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의 현황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최재영 慶北大學敎 社會科學大學 1998 社會科學 Vol.10 No.-

        최근 들어 대학사회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자원봉사활동의 실태를 파악하고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연구하기 위하여 대구 경북지역의 4개 대학 소속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총 454개의 완성된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대학생들이 지역사회에서 자원봉사활동의 필요성에 크게 공감하고 그들의 자원봉사활동에 대하여 상당히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과반수 이상의 응답자들이 동시에 그들의 자원봉사활동을 수행하는 동안 일정수준 이상의 중단충동을 느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들은 그들이 소속된 학교에서 채택하고 있는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의 유형에 따라 자원봉사활동에의 참여정도, 만족도, 지속도가 각각 유의미하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사회의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 및 정착을 위한 정책적 함의로서 사회적 관심의 제고, 교육환경의 개선 및 전문가의 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정비, 그리고 관련 연구의 활성화 등을 제시하고 있다. Four hundred fifty four students from four universities in Taegu-Kyungpook providence were surveyed to explore the patterns of their voluntary activities and to examine its improvement plan. It was found that most of college students who are currently engaged in a certain type of voluntary activities were highly agreed on the necessity of their work in the community as well as they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performance. However, more that half of respondents were also found to be impulsed to drop out from their voluntary activities throughout the work due to a certain reason. Moreover.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the types of voluntary activity program across different schools and students' level of satisfaction, level of involvement, and the level of continuation of voluntary activities. This study suggests that an improvement of general educational environment as well as an arrangement of systematic training programs for leaders of advisory level are highly necessary for further promotion of currently activating college students' voluntary activities in the community. In addition. more professional research studies on this field are also recommended for further development of voluntary activities in this society.

      • 경북대학교 주변 원룸의 분포 및 주거환경 특성 : A Survey on Studios Around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 Daegu, Korea

        이영주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2003 地理學論究 Vol.- No.23

        본 연구는 최근 젊은층에서 크게 인기를 얻고 있는 원룸의 분포와 입지 특성, 그리고 주거 환경 특성을 경북대학교 주변지역을 사례로 분석하였다. 경북대학교 주변 원룸은 출입문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어 학교와의 접근성이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접근성 이외에도 집적의 이익과 대학 주변지역이라는 특수한 사회적 환경 또한 주거선호의 요인이 되고 있었다. 신축 원룸일 경우, 계획적인 시공으로 공간의 활용성이 많이 높아졌고, 생활편의 시설도 많이 갖추어져 있었다. 그러나 이전의 건물을 원룸으로 리모델링한 경우에는, 생활편의 시설의 설치가 미흡하였다. 원룸 소유자도 주로 생계유지를 위한 경영으로, 경영방식이 전문화되거나 표준화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원룸을 선호하게 되는 시설의 편리성이나 쾌적한 환경조성도 실제로는 양호한 편이 아니었다. 앞으로, 원룸의 특성상 나타날 수 있는 안전상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거주자들이 더욱 쾌적하고 편리한 주거환경을 누릴 수 있는 법적·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residental conditions of studios around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KNU) in Daegu.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most of the studios around KNU campus are built at the back street around the gateway of a university, within 10 minutes's walking from a university. One-rooms were gathered generally, but spreaded regularly at the northern gate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tudios around the campus were mainly distributed in the commercial area at the early stage, but spread gradually into the neighboring residential areas. Secondly, studios appear to be hired by one of the three following types: yearly rent, monthly rent, and lease on a deposit basis. The rate of monthly rent was the highest, then yearly rent and lease on a deposit basis in order. Thirdly, on average, studios recently built tent to be constructed in the form of a western-style's tenement house. While, in studio, small bathroom and semi-kitchen facilities are equipped for the efficiency of space. They are not enough for tenants to be satisfactory. In conclusion, I suggest that studio owners need to should make efforts to solve any problems concerning the residing circumstances.

      • Risk, Territory Conflict, and Radioactive Wast Repository

        Park, Kyu-Taeg 慶北大學校 社會科學大學 地理學科 1993 地理學論究 Vol.- No.12-13

        현재 미국내에는 110개의 상업용 원자로가 가동 중이며, 이들 언자로의 가동으로 인해서 2000년까지 약 40,000톤의 고준위 방사능 폐기물이 만들어질 것으로 추정된다. 이글의 주 관심사인 방사능 폐기물 처리는 1940-50년대에는 순수 기술적인 문제로 취급된 때도 있었지만 지금은 원자력 산업의 존립 자체를 위협하는 문제로 확대되었다. 1. 위험도(Risk)에 대한 상이한 견해 고준위 방사능 폐기물의 입지를 선택할 때 심한 논쟁이 되고 있는 것은 지역 주민과 생태계에 미치는 위험도이다. “누가 어떻게 위험도를 정의하고 또 안전하다고 결정할 것인가” 이것이 주된 논쟁점이다. 일반화된 위험도의 정의란 있을 수도 없을 뿐 아니라 안전한 위험도 수준이 과학적, 객관적인 근거에서만 결정되어 질 수가 없기 때문이다. 또, 전문가와 일반인의 위험도에 대한 견해 차이와 일반인들의 위험도 인식(risk perception)이 비과학적, 비합리적으로 취급된다는 점이다. 위험도에 관한 문헌을 종합해 보면 크게 세가지 접근 방법이 있다. 첫째,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해석 둘째, 심리적이고 주관적인 해석 셋째, 사회, 정치, 문화적인 해석이다. 첫 번째의 관점에 따르면 위험도는 객관적인 사실(objective fact)에 의해 측정, 예측, 통제가능하다는 주장이다. 예를 들면, 원자력발전소의 폭발 위험성은 폭발가능성(probability)과 폭발 사고로 인한 부정적 결과들(negative consequences)을 곱하면 계산될 수 있다는 이야기이다. 두 번째 접근 방법을 발전시키고 있는 소수의 심리학자들에 의하면 사람들의 위험도 인지는 과학적, 객관적인 사실로 설명되어질 성질이 아니라 개개인이 위험 물질 혹은 행위를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의해서 형성된다는 것이다. 마지막 견해는 인류학자와 사회학자들에 의해 발전되어 지는 것으로 위의 두가지 접근 방법과는 큰 차이를 나타낸다. 위험도는 과학적, 객관적인 인식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 경제, 정치, 문화적인 요인에 의해 구조화되어 지는 사회의 가치 체계를 분석함으로써 위험도는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상의 세가지 관점을 종합해 보면 앞의 두가지 접근 방법은 나름대로 설득력이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사실상 고준위 방사능 폐기물의 처리와 관련한 위험도의 해석과 안전 기준치의 설정은 사회, 정치, 문화적인 방법에 의해 결정되어지는 면이 많다고 생각된다. 2. 고준위 방사능 폐기물 처리 시설의 입지에 따른 영역 갈등 영역분쟁(territory conflict)의 주된 원인들은 1) 원자력 발전에 의한 전기 사용의 혜택(benefits)은 넓은 지역에 분산되어지는 반면, 원자력 발전의 부산물인 폐기물 처리 시설의 입지에 따른 직, 간접적인 비용(costs)은 특정 지역에 집중되어 나타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어떤 지역 사회도 그 지역 내에 폐기물 시설의 입지를 원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2) 미국의 많은 주들이 이미 방사능 폐기물에 대한 까다로운 법률 조항과 핵 폐기물 시설의 입지를 막는 법률을 제정해 두고 있어, 이러한 여건하에서 미 정부가 해결해야할 문제점은 어떠한 합리성하에서 특정 주에 방사능 폐기물처리를 위해 그 영역의 사용을 요구하느냐 하는 것이다. 현대 사회가 풍요한 생활의 부산물로 유독성 폐기물을 계속해서 생산한다면, 이 폐기물들은 안전하고 최소의 비용으로 처리되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미 우리가 알고 있는 바와 같이 이를 따르는 많은 문제점들이 제기되고 있다. 앞에서 서술한 점들을 요약해 보면 기술적이고 가치 중립적인 위험도의 해석과 계층적 정치 구조는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의 처리 시설과 관련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는커녕, 보다 많은 문제점들을 만들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 사회가 서구 기술 사회에 접근함에 따라 이와 비슷한 문제점들이 예상되지만, 한국 사회는 서구와 상이한 정치, 문화, 사회구조를 가진 만큼 우리 풍토에 적합한 해결 방법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 현대사회의 성찰적 자기기술로서의 삶의 질

        노진철 慶北大學校 社會科學大學 1997 社會科學 Vol.9 No.1

        이 논문은 현대사회의 다양한 영역에서 제기되는 삶의 질 담론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현대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긴장을 규명하고, 그것들이 현대사회의 자기성찰적 기술을 통해 불확실성의 상황 속에서 어떻게 사회환경과 자연환경에 연관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현대사회는 미래를 현재에서 고려해야 하는 결정의 필요성 때문에 불확실성의 상황에 처하게 된다. 삶의 질은 이런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미래를 현재에서 현시하는 대표적인 현대사회의 기술 형식이다. ‘어떻게 살아야 하느냐’는 문제는 정치, 경제, 법, 과학, 교육, 가족 등 사회환경과 공기, 물, 땅 등 자연환경의 환경적 측면을 고려하는 열린 접근방식으로 전환하고 있는 시각변화의 한 반영이다. 삶의 질 담론은 양적 분석방법에서 질적 분석방법으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삶의 새로운 질적 영역을 찾아내려는 것도 아니다. 그것은 사회환경과 자연환경의 변화가 삶에 영향을 미친다는 통찰에 근거하여 전체사회에 대해 총체적 성찰을 요청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삶의 질 향상은 종종 국가의 개입을 필요로 하지만 전적으로 국가의 경계 안에만 한정될 수가 없다. 국가의 개입은 사회 외적으로 강제된 위험을 위험부담으로 전환시킬 뿐이다. 그런 상황에 대한 성찰이 오히려 문제 해결을 위한 동인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성찰적인 시민들의 동원은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을 연결시키는 사회운동에 의해 활성화된 담론 공간에서 주로 행해진다. In dieser Arbeit wird sich strukturelle Spannung aufgeklart durch die Analyse der Diskurse uber die Qualitat des Lebens, welche in verschiedenen Lebensbereichen der modernen Gesellschaft zur Frage gestellt wird, und wie diese Diskurse durch die Selbst-reflexion der modernen Gesellschaft mit der gesellschaftlichen und der naturlichen Umwelt zu tun haben. Die moderne Gesellschaft befindet sich in einer unsicheren Lage wegen der Notwendigkeit der Entscheidung, ihre Zukunft in der Gegenwart zu berucksichtigen. Die Qualitat des Lebens ist typische Beschreibungsform der modernen Gesellschaft, welche sich in bezug auf diese Unsicherheit ihre Zukunft vergegenwartigt. Die Problematik 'wie man lebt' spiegelt die Sichtweise wider, welche gesellschaftliche Umwelt―Politik, Okonomie, Recht, Wissenschaft, Erziehung, Familie etc.―und naturliche Umwelt―Luft, Wasser, Erde etc.―berucksichtigt. Der Diskurs von Qualitat des Lebens ist weder Umwandeln von quantitativer Analyse in qualitative Analyse noch Finden von neuen qualitativen Lebensbereichen. Der erfordert totalitarc Reflexion auf ganze Gesellschaft in Basis auf die Lebensbereiche sehr stark wirkt. Fur Verbesserung von Qualitat des Lebens ist notwendig die Intervention eines Staates, aber nicht nur in Grenzen des Staates. Eben die Intervention des Staates wandelt Gefahr in Risk um. Die Reflexion auf diese Situation kann zu einer besseren Problemlosung beitragen. Die reflektiven Burger versammeln sich in Diskuren, die mit sozialen Bewegungen in Gang gebracht werden, welche den privaten Bereich mit dem offentlichen Bereich verbinden.

      • 정치 생태학(political ecology)에 의한 자연 환경과 사회의 관계 이해

        박규택 慶北大學校 社會科學大學 地理學科 1998 地理學論究 Vol.- No.18

        자연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이해는 인간의 존재 혹은 물질적 풍요를 위해서 또는 심각해 지고 있는 현대 환경 문제를 이해하고 실천적 대안을 찾기 위해 중요한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과 사회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는 정치 생태학을 소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정치 생태학은 지역의 자연 환경과 사회 변화를 지역 외적인 국가, 세계의 경제, 정치와 관계시켜 이해하려는 개념적 접근 방법이다. 정치 생태학은 1950년대 시작한 문화 생태학과 1970년대 이후 논의가 활발해진 정치 경제학을 결합한 결과물이다. 정치 생태학의 방법론적 특징은 변증법이다. 이 방법은 자연과 사회 혹은 지역의 사회 공간과 지역 외적인 정치, 경제 공간의 상호 작용을 강조한다. 정치 생태학의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중요 지리학 잡지에 발표된 11개의 정치 생태학적 경험적 연구들을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개별 연구를 분석하기 위하여 자연 환경, 역사성, 그리고 국가, 세계와 공간이란 기준을 사용하였는데, 이들은 정치 생태학의 기본 개념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경험적 연구들은 정치 생태학의 중심 주제들을 충실히 다루고 있었지만, 개별적 연구의 구체적인 목표 때문에 주제를 취급하는데 정도의 문제는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은 자연 환경 체계나 생태계의 파괴와 지역 사회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논의하지 않고 있다. 경험적 연구가 후진국의 자원 이용, 자연 환경 파괴, 사회에 집중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사회,즉 서구 선진 자본주의 국가, 사회 주의 국가, 개발 도상국가를 대상으로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들 지역에 대한 많은 연구가 기대되며, 연구 결과의 축적은 정치 생태학의 이론과 응용력을 높일 것이다. 그리고 지역의 사회, 경제적 공간과 지역 외적인 국가, 세계의 정치, 경제 공간을 역동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정치 생태학은 자연과 사회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지대한 공헌을 했으며, 앞으로도 많은 연구가들이 다양한 사회와 주제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면서 지식을 축적시킬 것이다. 정치 생태학은 화석이 아니라 사회가 만든 설명틀이기 때문에 인문학, 자연 과학, 사회 과학의 새로운 논의들을 지속적으로 흡수하면서 변화, 발전해나갈 것이다. This study reviews political ecology which combines the concerns of ecology and political economy. Political ecology, often called as regional political ecology is a new conceptual framework which can explain the interaction between natural environments and local society constrained by national and world economy and politics. It focuses on the dialectics of both natural environment and human society and local social space and non-local political economy. The dialectics as an analytic method of political ecology is theoretically very powerful to understand the continuously changing aspects occurred in nature and human society, but the dialectics is not easy to implement in real case studies. The eleven articles using political ecology which were published in major geographical journals were reviewed to clearly understand the key contents of political ecology. All the articles reviewed deal with the four subjects of political ecology: natural environments, local society, time and space, and national and world economy and politics. Each study emphases on those subjects differently mainly because of its purpose. However, both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natural environments and their relations to local society were largely neglected in the most of reviewed articles. One of the important aspects in political ecology is to find a way to dialectically combine local society and national and world economy and politics. Political ecology continues to adapt to the rapidly changing theories and methods developed in social sciences after the 1970s. It contains various aspects of post-modernism, post-structurism, post-colonialism, feminism, even environmental history. There is no doubt that political ecology will give us a good perspective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al environments and human society which have been socially and culturally constructed through time and space.

      • 환경문제와 사회과학의 패러다임 전환

        노진철 慶北大學校 社會科學大學 1999 社會科學 Vol.11 No.-

        본 논문은 환경문제에 대한 사회체계들의 미진한 반향과 사회 내적 환경의 과도한 반향을 해명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사회과학의 패러다임 전환을 추적한다. 먼저 사회과학 내부에서 행해진 체계/환경의 전통적 패러다임으로부터 동일성/차이의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살펴보고, 생태학적 위기에 대한 사회체계들의 적응문제를 중심으로 하여 경제, 정치, 법, 과학, 종교, 교육 등 사회체계들의 미진한 반향과 헌법, 기술, 정책자문, 여론, 사회운동 등 사회 내적 환경의 과도한 반향을 패러다임의 전환을 통해 알아본다. 그리고 체계합리성이 고도화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생태학적 합리성의 가능성을 알아본다. In dieser Arbeit wurde der Paradigmawechsel in Sozialwisenschaften behandelt, der durch die Aufklarung vermittelt war, deß soziale Systeme angesichts der Umweltprobleme zu wenig Resonanz und gleichzeitig gesellschaftsinterne Umwelt zu viel Resonanz aufbringen. Zuerst wurde der Wechsel vom Paradigma System Umwelt zum Paradigma Einheit Differenz in Soyialwissenschaften geforscht, und deren Anpassungsfahigkeit zum Umweltwandel untersucht, der dadurch erzeugt sind, daß soziale Systeme-Wirtschaft, Politik, Recht, Wissenschaft, Religion, Erziehung etc.-sich mit der zu viel Resonanz und gesellschaftsinterne Umwelt-Verfassung, Technik. Beratung, Offentlichkeit, soziale Bewegung etc.-sich mit der zu wenig Resonanz auf Umweltprobleme reagieren. Und hier wurde untersucht die Mogichkeit, ob okologische Rationalitat zur Alternative fur das Losen der Umweltprobleme ware.

      • 國立大學 新聞社의 效率的 運營方案 硏究

        鄭然植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1985 社會科學 Vol.4 No.-

        This paper is attemped to find out managemental problems of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 newspapers and suggest some ways to improve the established system. In order to achieve these aims, ten of the national university newspapers were made an object of empirical study to do with questionnaire of 94 items and interviews. Having been published in each university, the newspaper has not performed desirable function in consequence of defect of its system and organization. In the institutional aspect, it is necessary to reform the system of operations, to guarantee independence of it's organization in outward as well as in substance, and to increase a full-time staff. In the managemental aspect, in order to relieve a budgetary deficit, it is required to install a printing machine in the office, to abolish and amalgamate with similar organizations, and to manage the advertisement earnings efficiently. To settle down some troubles occurring in the process of editing, it is recommended to establish some democratic procedures which allow student newsmen to take part in an editorial conference.

      • 사회자본의 연구동향과 과제

        권경희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2003 地理學論究 Vol.- No.23

        최근 들어 사회과학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사회자본(social capital)의 개념은 기존의 전통적인 자본의 개념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경제적 현상의 영역을 설명하는데 있어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회자본의 개념과 특성, 그리고 사회자본 구성요소로서 신뢰, 네트워크, 규범의 특성을 중심으로 사회자본에 대한 그 동안의 연구동향을 고찰함으로써, 산업지역사회의 존립기반을 이해하기 위한 개념적 도구로서 사회자본의 개념을 적용해 보고자 한다. 사회자본은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는 기회가 창출되는 사회적 관계와 그러한 사회적 관계에 의해 형성된 신뢰, 네트워크, 규범 그리고 이러한 것들을 포함하는 공식적 제도와 관계구조이다. 변화하는 경제환경 속에서 지역발전에 필수적인 지식과 정보를 획득하려면, 기업이 서로 협력하여 학습해야 하는데 오늘날 파편화된 기업들이 협력하는데 필요한 요소가 바로 사회자본이다. 따라서 한 지역사회에 사회자본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어떠한 긍 ·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산업지역사회 혹은 산업집적지의 존립기반을 해석하는데 있어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The concept of social has recently drawn a great deal of attention by social scientists. It is generally acknowledge that the literature on social capital have focused on just analyzing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As a result, such a tendency has prevented researchers from explaining the specific phenomena caused by social capital exactly and measuring the components of social capital effectively such as trust, norms and network. In order to balance this tendency, a study based on real experiences should be emphasized. By concentrating on the empirical study on the social capital, the components of the social capital can be more easily analyzed and measured than before. The spatial implications of social capital can be dealt with in view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which are essential elements in gaining competitiveness for a region and its industries. Most companies in a region have fairly separate and unique systems with others. So, it is very important for them to search for knowledge and information together through the learning deeply rooted in close corporation among them. It is social capital, as a resource for corporation between companies, that makes this organizational learning possible. Consequently, social capital is worthy enough to be discussed as a mechanism for analyzing the development of a region.

      • 사회적 연결망의 연구동향과 공간적 함의

        이철우,박상민 慶北大學敎 社會科學大學 1998 社會科學 Vol.10 No.-

        본 연구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결과로 형성된 사회적 연결망이 본질적으로 풍부한 공간성(spatialty)을 담지하고 있다는 가정하에서 사회적 연결망의 개념과 분석틀을 개관하고 그 연구동향을 고찰함으로써, 사회적 연결망의 공간적 함의를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공간연구에 있어서 사회적 연결망 분석이 가지는 함의는 첫째, 사회공간 변증법이라는 맥락과 함께 사회와 공간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에서 구체적인 사회적 과정에 대한 이해를 가능케 한다. 둘째, 기존의 사회일반을 대상으로 한 사회적 연결망에 대한 분석은 구체적인 시간과 공간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사회적 연결망에 대한 연구는 추상적 수준의 분석과 구체적 수준의 분석을 통합시킬 수 있는 방법론 임을 인식하면서 공간연구에 접목되어야 한다. Man cannot be Cartesian's absolute individual, so man is wedded in particular various social networks. Ons's social networks are not only their social capital, but also spatial thing. Different social spaces nurture different social networks. Theoretically, social network perspectives are related to Giddens's structuration theory and Bourdieu's social capital. A social network is one of many possible sets of social relations of a specific content that link actors within a larger social structure(or network of networks). According to Wasserman and Faust(1994), assumptions of social network perspective are followings: 1)Actors and their actions are viewed as interdependent rather than independent, autonomous units. 2)Relational ties between actors are channels for transfer of "flow" of resources. 3)Network models focusing on individuals view the network structural environment as providing opportunities for or constraints on individual action. 4)Network models conceptualize structure as enduring patterns of relations among actors. Spatal implications of social network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network perspective let us can understand concrete social process in the research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society in the context of socio-spatial dialectic. Second, social network analysis focusing on 'General Society' need to focus upon the society situated in concrete time and space. Third, research of social network should applied to geographical research with a recognition of integrating research tool of abstract analysis and concrete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