션기법으로 조성될 수 있다. 인터렉티브(interactive) 스토리텔링과 고수준의 인터렉션 장치를 갖춘 디지털암각화박물이 울산 반구대 · 천전리 암각화와 영일만 포항 칠포리와 경주 금장대를 대상으로 조성되었으면 한다. There are Bangudae petroglyph and Cheonjeonri petroglyph in Ulsanman and Dolmen petroglyph in Youngilman around the Southeast coast area in Korean peninsula. The Bangudae petroglyph has shapes of sea animals and land animals while the Cheonjeonri petroglyph has geometrical figures. The Dolmen petroglyph in Youngilman has shapes of a sword, a flint arrowhead, and Gumpa. The Bangudae petroglyph is a very rare and valuable petroglyph since it shows the shapes of animals and the Dolmen petroglyph around Youngilman has an unique feature that came from the Southeast coast area in Korean peninsula. Petroglyph is not relics (a thing) but ruins (a site) and it can not attract people with a way of display. It is possible to make digital content of those petroglyph as the shapes carved on them have images and the animal shapes have dynamic movement. If Bangudae petroglyph and Cheonjeonri petroglyph in Ulsanman and Dolmen petroglyph in Youngilman are made in the form of digital petroglyph museum, it would be easier for people to understand the life style of the prehistoric life and culture through them. We live in the age of digital. Bangudae petroglyph and Cheonjeonri petroglyph in Ulsanman and Dolmen petroglyph in Youngilman should be publicized in a digital form. The 3 dimensional digital museum of those petroglyph could constitute of images and storytelling. The digital museum of the petroglyph about Bangudae petroglyph and Cheonjeonri petroglyph in Ulsanman and Dolmen petroglyph in Chilpori in Powhang and Gumjangdae in Kyeongju, which has interactive storytelling and high technical interaction system should be made to give information about them and attract people.

      • KCI등재

        智異山의 老姑壇과 聖母天王

        송화섭(Song Hwa Sup) 한국도교문화학회 2007 道敎文化硏究 Vol.27 No.-

        신라가 삼국통일을 성취한 이후 전 국토를 장악하는 수단으로 9州 5小京을 설치하고 三山五岳과 大祀ㆍ中祀ㆍ小祀 체제를 도입하여 배치한다. 남원에는 남원경이 들어서고 지리산을 남악으로 선정하였다. 신라정부가 삼산오악을 배치하면서 경주의 삼산 여신과 선도산 성모를 지리산으로 이전시켜 聖母天王을 山神을 삼게하였다. 聖母의 구체적 모습은 『삼국유사』 선도산성 모수희불사조에 묘사되어 있다. 그 내용에 선도산 성모는 중국의 제실의 딸이요, 신라의 선도산의 산신이요, 불상을 조성하는데 황금을 시주하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 이 내용은 통일신라시대 불교융성기에 신라의 산신이 불교적 산신 또는 관음산신으로 변화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신라의 불교적 산악숭배가 지리산으로 옮겨온 것은 지리산이 그 이전부터 영적인 성산이었기에 무불습합적인 측면에서 경주 삼산 여신과 선도산 성모의 산악숭배가 지리산 일대에 유포되었다고 본다. 남원경을 설치한 후에 신라불교가 남원으로 옮겨왔음을 보여주는 사찰이 지리산 실상사이다. 신라말 실상사가 지리산 자락에 들어선 이후 라말려초기에 다양한 마애불과 불상이 지리산 일대에 암면에 새겨지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불교유적은 경주계 불교적 산신숭배가 라말려초기 이후 지리산권에 확산되어 있었음을 보여준다. 지리산에서 불교적 산악숭배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불교유적이 여원치 마애불이다. 여원치 마애불의 명문에는 이 여상을 道姑라고 표현하였다. 도고상은 산신이 여성이요, 도교적인 신선상을 뜻한다. 이러한 마애불은 지리산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데 독특한 도불적 산악숭배의 산신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도불적 산악숭배는 고려, 조선시대를 내려오면서 다양한 민간신앙과 교유하였다. 지리산 성모천왕의 실체는 지리산 정상의 聖母祠에 봉안되어 있었던 돌로 만든 婦人像이다. 성모사당에 봉안된 백의여상이 성모천왕상인데, 도교와 불교가 조합된 도불신상이라 할 수 있다. 노고단의 노고신은 마고계 산신으로서 도교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면, 천왕봉의 성모천왕은 성모계 산신으로 불교의 영향을 받았다. 지리산의 산신은 노고신앙의 기반위에 성모신앙이 정착하였기에 지리산의 성모천왕상은 불교의 觀音菩薩像과 도교의 女仙像이 중첩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도불신앙이 고려시대 백의관음신앙이 지리산의 성모천왕에 영향을 미치어 노고단과 성모천왕이 산신으로 등장하였다고 본다. 이러한 도불계의 관음신앙이 라말려초기 이후 산신신앙과 교유하면서 관음산신이 민간계층에 널리 확산되었던 것이다. 지리산권에 분포하는 老姑, 老, 道姑, 老母 등 다양한 산신들은 麻姑계통의 산신으로 역사는 삼국시대까지 올라간다. 그러나 라말쳐초 이후에 노고는 성모천왕으로 대체되어 갔다고 본다. 이러한 변천은 현재 마을단위로 전승되는 동제의 마을수호신에까지도 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아야 좋을 듯싶다.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countries, Kogurea, Baekjae and Shila, Shila established 9 provinces and 5 small capitals to control the country and had SamsanOak (they worshiped three big mountains, Samsan, and five middle size mountains, Oak) and big religious services, middle size religious services and small religious services. There was a small capital Nanwon in the present place of Namwon and Jiri mountain was appointed as Namak, one of the Oak. When Shila made SamsanOak system, they moved the goddess of Samsan in Gyeonju and the holy mother in Seondo mountain to Jiri mountain and made them one which became the goddess of the mountain, the Holy Mother. The appearance of the Holy Mother is described in the book, Samgukusa (a history book on the three countries, Kogurea, Baekjae and Shila), on a tale of Suhee Bulsajo, the Holy Mother in Seondo mountain. According to the story, the Holy Mother in Seondo mountain was a daughter of a chinese royal family, goddess of Seondo mountain in Shila and a person who donated gold for making a statue of Buddha. It tells a goddess in Shila became a goddess of Buddhism or the Buddhist Goddess of Mercy when Buddhism was thriving in the Unified Shila. It is assumed that Jiri mountan had been a holy mountain and that was the reason why the mountain-worship moved to Jiri mountain with the mountain-wroship of the goddess of Samsan in Gyeonju and the Holy Mother in Seondo mountain. Shilsangsa, a temple, shows that the Buddhism of Shila came to Namwon after Shila established the small capital, Namwon. After Shilsangsa was built in Jiri mountain, various Buddha images and a statue of Buddha began to be carved on rock cliffs in the late Shila and the early Corea. These remains show that goddess of mountain-worship of Buddhism in Gyeongju was expanded to Jiri mountain in the late Shila and the early Corea. The Buddha image carved on the cliff in Yeowonchi is an example of mountain-worship of Buddhism in Jiri mountain. The Buddha image in Yeonwonchi is a woman and a passage on it says it is Dogo, a Taoist hermit in Taoism.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Buddha images carved on the cliffs on the top of the mountain says mountain-worship in Buddhism prevailed around Jiri mountain and they are statues of mountain gods, expressing a unique mountain-worship in Taoism and Buddhism. It says that worshipping of mountains was prevailed around Jiri mountain. The mountain-worship tradition was handed down to Corea and Chosun and mingled with various folk believes. The statue of the Holy Mother in Jiri mountain is a statue of a woman made of rock, which was enshrined in Seongmosa, a temple, on the top of Jiri mountain. The statue of a woman at Seongmosa is Seongmocheonwangsang which is a statue of a god, a mixture of Taoism and Buddhism. The god of Nogo of Nogodan is a god of Mago which is influenced from Taoism and Seongmocheonwang on Cheonwang-bong is a god of Seongmo which is influenced from Buddism. The god of Jiri mountain is made from Seongmo belief based on Nogo belief so the statue of Seongmocheonwang is a mixture of the Buddhist Goddess of Mercy in Buddhism and a woman Taoist hermit in Taoism. An example of a mixture of Buddhism and Taoism, Baekugwanum belief in Corea had influence on the Seongmocheonwang and so Nogodan and Seongmocheonwang became mountain gods and the Gwanum belief was mixed with the belief on the gods of mountains in the late Shila and the early Corea and it was spreaded among the public. The mountain gods, Nogo, Nogu, Dogo, Nomo, around Jiri mountain are Mago gods and their origin was from the Three Country Age. However Nogo was alternated with Songmocheonwang in the late Shila and the early Corea. The change might influence on the village guardians in religious services of each vill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