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Effect of Socially Assistive Robot Intervention on People with Dementia in New Life Environment Using Gerontechnology : Meta-analysis

        Park Kyongok,Lee Seonhye 한국생활환경학회 2019 한국생활환경학회지 Vol.26 No.4

        Dementia is the 9th most burden some illness globally. It has increased the demand for the care of the elderly. To decrease the care demand and burden for person with dementia (PWD), technology such as the development of robots is gaining interest. The objective to this study was to perform a meta-analysis to identify the effect of interventions with socially assistive robots on negative mood of PWD.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overall effect size of intervention for negative mood. Of the 234 articles identified, 6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Meta analysis’ results was showed a small effect size an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robot intervent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refore, robot intervention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decreasing negative mood for PWD.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practical usage of socially assistive robots to reduce negative mood of PWD.

      • Local Interfacial Migration of Clay Particles within an Oil Droplet in an Aqueous Environment

        Kang, Kyongok,Hong, J. S.,Dhont, J. K. G.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4 The 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Part C Vol.118 No.42

        <P>We discuss the interfacial migration due to Marangoni forces of clay particles within an oil droplet that is immersed in water, which is relevant for the formation kinetics of Pickering emulsions. Hydrophilic (MMT) and hydrophobic (OMT) clays are studied, where the hydrophilic clay particles adsorb in the oil–water interface, contrary to the hydrophobic clays. The feasibility of an “image–time correlation technique” is discussed, in order to probe the local interfacial migration velocities of clay particles in the oil droplet. Here, correlation functions are constructed from time-resolved images, in order to quantify the local migration of clay particles. Correlation functions are measured at different waiting times, that is, the time after formation of the droplet. The initial decay rate and the baseline of these correlation functions depend on the waiting time in a qualitatively different way for the two clays, which is attributed to the different interfacial migration behavior for the hydrophilic, adsorbing clays and the nonadsorbing, hydrophobic clays as a result of the Marangoni effect.</P><P><B>Graphic Abstract</B> <IMG SRC='http://pubs.acs.org/appl/literatum/publisher/achs/journals/content/jpccck/2014/jpccck.2014.118.issue-42/jp508333u/production/images/medium/jp-2014-08333u_0011.gif'></P><P><A href='http://pubs.acs.org/doi/suppl/10.1021/jp508333u'>ACS Electronic Supporting Info</A></P>

      • KCI등재

        독일 아동,청소년 이용 음란물 규정 및 처벌범위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

        안경옥 ( Kyongok Ahn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법학논총 Vol.31 No.4

        독일은 아동이나 청소년을 이용한 음란물을 영리목적을 제작, 배포하거나 집단적으로 행위하는 경우에는 각 관련 규정에 가중처벌하고 있다. 음란물을 제작하거나 배포하는 행위를 영리 목적으로 집단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그 불법성이 일반 음란물죄보다 중하다고 할 수있겠다. 물론 현행 아청법 제11조 제2항도 영리목적을 아동청소년이용음란물을 판매, 대여, 배포, 제공하거나 이를 목적으로 소지, 운반, 공연히 전시나 상영하는 행위는 단순 판매등의 행위보다 가중처벌하고 있다. 그러나 반드시 영리적인 목적은 아니지만 집단적으로 위의 소지 등의 행위를 할 수 있으므로 집단적인 행위도 함께 가중처벌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음란물의 수요자의 입장에서 단순 소지하는 행위나 온라인상의 행위는 그 해당성 여부나 가벌성 여부를 신중하게 검토하는 반면에 특정한 목적이 있거나 집단적 행위인 경우는 가중처벌하도록 하여 형량간의 합리성을 도모할 필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The need for punishing acts such as producing or distributing a pornography film of sexual abuse of children is to protecting children and adolescents as well as to preventing sexual violence and crime. Because they are experiencing sexual abuse or exploitation the process of making pornography.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review of Punishment and crime``s requirements for cyber pornography or expression in cyber because it is sharply increasing to disseminate or possess pornography on the internet. I have reviewed previous discussions related to the punishment of pornography in which children and adolescents appear, several issues about the punishment were raised. This paper aims to compare the regulations about child and adolescent pornography of Korea and Germany and suggest the improvement of the main issues. Obscene visual representations of the sexual abuse of children shall not be subject to punish because it does not directly give children or adolescent damage caused by the sexual abuse or exploitation. Since possession of child pornography is not a direct sexual offense is punishable, just it is in the preliminary stages. So we carefully consider the need of punishment. And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balance of penalty by comparing other pornography crime. In addition to, it is need to regulate requirements of crime and sentences differently to distinguish between children and adolescents It is much severe crime to make or distribute a pornography films of sexual abuse of children in order to make a money or cooperate with some people. so it deserves to give heavy punishment.

      • KCI등재

        일지역 보건교사의 지각된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오경옥(Kyongok Oh),강문희(Moonhee Gang),이선현(Sunthyun Lee) 한국보건간호학회 2012 韓國保健看護學會誌 Vol.26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occupational stress and to determine level of depression of school nurses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depression. Methods: A cross-sectional design was employ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included 146 school nurses from D cit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on January 17-21, 2011,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SPSS/WIN 11.5 was used in performance of data analysis.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occupational stress were observed according to age, occupation and perceived mental health status, and in depression according to marital status, perceived mental health status and physical disease. Depression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occupational stress (r=.35, p<.001). In regression analysis, occupational stress and physical health state were found to be the cause of depression in 17% of subject. Conclusion: Findings of this study allow fo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occupational stress and level of depression of school nurses in Korea. Further study using a larger random sample and various variables is needed.

      • KCI등재

        비자금 조성행위의 형사처벌에 대한 한 ‧ 독 판례 비교 및 검토

        안경옥(Ahn Kyongok) 대검찰청 2013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41

        기업이나 개인이 비자금을 조성하는 방법은 다양한데, 비자금의 조성행위와 관련된 우리 판례의 태도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비자금을 조성한 행위는 (업무상) 횡령죄 인정여부가 문제되며, 둘째, 비자금 조성의 목적이 회사를 위한 것인지 개인 또는 기타 다른 목적인지에 따라 불법영득의사가 결정되며, 셋째, 뇌물공여를 목적으로 비자금을 조성한 때에는 그 목적이 회사를 위한 것으로 볼 수 없다. 결국 대법원은 비자금 조성행위의 형사처벌 여부는 횡령죄의 불법영득의사와 관련된 문제로 판단하고 있다. 독일 판례의 태도를 요약하자면, 비자금 조성행위는 횡령죄가 아닌 배임죄의 문제이며, 비자금을 조성한 행위 자체가 배임죄의 손해에 해당될 수 있으며, 비자금을 조성한 목적이 회사를 위한 것이었다 하더라도 배임죄 성립에 영향이 없으며, 다만 비자금의 존재를 소유자가 알았는가, 혹은 소유자가 처분, 관리할 수 있었는가에 따라 손해 발생의 위험 여부를 평가할 뿐이라고 하겠다. 비자금 조성행위에 대해 횡령죄를 인정할 수 있는 경우, 본 죄의 기수 여부는 횡령죄 구성요건인 ‘타인 재물의 영득’ 여부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며, 재물을 영득함은 재물에 대한 소유권자의 종국적 배제의 구체적 위험이라는 결과가 발생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준으로 비자금 조성행위를 판단해 본다면, 자기 또는 제3자의 개인적 용도로 착복할 목적으로 비자금을 조성하는 행위는 이미 재물에 대한 소유권자 배제의 구체적 위험이 발생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 하에 비자금을 조성한 행위는 횡령죄의 기수를 인정할 수 있다고 하겠다. 비자금 조성행위에 대해 배임죄 성립이 가능한가 하는 점에 대해서는, 우리 형법상 배임죄 규정은 독일의 규정과는 달리 미수범을 처벌하기는 하지만, 배임죄의 고의 내용으로 재산상 이익취득의 의사를 요하므로 회사를 위한 비자금 조성 및 그 사용 행위에 대해 배임죄의 고의를 인정하기는 어렵다고 하겠다. 다만 입법론상 배임죄의 구성요건에 행위자의 이익취득이라는 요건이 필요한가라는 점에 대해서는 법정책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There are a variety of ways to creating slush funds from companies and individuals and our cases associated with slush fund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problem that whether creating slush funds can be recognized as the embezzlement and second, intend of unlawful gain is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creating slush funds for personal or company and other purposes, And third, if people create slush funds for the purpose of bribery, the purpose could not be considered for a company. The Supreme Court eventually sentence embezzlement if the people have intend of unlawful gain. To sum up the attitude of German case law, creating slush funds can constitute not embezzlement but misappropriation. The behavior of creating slush funds can be considered loss of misappropriation and even if the purpose of it is for their company, there is no problem that the behavior can constitute breach of trust. However, if the owner can know slush funds or manage and dispose it, courts would judge risk of loss. There meet two conditions to constitute embezzlement by creating slush funds. First, consummation of the crime should be determined when people possess other’s property and that occur a result of risk about ultimate exclusion of possession. By considering behavior of creating slush funds under those conditions, when people make slush funds for themselves or others, that behaviors already occur specific risk being exclusion possession of property. So the behavior can constitute consummated embezzlement. In regard that behavior of creating slush funds is possible to constitute breach of trust, criminal law has provision of attempted breach of trust unlike German criminal law. However the provision requires intend of benefit of property so it is not easy to recognize mens rea of breach of trust about creating slush funds for their company. Therefore it needs law-policy research to review whether obtaining the benefit of the actors term need to add the configuration requirements in criminal law.

      • KCI등재

        [특집 : 주요 형사특별법의 정비방안]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의 정비방안

        안경옥(Ahn Kyongok) 한국형사정책학회 2005 刑事政策 Vol.17 No.2

        Strafe soll nicht 'leichtes', sondern letztes Mittel für die Lösung der verschiedenen sozialen Probleme sein, denn sie greift in entscheidendem Maße in unsere Grundrechte ein. Falls jemandem eine Strafe wegen seines Verhaltens auferlegen soll, soll dieses sozialwidriges Verhalten nicht im besonderen einzelnen Strafverschärfungsgesetz, sondern im Strafrecht geregelt werden. Demgemäß soll dises ‘Strafverschärfungsgesetz bezüglich bestimmten Wirtschaftsverbrechen’ abschaffen werden. Und unter Umst?nde wird die Möglichkeit berücksichtigt, daß Strafe der bestimmten Wirtschaftsverbrechen noch höher als jetzige Bestimmungen, aber im Strafrecht geregelt werden. Das Strafrecht wird ein wirksames Mittel für die Bek?mpfung gegen Verbrechen funktioniern, wenn ein strafwürdiges Verhalten nicht im einzelnen spezialen Strafverschärfungsgesetz, sondern im Strafrecht geregelt wird. Man kann den Tatbestand eines Vermögensdeliktes - z.B. ein Betrug - im Strafrecht als Grund- und Verschärftungstatbestand geteilt bestimmen. Und für einen strafverschärfenden Tatbestand kann eine Gegetzgebungsmethode der ‘Regelbeispiele’ verwendet werden.

      • KCI등재

        성적 괴롭힘(성희롱)의 형사처벌 가능성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

        안경옥 ( Ahn Kyongok ),김희정 ( Kim Hee Jung )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21 비교형사법연구 Vol.22 No.4

        본 고에서는 먼저 성희롱의 개념과 판단 기준을 살펴보고, 외국의 입법례 중 성희롱을 형사처벌하는 대표적인 입법례로 미국, 프랑스 및 독일을 규정을 검토한 후 우리 법에의 시사점을 정리하고자 한다. 그리고 비교법적 연구는 외국의 입법례의 소개가 아닌 우리 법체계 내에서 그 타당성 여부를 살펴보아야 하므로 마지막 장에서는 성희롱에 대한 관련 입법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성적 괴롭힘의 행위 중 일부는 현행 형법이나 형사특별법에 의해 처벌하는 것이 가능하나, 성적 자기결정권을 침해하는 모든 행위를 처벌하는 것은 아니어서 처벌의 공백이 생기는 것은 어쩔 수 없다. 그 대표적인 경우가 동의 없는 성적 강요 내지는 성적 괴롭힘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부분에 대해 형사처벌의 필요성이 있다면, 이제는 과감히 형사법의 성폭력 범죄의 체제를 정비하고, 성폭력범죄의 내용을 단순화·체계화하면서 아울러 당벌성 있는 행위에 대한 적정한 법정형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당벌성 있는 행위인가 하는 점은 성적 자기결정을 침해하는 행위이면서도 형법의 보충적 성격에 비추어 처벌할 필요성 있는 행위라고 하겠다. 다만 형사처벌되는 성적 괴롭힘의 내용은 그 내용이 노동법 영역에서의 성적 괴롭힘 행위보다는 좀 더 제한적이어야 하므로, 원치 않는 성적 괴롭힘 행위는 결국 상대방의 동의 없는 성적 행위로 비동의 간음이나 추행을 포함하며, 더 나아가 간음이나 추행 요건에 해당하지는 않으나 개인의 성적 자기결정권을 침해하는 행위를 보충적 규정으로 성폭력범죄에 추가해야 할 것이다. 그것은 성폭력범죄를 그 행위태양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입장에서 벗어나 이제는 그야말로 보호법익인 ‘성적 자기 결정권’ 침해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 피해자의 원치 않는 성적 행위가 있다면 이를 처벌하도록 하여 실질적으로 성적 자기 결정권을 보호해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review definition of actionable harassment, as based on a model of sexual harassment law as a form of discrimination and judicial standard of sexual harassment. And the Article explore those judicial and legislative developments and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a focus on dignity and discrimination as the basis for sexual harassment law in Germany and in other nations, including France and the United States and then suggest the direction of legislation related to sexual harassment. Some of the acts of sexual harassment are punishable by criminal or special criminal laws, but there is a problem in which all acts that violate the right to sexual self-determination can not be punished such as a sexual coercion or sexual harassment without consent. It is necessary to simplify sexual crimes and organize appropriate legal sentences for the sexual crimes in criminal law. However, criminal law should be more limited than sexual harassment in the labor law, unwanted sexual harassment eventually includes rape or sexual assault without the consent, and furthermore, it should be added to sexual violence as supplementary provisions for invading an human right to sexual self-determination. It should not judge a sexual violence crime based on the perpetrator's actions, but should now judge whether it violates the sex self-determination as human right. That is, if there is any unwanted sexual act against a victim, it should be punished to protect the human right and prohibit gender discrimination.

      • 배임죄의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의 의미 : 동산 · 부동산의 이중매매 · 이중양도 등을 중심으로 - 대법원 2015. 3. 26. 선고 2015도1301 판결 -

        안경옥 ( Ahn Kyongok ) 법조협회 2016 최신판례분석 Vol.65 No.9

        대법원은 배임죄의 주체와 관련한 최근 일련의 판결을 통해 가능한 한 배임죄의 성립범위나 처벌이 지나치게 확대되지 않도록 배임죄 구성요건을 제한적으로 해석하는 것으로 보여 진다. 배임죄 주체와 관련된 사례는 상당히 다양하므로 본 고에서는 부동산이나 동산의 이중매매, 이중저당 혹은 이중양도와 관련한 사례에 한정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부동산이나 동산의 이중매매와 관련하여 매도인은 중도금을 받고도 소유권이전의무를 불이행하면 매매계약에 따른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전적으로 민사상의 영역이며, 민사상의 법률관계에서 소유권 이전을 누구에게 할 것인지는 중도금을 받은 것과 상관없이 소유자인 매도인이 전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중도금을 받은 이후라 하더라도 매도인이 소유권이전등기 의무를 이행하지 않거나 물건을 인도하지 않았다고 해서 배임죄 처벌이 가능하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는 잔금을 받은 경우에도 마찬가지라고 볼 수 있다. 그것은 잔금을 받았으나 소유권을 이전해주지 않은 경우도 전형적인 채무불이행에 불과하며, 그 결과 이러한 소유권을 이전해 주는 의무는 단순히 매도인의 자기사무이며, 타인의 권리보호를 본질적인 혹은 중요한 내용으로 하는 배임죄의 `타인의 사무`로 보기 어렵다. 이러한 결론은 이중매매 등의 대상이 동산이냐 부동산이냐에 따라 달라지는 것은 아니라고 해야 할 것이다. 본고의 대상판결은 임차권의 이중양도를 그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경우도 앞서의 이중매매나 이중양도 등의 경우와 다르지 않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배임죄 성립을 부정한 판례의 태도는 타당하다고 하겠다. The Supreme Court seems to limitedly interpret constitution of breach of trust so that the punishment and establishment of breach of trust are not overly expanded through related recent series of judgement. Since the related case of breach of trust are diverse, this article examine the cases related to double marketing, double mortgage, and double transfer of real estate or movable property. In relation with the double trade of real estate or movable property, if the seller fails to fulfill the obligation to transfer the ownership even after the payment has been made, the seller may be liable for damages caused by default on the contract of sale. However, it is entirely a civil domain. In the civil legal relationship, regardless of the receipt of the intermediate payment, it should be said that the owner, who owns the transfer of ownership, can make the decision completely. Even after the intermediate payment, if the seller fails to fulfill the obligations to transfer ownership or fails to deliver the stock, it is hardly possible to punish breach of trust. This can be applied even after the balance payment. In the case of failing to transfer the ownership even after balance payment, this is merely a typical default. As a result, the obligation to transfer these ownership is merely the seller`s own affairs and it is hard to see it as `the affair of others`, which is fundamental right or protection of the rights of others. This conclusion should be said that the subject of double trade does not depend on whether it is a movable property of a real estate. The subject judgement of this article is the double transfer of lease. In this case, it is not different from the case of double trade or double transfer. Therefore, the attitude of the judicial court denying the establishment of the breach of trust is valid.

      • KCI우수등재

        최신판례분석 : 배임죄의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의 의미 : 동산 · 부동산의 이중매매 · 이중양도 등을 중심으로 - 대법원 2015. 3. 26. 선고 2015도1301 판결 -

        안경옥1 ( Ahn Kyongok ) 법조협회 2016 法曹 Vol.65 No.9

        대법원은 배임죄의 주체와 관련한 최근 일련의 판결을 통해 가능한 한 배임죄의 성립범위나 처벌이 지나치게 확대되지 않도록 배임죄 구성요건을 제한적으로 해석하는 것으로 보여 진다. 배임죄 주체와 관련된 사례는 상당히 다양하므로 본 고에서는 부동산이나 동산의 이중매매, 이중저당 혹은 이중양도와 관련한 사례에 한정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부동산이나 동산의 이중매매와 관련하여 매도인은 중도금을 받고도 소유권이전의무를 불이행하면 매매계약에 따른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전적으로 민사상의 영역이며, 민사상의 법률관계에서 소유권 이전을 누구에게 할 것인지는 중도금을 받은 것과 상관없이 소유자인 매도인이 전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중도금을 받은 이후라 하더라도 매도인이 소유권이전등기 의무를 이행하지 않거나 물건을 인도하지 않았다고 해서 배임죄 처벌이 가능하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는 잔금을 받은 경우에도 마찬가지라고 볼 수 있다. 그것은 잔금을 받았으나 소유권을 이전해주지 않은 경우도 전형적인 채무불이행에 불과하며, 그 결과 이러한 소유권을 이전해 주는 의무는 단순히 매도인의 자기사무이며, 타인의 권리보호를 본질적인 혹은 중요한 내용으로 하는 배임죄의 `타인의 사무`로 보기 어렵다. 이러한 결론은 이중매매 등의 대상이 동산이냐 부동산이냐에 따라 달라지는 것은 아니라고 해야 할 것이다. 본고의 대상판결은 임차권의 이중양도를 그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경우도 앞서의 이중매매나 이중양도 등의 경우와 다르지 않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배임죄 성립을 부정한 판례의 태도는 타당하다고 하겠다. The Supreme Court seems to limitedly interpret constitution of breach of trust so that the punishment and establishment of breach of trust are not overly expanded through related recent series of judgement. Since the related case of breach of trust are diverse, this article examine the cases related to double marketing, double mortgage, and double transfer of real estate or movable property. In relation with the double trade of real estate or movable property, if the seller fails to fulfill the obligation to transfer the ownership even after the payment has been made, the seller may be liable for damages caused by default on the contract of sale. However, it is entirely a civil domain. In the civil legal relationship, regardless of the receipt of the intermediate payment, it should be said that the owner, who owns the transfer of ownership, can make the decision completely. Even after the intermediate payment, if the seller fails to fulfill the obligations to transfer ownership or fails to deliver the stock, it is hardly possible to punish breach of trust. This can be applied even after the balance payment. In the case of failing to transfer the ownership even after balance payment, this is merely a typical default. As a result, the obligation to transfer these ownership is merely the seller`s own affairs and it is hard to see it as `the affair of others`, which is fundamental right or protection of the rights of others. This conclusion should be said that the subject of double trade does not depend on whether it is a movable property of a real estate. The subject judgement of this article is the double transfer of lease. In this case, it is not different from the case of double trade or double transfer. Therefore, the attitude of the judicial court denying the establishment of the breach of trust is vali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