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손목관절 관절원반의 퇴행변화 및 발달뼈의 안쪽관절면에 관한 연구

        이규석,정인혁 관동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01 關東醫大學術誌 Vol.5 No.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serve the degenerative changes of the articular disc of the wrist joint and the medial facet of the lunate. The anteroposterior length of the articular disc was 15.3±2.2mm, the width was 10.6±1.1mm and the thickness was 1.5 ±0.3mm at the central portion, 4.7±0.9mm at the peripheral portion. The degenerative changes were appeared as perforation and the incidence was 68.9%. The perforation classified into the three types. Type I is the tearing perforation and the incidence was 33.3%. Type II is the widespread perforation and the incidence was 31.1%. Type III is round perforation and the incidence was 4.5%. The medial facet of the lunate was a variation of carpal bones. The articular facet was formed between lunate and hamate and the incidence was 62.2%. The width of the facet was 3.5(1.0-5.9)mm in average. The articular facet undergo the degenerative changes as the erode of the articular cartilage. The incidence of these erode occurs 10.7% at lunate, 14.3% at hamate,14.3% at both carpal bones.

      • 월드와이드웹용 물리교육 코스웨어 개발에 관한 연구

        부동혁,박규은,김규용 濟州大學校 師範大學 科學敎育硏究所 1997 科學敎育 Vol.14 No.-

        Many kinds of material have been researched and analyzed to get the essential guidelines for developing physics CAI courseware which is capable of using in WWW. It has turned out that it enables to enhance the courseware quality and productivity to use the following functions such as communication, presentation, branching and interactivity basically provided by web environment. It has also turned out it is necessaw to use the distributed processing like JAVA for physics simulation courseware. JAVA applet, which simulates projectile motion, has been made and inserted in the physics home page. The experimentation results through WWW are following: 1. In spite of the small file size of 14 kbyte, it makes animation processing and video/sound production much easier. 2. JAVA apple enables it possible for the learners to interact with simulator. 3. It shows just 1% below performance error. Those result show that the JVVA applet is practical and effective enough for physis clas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질적 연구의 타당성 문제에 대한 고찰

        이혁규 한국교육인류학회 2004 교육인류학연구 Vol.7 No.1

        우리 나라 교육학계에도 질적 연구가 하나의 유행으로 등장하였지만 질적 연구의 질적 수준에 대한 논의는 아직 활성화되지 못한 편이다. 이 글의 목적은 질적 연구의 타당성 문제에 대한 논의를 통해서 질적 연구의 질적 수준에 대한 논의를 활성화시키는 계기를 마련해 보고자 하는 데 있다. 초기 질적 연구들은 실증주의와 패러다임적 결별을 선언하고자 하였지만 타당성 개념에 있어서는 여전히 실증주의적 요소를 지니고 있었다. 이런 초기 질적 연구의 타당성 개념에 대한 비판은 다양한 갈래로 전개되어 간다. 본 연구자는 질적 연구의 타당성 개념을 새롭게 하려는 여러 논의들을 구성주의적 입장, 비판적 입장, 참여적 실행 연구의 입장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각 접근법들은 독특한 이론적 입장에 따라 상이한 타당성 개념을 정식화해갔다. 그러나, 각각의 입장 차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 질적 연구 진영의 타당성에 대한 논의는 재현의 위기라는 반정초주의적 인식론의 영향 하에서 전통적 지식 개념에서 탈피하여, 관계적이고 성찰적이며 윤리적인 실천까지를 함의하는 새로운 지식 개념을 포함하는 것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를 통해 삶/앎, 진리/비진리, 인식/실천, 사실/가치 등 전통적 이분법이 해체되고 있으며 연구자와 연구대상자가 사회적 실천 속에서 함께 변화해 가는 새로운 연구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질적 연구에 대한 하나의 타당성 기준이 해체되고 다양한 타당성 기준이 공존하는 현 상황은, 질적 연구의 위기 상황이라기보다는 인간 연구로서의 질적 연구의 진정성이 심화되어 가는 국면이라고 볼 수 있다. 현실과 이론 사이를 끊임없이 중재하는 질적 연구자들의 존재론적 자각과 성찰이 더욱 요청되는 시대에 우리는 서 있다. Although scholars have been using qualitative methods in education research frequently since 1980 in Korea, discussions on the quality criteria of qualitative research have been rare and sporad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nature of validity in qualitative research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 Validity has long been a key issue in debates over the legitimacy of qualitative research. Early qualitative researchers recognized the difference betwee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and tried its own concept of validity. But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concepts of validity have been slow. Early validity concepts of qualitative research differed from those of quantitative research, but had a foundational base and did not much depart from positivistic perspective. Criteria for judging the quality of qualitative research are even more fluid and emergent than before. Under the more and more recognition of the crisis of representation, Conventional function of the criteria that divide good research and bad research has been criticized by many postmodern scholars. Qualitative researchers have invented new types of validity which accommodated postmodernism and nonfoundationalism. As result, new kinds of knowledge have been legitimatized, in which the boundaries between life and knowledge, fact and value, truth and untruth, theory and practice has been blurred. This move from uniform criteria that function as regulative power to competing diverse criteria that emphasis the use of multiple voice, the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the inquirer and participator in the inquiry, and the social action that may help related people in the research process means not the crisis, but the maturation of qualitative research. We stand in the dawn of new era when ethical and epistemic reflexivity is urgently needed for qualitative researcher.

      • KCI등재

        질적 사례 연구를 통한 교실 붕괴 현상의 이해와 진단

        이혁규 한국교육인류학회 2003 교육인류학연구 Vol.6 No.2

        1999년 현장 교사들에 의해 제기된 ‘교실 붕괴’ 담론은 공교육 위기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촉발시켰다. 이와 관련하여 연구자는 2000년∼2001년 동안에 3개 고등학교에 대한 1주일간의 참여 관찰과 면담을 통해서 교실 붕괴현상의 실상을 파악해 보았다. 이를 통해 교실 붕괴 담론을 제기한 교사들이 주장한 것처럼 한국 교실이 상당히 이완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교실 참여자들은 상호 이해 불가능성과 소통 곤란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연구자는 이런 교실 붕괴의 모습을 ① 수업 의례 ② 교실 상호 작용, ③ 교실 통제라는 3가지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연구자는 현재의 학교 위기를 전통 붕괴 및 새로운 체제로의 이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혼란이며 변화에 직면한 학교 체제 내부의 각 요소들이 상이한 속도로 변화함에 따라서 나타나는 정합성의 위기로 진단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서, 현재의 학교 위기 현상은 오랫동안 유지되어 오던 정합적 체계가 상이한 속도로 변화하면서 나타나는 복합 지체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그런 혼란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는 것은 한국의 학교에서 고질화되어 있는 문화적 관행인 수업 경시 문화이다. 오늘의 학교가 그 본원적 목적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개혁은 쉽지 않다. 그러나, 학교 내부의 문화에 초점을 둘 경우 현재의 수업 경시 문화를 수업 중시 문화로 바꾸는 문화적 변혁 전략이 필요하다. A discourse on classroom failures has drawn a great deal of public attention, which has been conceptualized by in-service teachers in an attempt to describe how much difficult teachers feel in teaching in classrooms since 1999. In addition, attempts were made to describe how ordinary students were becoming reluctant to participate in lessons throughout the nation. In line with such effor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and diagnose the phenomena of classroom crisis by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At three high schools, classroom lessons and their contexts were investigated for a week in each school by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 methods during the 2000 and 2001 school-year. The result of this case study showed that the degree of classroom crisis was severe and both teachers and students suffered from alienation from classroom experiences. This research focuses on three aspects of the phenomena of classroom crisis; ① disappearance of the cultural ritual like bowing at the beginning of a lesson, ② change of classroom interaction patterns from IRE to TI-TR, ③ failure of classroom controls. This research interprets the phenomena of classroom failure that can easily be seen almost all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s throughout the nation as the transition pains in the middle of changing processes from current school systems that have their roots in the industrial age to new school systems in the information age. It diagnoses current school crises as complex lags which have been caused by the collapse of coordinated relations and the different changing speeds among school components like teachers, students, textbooks, and assessments. There are no easy ways to solve these problems. Except for outside variables of school, one of the possible ways to improve the classroom lessons and restore the school functions will be reforming strategies that aim to transform a school culture towards more emphasis on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han any other administration tas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