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방과 후 생활시간 활용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의 차이 : 중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탐색

        어정인(Jeongin Eur),임규연(Kyu Yon L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2

        목적 본 연구는 중학생의 방과 후 시간 사용에 따른 학생 및 학부모의 학교생활 만족도를 탐색함으로써 청소년의 학교 안과 밖 생활 모습 및 그 관계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목적에서 실시되었다. 방법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8(KCYPS 2018)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중학교 1학년 및 학부모 2,546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학습시간 중 학원 및 과외시간, 스스로 학습하는 시간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의 차이가 학생과 학부모 응답 분석에서 모두 확인되었다. 이때 자녀의 학교생활에 대한 학부모 만족도의 경우 평일뿐만 아니라 주말 학원 및 과외시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음으로, 여가시간의 경우 그 유형에 따라 다양한 결과가 나타났다. 독서시간과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 차이 분석에서는 학생과 학부모가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나, 운동 및 신체활동시간, 친구들과 노는 시간, 컴퓨터 사용시간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 차이 분석에서는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균형 있는 생활시간 활용에 대한 인식과 지원에 대해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adolescents’ life both in and out of school by exploring students’ and their parents’ schoo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after-school time use of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The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were used, and responses from 2,546 middle school 1st graders and their parents were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types of study time, differences in schoo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ime spent on private lessons and self-study were confirmed in both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this case, for parents, the differences in schoo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rivate lesson time appeared not only for weekdays but also for weekends, which confirmed a tendency to perceive that the time spent on private lessons is important for school satisfaction. Second, regarding the types of leisure time, various results were confirmed according to the types of leisure. Students and their parents showed similar results depending on the time spent on reading and using smartphones.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the time spent on exercise, playing with friends, and using computer, there were differences in school satisfaction of students and their parents respectively.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support for adolescents’ balanced time use were discussed.

      • KCI등재

        원격교육 콘텐츠 질 확보를 위한 프로토타이핑 사례 연구

        도재우 ( Jaewoo Do ),어정인 ( Jeongin Eur ),권수완 ( Suwan Kwo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코로나19로 인해 초등ㆍ중등ㆍ고등교육은 물론 평생교육 영역까지 원격교육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더불어 원격교육이 미래교육의 방법으로 부각되면서 원격교육의 활용은 지속적으로 이어질 것이라 예상된다. 이러한 원격교육 활용과 관련하여 콘텐츠 질 확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개발주체의 관점에서 대규모 원격교육 콘텐츠 개발을 수행하는 실제적인 과정을 탐색함으로써 원격교육 콘텐츠의 질 확보를 위한 프로토타이핑 전략을 마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사례연구방법을 통해 대규모 원격교육 콘텐츠 개발 사업에서 수행한 10단계의 프로토타이핑 과정을 단계별 주요 활동, 산출물, 추진전략 그리고 성찰을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이 연구는 원격교육 콘텐츠 질 확보를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실천적 전략인 프로토타이핑 활용방안을 사례와 함께 구체적으로 제공했다는데에 그 의의가 있다. Due to COVID-19, distance education is actively used not only in elementary, secondary, and high school education but also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In addition, as distance education emerges as a method of future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use of distance education will continue. In relation to the use of distance education, the importance of ensuring content quality is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prototyping as a strategy to ensure the quality of distance education contents by exploring the specific process of developing large-scale contents from the perspective of a development manager. Adopting the case study method, 10 stages of prototyping process in a large-scale content development project was explored, focusing on activities, outputs, strategies, and reflections for each stag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pecifically provided a plan to use prototyping, a practical strategy that can be used to ensure the quality of distance education contents, along with actual cases.

      • KCI등재

        What is Monitored and by Whom in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Analysis of Monitoring Tools in Learner Dashboard

        ( Ji Young Lim ),( Jisoo Choi ),( Yoon Jin Kim ),( Jeongin Eur ),( Kyu Yon Lim ) 한국교육공학회 2019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s for designing online tools to support monitoring in collaborative learning. For this purpose, eighteen research papers that explored learner dashboards and group awareness tools were analyzed. The driving questions for this analysis related to the information and outcomes that must be monitored, whose performance they represent, and who monitors the extent of learning. The analytical frameworks used for this study included the following: three modes of co-regulation in terms of who regulates whose learning (self-regulation in collaborative learning, other regulation, and socially shared regulation) and four categories of dashboard information to determine which information is monitored (information about preparation, participation, interaction, and achievements). As a result, five design implications for learner dashboards that support monitoring were posited: a) Monitoring tools for collaborative learning should support multiple targets: the individual learner, peers, and the entire group; b) When supporting personal monitoring, information about the individual and peers should be displayed simultaneously to allow direct comparison; c) Information on collaborative learning achievements should be provided in terms of the content of knowledge acquired rather than test scores; d) In addition to information related to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learning materials can also be provided; and e) Presentation of the same information to individuals or groups should be variable.

      • KCI등재후보

        교육연구에서 질적데이터 수집을 위한 온라인 도구 활용

        김수진(Sujin Kim),도재우(Jaewoo Do),권수완(Suwan Kwon),양슬기(Seulki Yang),어정인(Jeongin Eur)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3 교육연구 Vol.45 No.1

        교육연구 수행에서 질적연구의 활용이 활성화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문화의 확산, 연구에서 활용 가능한 과학기술의 발달, 연구자와 참여자 간의 밀접한 관계 형성이 요구되는 교육연구의 특성은 교육분야 질적연구 수행에서 온라인 도구의 활용을 촉진하고 있으며 확대되고 있다. 이 연구는 온라인 도구를 활용하여 질적데이터를 수집한 연구자들의 경험을 분석하여 질적데이터 수집에 있어서 온라인 도구가 가진 가능성과 과제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사례연구를 연구방법으로 선정하여성인 대상 그룹 인터뷰, 학생 대상 그룹 인터뷰, 사용성 평가에서 화상회의 플랫폼을 활용한 세 가지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연구에서 온라인 도구를 활용한 질적데이터 수집의 강점(참여자 모집 및 일정 수립, 데이터 수집 및 관리의 용이성, 편안한 데이터 수집 환경 조성 등)과 제한점(라포 형성의 어려움, 환경 통제의 제약, 수동적 참여자 및 집중도 유지 문제, 발언 관리 어려움 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질적데이터 수집 방안으로 온라인 도구가 가진 가능성과 활용방안을 제안했다는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교육연구자들에게 온라인 도구 활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연구 대상과 목적에 맞는 질적데이터 수집 전략을 마련하는 데 유용한 자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Qualitative research is actively used as a main research approach in conducting educational research. The spread of non-face-to-face cultu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research promote the use of online tools as a way to collect data in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in the educational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of using online tools in qualitative data collection by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researchers who collected qualitative data using online tools. This study adapted a case study as a research method, and analyzed three cases using a video conference platform in online group interview with adults, online group interview with students, and usability test (demonstration, observation, and interview).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trengths (ease of selection of participants and data collection, creating a comfortable environment in data collection) and limitations (difficulties in forming a lapo and managing speech, constraints of controlling environment, issues of passive participant and maintaining concentration) of qualitative data collection using online tools were identified.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and utilization of online tools as a method for collecting qualitative data in conducting educational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