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 농촌지역의 우울 증상에 관한 역학연구 -위험요인 및 요인구조분석

        하양숙,홍진표,김한규,이군희,한경자,조맹제,김용익,송미순,박성애,김창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2

        연구목적 :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우울증 척도인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을 이용하여 지역사회 주민의 우울증상의 정도를 평가하고, 우울증상의 위험요인을 분석하고, 한국인에서 우울증상의 요인구조를 알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 : 경기도 일 농촌 지역의 30세 이상 주민에 대해 무작위 군집 집락 추출을 실시하였고, 훈련된 면담원들이 가정 방문을 통하여 면접 및 자기보고 검사인 CES-D를 실시하였다. 총 1,315명에서 응답을 하였고 응답율은 59.3%이었다. 결 과 : CES-D에 의한 우울증 점수는 0∼5점이 57%정도를 차지하였고, 평균 점수는 남자 7.8점 여자 9.5점으로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ANCOVA 분석 결과 비결혼, 저학력, 여성이라는 위험요인은 독립적으로 우울증상을 악화시키는 요인이었으나 연령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CES-D 결과를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4가지 요인이 추출되었는데 우울증상 및 신체증상이 한 개의 요인으로, 다른 나라에서 보고되지 않는 정서적 고통이 별도의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결 론 : 국내 역학 조사에서도 외국과 유사한 우울점수 및 위험요인이 확인되었으나 우울증의 요인에서는 특이한 요인이 추출되었다. 한국인에 독특한 우울 반응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s :The rates, correlates, and factor structure of depressive symptoms in a Korean rural sample were examined using Korean version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Methods : Door to door visiting survey was conducted by trained interviewers. A random cluster sample of 1,315 respondents, aged 30 and over completed the CES-D scale along with additional sociodemographic questionnaire. Results : In this sample, mean CES-D score of male and female were 7.8 and 9.5, respectively which were lower than those reported previously. Symptoms of depression were most common among the less educated, non-married and female according to ANCOVA. Age was not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depressive symptoms. Different factor structures emerged from this sample as compared to other studies using this approach. Somatic symptoms and affective symptoms were combined as one factor and emotional hardship emerged as a separate factor. Conclusion : Symptoms scores and risk factors were similar to the results reported in other countries but unique factor structures were found in this study. Further research is needed about the Korean depressive symptomatology and related areas.

      • KCI등재

        만성관절염과 루푸스의 피로, 통증, 및 통증효능감에 관한 연구

        임난영,이은영,양용숙,정순애,차경옥,이여진 대한류마티스 건강전문학회 2000 근관절건강학회지 Vol.7 No.1

        This study was designed to distinguish by the characteristic difference and the degree of symptoms such as fatigue, pain, coping to pain, and efficacy on pain, and to offer descriptive data for nursing intervention for improving coping ability to pain along each characteristics of disease in chronic arthritis and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The subjects were 135 outpatients in the hospital for rheumatic disease in H-University,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by structural questionnaire, from April 29 to June 29, 1999. The results were that the fatigue score was high in the OA patients while the RA patients and SLE patients experienced middle range of fatigue score, but which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Although the RA patients felt higher pain than other diseases, they have well coped with their pain than the others. In efficacy on pain the SLE patients had higher score than others but all of the disease showed lower sco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croup was recorded in efficacy on pain. Therefore, pain management in the RA patients was primary nursing intervention because they felt severe pain and have well coped with pain while they had lower pain efficacy score than the others. It is also important that fatigue management and coping strategies on pain for the OA patients and SLE patients are specially supportive in the nursing intervention.

      • 승조(僧肇)와 성철(性徹)의 중도(中道)사상 비교

        양순애 ( Yang Soon-ae ) 성철사상연구원 2021 퇴옹학보 Vol.18 No.-

        이 논문은 그 활동 시기가 고대와 현대로 굉장히 다르지만 모두 중도를 최고의 가치관으로 삼았던 승조와 성철의 불교 사상에 있어 그 차이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이 비교는 특히 중도에 대한 이해와 실천의 두 측면을 중심으로 하였다. 먼저 이해의 측면에서 승조는 중국 고유 사상의 영향으로 당시 불교계가 인도불교의 중흥자인 용수의 중도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함을 유감으로 여기며 이 중도를 제대로 이해시키고자 하였으므로 인도 불교적 요소를 지닌 반면, 성철은 불교사 전체를 중도로 이해하면서도 중국 선의 중흥자인 혜능의 사상을 가장 중시하며 중국적 불교의 측면에서 중도를 이해하였다. 그 다음 실천의 측면에서 보면, 승조는 당시 사상계의 중도 이해의 문제를 바로잡는데 치중하다 보니 중도의 실천보다는 그 이해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인 반면, 성철은 당시 한국 불교계의 문제점이 실천에 있음을 직시하고 중도의 구체적 실천을 중시하였다. 이를 통해 이러한 관점의 차이가 서로 다른 장점과 한계점을 노출하게 된 배경과 근거를 당시 현실에 대한 대응 방식의 차이와 학문 경향의 차이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This paper is aiming at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Seungzo’s middle way and that of Sungchol, though their period is quite a part. The comparison has centered around their understanding as well as their practice of middle way. Seungzo seems to put more weight on Indian Buddhist tradition, especially on the Madhyamaka of Nāgārjuna. He tried to improve Chinese Buddhism through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Nāgārjuna’s middle path. By contrast, Sungchol seems to lean to the traditional Chinese Buddhist tradition, especially to Chan Buddhism of Hyeneung. Based on Hyeneung’s idea, Sungchol tried to understand the whole Buddhist teachings through middle way. In terms of practice, Seungzo focused on correcting the misunderstanding of the middle way, which made him concentrate more on its understanding rather than its practice. Sungchol instead has put more stress on the practice of the middle way. In his understanding of Korean Buddhism, enforcing correct seon practice could be the key to clear problems of contemporary Korean Buddhism. In this paper, I am going to discuss the background of their thoughts especially in their reaction to the real world and of their academic tendencies.

      • 승조(僧肇)의 중도관 연구

        양순애(Yang Soon-Ae)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0 동서사상 Vol.9 No.-

        이 글은 비교적 짧은 삶을 살았던 것으로 알려진 승조(僧肇, 374~414)1)가 젊은 시기에 철학적 명민함을 가지고 어떻게 당시의 사상을 비판적으로 대하고 그것을 극복할 수 있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는 불교가 처음으로 중국에 유입될 때, 당시의 중국적 사유의 특색-위진현학-과 어울리면서, 6-7 가지의 종파를 형성할 정도로 서서히 뿌리를 내리고 있던 시기에, 그 종파들의 핵심을 비판한 사상가였다. 어렸을 때부터 총명하고 여러 서적을 접했던 승조는 불교에 대한 좀 더 깊은 이해를 통해, 그 여러 종파들이 불교 사상의 본질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고 인식한다. 여기서 논자는 그의 유일한 사상 모음집인 『조론(肇論)』 의 한 편인 ?不眞空論?을 중심으로, 당시의 六家七宗의 종파 중 心無宗, 卽色宗, 本無宗-에 대한 그의 비판적 시각과, 그것을 통해 제시한 그의 사상인 中道觀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그 사상의 핵심이 잘 드러난 ?不眞空論?을 통해, 그 전체의 사상을 조망할 수 있게 할 것이다.²? 지금까지 이러한 목적의 논문들은3) 여러 편이 있었다. 본 논문이 그런 틀에서 과감히 벗어난다고는 할 수 없을 것 같다. 다만 승조의 사상을 中道로 밝힌, 기존의 논문들에 비해, 논자는 그 사상을 中道로 보는 데는 동의하면서도 약간 다른 접근을 통해, 有를 강조하는 측면에서 연구를 진행하고 한다.⁴? 즉 승조가 자신의 사상 전개에 있어 제시한 假有의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 그런데 有에 대한 이러한 논의는 오해를 받을 우려가 있다. 왜냐하면 有를 강조하면 中道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논의를 하는 것은 불교적 사유를 虛無로 연결하는 경향성에 대한 염려 때문이다. 그러면 이러한 작업을 위해, 먼저 ?부진공론?이 어떠한 사상적 혹은 시대적 배경을 통해 제작되었는지 살펴보겠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how Seungzo dealt with the tendency his day’s thought with the critical mind and how he could overcome it successfully. He was a thinker who criticized the central points of 6 or 7 Buddhist sects which were establishing their bases trying to harmonize with those days’ Chinese idea, which was a sign that Buddhism was taking root after it had been introduced to China for the first time. He who had been contacting with many kinds of books with the brilliance from his childhood noticed his deeper understanding of Buddhism that the sects did not catch its essence. Now I’m going to identify his critical viewpoint on 3 sects among 7 mentioned above and his alternative-the Middle Way. This task will be centered on his famous “The Thesis of Not Real Nothing”. Through this, his whole idea will be developed. There have been some kinds of theses which were aimed at the same purpose as mine, but compared with those theses which regarded his idea as the Middle Way, mine will be approaching it with a different perspective. It will be focused on my idea that he put much emphasis on ‘Existence’ as opposed to nothing or nonexistence. Ironically, this emphasis will be addressed from his perspective of ‘Vain Existence’ or ‘Nothing.’

      • KCI등재

        『肇論』 구성순서에 대한 재구성 논증

        양순애(Yang, Soon-Ae)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4 동서인문 Vol.0 No.1

        이 논문은 『肇論』을 구성하는 논문들을 논의한 기존 연구들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어떤 측면에서 그 연구들이 약점을 지니는지, 이를 통해 어떤 방식으로 『肇論』 논문들을 재구성함으로써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 글이다. 이를 위해 먼저 Ⅱ장에서는 『肇論』에 포함된 논문들에 대한 기존 판본 논증의 변화와 그 약점을 살펴보았다. 그것은 이들 판본들이 각 편의 성격, 각 편들 사이의 내재 관계, 혹은 시대상을 반영하는 「열반무명론」의 강조에 기초하여 논문들의 순서를 구성하는 등 다양했지만, 승조의 사상의 발전 및 전개과정을 보여주지 못한다는 것이다. 한편 Ⅲ장에서는 『肇論』에 포함된 논문들을 그 각 편의 성립시기에 따른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이 작업들은 승조의 사상을 그 형성 시기별로 연구했으므로, 일단 그 사상을 좀 더 정확하게 파악했을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 역시 Ⅱ장에서 제기된 한계점을 크게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즉 당시 시대상을 반영하는 「열반무명론」을 강조하는데 치우쳐져 있거나, 『肇論』 논문들의 사상적 발전 및 변화 과정에 대한 설명이 충분하지 않다. 그것은 승조의 사상을 龍樹의 中觀사상의 영향력이 큰 측면에서만 바라보아, 승조의 사상을 현학적 영향 아래서 논의하는 여러 학자들의 관점을 설명할 수 없는 한계를 지닌다. 이에 따라 Ⅳ장에서는 현재의 『조론』 구성순서를 바꾸어 저작시기에 따라 재구성 논증을 해보았다. 즉 승조가 각 논문을 쓸 시기의 상황과 여건을 연구하여, 『肇論』의 논문 각 편이 어떤 조건 아래서 탄생했는지를 논의함으로써 그 사상 발전의 단계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먼저 「般若無知論」은 당시 사상계가 반야중관의 진정한 뜻을 드러내지 못한 것을 반성하고 그것을 교정하려는 강열한 욕구에 의해서 스승과 만난 지 1년만에 완성되었다. 이는 당시 육가칠종 등 현학적 영향 아래에 있던 사상계 의식의 근원적 전환을 추구한 결과였다. 이후 5년의 세월을 더 기다려 비슷한 시기에 「不眞空論」과 「物不遷論」이 완성되었다. 이는 특히 그가 목표로 삼았던 용수 사상의 핵심인 『중론』 번역을 하면서 그의 사상이 더욱 체계화되고 심화된 결과였다. 즉 「般若無知」이 현학적 경향을 벗어나려 했던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그 경향이 남아있는 반면, 이후의 두 논문에서는 용수 본래의 뜻인 中道가 크게 부각되었다. 그 결과 승조는 스승 鳩摩羅什으로부터 “진나라 사람 중에서 空(=중도)을 해석한 제일인자”라는 평가를 받게 되었다. 그런데 여기서 특히 「물불천론」에 대한 평가가 극단적으로 이루어져 그 저작시기를 제대로 예측하기 어렵도록 하는 문제가 있다 즉 「물불천론」은 「부진공론」의 관점을 포기하고 動을 없앤 商의 논리(즉 영원한 불멸의 주체를 건립한 이론)로 여겨지거나, 반면에 동정일여로서 卽動卽靜, 卽體卽用의 이론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물불천론」이 용수의 중관사상을 이해하지 못한 것이라고 한다면, 이는 대부분의 학자들이 이 두 논문의 저작시기가 유사하다고 연구한 기존의 사료가 완전히 잘못 되었거나 승조의 사상이 아무런 체계가 없이 이리저리 흘러가는 생각으로 여겨져야 한다는 점에서, 필자는 「물불천론」을 「부진공론」과 비슷한 시기, 그것도 더 나중에 완성된 논문이란 관점에서 이 논문을 전개하였다. 마지막으로 「涅槃無名論」은 승조의 저작인지에 대해서 특히 진위논쟁을 많이 야기했던 반면에, 현재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승조의 저술로 인정하여, 논리상으로도 시기상으로도 가장 나중에 나온 것으로 인정될 수 있다. 즉 비록 그 일부가 승조 사후의 사상 경향을 반영하여 道生이 추구했던 열반에 대한 실체적 성격이 섞여 있기도 하지만, 그 대체적 흐름은 열반의 有無 문제에 있어 두 가장 자리를 함께 버리는 龍樹의 中觀적 사유 원칙이 관철되어 있다. 이러한 저작시기별 연구는 승조 사상 발전의 단계를 체계화함으로써 그 사상이 좀 더 잘 드러나도록 할 수 있다. 즉 승조의 사상에 대해 玄學 혹은 龍樹의 中觀의 영향으로 보는 서로 다른 모순적인 두 관점을 다른 시기별로 모두 포용함으로써 전개할 수 있다.

      • KCI등재
      • Toll-like receptor 4-mediated immunoregulation by the aqueous extract of Mori Fructus

        Yang, Xin-Ying,Park, Gil-Soon,Lee, Moo Hyung,Chang, In Ae,Kim, Youn Chul,Kim, Sung Yeon,Lee, Joo Young,Yun, Yong Gab,Park, Hyun John Wiley Sons, Ltd. 2009 Phytotherapy research Vol.23 No.12

        <P>The aqueous extract of Mori Fructus (MF) exerts a change of phenotype and a cytoprotective effect in macrophages.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mmunomodulating activity of MF on the expression of nitric oxide (NO),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agr;), co-stimulatory molecules and also interferon-gamma (IFN-&ggr;) in macrophages and splenocytes. Toll-like receptor 4 (TLR4) is a promising molecular target for immune-modulating drugs. It was hypothesized that one possible upstream signaling pathway leading to immunoregulation of MF may be mediated by TLRs. Multiple signaling molecules (NF-&kgr;B, ERK1/2, p38 and JNK) of the TLR4 signaling pathway were also detected. It was found that MF increased NO production and TNF-&agr; secretion in RAW 264.7 and peritoneal macrophages, co-stimulatory molecules expression in peritoneal macrophages and IFN-&ggr; expression in splenocytes. Further studies indicated that MF could significantly induce the phosphorylation of signal molecules of MAPKs and the degradation of I&kgr;B&agr; which finally led to the activation and nuclear translocation of nuclear factor-&kgr;B (NF-&kgr;B) for the target gene expression. All those notions disclosed that the aqueous extract MF is a new TLR4 activator, which induces a Th1 immune response as a consequence of induction of cytokines secretion, especially TNF-&agr; and IFN-&ggr;. Copyright © 2009 John Wiley & Sons, Ltd.</P>

      • KCI등재후보

        No Association between Copy Number Variation of the TCRB Gene and the Risk of Autism Spectrum Disorder in the Korean Population

        Yang, So-Young,Yim, Seon-Hee,Hu, Hae-Jin,Kim, Soon-Ae,Yoo, Hee-Jeong,Chung, Yeun-Jun Korea Genome Organization 2010 Genomics & informatics Vol.8 No.2

        Althoug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has been thought to have a substantial genetic background, major contributing genes have yet to be identified or successfully replicated. Immunological dysfunction has been suggested to be associated with ASD, and T cell-mediated immunity was considered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ASD. In this study, we analyzed 163 ASD subjects and 97 normal controls by genomic quantitative PCR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opy number variation of the 7q34 locus, harboring the TCRB gene, and ASDs. As a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CRB copy numbers between ASD cases and normal controls. TCRB gene copy numbers ranged from 0 to 5 copies, and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each copy number was similar between the two groups. The proportion of the individuals with <2 copies of TCRB was 52.8% (86/163) in ASD cases and 57.1% (52/91) in the control group (p=0.44). The proportion of individuals with >2 copies of TCRB was 11.7% (19/163) in ASD cases and 12.1% (11/91) in the control group (p=0.68). After the effects of sex were adjusted by logistic regression, ORs for individuals with <2 copies or >2 copi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with the diploid copy number as reference (n=2). Although we could not see the positive association, our results will be valuable information for mining ASD-associated genes and for exploring the role of T cell immunity further in the pathogenesis of AS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