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간경비 조직의 서번트・변혁적 리더십, 조직시민행동, 조직성과 간의 구조모형 검증

        성숙(Jung Sung-Sook) 한국경호경비학회 2018 시큐리티연구 Vol.- No.57

        본 연구는 민간경비 조직의 서번트・변혁적 리더십, 조직시민행동, 조직성과 간의 구조모형을 검증하고자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민간경비업체에 근무 중인 경비원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집락무선표집법(culster random sampling method)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2016년 9월1일부터 11월30일까지 3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SPSSWIN 21.0과 AMOS 21.0을 이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따라 요인분석(EFA/CFA), 신뢰도분석, 수렴 및 판별타당도분석, 공변량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번트 리더십은 조직시민행동에 통계적으로 .001수준에서 직접적으로 정의(+) 영향을(β=.406) 미친다. 둘째,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시민행동에 통계적으로 .001수준에서 직접적으로 정의(+) 영향을(β=.373) 미친다. 셋째, 조직시민행동은 조직성과에 통계적으로 .01수준에서 직접적으로 정의(+) 영향을(β=.615) 미친다. 넷째, 서번트 리더십은 조직성과에 통계적으로 영향을(β=.211) 미치지 않는다. 다섯째,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성과에 통계적으로 영향을(β=.058) 미치지 않는다. 여섯째, 조직시민행동은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01수준에서 정의(+) 매개효과(β=.249)가 있다. 일곱째, 조직시민행동은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01수준에서 정의(+) 매개효과(β=.230)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model between servant -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private security organizations. The security guards working in private security companies in Seoul and Gyeonggi - do were selected as population, random sampling metho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 2016 to November 30. Accorid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conducted factor analysis(EFA/CFA), reliability analysis, convergence and discriminant validity analysis, and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using SPSSWIN 21.0 and AMOS 21.0.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rvant leadership has a positive (+) effect (β = .406)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tatistically at .001 level. Seco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a positive (+) effect (β = .373)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tatistically at .001 level. Thir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as a positive (+) effect (β = .615)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statistically at .01 level. Fourth, servant leadership does not affect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statistically (β = .211). Fifth,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oes not affect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statistically (β = .058). Sixth,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as statistically positive (+) mediation effect (β = .249)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Seventh,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as statistically positive (+) mediating effects (β = .230)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novation and Improvement of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System in Korea.

      • KCI등재

        효명세자의 정재창작이 한국춤 발전에 미친 영향

        성숙 한국무용학회 2013 한국무용학회지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춤사의 정재(呈才) 부문에 있어 질적 양적으로 괄목할만한 업적을 남긴 효명세자의 정재창 작이 한국춤 발전에 미친 영향을 근세와 근대 및 현대로 나누어 살피는데 있다. 순조의 명을 받들어 대리청정을 시행한 효명세자는 대규묘의 활발한 궁중연향을 통하여 실추된 왕권을 회복하고 정치적 위상을 공고히 하며 조 선의 설립이념인 예악정치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그 과정에서 다수의 정재창작에 힘을 기울인 것이 조선조 궁중 정재의 발전에 많은 성과를 이루어 놓았고, 현재 한국춤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것이 다음과 같이 고찰되었 다. 첫째. 한국춤의 한 장르로 자리 매김 하여 한국춤 발전에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 둘째. 한국창작춤의 소재 가 되어 예술적 도약과 향상에 지대한 역할을 하였다. 셋째. 세계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됨으로서 세계의 문화재 가 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김숙자춤의 무용예술사적 의의 고찰

        성숙 韓國舞踊敎育學會 2011 韓國舞踊敎育學會誌 Vol.22 No.2

        This study is on the artistic achievement of Kim Suk Ja, an authentic Gyeonghyang style dancer in terms of life, artistic world, formation of dance, and background of transmission. Kim Suk Ja was born in Anseong, Gyeonggi-do in Danggut area of the school of Jaeincheong. Although the became a No. 97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for her Dosalpuri dance in October, 1990, she died on the 23rd of December after a long struggle with laryngeal cancer. Her authentic middle land's dance has its value as a cultural asset and also has a position in the artistic history of dance. The values are speculated as follows. Kim Suk Ja's unique aesthetics has been influenced by his father Kim Deok Sun. Her traditional dance was linked to paternal family tradition with Jaeincheong, and transmitted shaman dance of maternal family tradition. She faithfully observed the orthodox rule of Gyeonghyang style and its character which is Gyeonggi shamanism and Jaeincheong dancing style. She separated dancing from the whole Akgamu (music, singing and dancing) in Gyeonggido Danggut to focus on shaman power to express as theatre art. Thanks to her effort, Dosalpuri dance became No. 97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She encouraged shamans nationwide to create Korea association of shaman conservation so that they get closer to people. This made shaman as a level of cultural asset overcoming its crisis of extinction. And, since 1970s, she played an important role that traditional dance choreographers adopted shaman as a key of creative dancing together with other traditional dances. In our tragic modern history, she made a great achievement in succeeding the mode of tradition and in keeping our traditional heritage as a cultural asset. Although she became a cultural asset for her unique dancing aesthetic, her premature death put the traditional dance in a difficult situation that prevents revival. Due to the death of Gyeonggi shaman musicians, it becomes difficult to restore Dusalpuri dance together with its controversial authenticity. Therefore, the relevant authorities should pay attention and provide policy consideration to solve current problems of Kim Suk Ja trend and restoration work of its shape.

      • KCI등재

        Denial of Justice(재판거부)와 투자자의 제소행태에 관한 연구

        성숙(Jeong, Seong-Suk)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圓光法學 Vol.36 No.1

        2018년 7월 기준 우리나라는 88개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이나 양자 간 투자협정(BIT)을 체결하고 있어 외국기업이 부당한 취급을 이유로 국제투자분쟁센터에 우리정부를 제소할 수 있는 가능성이 얼마든지 열려있고, 이는 국제투자중재기관이 우리나라 공공정책의 정당성 또는 적법성을 판단하는 권한을 가지게 되어, 우리 사법기관이 최종적인 판단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도록 한 사법체계를 부정하는 결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외국인 투자자에게 거액의 손해배상책임 등을 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 투자자가 외국정부를 투자중재에 회부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국제투자협정은 투자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는 투자유치국의 행위로부터 외국투자자를 보호한다. 그러한 보호를 위해 국제투자협정들은 서로 다른 투자자 보호기준(standard)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재판거부(Denial of Justice)는 적법하고 공정한 취급이라는 기준 아래에서 그리고 또한 국제관습법으로부터 독립적인 중재신청사유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우리 정부가 직면하게 될 수 있는 신청사유로서 재판거부를 이유로 한 사례를 구체적으로 고찰하고, 어떠한 요건 하에서 재판거부로서 사법기관의 행위가 투자분쟁해결제도의 대상이 되는지, 즉 언제 재판거부가 인정되는지를 과거의 중재판정을 통하여 검토하고, 관련 논의의 동향 및 재판거부를 이유로 한 투자자의 중재신청행태 등을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사법기관의 행위도 투자분쟁해결제도상 정부의 조치로 인정하는 중재판정사례가 나오면서 사법기관도 투자자-국가 분쟁해결제도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정부(사법기관)뿐만 아니라 외국에 투자한 우리 투자자들도 재판거부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고,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관련 분쟁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특히 여러 분야에 걸친 정책을 검토하여 단단한 보호장치의 설계와 국제적 규준에 어긋나지 않는 법체계의 구축을 위해 재판거부라는 법제도를 분석하였다. The Denial of Justice is a common indictment in investment arbitration. At the beginning of the millennium, jurisprudence developed the foundations on which tribunals are still based today. Despite everything, the definition of denial of justice is only vague. On the one hand,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causes of denial of justice are very dependent on individual cases and cannot be categorized as individual behavior bans. On the other hand, the established tests for reaching the threshold of denial of justice contain indefinite legal terms. However, these uncertainties do not cause inappropriate decisions. Current developments show that the arbitration tribunals consistently interpret the denial of justice as a very high standard of protection, the threshold of which is rarely exceeded. The Investment Arbitration Courts are well aware of their responsibility in reviewing national judiciary: only four cases were denial of justice affirmed. National sovereignty is only attacked by arbitration tribunals in extreme cases. Rather, attention has to be paid to the behavior of investors. Because even if many lawsuits can currently be traced back to the same origin they are not based on the same standard of protection. Lawsuits for expropriation and the effective means clause with less stringent requirements represent an attractive alternative for investors. All in all, the Denial of Justice is a balanced principle, which the tribunals appropriately applied, in international investment protection law. It serves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investor against unjust acts by the host state, since many states still do not offer a flawless legal system. By reviewing national judiciaries, investment arbitration tribunals do some of the work to focus on legal system errors in the world and may help make justice a little less surprising. For this, the Denial of Justice should be the preferred correction mechanism so that states are not held responsible under less conditions.

      • KCI등재

        유럽연합과 회원국 간의 권한에 관한 연구

        성숙(Jeong Seongsuk) 한국법학회 2015 법학연구 Vol.58 No.-

        1952년 7월 ‘석탄 · 철강을 위한 유럽공동체에 관한 조약’의 발효 그리고 1957년 ‘유럽경제공동체’와 ‘유럽원자력공동체’의 설립을 통하여 시작된 유럽연합과 그 회원국 간의 권한배분의 문제는 1987년 유럽경제공동체 각료회의가 다수결에 따른 정책결정방법으로 전환을 통하여 ‘암스테르담조약’을 거쳐 ‘니스조약’에까지 계속되었지만, ‘헌법조약’에 근거를 둔 ‘리스본조약’은 그 이전까지의 조약에 비하여 전혀 새로운 구상을 포함하고 있다. 회원국과 유럽연합 사이의 권한구분 그리고 권한관련규정의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해 ‘리스본조약’은 먼저 ‘유럽연합의 활동방식에 관한 조약(AEUV)’ 제2조에 권한목록을 규정하고, 동 조약 제3조 또는 제4조에서 독점적인 권한과 공유권한 영역을 구체화하고 있으며, 제6조에서는 유럽연합의 지원 · 조화 · 보충조치와 관련된 영역을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AEUV 제2조 이하에 새로운 정책영역(예: 여행, 재해)이 권한목록에 포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개별적인 권한을 목록화한 것은, 본질적인 새로움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AEUV 제352조는 유연성조항(Flexibilitatsklausel)으로써 구 유럽공동체조약 제308조의 흠결을 보충하는 권한을 아울러 포함하고 있다. 그와 더불어 ‘유럽연합조약(EUV)’ 제4조 제1항과 제5조는 오직 유럽연합과 회원국 사이에 권한의 구분에만 적용되는 제한적 개별위임의 원칙, 유럽연합 만이 권한을 행사하는 경우에 준수해야 하는 보충성의 원칙과 비례성의 원칙의 적용을 강조하였고, 동시에 보충성의 준수여부를 통제하는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그렇게 함으로써 리스본조약에 있어서 권한체계는 명확성과 투명성에 대한 요청과 기대를 충족하고 있다. The problem of the authority distribution between EU and member nations began in effect of ECSC-treaty in July 1952 an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EAEC and EEC 1957. Since 1987 the EEC-Cabinet switch to the method according to the majority decision-making, this problem continued to Amsterdam treaty and Nice treaty. The Treaty of Lisbon that established grounds in treaty establishing a constitution for Europa entirely includes a new idea. To improve the transparency of authority division and authority rule between EU and member nations prescribes The Treaty of Lisbon a list of authority in Article 2 TFEU(Treaty on the Functioning of the European Union) and monopolistic authority and coparcenary in Article 3 or Article 4 and mentions it in Article 6 concretely in support, harmony, supplement measures of EU. It may be said that it is essential newness to have made such a general authority a list though a policy domain (e.g.,: trip, a disaster) where TFEU Article 2 is below new was included in a list of authority. It is essential newness to have made such an individual authority a list though a new policy domain (e.g.,: trip, a disaster) was included in a list of authority in Article 2 TFEU. TEU(Treaty on the European Union) Article 4 Clause 1 and Article 5 emphasized the application of a principle of the restrictive individual treatment commission applied only to the division of the authority between just European Union and member nation, the supplementary principle that you must note when the alliance used authority and the proportion-related principle with him and took in the system which controlled the at the same time supplementary observance right or wrong. the authority system in the Treaty of Lisbon satisfies a request for the definiteness and transparency.

      • KCI등재

        유럽연합의 새로운 코미톨로지절차가 반덤핑기본법에 미치는 영향

        성숙(Jeong Seongsuk) 한국법학회 2016 법학연구 Vol.63 No.-

        코미톨로지(Komitologie; comitology; la comitologie)는 오늘날 주로 유럽연합 내에서 행정위원회와 전문가위원회의 체계로 이해되며, 집행위원회의 입장에서는 코미톨로지위원회의 입장표명을 수렴해야하는 의무라고 할 수 있다. 코미톨로지 위원회는 유럽연합의 법적 행위 특히 유럽연합지침의 시행규정의 공포를 담당한다. 리스본조약이 체결됨으로서 코미톨로지시스템이 근본적으로 변화되었고, 특히 유럽의회에게 강화된 영향력을 허용하고 있다. 즉, AEUV 제291조 제3항은 유럽의회와 각료회의가 회원국이 집행위원회에 대한 통제권한을 행사하기 위한 일반규정과 원칙을 확정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고, 이 규정을 근거로 유럽의회와 각료회의가 코미톨로지법에 관련 절차규정을 마련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리스본조약 이전에는 모든 법적 행위에 코미톨로지절차가 적용되었지만 리스본조약 이후에도 마찬가지로 모든 법적행위에 그 절차가 적용되는지가 문제이다. 특히, 공동통상정책의 영역에서 유럽연합(집행위원회)은 독점적인 권한을 통하여 통상정책의 기본적인 틀을 확정하고, 유럽의회와 각료회의는 반덤핑기본법의 공포와 개정에 한정되는 권한을 가진다. 반덤핑절차를 진행하는 경우 반덤핑기본법과 그로부터 파생되는 조치에 따른 회원국의 협력을 필요로 한다. 즉, 회원국은 코미톨로지법의 의미에서 반덤핑절차의 시행에 참여할 수 있고, 코미톨로지법은 집행위원회에 대한 효과적인 통제와 효율적인 협력을 가능케 한다. 반덤핑절차에서 회원국의 협력이 없다면 반덤핑시행 시 다툼의 여지가 높아지게 되고, 개별 회원국이 조치를 취하지 않을 위험이 항상 존재하게 된다. 그러한 측면에서 새로운 코미톨로지법은 회원국의 입장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왜냐하면 회원국의 결정은 이제 집행위원회의 행위에 대해 구체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고, 집행위원회는 회원국의 지원이 없이는 조치를 공포할 수없기 때문이다. 다만 반덤핑기본법과 조화를 시도하는 경우 새로운 코미톨로지법의 단점이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에 논의의 필요성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 독일회사법상 사원 주주 평등의 원칙

        성숙 ( Seong Suk Jeong ) 영산대학교 법률연구소 2010 영산법률논총 Vol.7 No.1

        본 논문은 독일법상 공법영역에서와 같은 절대적 평등이 아닌 상대적 평등을 추구하는 회사법의 특성을 고려한 주주(사원)의 평등취급원칙을 다루고 있다. 회사법상의 평등의 원칙은 같은 것은 같게 다른것은 다르게 취급한다는 것이며, 평등취급의 보호대상은 모든 조직형식에 있어서 구성원인사원(주주)이다. 이 원칙은 모든 인간은 법앞에 평등하다는독일헌법제3조로부터 파생되었으며, 이러한 원칙이 사법의 영역으로도 확장되었다. 독일민법제138조, 제826조의엄격한 일반 조항에서그발현을 볼수있고, 사법상의 평등 원칙은 동법제242조에 기반을 두고 있다. 즉, 구성원들의 지위와 관련하여 정관에 규정을마련할 수 있는 가능성이 단체구성원들에게 부여 되기때문에 평등 취급원칙은 임의적인 특성을 나타낸다. 그러한 이유로평등취급의 원칙적인 효력은 문제가 되지 않지만 임의적인 성질과 단체내부의 합의조항들은 선량한 풍속의 위반 그리고 법률 위반과 결부된다. 평등취급 원칙을 위반하게 된다면 그행위는무효 또는 취소의 대상이되고, 적극적인 평등취급, 손해배상등의 청구권이 발생하게 된다. 평등 취급은 각각의조직형식에 따라서 각각 달리 나타나게 된다. 즉, 단체법의 본질상다양하고, 부분적으로 매우 복잡한, 공동체관계의 범주속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실현이 된다. 이것은 평등취급의 원칙을 단순한 도식적이 취급을 허락하지 않으며 오히려탄력적인 적용을 통하여 개별적인 사례의 특별함에 대처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점에서 평등 취급의 원칙은 예나지금이나 그 역할을 다하고 있다고 볼 수있다. Unter den Aspekten der Einschrankung von Suchraumen einerseits und gleichzeitiger Erhaltung einer breiten Anwendbarkeit andererseits wurden viele spezielle Methoden zur Behandlung der Gleichheit entwickelt, wobei die Tendenz zu mehr zielorientierten Verfahren besteht. Am Anfang dieser Entwicklung stand die Berucksichtigung lokaler Ziele auf der Basis der Unifikation, um willkurliche Instantiierungen uberflussig zu machen. Danach wurden immer mehr Verfahren entwickelt, die darauf beruhen, globalere Ziele zu berucksichtigen, wobei das Setzen und Verfolgen von Zielen auch uber großere Bereiche unmittelbar vom Kalkul unterstutzt wird. Die Berucksichtigung von Zielen hat sich als ein wesentliches Prinzip fur eine Suchraumeinschrankung herausgestellt. Zusammenfassend lasst sich festhalten, dass der Grundsatz der Gleichbehandlung einen uberaus notwendigen Bestandteil des Privatrechts, insbesonderr des Gesellschaftsrechts, darstellt. Ein wichtiges charakteristikum dueser Bestimmung besteht darin, dass er Raum fur Veranderungen und Rechtsentwicklung lasst. Wir sehen hierin jedoch eine seiner Starken, denn er lasst sich nicht in ein starres Gerust zwangen. Der Gleichbehandlungsgrundsatz ist vielmehr seinem Wesen nach zur Regelung der mannigfaltigsten und teilweise sehr komplizierten im Rahmen von Gemeinschaftsverhaltnissen der verschiedensten Art bestimmt. Diese sind zu rein schematischer Behanldung nicht geeignet. sondern erfordern ein in der Anwendung elastisches allgemeines Rechtsprinzip, das durch seine Anpassungsfahigkeit den Besonderheiten jedes einzelnen Falls gerecht werden kann. Diese Aufgabe erfullt der Gleichbehandlungsgrundsatz in seiner hier dargestellten Form.

      • KCI등재

        채선향춤의 전승구조와 향토적 특징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34호 안성향당무 중에서-

        성숙 ( Soung Sook Choung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3 동양예술 Vol.23 No.-

        안성향당무(安城향堂舞)는 2000년 경기도 무형문화제 제34호 단체 종목으로 지정된 전통춤이다. 안성맞춤과 같은 장인정신이 춤 정신으로 이어져 끈질긴춤의 생명력과 창조력을 발휘하여 40여종이 넘는 독창적인 춤을 전승하고 있으며, 다른 지방에서는 볼 수없는 다양성과 묘기적인 기법이 들어있는 안성고유의 춤들로서 후세에 물려주어야할 문화유산으로의 충분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무용사적 가치가 큰 안성향당무는 아직까지 무용계의 인식이 부족하고 연구성과도 미흡할 뿐만 아니라 채선향춤에 관한 연구는 아직 한편도 없었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안성향당무에 전승되고 있는 춤 중에서 타지방에서 볼 수 없는 지역적 특성과 전통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는 채선향춤의 전승내용과 독특한 춤사위와 용어를 고찰하고 향토적 특징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안성향당무에 관한 연구보고서, 전문도서, 학위논문, 학술논문, 향토자료 등을 통하여 채선향춤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안성향당무의 춤 중 기방계열의 춤으로 분류할 수 있는 채선향춤은 다른 곳에서 찾아 볼 수 없는 다음과 같은 향토적 특징이 고찰되었다. 첫째, 특유한 춤사위 명칭이 있다. 둘째, 묘기적인 기법이 발달하였다. 셋째, 지역에서 전해오는 전설과 설화내용이 춤 형성의 배경으로 나타나 있다. 넷째, 춤사위들이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다섯째, 안성민속놀이의 영향으로 동작수가 많고 난이도가 높고 강약의 굴곡이 심하다. 여섯째, 세시풍습과 안성민속적 배경을 중심으로 형성된 춤이다. 위와 같은 특징을 지닌 채선향춤은 다른 류의 춤들과는 다른 성향을 많이 지니고 있으며, 우리나라 전통 춤 가운데 향토성이 짙고 예술성이 높은 독창적인 춤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채선향춤의 보완해야 할 과제로는 이론적인 정립과 동시에 다양한 공연을 통해 이를 알릴 필요성이 있고 전승의 적극성과 함께 전통의 맥이 제대로 이어지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Anseong Hyangdangmu is the traditional dance appointed as group item in Gyeonggi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34 in 2000. More than 40 unique dances were succeeded for its endurance life and creativity of dance through craftsmanship like Anseongmachum. Dances have various and acrobatic techniques that are not seen in other regions, and have sufficient value as cultural heritages. Despite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dance, Anseong Hyangdangmu has not attracted sufficient awareness and there is little research results. And, even there is no research on Chaeseonhyang Dance. According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uccession contents of Chaeseonhyang Dance, unique dance styles and terminology that cannot be seen in other areas and also to examine local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research paper, books, degree thesis, academic articles and local resources were used to carry out the study on Chaeseonhyang Dance. While the originated period varies and types of dances are many, it is not easy to classify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Anseong Hyangdangmu, Chaeseonhyang Dance, a kind of Gibang kinds among Anseong Hyangdangmu, has unique features as below. Firstly, it develops acrobatic skill. Secondly, it has names of dancing pattern. Thirdly, it has background of dance with local legend and myth. Fourthly, dance patterns are closely related to routine. Fifthly, it has many actions, has high level of difficulty and much fluctuation in beat under the influence of Anseong folk games. Sixthly, it is formed with new year greeting custom and background of Anseong folk. As such Anseong Hyangdangmu through Chaeseonhyang Dance has many distinctive characteristics from other dances for its unique dance pattern, artistic character and distinctiveness. And it can be said as the dance with great locality and artistic achievement among traditional dances in Korea. However, it is required to establish Chaeseonhyang Dance in terms of theory and spread it as performances so that proactive inheritance of tradition could be made.

      • KCI등재

        일반논문 : 한성준을 통해 본 재인 계통춤의 무용사적 가치 연구

        성숙 ( Soung Sook Choung ) 한국공연문화학회 (구,한국고전희곡학회) 2009 공연문화연구 Vol.0 No.19

        재인청 출신 및 재인계통 예능인들은 전통사회에서 근대사회로의 이행기에 커다란 족적을 남겼으며, 오늘날 한국의 대표적 전통춤으로 자리매김하면서 한국창작의 모태가 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용학계에서는 재인계통의 춤에 대한 관심이 미흡했으며 전통춤에 대한 연구도 기방계통 춤에만 편중되어, 재인계통 춤의 연구는 단편적이거나 개별적인 연구에 그쳤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재인계통 춤의 대표격이라 할 수 있는 한성준을 통해 재인계통 춤을 분석하고 그 무용사적 가치를 분석하는데 있다. 한성준(韓成俊: 1874-1942)은 일제강점기를 경유한 재인으로, 무계(巫系)와 재인청(才人廳) 출신의 집안 내력을 갖고 있으며, 중부권을 중심으로 전승된 경향류 춤 맥을 계승하였으며, 속칭 `화랭이(花郞)`이기도 했던그는 명고수, 명무로 한 시대를 풍미한 전통춤의 대부이다. 그는 전통춤 근대화에 독보적인 역할을 담당하여, 전통춤을 재구성, 집대성, 무대 양식화하여 자율성을 확립하였으며, 승무를 비롯한 다양한 민속춤들이 전승체계를 갖추어 오늘의 전통춤이 되었고 또한 창작춤 소재의 근원이 되었다. 한성준이 전승한 재인계통 춤의 무용사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한국문화를 대표하는 전통예술의 반열에 올라있으며, 세계에 보여 줄 수 있는 가장 한국적인 전통문화재가 되었다. 둘째, 그 밖의 다양한 민속춤과 창작춤과 함께 한국춤의 한 장르로 위상이 확립되어 후학들의 학문적 탐구의 소재가 되고 있다. 셋째, 현대화와 시대변천에 따라 사라져가던 전통춤 부흥에 대표적인 사례가 되어 민족정체성 발견과 주체성의 위상을 확립하고 전통춤 발굴과 전승에 기여하였다. 넷째, 수많은 무용인들이 그의 춤을 전승하는 전통춤보존회를 조직하여 전수활동을 통해 많은 이수자를 배출하고 보급하고 있으며, 전통춤을 애호하는 관객들에게 향수 할 수 있는 공연 레퍼토리가 되고 있다. 또한 재인계통의 한성준의 춤은 한국창작의 지평확산에 초석으로서 다음과 같은 가치를 발견 할 수 있다. 첫째, 창작의 새로운 방법론을 모색함에 있어서 근원을 전통에서 찾아 재발견하는데 견인차 역할을 했으며, 주제표현에 있어 전통춤에서 가져옴으로서 민족주의적 정체성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둘째, 전통춤 소재를 활용해서 동작 요소를 가져와 몸짓언어로 확장시킴으로써 현대무용과 같이 장르의 파격적인 해체에 기여하였다. 셋째, 도전적인 새로운 접근으로 전통을 재창조하려는 지평을 마련하였고, 나아가 소박한 우리춤의 근원으로 전통주의적 미학을 지향하는 데에도 기여하였다. 이상과 같은 무용사적 가치를 지닌 재인계통의 전통춤이지만 드러난 문제점은 한성준류 춤의 이원화된 전승과 전승자에 따른 각기 다른 전승 양상은 전통의 다양한 전승이라는 측면에서는 수긍이 가나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한성준류 춤에 대한 복원과 무형문화재 지정 등을 통해 어려웠던 시대적 상황 속에서도 우리의 춤을 지키고 견인한 재인들의 예술혼이 담긴 재인계통의 전통춤이 탄탄한 줄기로 계승될 수 있도록 정책적인 배려가 요망된다. Those who were from Jaeincheon and Jaein line entertainers played great roles during transition period from traditional society to modern society, and even at present the dances of them are the representative traditional dances of Korea and the matrix of Korean originality. Nevertheless, Korea dance field has given little importance to these dances, but too much importance to Gibang dance in studying traditional dances, which causes the studies on Jaein line danced to be superficial or separate. Therefore, the aims of this article are to analyze the dances of Jaein line by Han Seong-jun, who was representative for the dances, and to appraise the historical value of them. Han Seong-jun(1874-1942) was the most influential dummer and dancer of his day in Japanese colonial times, and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masters of traditional dances. He established autonomy of traditional dances by reorganizing, collecting and stage-formalizing the dances, and systemized transmitting ways for various folk dances including a Buddhist dance, which made it possiblefor those dances to be traditional dances of Korea and the bases for creative dances. The values of Jaein line dances, which were transmitted through Han, are the following: First, the dances have been designated as national or reg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as the representative traditional arts, we proudly show them to the world. Second, the dances, as one of the genres of Korean dances, are the subjects of younger scholars` studies. Third, the dances become one of the representative examples of revivals of traditional dances, which tend to be extinct during modernization times, and contribute to establishing national identity and subjectivity. In addition, they contribute to discovering and transmitting other traditional dances. Fourth, the dances enable many dancers to make association, that is, Association for Preservation of Traditional Dances,for the transmitting the dances, and to distribute the dances and get many dancers to transmit the dances. Furthermore, as new performance repertories, they give another pleasure to the audience. In addition to the above, as a base for expansion of Korean creative dances, Han`s dances have other values such as the following: First, in searching for a new methodology for creation, h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discovering the foundation in the tradition, and tried to discover nationalidentity by employing the traditional dances for expression of theme. Second, he contributed to drastically dissolving the genres by expanding the gesture language from motion factors of traditional dances, which can be compared to the modern dance. Third, he tried new challenging approaches to re-create the tradition, and contributed to pursuing the simple elements of our traditional dances as traditional aesthetics. While the dances of Jaein line have such values as the above, there are also some problems around the dances, such as the confusion in the process of transmission resulted from different transmission forms and transmitters, which we must no longer leave as it is. Furthermore, it is urgent that the rest of Jaein line dances be recovered and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assets for the sound transmission of the traditional da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