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朝鮮時代 慶州 刊行의 書籍

        남권희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09 新羅文化 Vol.33 No.-

        This study aimed at bibliographic materials, historical records, and other literatures which was published in KyungJu as part of analysis the books published in KyungJu(慶州) in the period of Cho-seon(朝鮮) Dynasty. So it focused at the records produced in KyungJu(慶州) or related with it, also the study deals with the books or the records surveyed through a couple of field study. In short, this study was carried out putting the emphasis on the category below. The first, materials and Archives preserved in YangDong Area. The second, presenting wood blocks in KyungJu through newly discovered two kinds of wood-block catalogs. The third, Bibliographical study of book catalog in Ok-San Temple(玉山書院) namely 『JeonYeoGi(傳與記)』. The fourth, bibliographical study of book catalog at HwangDan in YangDong(良洞) area that is 『SabGaRok(揷架錄)』. The fifth, books and wood blocks preserved in clans, temples in KyungJoo(慶州) area.

      • KCI등재

        「奎章閣志」의 편찬과 19세기 奎章閣 서적보관제도

        남권희 한국서지학회 2008 서지학연구 Vol.40 N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verall system of storing books in the nineteenth century in the late Joseon Period, and the compilation of Kyujanggakji published in the eighteenth century and Kyujanggakbu written by (Yi Ok; 李鈺, 1760-1812). The major findings from the analysis of Kyujanggakji compiled as the basic resource for operating Kyujanggak and the documents related to other institutions are as follows: ① Kyujanggakji was compiled by seven famous scholars and accurately revised by six revisers. It means that its publishing was done with strict review and careful revision. ② Kyujanggakji documented such issues as its merger with Kyoseogwan, finances, concurrent assignment of officials in charge, rules and regulations, and correction of Gakji. ③ Records were added about such institutions as Seohyanggak(書香閣), Uimoonwon (摛文院), 宜春門庫(Uichunmoongo), Gaeyoowa(皆有窩), Yeolgogwan(閱古館) and others which had also kept books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正祖) and King Soonjo(純祖). ④ Yi Ok(李鈺, 1760-1812)'s literary work Kyujanggakbu documented the establishment of Kyujanggak, the storage system for Chinese books, and the general features and operations of the above mentioned institutions. 이 연구는 규장각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로 작성된 「奎章閣志」의 편성과정에 대하여 고찰하였고 더불어 순조조의 서적 보관제도로서 서고의 기능 및 당대의 서적보관 장소인 열고관, 주자소, 이문원 등의 기록에 대하여 정리하여 교서관과의 통합 문제와 각신의 겸임문제, 재정문제, 제도의 규정 및 閣誌의 수정문제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순조조의 서적 관리제도로 의춘문고의 기능이나 奉謨堂의 장서를 보관하였던 이문원의 기록 및 주자소 내 십자각의 장서처로서의 기능에 대하여도 새롭게 기록을 추가하였으며 특히 이 시기의 기록을 보완할 수 있는 자료로 정조 9(1785)년에 편찬된 李鈺의 奎章閣賦의 기록을 통하여 규장각의 성립이나 중국서적의 보관제도 및 서고, 서향각, 열고관, 개유와 등 장서 소장처에 대한 제도 전반적인 모습을 재고할 수 있었다.

      • KCI등재

        1284년 忠烈王, 元成公主 발원 金字大藏 『百千印陁羅尼經(合部)』의 서지적 연구

        남권희,석혜영 한국서지학회 2018 서지학연구 Vol.74 No.-

        This study attempted to introduce and analyze Baegcheonin-dalanigyeong(百千印陀羅尼經) which were recently confirmed among the golden manuscript in the Koryo Dynasty. The summary is as follows. (1) This is a book written in golden manuscript and it was manufactured by King Chunglyeol & Jegukdaejang-Princess in the 10th year of King Chongryeol’s reign (1284). (2) This golden manuscript is written down on the blue paper(紺紙) with gold line border, has a scroll-form with a crystal axis on each end of it, and belongs to the part of the Scripture Tripitaka with the sign of “景”. The text were formally written down in 17 letters in a line, however few 16 and 18 letters in one line were discovered. (3) The contents are consisted of following four scriptures in order; Baeg-cheon-in-dalanigyeong(百千印陀羅尼經), Gu-myeon-yeon-agwi-dalani-sinjugyeong (救面然餓鬼陁羅尼神呪經), Bul-seol- gam-lo-dalaniju (佛說甘露陁羅尼呪) 7 line and Jang-eom-wang-dalani-jugyeong (莊嚴王陁羅尼呪經), Hyang-wang-bosal-dalani-jugyeong (香王菩薩陁羅尼呪經). (4) There are unprecedented red signature and a stamp on the reverse side of the front page. The signature belongs to the King Chungryeol and it is the second name of him. The stamp shows ‘Wonseongjeon(元成殿)’ which is the Princess Jegukdaejang’s original temple, and it could be the answer of the controversial debates about the original palace owner. (5) On the cover, there are a figure and floral pattern which seems to be made in the 13th century and the craftsman’s name is ‘鄭(Zheng)[益迂(ig-u)]’. The figure’s expression is similar to the other gold and silver manuscript version, but the postures and object hold in a hand are different. (6) Records of publications are similar to the other golden manuscripts, but showed some differences. In addition, the person who wrote this sutra is Choi jeong(崔楨), but the person is not confirmed in the historical data. Yet, it is presumed that he were in lower classes but had outstanding writing skills to be mobilized for the Scripture work. (7) The contents of ‘景’ and four kinds of scriptures (including gamlosudalani(甘露水陁羅尼)) are included in the ‘景’ of the 9th book sinjibjang-gyeong-eum-uisuhamlog (新集藏經音義隨函錄) and Bangsan-seoggyeong(房山石經). It is presumed that the narrative sequence of the scriptures corresponds to the order of The Khitan Tripitaka(契丹藏). In addition, these four types of scriptures are included in the “羔” of joseong-geumjang(趙成金藏), chojo Tripitaka(初雕大藏經), and jaejo Tripitaka(再雕大藏經) but the order of the scripture is recorded in reverse. In addition, this golden manuscript is a valuable data as it holds a lot of differentiator character and various sobriquet of Buddhist literature that can be utilized frequently in researches about Buddhist literature. 이 연구는 고려시대 忠烈王代에 조성된 金字大藏 중 최근 확인된 『百千印陁羅尼經(合4經)』에 대한 소개와 서지적 분석을 시도하고 더불어 지금까지 알려진 서로 다른 시기에 제작된 金銀字大藏들의 함차를 비교, 검토하여 그 계통을 살펴보았으며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자료는 고려 忠烈王 10年(1284)에 國王과 宮主인 齊國大長公主의 발원에 의하여 제작된 金泥로 쓴 寫經이다. 둘째, 이 金字寫經은 ‘景’자의 函次가 표시된 大藏經의 일부이며 水晶軸을 가진 卷子本의 형태로 전체는 9장의 연결이며 紺紙 바탕에 金泥의 테두리와 界線을 긋고 한 행에 17자를 기준으로 간혹 16-18자의 출입이 있다. 셋째, 수록된 경전은 4종이 합본되어 있는 형식으로 『百千印陁羅尼經』, 『救面然餓鬼陁羅尼神呪經』과 『佛說甘露陁羅尼呪』 7행, 『莊嚴王陁羅尼呪經』, 『香王菩薩陁羅尼呪經』이 차례로 포함되어 있다. 넷째, 表紙의 裏面에 忠烈王의 2번째 개명한 諱인 ‘賰’자가 붉은 색 수결로 있고 나란한 위치에 ‘元成殿’ 즉 齊國大長公主의 기록과 ‘封印’이란 파스파문자가 인장이 날인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宮主가 누구인지 분명해졌으며 국왕의 手決과 宮主의 印章은 처음 확인되는 것이다. 다섯째, 表紙畵와 神將像은 13세기 후반의 다른 金銀字寫經과 유사하고 특히 神將像을 그린 畫員의 이름인 ‘鄭〔益迂(추정)〕’란 기록이 그림의 우측 하단에 있다. 특히 신장상의 표현은 다른 사경과 비슷하지만 持物을 잡은 자세가 각각 다르다. 여섯째, 권말의 發願文과 筆寫記는 다른 金字大藏과 문장 내용은 대동소이하나 표기에서는 약간의 차이를 볼 수 있다. 또 이 사경을 직접 쓴 인물은 崔楨으로 사료 등에서 그 인물은 확인되지 않으나 蔭職의 하위 직급을 받은 글씨를 잘 쓰는 젊은 사람인 까닭에 사경작업에 동원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일곱째, ‘景’자의 함차와 4종(甘露水陁羅尼 포함) 경전의 수록 내용은 房山石經과 『新集藏經音義隨函錄』 제9책의 ‘景’함에 포함되어 있어서 契丹藏의 순서와 일치할 것으로 추정된다. 또 이 4종 경전이 趙成金藏, 初雕大藏經, 再雕大藏經에서는 ‘羔’함에 포함되고 경전의 배열순서도 본 사경과는 역순으로 수록되어 있다. 이 밖에도 세부적인 표기나 異體字 등에서도 특징적인 요소를 지닌 귀중한 자료이다.

      • KCI등재

        한국 도서관사 연구자료로서의 목간기록 및 서지자료로서의 목간 분석

        남권희 한국서지학회 2020 서지학연구 Vol.84 No.-

        This study bibliographically examines wooden strips documents and Analects of Confucius excavated in Korea. Compared to China and Japan, number of excavated wooden tablets of Korea is very limited. However, with emergence of various types and fields of wooden tablets, it became possible to secure a large amount of historically valuable data. In Chapter 2, the wooden tablets documents were explored as receiving documents, repository documents and draft documents to examine the value of the data as a recorder. In Chapter 3,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index wooden tablets were carefully analyzed. Metadata analysis was also conducted on the documents. In Chapter 4, bibliographical approach was taken to Analects of Confucius (Noneo) which already possess an element of a book through the forms of wooden and bamboo tablets. 본 연구는 한국에서 출토된 문서목간 및 논어목간을 기록과 서지자료로서의 관점에서 살펴본 것이다. 중국 및 일본과 비교했을 때 현재 한국 출토 목간의 수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나, 다양한 형태와 분야의 목간이 출현하면서 목간이 지닌 역사적 가치와 우수한 정보를 다량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문서목간을 수발문서, 장부문서, 초고 기록문서로 나누어 기록자료로서의 가치를 살펴보고 색인목간이 갖는 가치와 의의를 고찰하였다. 이어서 앞서 살펴본 이들 문서들이 갖는 메타데이터 분석도 함께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논어목간과 논어죽간을 통해 이미 형태적으로 ‘책’의 요소를 지니고 있는 『논어』에 대해 서지적 관점에서 접근해 보았다.

      • KCI등재

        조선후기 동래부의 『萊府重記』에 수록된 기록물 분석

        남권희,진유라,강유현 한국서지학회 2014 서지학연구 Vol.60 No.-

        This research had prudently analyzed 2 manuscripts of 『萊府重記(Raebujunggi)』 bibliographically in the aspects of organizations, written period and contents and recognized following facts. First, ‘己未八月日’ in preface of 『Raebujunggi』 had been referred as a method to discover written period. In addition, 『Raebujunggi』 had been assumed to have been written during task handover period due to substitution of Gugwan to Shingwan in August, 1859 after comparison process of ‘Hobangsaek’'s subcategory, ‘Doseowonchajijil’. Moreover, ‘Jeong Hyeon-Gyo’ had been acknowledged to have been designated as a then governor of Dongnae. Second, 『Raebujunggi』's description consists of inventory status such as current amounts of products or conditions of expenditure under the name of the organization ‘Saek’. ‘Jil’, as a subcategory, also contains amounts of products but differs with ‘Saek’ as it contains records of products the governor had applied and prepared in certain years and hyeonju, which includes detailed explanation of the records. Inventory status of total 28 departments are recorded and Busa, Jwasu, Gungwan and signatures of other government officials of Saek had made entries on every last pages of 『Raebujunggi』. Third, through examinations of Seochaek, documents, Hogujangjeok and Jitonggo in each department, Hobang had contained 21 documents and Yaebang had included 57 collections of Confucian scriptures, history books and didactic books. In addition, 14 varieties of Seochaeks had been placed in Jitonggo of Yaebang. Furthermore, 25 kinds of records from 1758 to 1840 had been stocked in other 11 departments and 84 collections of Hogujangjeok had been located in Hojeoksaek. In lists of Jitong, 14 places had been prohibited in 1859 and 35 kinds of documents had been constituted in 1738 for the first time. Furthermore, 57 varieties of documents such as Jeolmok, documents of slaves and Yangan had been spawned by later 19 governors of Dongnae. 이 연구는 1859년 동래부에서 작성된 『萊府重記』 筆寫本 2冊을 대상으로 서지적 검토 및 중기의 구성체제, 작성시기와 중기 내에 수록된 기록물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다음의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萊府重記』의 작성시기를 파악하기 위해 卷首 첫 행에 묵서된 ‘己未八月日’을 참조하고 중기에 수록된 ‘戶房色’의 하위항목 ‘都書員次知秩’을 대조해 본 결과 1859년 8월을 전후로 新官과 舊官의 교체에 따른 업무의 인수인계 과정에서 작성된 것으로 보이며, 당시 동래로 부임한 부사는 ‘鄭獻敎’로 확인되었다. 둘째, 『萊府重記』의 전체적인 기술체제는 부서명인 ‘色’ 아래로 현재의 물품 수량 및 加入되거나 支出된 현황 등 재고사항을 수록하고 있다. 하위항목으로는 ‘秩’을 두어 해당 물품의 수량을 기입하고 있으며, 또 해당 연도에 부사가 加入하고 別備한 물품에 대한 기록과 내력에 대한 설명인 懸註가 있다. 총 28곳의 부서의 물품현황이 수록되어 있으며, 각 책의 권말에는 府使, 座首, 軍官을 비롯하여 각 色吏들의 手決이 차례대로 기입되어 있다. 셋째, 각 부서별로 보관된 書冊과 文書, 戶口帳籍 및 紙筒庫로 나누어 기록물의 현황을 살펴본 결과 戶房에 문서류 21종, 禮房에 57종의 유교 경전류, 역사서, 교훈서 등이 있었으며, 禮房의 紙筒庫에는 14종의 서책이 비치되어 있었다. 기타 11개의 부서에서는 1758년부터 1840년에 加入된 25종의 기록물이 보관되고 있었고, 戶口帳籍은 84종이 戶籍色에 보관되어 있었다. 紙筒의 항목에서는 1859년에 封庫된 창고는 14곳이었으며, 1738년에 처음으로 문서류 35종이 加入되었다. 이후 19명의 동래부사에 의해 加入된 문서류는 총 57종이며, 대부분 節目, 奴婢文書, 量案 등이 보관되고 있었다.

      • KCI등재

        증도가자 기초학술조사 연구 성과

        남권희 한국서지학회 2015 서지학연구 Vol.64 No.-

        본 연구는 2014년 국립문화재연구소가 용역을 발주하고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수행한 ‘증도가자 기초학술조사 연구’의 주요결과를 정리한 것으로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체분석에 있어서 활자의 자형은 12-13세기의 대장경과 사간본의 서체들과 일치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둘째, 조사 대상활자 가운데 개인소장의 활자 20개를 선정하여 활자의 표면에 잔류된 먹에 대하여 방사성탄소연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11개의 활자에서 먹의 제조 및 사용연대가 12세기 이전의 시기에 분포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금속표면에 대한 비파괴분석은 분석대상활자 표면의 오염 및 흙으로 덮어진 상태인 점을 감안할 때 서로 편차가 많으나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㠅’활자에서 확인되었던 데이터와 선행연구에서 공개된 데이터와 유사한 데이터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placed an order by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in 2014, and summarizes main results of ‘A study on academic bases of Zeungdogaja’ conducted by The Industrial-Academic Cooperation Group, Kyungpook Univers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shape of the print type tends to correspond to that of Laws and Treatises and Saganbon in 12th to 13th century. Secondly, we analyzed 20 privately owned print types out of the target print types using radiocarbon dating techniques.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case of 11 print types, production period of China ink found and the period of its use correspond to prior to 12th century. Thirdly, nondestructive analysis of the metal surface shows some deviations derived from the surface contamination of the target print type and the state of being covered with soil. However, we could identify the data confirmed by “㠅” Metal Type owned by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similar data opened by the prior research.

      • KCI등재

        證道歌字 判定의 誤謬에 대한 反論

        남권희,권오덕 한국서지학회 2015 서지학연구 Vol.64 No.-

        This study is to academically verify the interpretation errors and contradictions of the forgery claim of Zeungdogaja owned by Cheongju Early Printing Museum. The claim was mentioned in the “A study of forensic scientific analysis on metal print type” by National Forensic Service and Hwang Jung ha, head of arts and science department of Cheongju Early Printing Museum. The presentation materials made misinterpretation and misjudgement due to the lack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regarding metal type-casting, conservation science of cultural properties, the science of bibliography. Firstly, compositional aspects of metal ingredients and print type, and the issue on injection of foreign substances are derived from the lack of understanding on corrosion of bronze, and lack of fundamental knowledge about iron casting method. Vague assumptions were made without the experiments and analysis on metal ingredients. Secondly, the claim that there is inconsistency in the shape of the characters is the consequence of not comparing the images properly on the part of National Forensic Service. Besides, the print type created by the 3 dimensional print does not represent the characters’ strokes exactly due to the crumpling of the ink. Because of the unsuitable raw materials, it does not verify the conformity degree accurately. Thirdly, An error was found when NFS claimed that the high degree of straight figure of the target print type is the evidence of its forgery. An error occurred when NFS mistakenly assumed that the specific print type with low degree of straight figure is Print Type of Goryo while the print type found in Gaesung in November, 2015 has a high degree of straight figure and the same is true for many Chosun Dynasty print types. It intentionally introduced print type with low degree of straight figure and distorted the fundamental nature of print type. Fourthly, the residual China ink is claimed to be an artificially attached one. However, It does not take into consideration factors such as those deriving from excavated conditions of this type or the process of being handed down. 본 연구는 2015년 10월 31일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청주고인쇄박물관의 황정하 학예실장이 공동으로 발표한 “금속활자의 법과학적 분석방법 고찰”에서 주장한 청주고인쇄박물관 소장 ‘증도가자’에 대한 위작설에 대하여 그 해석상의 잘못이나 모순 등을 학술적 검증의 차원에서 논의한 것이다. 그들의 발표자료는 ‘금속활자 주조방법’, ‘문화재 보존과학’, ‘서지학’ 등에 대한 지식 및 정보 부족으로 잘못된 해석과 판단을 하고 있다. 첫째, 금속성분과 활자의 구조면 그리고 이물질의 주입문제는 청동부식에 대한 이해부족과 주조방법에 대한 기초적인 상식이 부족하고 또한 금속성분에 대한 실험이나 분석없이 막연히 추정만 하고 있다. 둘째, 글자서체 부분의 불일치라는 주장은 국과수에서 제대로 이미지를 대조하지 않은 결과이다. 국과수의 3D print로 만들어진 활자는 먹과 획의 뭉침으로 획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고, 3D print 재료도 부적절한데 이것을 가지고 검증되지 않은 시스템으로 일치도를 구명하는 것이야말로 조작에 가까운 해석이라 할 수 있다. 셋째, 대상활자의 높은 직선도가 조작된 증거라는 것에 대하여 국과수 발표는 직선도가 낮은 특정활자를 고려활자로 가정하는 오류를 범하였다. 또한 11월(2015)에 개성에서 발견된 활자의 획이 직선도가 높고 조선시대 많은 활자에서도 직선도가 높게 나타나는데 의도적으로 직선도가 낮은 활자를 제시하여 활자 본래의 속성을 잘못 유도하고 있다. 넷째. 잔류된 먹에 관해서도 인위적으로 붙인 것으로 판단하였지만, 이 활자의 출토상태나 출토 후 전래과정에서 일어나는 요인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판단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