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 응급구조(학)과 융복합 교과목 개발을 위한 연구

        정상우,고봉연,이정은,홍성기,김수태,Jung, Sang-Woo,Koh, Bong-Yeun,Lee, Jung-Eun,Hong, Sung-Gi,Kim, Soo-Tae 한국응급구조학회 2021 한국응급구조학회지 Vol.25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university education according to job type and investigate the types of knowledge required for employment after graduation for departments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in preparation for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a converged society. Methods: From June 3 to June 10, 2019,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90 paramedics working in firefighting, hospitals, different industries, and emergency patient transporta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oftware SPSS version 18.0. Results: For employment after graduation in departments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character and sincerity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To prepare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ducational innovations such as improving the field practice system and devising a convergence curriculum are needed. Preparation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hould be accomplish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subjects such as forensic scienc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and safety engineering. Ninety percent of the study respondents indicated their need for convergence subjects. Conclusion: The demands of future society should be responded to flexibly by holding and conducting convergence subjects. Furthermore, preparations should be made in anticipation of a shortage of 120,000 college freshmen for the 2024-2025 school year by increasing the competitiveness of departments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 KCI등재

        대학의 사학 관련 학과에서 진행하는 학술 답사의 양상

        정상우 한국역사교육학회 2016 역사교육연구 Vol.- No.26

        In the historical study and education, acquisition and generation of knowledge through the experience is very restrictive. However, the field trip to historic sites is, though indirectly,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past. This paper is to search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field trips in the history-departments through the questionnaire and interview and to consider its problems and complementary measures. Through the questionnaire, history-departments show a tendency to take some measures to ensure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Especially, it is noted that to make a class dealing with the field trip. In this case, the field trip has been extended with the activities of during 1semester. Looking at the case of a class, lectures and field trips are constructed in the form of presenting the cultural heritage of the visiting region considering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the overall flow of Korean history. Therefore the students who participate several times to the field trips can be access the history of the region while learning by repeating the overall flow of history and comparing the various regions’ historical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heritages. It is to arouse the interest of students about their major. It also helps to students try to plan for the future on the basis of their own. However, most of the field trips end with one-time-event to be carried out for 3days. And activities during the field trips are often performed only explanation for cultural heritage. To realize the field trips’ purpose of that acquisition and generation of knowledge through the experience, prior educations and feedbacks are important. To make a class dealing with the field trip can be an alternative for this. But, without the class, to diversify activities during the field trips can be a method for drawing the activeness of students. 경험할 수 없는 과거를 탐구하는 역사학에서 ‘답사’는 ‘추체험’의 기회이다. 때문에 역사가·역사교사를 양성하는 대학의 학과들은 답사의 전통이 있다. 하지만 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모색은 활발치 않다. 이 글은 이를 위한 출발점으로 대학의 사학 관련 학과의 답사 현황을 파악하고, 그 난점들을 생각해보기 위한 것이다. 설문을 통해 볼 때 사학 관련 학과들은 답사에 학생 참여를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 방식은 몇 가지가 있었지만 답사 관련 강의 개설은 주목된다. 강의를 중심으로 ‘선행학습·답사·feedback’의 형태로, 답사가 1학기 동안의 활동으로 확장되기 때문이다. 답사 관련 강의의 실제 사례를 보면 답사지역의 역사적 특성과 한국사의 흐름 속에서 해당 지역의 문화유산들을 제시하는 형태로 강의·답사가 구성된다. 때문에 답사에 여러 차례 참여하는 학생은 한국사의 흐름을 반복 학습하는 가운데 지역의 문화유산을 통해 지역사를 통사적으로 접근하며 지역간의 특성을 비교할 수 있었다. 또 답사 이후의 강의는 사학 전공자들이 일상에서 받을 수 있는 질문들이나 전공을 바탕으로 한 진로 설계와 관련되어, 전공에 대한 관심을 재고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많은 경우, 답사는 정해진 기간에만 한정되는 1회성 행사로 끝나며, 그 활동도 유적·유물에 대한 설명으로만 이루어졌다. ‘경험을 통한 지식의 획득·생성’을 위해서는 답사 전후의 활동이 중요하며, 강의 개설은 하나의 대안이다. 하지만 강의 개설이 아니라도 답사에서의 활동을 다각화함으로서 답사 전후의 활동을 끌어낼 수도 있을 것이다.

      • KCI등재

        『朝鮮史』(조선사편수회 간행) 편찬과 만선사의 상관성 ―『朝鮮史』 제 3편을 중심으로

        정상우 만주학회 2017 만주연구 Vol.- No.24

        This paper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P’yŏnsuhoe’s Joseonsa (vol.3) that led by Inaba Iwakichi’s editing, who was representative of a Manchuria-Korea- historian and Manchuria-Korea-History. Regarding Korean history, Inaba who was stationed in Korea for the purpose of compiling the Joseonsa and former Korean-history-researchers representing Imanishi Ryu maintained different views. Imanishi described the Korean history as one of the Han ethnic group, which was akin to that of a Japanese ethnic group living in the southern part of the peninsula. On the other hand, Inaba criticized Japanese researchers who studied Korean history as one tied to Japan’s history. He thought Korean history should be studied as a part of Oriental history and insisted that Korean history should be considered in connection with Manchuria and Mongolia. With the Joseonsa vol.3, Inaba served as the chief and reflects his view of Korean history. Before he taking charge of Joseonsa vol.3, Inaba regard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ryeo dynasty as tied to the appearance of Manchuria and Mongolia people, such as the Kitan, Jurchen, and Mongolians. Inaba’s perspective on the Goryeo Dynasty was reflected in Joseonsa vol.3. The editors of Joseonsa vol.3 also regarded the relationship between Liao, Jin, Song, Yuan and Goryeo as the most significant components in Joseonsa vol.3. In particular, with the so-called ‘the Goryeo Dynasty`s War Period against Mongolian Invasion’, the editors of Joseonsa vol.3 relied on historical materials that emphas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Yuan and Japan, rather than that of the Anti-Mongol Struggle or changes in domestic politics of Goryeo. This coincided with Manchuria-Korea historical plans to raise the status of Japanese history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Northeast Asian history into the tripartite relationship with the people of China, Mongolia and Donghu (東胡). And the editors’ emphasis coincided with Inaba’s work published at the time of the compilation of Joseonsa vol.3. The general view is that few historical materials are found in early Goryeo period and more materials such as collections of writings, epigraph are found in the late. However, the historical materials used in Joseonsa vol.3 point to the opposite. In the latter half of Goryeo, the use of Korean historical materials (especially epigraph materials) decrease, while the use of foreign historical materials (mostly Japanese materials) increasingly point to a relationship with Japan. Indirectly, the tendency of using historical materials with Manchuria–Korea historic perspectives was used in the compilation of Joseonsa vol.3. 이 논문은 대표적인 만선사학자였던 이나바 이와키치가 편찬을 총괄한 조선사편수회 간행 <朝鮮史> 제 3편(고려시대)과 만선사의 관련성을 살펴본 것이다. 朝鮮史 편찬을 위해 조선에 부임한 이나바는 이마니시 류우로 대변되는 이전 연구자들과 한국사를 바라보는 시각이 달랐다. 강점 이후 조선총독부에서 주도한 각종 조사 사업이나 ‘반도사 편찬’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했던 이마니시는 일본과 종족적으로 동일한 반도 남부의 ‘韓種族’을 중심으로 한국사를 서술하며 고구려로 대변되는 북방의 역사를 한국사에서 배재하였다. 반면 이나바는 당시 일본인 연구자들이 한국사를 ‘일본사’의 범주에서 접근하는 것을 비판하며 한국사를 대륙-만주와의 관련 속에서 ‘東洋史化’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는 한국사를 연구함에 있어 대륙의 영향력이 절대적인 반도라는 ‘토지’를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며 한국과 만주와의 불가분한 관계를 강조하였다. 이러한 이나바가 주임을 맡은 朝鮮史 제 3편은 그가 품고 있던 만선사적 관점이 반영된 것으로 확인된다. 이나바는 朝鮮史 제 3편의 주임을 맡기 이전부터 고려시대의 특징으로 거란, 여진, 몽골 등 만몽지역의 민족이 끊임없이 등장했던 것을 꼽았으며, 이러한 그의 생각은 朝鮮史 제 3편에 반영되었다. 편찬 관계자들이 朝鮮史 제 3편에서 주목해야 하는 사건으로 遼․金․宋․元 등과 고려와의 관계를 가장 우선적으로 꼽고 있는 것은 이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특히 이른바 ‘대몽항쟁기’, 朝鮮史 편찬 관계자들이 중요시 했던 것은 고려의 항쟁이나 국내 정치 변화를 알려주는 사료가 아니라 만선사적 조망에서 중요시되었던 일본과 元의 관계를 드러낼 수 있는 사료들이었다. 이는 일본사의 타자로서 동북아시아의 역사를 漢民族, 蒙古民族, 東胡系民族 3자의 관계로 재구성하는 가운데 일본사의 위상을 높이고자 했던 이나바의 만선사적 구상, 또 朝鮮史 제 3편이 간행될 당시 발표된 이나바의 연구와도 정확히 일치하는 것들이었다. 한편 고려 전기의 사료는 매우 부족하며 후기로 감에 따라 문집류를 비롯하여 금석문들도 증가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렇지만 『朝鮮史』 제 3편에서 활용한 사료들은 그와 반대 경향을 보인다. 즉 후반으로 갈수록 한국측 사료, 특히 금석문의 활용은 감소하는 반면 대륙과 일본의 관계를 보여주는 데에 필요한 외국 사료, 특히 일본측 사료의 이용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료의 활용 역시 간접적으로나마 朝鮮史 제 3편 편찬시 여기에 실을 사료를 선별함에 있어 만선사적 관점이 작용하고 있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즉 이나바는 자신이 추구했던 만선사적 관점에서 고려시대를 조망하는 가운데 朝鮮史 제 3편의 후반으로 갈수록 元 또는 일본과 관련된 사건을 자세히 정리하고 그와 관련된 사료의 소재를 알려주어, 향후에도 이를 통해 이 시기가 조명되기를 희망했다고 하겠다.

      • KCI등재

        旋條銃의 射入口區分에 關한 實驗的 試圖

        鄭相愚 大韓法醫學會 1979 대한법의학회지 Vol.3 No.1

        The features of the rifled gun-inflicted entrance wounds are determined by type of weapon, target material, muzzle-target angle, etc., as well as distance of fire. Nonetheless, the entrance wounds have been classified according to only one factor, distance of fire. Poplin and suede were fired with .45-caliber pistol, 38-caliber revolver, .25-caliber pistol and M16a1 rifle at various muzzle-target distances. The results made the author possible to classify the entrance wounds by the characteristics of wounds as follows. 1. Underblasted wound - An entrance wound which is produced when fired at fast contact with a small caliber handgun on target of considerable mechanical strength. The front surface resembles a simple wound from long range shot. The undersurface surrounding the exit hole shows effects of gaseous blast, flame, smoke and gunpowder residues. 2. Blasted wound - Variable degrees of damage to target due to gaseous blast is accompanied. Degree and shape of damage are dependent on the difference between mechanical strength of target material and gaseous explosive power. 3. Tattooed wound - fouling around the entrance hole, concentric or eccentric, is noticed due to flame, smoke and/or gunpowder residues. Implied in the type of patterned wound, blasted wound and tattooed wound are caused by close range shot and near range shot, respectively. 4. Simple wound - Only effect by bullet, penetration wound, can be found. distances of fire, correspondent to the types of the entrance wounds, were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type weapon and target material tried in the experiment. The above classification of the entrance wounds was applied retrospectively to the cases of gunshot deaths autopsied by forensic Medicine Section, the ROKA Scientific Investigation Lab.

      • KCI등재

        연령이 법의식에 미치는 영향 : 준법지표와 차별금지지표의 비교를 중심으로

        정상우,이민솔 법과사회이론학회 2022 법과 사회 Vol.- No.70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whether age affects legal consciousness. To achieve this goal, we examined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ge and legal consciousness, and verified whether increasing ag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gal consciousness. Furthermor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e tried to derive implications that differences in legal consciousness according to age may have a certain effect on intergenerational conflict or social integration. In order to analyze the legal consciousness, we used the law-abiding consciousness and the anti-discrimination consciousness as indicators. For the survey, The Korea Legislation Research Institute's ‘the 2019 Survey of the Legal Consciousness of the Korean People’ was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age had a positive (+) effect on personal law-abiding attitudes and willingness to law-abiding with damages, and a negative (-) effect on legal knowledge and disobedience attitudes in law-abiding indicators.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at age had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formal equality perception, and a negative (-) effect on discrimination empathy for men, discrimination empathy for women, discrimination empathy for social minorities, and attitudes toward the affirmative action in the anti-discrimination indicator. Through this, it was suggested that the higher the age, the higher the sacrifice for law-abiding or the public interest, and the lower the age, the more sensitive to discrimination, favorable to the affirmative action, and likely to give up law-abiding. 이 연구는 연령이 법의식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연령과 법의식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연령이 증가하는 것이 법의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나아가, 분석 결과를 토대로 연령에 따른 법의식의 차이가 세대간 갈등 또는 사회통합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법의식 가운데 준법에 대한 의식과 차별금지에 대한 의식을 판단 지표로 삼았다. 설문은 한국법제연구원의 법의식조사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연령은 준법지표에서 개인적 준법태도, 손해 감수 준법 의지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가지며, 법지식, 불복종 태도에는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령은 차별금지지표에서 형식적 평등 인식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보였으며, 남성에 대한 차별 공감, 여성에 대한 차별 공감,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차별 공감, 적극적 평등 실현에 대한 태도에는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보이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연령이 높을수록 준법이나 공익을 위한 희생을 우선하고 평등에서 기회균등이라는 형식적 평등을 추구하는 반면, 연령이 낮을수록 차별에 대해 민감하고 적극적 평등실현에 우호적이며 정의감에 반하는 경우 준법을 포기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시사받을 수 있었다.

      • KCI등재

        미등록 이주민 인권증진을 위한 입법과제

        정상우,박지인 한국법제연구원 2016 법제연구 Vol.- No.51

        This study aims to propose improving strategies for protection of undocumented migran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current situation and types of undocumented migrant and examined immigration, labor, health care, and children's education as the cases where the human rights violation suffered by them were most frequently mentioned in. Undocumented migrants are routinely violated of human right due to the process of the enforcement, poor labor conditions and delayed payment, insufficient compensation for the industrial disasters. Also the current act on the employment of foreign workers limiting the transfer of workplace produces the cases where the undocumented immigrants can become irresponsible. And there was a relatively limited protection is insufficient for social rights as health and health care, education. As a result, this study developed as follows: First, Judicial monitoring of protective disposition should be strengthened. Second, when Undocumented migrant complain about delayed payment, the notification obligation of officer should be exempted. Third, the current act on the employment of foreign workers limiting the transfer of workplace produces the cases where the undocumented immigrants can become irresponsible, and thus its revision should be made to fundamentally reduce them. Fourth, health and health care should be protected as the human rights. Lastly, The grant of status of residence for undocumented migrants who have strongtie in our society should be discussed. 이 연구는 인권적 관점에서 미등록 이주민 보호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미등록 이주민의 현황과 법적 지위를 검토하고 대표적인 인권침해 유형인 출입국, 노동, 건강 및 보건, 아동의 교육에 따른 인권침해 실태를 살펴보았다. 미등록 이주민은 체류자격에 의한 한계에 따라 출입국 분야에서 신체의 자유의 침해, 노동 분야에서 열악한 노동조건 및 임금체불, 산업재해 보상의 은폐 등의 인권침해를 겪고 있었다. 또한 엄격한 사업장 변경 제한 규정으로 인한 귀책사유 없는 미등록 이주민이 양산되는 구조적인 문제와 함께 건강 및 보건, 교육과 같은 사회적 권리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보호가 미흡하다는 한계가 나타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미등록 이주민 보호를 위하여 강제퇴거 과정에서의 적법절차 원칙 준수와 사법적 감시 강화, 체불임금 진정 시 고용노동부 공무원의 통보의무 면제, 사업장 변경 제한 규정의 완화, 건강 및 보건에 대한 제도적인 보호의 확대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특별히 우리 사회와 유대관계가 있는 미등록 이주민에게는 체류자격의 부여 검토가 적극적으로 논의될 필요성이 있음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3・1운동과 민주공화국의 탄생

        정상우 한국헌법학회 2019 憲法學硏究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valuate the 3・1 Movement (1919 Korea Independent Movement) from a constitutional history perspective,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visional Charter and the establishment of a Democratic Republic.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and evaluation of the 3・1 movement, and the impact of the 3・1 movement on the Provisional Charter of the Republic of Korea. Although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t the time of the 3・1 movement did not specify a democratic republic, the ideology of the 3・1 movement contained democratic and republican elements, which subsequently influenced the drafting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constitution. It seemed reasonable to explain the ideology contained in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the idea of sovereignty and enlightenment raised before and after the 3・1 movement as republicanism recognized in Korea at that time. In the Provisional Charter that was established as a result of the 3・1 movement, the Democratic Republic was emphasized, which was the result of accepting the concept of republicanism in the previous period and the influence of So-Ang Cho in drafting the Provisional Charter. Democratic republican ideology was based on democracy, egalitarianism, parliamentarism, rule of law and the exclusion of the monarchy. Beyond the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the 3・1 movement was a decisive contribution to the establish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Democratic Republic of Korea, and was embodied in the ideology of republic through the provisional government constitution. Democratic Republic regulations have had a certain impact on the constitutional law enacted in 1948 through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e current constitutional law amended in 1987. 이 연구는 3・1운동을 헌법사적 관점에서 재평가하고 이로 인해 제정된 대한민국임시헌장과 민주공화국 수립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3・1운동의 배경, 성격, 평가를 파악하고, 3・1운동이 대한민국임시헌장 제정에 미친 영향을 규명하였다. 3・1운동 당시 독립선언문은 민주공화국을 명시하지는 않았지만 3・1운동의 사상은 민주공화적 요소들을 내포하고 있었고 그것은 이후 임시정부 헌법 제정에 영향을 미쳤다. 독립선언문에 담긴 사상과 3・1운동 전후 제기된 주권재민 사상과 계몽주의는 당시 우리나라에서 인식한 공화주의로 설명하기에 무리가 없다고 보았다. 3・1운동의 결과 제정된 임시헌장에서는 민주공화국이 강조되었는데, 이는 임시헌장의 초안을 작성한 조소앙의 영향과 이전 시기에 공화주의 개념을 수용한 결과였다. 민주공화국 사상은 당시의 인식으로는 군주의 배제와 민주주의, 균등 사상, 의회주의와 법치주의 등이 중심이었다고 할 수 있다. 3・1운동은 민족독립운동을 넘어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과 민주공화국 건설에 결정적 기여를 한 것이고, 임시정부 헌법을 통해 공화국 사상으로 구체화되었다. 민주공화국 규정은 임시정부를 거쳐 1948년 헌법 제정과 1987년 개정된 현행헌법에까지 일정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 KCI등재

        무형문화재 보호의 기본원칙과 법적 과제

        정상우 한국법제연구원 2009 법제연구 Vol.- No.36

        The legal system for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s the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olicy in Korea, that has performed an important role in preserving the traditional culture into modern era. The legal system for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has gathered special attention internationally and has been received well. But the legal system for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s fronted with many domestic problems and international changes of environmen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nd improve our legal system for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he betterment of legal system for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First, we review the laws related to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Second, we propose some suggestions about the legal principles for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t last, we suggest a new law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 KCI등재

        한국 근대 잡지를 통해 본 당대인들이 언급한 주요 사건들 -‘이전/이후’ 상당 어구 좌측에 등장하는 사건을 중심으로-

        정상우 호남사학회 2019 역사학연구 Vol.76 No.-

        사람들은 과거의 특정 사건이나 시점을 기준으로 연속된 시간을 나누고, 이를 통해 현재를 인식한다. 그런데 여러 가지 이유로 우리가 특정한 사건을 기준으로 과거를 분절할 경우, 이러한 사건은 ‘이전’, ‘이후’ 등과 같은 용어의 좌측에 위치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렇다면 특정한 사안이 ‘이전’, ‘이후’ 상당 어구의 왼쪽에 자주 등장한다면 그 사건은 당시 사람들이 중요시했던 사건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은 넓은 세계와 접속되지만 결국 식민지를 거쳤던 한국의 근대를 살았던 사람들에게 이러한 의미를 지닌 사건이 무엇이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 근대에 출현한 잡지로, 국사편찬위원회의 홈페이지에서 원문을 제공하여 연구자들은 물론 일반인들도 폭넓게 활용하고 있으며, 종합 잡지로서 특정한 분야를 넘어 당시 일상생활을 위한 다양한 정보들을 담고 있는 19종의 잡지에서 ‘이전’, ‘이후’ 상당 어구의 좌측에 등장하는 사건을 추출하여 그 빈도와 주요 사건들의 용례를 검토했다. 분석 결과 1차 세계대전을 비롯하여 중일전쟁, 만주사변, 러시아혁명 등과 같이 국제적 사건이 상위를 차지하였다. 이처럼 국제적인 사건들이 시대 변화의 지표로서 빈번하게 등장한다는 것은, 적어도 개항 이후 세계와 접속된다는 ‘근대’라는 시대의 성격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러한 국제적인 사건들이 변화의 기점으로 등장하는 기사들은 국제 정세, 해외 소식을 전하는 기사들을 중심으로 문예, 국외 유명인들의 이력, 재외 동포의 동정 등을 전하는 내용이 대부분이었다. 즉 1차 세계대전을 비롯한 국제적인 사건은 높은 출현 빈도에 비해 이들 사건이 촉발한 즉자적인 변화와 관련된 부분에서만 변화의 기점으로서 언급되었다. 반면 국내적 성격이 강한 3․1운동이나 한일병합과 같은 사안은 1차 세계대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출현 빈도가 적었다. 하지만 이 두 사건은 식민지 조선 사회 변화에 직결되는 각종 제도․법령의 변화를 초래했기 때문에 이들이 시대 구분의 결절점으로 등장하는 경우는 각종 법령, 언론, 출판, 교육 등과 같이 당시를 살아가던 이들의 일상에 직결되는 사안들이 많았다. 특히 3․1운동 이후 사회주의가 유입되고 운동 전선이 분화됨에 따라 조선에서의 민족․사회 운동은 새로운 양상을 띄었다. 때문에 민족․사회 운동에 대한 기사에서 3․1운동은 주요한 변곡점으로 매우 빈번하게 등장하였다. 뿐만 아니라 1930년대 들어서면 전차의 변화와 증가, 여성의 패션 변화, 자동차의 증가와 이용 등과 같은 사안에서도 3․1운동을 기점으로 당시를 설명하는 경우가 등장하였다. 3․1운동과 별다른 접점이 보이지 않는 일상의 영역에서도 현재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사회 변화의 주요한 분기점으로서 ‘기미년 이후’와 같은 표현이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3․1운동은 운동사적 혹은 정치사적 의미를 넘어 한국의 근대를 살았던 이들의 일상의 변화에 가장 큰 흔적을 남긴 사건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People look back on the past to understand the present. At that time, the past is divided based on specific events or phenomena. In other words, people divide a series of times based on a specific event or time point in the past, thereby recognizing the present. By the way, if Koreans divided and recognize the past based on a specific events, these events tend to be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erms such as ‘before(이전)’ and ‘after(이후)’. So, if a particular event frequently appears to the left of words such as ‘before’ and ‘after’, it can be called an event that people valued at that time. The paper aims to find out what events people who lived in Korea's modern era, which connected to the world but eventually went through colonization, considered important to understand the times. To this end, from the original articles text of 19 modern magazines which was provided on the website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to extract the events appearing on the left side of the phrase ‘before’ and ‘after’ and examine their frequency and examples of major ev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ternational events such as the World-war 1, the Sino-Japanese War, the Manchurian Incident, and the Russian Revolution have high ranks at the events-list. At least these results show the character of the 'modern era' connected with the world along with the opening of the port. However, the articles in which these international events emerged as the starting point of change were mostly related to the international situation, the news of overseas, and literature, the history of celebrities abroad, and the situation about overseas Koreans. In other words, international events, including the First World War, were frequently mentioned as the starting point for change, but only as a starting point for change only in the part related to the immediate change triggered by these events. On the other hand, events such as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e annexation of Korea, which have a strong domestic character, appeared relatively less frequently than in World War I. However, since these two events led to changes in various systems and statutes directly linked to changes in the society of the colonial Korea society, there were many cases in which they appeared as a node in the change of dailylife such as media, publishing and education. In particular, since the influx of socialism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and Korea's national and social movements showed a new aspect, the March 1st Movement appeared frequently as a major inflection point in the articles dealing with this. In addition, in the 1930s, the March 1st Movement was mentioned as the starting point of change even in the issues such as the increase of streetcars, changes in women's fashion, and the use of cars. Even in the realm of everyday life where there is no interface with the March 1st Movement, idiom such as ‘after(before) Kimi-year(기미년 이후(이전))’ were used for explaining the current situation. In this sense, we can say that beyond the national and social movements, the March 1st Movement was a event that left the biggest mark on the daily changes of those who lived in Korea's modern ti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