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日羅 사건’의 성격과 의미

        백승충(Baek, Seung-Chung) 부산경남사학회 2021 역사와 경계 Vol.121 No.-

        ‘日羅 사건’은 왜 왕권의 일라 ‘소환’과 백제의 반대, 귀국 후 일라의 반백제 활동과 죽음, 이후 이장과 범인에 대한 사후 조치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 사건은 친백제 세력인 物部氏 관할의 築紫 지역을 매개로 한 백제와 왜 왕권의 교섭 재개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즉 일라의 귀국과 죽음은 종래 백제와 왜 왕권의 대외관계를 견인하였던바 광의의 왜 출신 백제 관인의 역할이 관산성 전투와 가야 멸망 이후 완전히 끝나고, 왜 왕권의 대외 정책의 방향이 다변화되었음을 잘 보여준다. 일라의 백제 파견에 앞서 阿利斯等과 그의 子 일라 등은 卓淳國이 신라에 병합되자 渡倭하였다. 아리사등 일족의 도왜에는 물부씨에 앞서 당시 왜 왕권의 최고 귀족이자 축자 지역을 관장하고 있던 친백제 세력인 大伴大連金村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대반대련금촌은 백제에의 임나 4현 및 기문‧대사 지역의 ‘할양’을 주도하였는데, 그 연장선에서 낙동강 하류의 남부가야 3국 가운데 포함된 친백제 가야국인 탁순국과 유대관계가 깊었다. 아리사등 도왜 직후 자 일라는 대반대련금촌에 의해 혼자 백제에 파견되었다. 파견 목적은 낙동강 하류를 장악하여 제해권을 확보한 신라를 견제하기 위해 백제와 왜 왕권의 우호관계를 더욱 돈독하게 유지하는 차원이었다. 일라는 백제에서 ‘韓婦’와 혼인하고, ‘達率(2위)’이라는 높은 지위에 올랐다. 일라는 전형적인 ‘왜계백제관료’와는 차이가 있는데, 『일본서기』에서는 도왜한 아리사등 일족을 倭人으로 간주하여 백제 출신인 일라의 부인을 ‘한부’로 칭한 것으로 추정된다. 왜 왕권은 백제에 머물고 있던 일라를 귀국시키기 위해 두 번에 걸쳐 ‘紀國造押勝’ 등을 파견한 끝에 어렵게 성사시켰다. 백제의 반대가 있었기 때문이다. 일라의 ‘소환’은 蘇我氏가 주도하였는데, 吉備氏 및 木氏의 후예인 紀氏 등 전통적으로 한반도와의 대외교섭에 능했던 실무자 집단을 활용하였다. 두 번째로 백제에 파견된 ‘吉備海部直羽嶋’ 등은 ‘한부’를 통해 비밀리에 일라와 접촉하였는데, 귀국 이후의 반백제 활동에 대한 논의 과정이었다. 왜 왕권은 일라 ‘소환’ 목적을 ‘임나 부흥’에 두고 있다. 그러나 ‘임나 멸망’ 이후 비록 그 의미가 사라졌지만, 실제는 ‘임나 부흥’ 인식을 공유하고 있던 백제와의 관계를 재고하는데 있었다. 반면 백제는 축자 지역을 관장하고 있던 물부씨와 함께 축자에의 新國 건설을 추진하였다. 이것은 신라에 빼앗긴 제해권을 되찾고, 蘇我氏와 阿倍氏 등이 주도한바 ‘任那의 調’를 매개로 한 신라와의 외교 교섭과 고구려와의 통교 등 왜 왕권의 다변화된 외교를 견제하려는 의도였다. 그러나 소아씨의 왜 왕권은 이를 간파하고 일라의 ‘소환’을 서둘러 성사시켰고, 귀국한 일라는 왜 왕권에 충성을 맹세하고 ‘백제의 신국 건설 계획’을 폭로하는 등 반백제 활동을 전개하여 백제와 물부씨의 계획을 무산시켰다. 즉 일라가 귀국하여 반백제 활동을 전개하고 소아씨 주도의 다변외교에 가담한 것은, 왜 왕권의 축자 지역 지배의 당위성을 강조한 것에 다름 아니다. 결국 상징적이지만, 왜 왕권은 일라의 ‘소환’과 귀국 이후 그의 반백제 활동을 통해 백제와의 외교관계를 재정립하고, 대 신라 외교관계를 확립하는 등 다변외교의 장애 요소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또한 이를 계기로 물부씨의 축자에 대한 영향력은 약화되고 대신 소아씨가 주도한 왜 왕권이 지방세력에 대한 통제의 일환으로 축자 지역에 대한 직접 지배를 더욱 강화할 수 있었다. ‘일라 사건’은 이같은 정황을 최종적으로 보여준다고 하겠다. The main contents of the ‘Nichira Incident’ are the ‘summoning’ of the Wei royal authority, the opposition of Baekje, the anti-Baekje activities and death of Nichira after returning home, and the follow-up measures against the head of the village and the criminal. Nichira"s return and death show that the role of Baekje officials from Wei, who previously led the foreign relationship between Baekje and the Wei royal authority, ended completely after the Battle of ‘Gwansanseong Fortress’ and the fall of Gaya, and the direction of the Wei royal authority"s foreign policy has diversified. Prior to Nichira"s dispatch to Baekje, the family, including Alisadeung, fled when their country Tokujunnokuni was merged into Silla with the help of Ōtomo no Ōmuraji Kanamura(大伴大連金村). Ōtomo no Ōmuraji Kanamura led Imna 4hyeon and Gimun and Daesa ‘alienate’ to Baekje, and in its extension, it had deep ties with Tokujunnokuni, one of the three Gaya countrie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Nakdonggang River. The purpose of Nichira"s dispatch to Baekje is not clear. Perhaps it was to maintain friendly relations to check Silla, which gained control over the downstream of the Nakdonggang River. Nichira married ‘Karamenoko(韓婦)’ in Baekje and climbed to ‘Dalsol(達率)’(2nd place). Nichira is not a typical ‘Baekje official of Wai lineage’, but his wife was referred to as ‘Karamenoko’ because the family, such as Alisadeung, was regarded as Wei" citizen. Despite Baekje"s opposition, the Wei royal authority achieved Nichira"s ‘summoning’. Nichira"s ‘summoning’ was led by Sogauji. The purpose was to pursue diversified diplomacy, such as negotiations with Silla through Imna"s group and diplomatic relations with Goguryeo, instead of Imna Revival, which was previously shared with Baekje. At that time, Baekje and Mononobeshi planned to build a new country on a congratulatory site, but the Wei royal authority of Sogauji recognized it and hurriedly completed Nichira"s ‘summoning’ in advance. Nichira, who returned home, engaged in anti-Baekje activities by vowing loyalty to the kingship and exposing plans to build a new country. Nichira returned to home, participated in the multilateral diplomacy of Sogauji, and emphasized the legitimacy of the Wei royal authority"s domination in this region, centered on the ‘Chikushi(築紫)’. Eventually, the Wei royal authority completely eliminated obstacles to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Silla through Nichira"s summoning and his anti-Baekje activities. In addition, with this opportunity, the Wei royal authority led by Sogauji was able to strengthen direct control over the livestock area amid the weakening of Mononobeshi. It can be said that the "Nichira Incident" finally shows this situation.

      • KCI등재

        조기천 『백두산』 연구의 선결문제

        고현철(Several Previous Problems of the Study on Jo Gi-Chun",s Baekdusan) 한국문학회 2005 韓國文學論叢 Vol.39 No.-

        This essay aims to investigate several previous problems of the study on Jo Gi-Chun's Baekdusan. The results of this essay a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is essay investigates differences between several Baekdusan Texts, that is, 1955 Text, 1986 Text(1987 Text, 1989 Text) and 1995 Text(2004 Text). And, it examines we should practical use 1955 Text in order to study Jo Gi-Chun's Baekdusan. Second, it investigates the fact that Kim Il-Sung intervened in the process of creating Jo Gi-Chun's Baekdusan, holding political intention in his bosom. Third, it investigates that several perspectives ― external, internal, and internal-critical ― of the study on North Korean Literature. And, it investigates internal-critical perspective is most suitable for the study on Jo Gi-Chun's Baekdusan among three perspectives. In conclusion, it is claimed that we should read Baekdusan(before-1955 Text) by focusing on the political history of North Korea in terms of the internal-critical perspective for the study on Jo Gi-Chun's Baekdusan.

      • KCI등재후보

        백운경한(白雲景閑)의 선사상(禪思想)과 "무심진종(無心眞宗)"의 시학(詩學)

        변영희 ( Young Hee Byun ),백원기 ( Won Gi Baek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3 No.-

        본 논문의 목적은 白雲景閑(1298-1374)의 ‘無心無念’의 선사상 형성과 특징, 그리고 그것이 수행과 깨달음의 과정에서 어떻게 시적 형태로 변용되어 우리에게 던져주는 메시지가 무엇인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태고보우(1301-1382)와 나옹혜근(1320-1376)과 함께 고려 말의 三和尙으로 불리는 백운경한은 고려시대의 선시문학을 꽃피웠을 뿐만 아니라 조선 시대 선승들의 시문학에 가교 역할을 하였다. 백운은 7-8세 무렵 출가하여 전국의 유명한 사찰을 다니면서 40여년을 수행하다가 1351년 54세 때 구법을위하여 원나라에 갔다. 그곳의 하무산 천호암에 주석하고 있던 臨濟禪의 거장 石屋淸珙(272-1352)으로부터 오직 ‘無心의 眞宗’을 배우고 불법의 묘도를 깨달아 臨濟宗의 선법을 전수 받고, 또한 指空(?∼1363)선사에게 법을 묻고 가르침을 받았다. 1353년 귀국 후 백운은 일생을 ‘무심’의 진리에 침잠, 선문을 오가며 법호 그대로 백운처럼 유유자적하며 살다 여주의 취암사에서 77세에 입적하였다.백운은 임제선의 계승자임을 자처하면서도 간화선 수행을 넘어선 ‘無心無念’의 선을 강조했다. 화두가 본래의 뜻보다는 오히려 또 다른 집착을 일으키는 장애가 되는 것으로 보고 無心禪으로 선가의 가풍을 새롭게 하고자 하였다. 그의 이러한 ‘무심선’은 다분히 그의 시문학에도 담겨 있다.운화상어록 하권에 그의 구도와 깨달음의 과정에서 체험하고 느낀점을 담아낸 125수의 주옥같은 선시와 여러 사람들과 주고받은 글들이 실려 있음이 이를 반증해 주고 있다. 따라서 무심선을 기반 한 그의 구도와 깨달음의 과정을 노래한 시, 無碍自在의 선적 사유의 시, 그리고 자연과 합일된 한가함과 脫俗無碍한 관조의 시편들은 그의 ‘무심진종’의 시학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곧 집착과 채움의 사유로 불안하고 번다하게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비우고 내려놓는 삶의 지혜를 일깨워 줌으로써 ‘텅빈 충만’의 세계를 보듬게 하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e the poetics of the ``Musimseon``(No-Mind meditation) of Baekwun Gyeonghan(1298-1374) who is a representative seon master and poet in Korea Dynasty, focusing on the formation and characteristic of Musimseon and its influences on his seon poetry: the poems of seeking the dharma and of attaining enlightenment, the poems of meditative thought without any obstacles, and the poems of sympathy with nature. Imchison( 臨濟禪) was introduced from China. Taegobou(太古普愚, 1301-1382)and Naonghyegeun(懶翁惠勤, 1320-1376) encouraged the Ganhwason(看話禪), on the other side, Baegunkyonghan (白雲景閑, 1298-1374) enhanced the Musimson(無心禪). Though the three greatest masters had the different idea of Son, they played a great role in the late Koryo Buddhism. Baekwun``s Musimseon is well revealed in the course of seeking dharma and attaining enlightenment. Actually, Baekwun learned the genuine meaning of Musim from old master Shiwu(石屋, 1272-1352)and also attained the supreme enlightenment. After that, he got ``Inga``(permission of enlightenment) from Shiwu and then succeeded his Imjison lineage. Also, he visited master Jigong(?∼1363) from India and received his teachings. Baekwun regarded Linjiseon(or Ganwhaseon) as one of best practices to attain enlightenment and also stressed ``Musimseon`` beyond Ganwhaseon practice. In this vein, he tried to establish a new Seon tradition through Musimseon. Its trend is well expressed in his poetry. This is the very products of his poetics based on the genuine meaning of Musim. Furthermore, his Musimseon-poetry has a significant meaning as an active practical discourse which aspires to get over attachment and anxiety in our times and then to attain the fullness of the vacancy.

      • KCI등재

        웅진시대 백제의 왕도 5부제

        백미선 ( Baek Mi Sun ) 수선사학회 2019 史林 Vol.0 No.70

        The center of Baekje during the period of Woongjin was Woongjin, which was the royal capital. Therefore, how Woongjin looked and changed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development of the Baekje Kingdom's historical development. The five-part system of the royal capital was a complete change from the previous period's recognition and arrangement of the royal capital. Baekje, during the Woongjin Dynasty, By enforcing The five-part system of the royal capital, dismantled the system of the Hanseong Dynasty and provided a foundation for the one-sided inclusion of the people of Baekje under the royal authority. As a result, Baekje was able to establish awareness of the royal capital, organize the Central Army based on the royal capital, and expand its territory.

      • 백제 불탑지 연구 현황

        탁경백(Kyung-baek Tahk)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15 불교와 사회 Vol.7 No.-

        枕流王대 불교를 받아들인 백제는 사비기에 들어와 사찰이 증가하면서 불탑의 조영도 증가하게 되었다. 현존하는 유구는 없지만, 현재까지 발굴조사와 연구 활동 등을 통해 그 자료가 축적되었다. 본고에서는 사비천도 이후 증가하는 백제 불탑에 대해 그 확산배경과 이제까지의 연구 현황을 발굴조사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聖王대 사비천도를 단행한 백제는 중국 남북조, 고구려의 문화와 기술이 유입되었다. 또한 건축과 토목을 담당하는 새로운 전문 기술집단인 사공부(司空部), 공덕부(功德部), 목부(木部)와 박사(博士) 등이 등장하여 불탑의 건립에 일익을 담당하게 된다. 이러한 문화와 기술을 배경으로 사비천도 이후 불교유적은 현재까지 31개소가 확인되었고 불탑도 12개소 유적에서 확인되었다. 먼저 척도와 관련해서 불탑이 소재한 사찰에서 출토된 유물의 제작척을 검토한 결과, 6세기에는 南朝尺이 사용되었고 7세기에는 唐尺이 사용되었으며 高句麗尺은 부분적으로 6세기와 7세기에 모두 사용되었다. 두 번째 기단부 구성은 대지를 마련하기 위한 방법으로 경사성토방법과 수평성토방법이 확인되었다. 기단토를 만드는 방법은 굴광판축형과 지상구축형, 그리고 특수한 방법으로 지상삭토형이 확인되었다. 기단외장은 대체로 석조로 구축되었으며, 이층기단으로 보고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기존 연구성과의 재검토를 통해 낙수받이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심주를 받치는 심초석은 8개소에서 확인되었고 설치 위치는 지하에서 지상으로 바뀌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평면 구성은 6세기 불탑지 기단부 길이가 대체로 11-12m 범위이지만, 익산에서 확인되는 제석사・미륵사 불탑의 규모는 20m에 근접되어 규모가 커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주혈로 柱網을 검토하여 군수리사지 불탑지에서는 실심체 구축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Buddhism was entered in reign of King Chimryu(枕流王) in Baekje. But the number of construction of pagoda increased in time of transferring its capital from Woongjin to Sabi about the 6th century. There is no existing remains. But until now, the data is accumulated through field research and excavation activities. In this report, increasing Buddhist pagoda of Baekje after the relocation of its capital focus on the status of the excavation research. Baekje has confronted a new era of cultural out burst that was different from pre-period through an importation of Goguryeo cultures as well as an exchange with North and South Dynasties of China. Also new group in charge of architecture and civil engineering appeared. They are employees of governmental department of Sagongbu(司空部), Gongdeokppu(功德部), Mokbu(木部) and specialist for the establishment of a pagoda such as Baksa(博士). According to described earlier culture and technology, Buddhist temple sites in the time of Sabi-Baekje were founded until now, 31 ruins including 12 places where pagoda was established. First, I have reviewed artifacts excavated from pagoda sites, I had this conculsions. About ruler for pagoda’s construction, it was used Namjochuck(南朝尺, 25cm) in the six century, Dangchuck(唐尺, 29-29.8cm) in the seventh century. And Goguryeochuck(高句麗尺, 35.6cm) was partly be used in sixth and seventh centuries. Second, the base construction of tilting and horizontal have been selected as contrasting construction methods for temple. The foundation of stereobate soil for the Buddhist temple itself was carried out by Gulgwangpanchuk-style, Jisangguchuk-style and a special method of Sakto-style. External base stone generally was reported as a two-story stereobate from stone material, but the evidence of considering the existing lower foundation has been found the possiblity to be a gutter through an analysis of pagoda site of Gunsurisaji, Neunsanrisaji, Wangheungsaji. Simchoseok supported simju(main central column) was founded 8 sites. The installation method of simju has changed from underground to ground to prevent decaying from water in earth. Third, about plan composition of the sixth century, the length of pagoda base stone was typically 11 to 12m. But the scale of pagodas of Miruksaji and Jeseoksaji temple site in Iksan escalated large closing 20m. Also, by column ruins excavated, we try to restore 1st floor plan. So the plan was showed the possiblity of the construction Silsimche(like support box made by earth) for supporting pagoda structure in Gunsurisaji temple site.

      • KCI등재

        百濟의 王·侯號에 대한 역사적 경험과 그 활용 배경

        백길남(Baek, Kil Nam) 한국고대사학회 2021 韓國古代史硏究 Vol.- No.104

        백제는 고유한 역사적 경험과 발전 과정을 바탕으로, 5세기 후반 왕·후호를 채택하여 활용하였다. 백제의 왕·후호에 대한 역사적 경험은 3세기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漢代부터 西晉代까지 수백 년간 중국왕조는 郡縣을 통해 주변 外夷와 三韓의 유력 세력에게 ‘王·侯·君·長’ 등의 爵號를 수여하면서 이들을 통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다원적이고 중층적인 삼한 사회에서 유력한 대세력만이 왕·후호를 가진다는 특별한 인식이 성립되었다. 백제 역시 동일한 역사적 경험을 거치면서 중국 爵號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3세기부터 6세기 초까지 백제는 한반도 서남부 일대로 영역을 확장해 나갔다. 백제는 복속한 소국의 수장층을 ‘온존’시키고 이들을 통해 복속지의 인적·물적 자원을 수취하였다. 백제가 복속한 수장층을 왕·후로서 임명하였는가는 분명하지 않다. 다만 복속한 소국 수장층의 정치적 권위와 기득권을 인정해주는 일종의 ‘分封’의 형식을 적용한 것이 주목되며, 이를 상징하는 고고자료가 金銅冠帽였던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백제는 加耶諸國을 상대하면서 일종의 ‘宗主國’을 자처하였다. 이처럼 백제는 지역 유력 세력의 일정한 독자성을 보장하면서 중앙의 통제력을 확보하고자 했던 ‘爵的 질서’를 인정하는 지배방식을 활용하였다. 백제의 지배방식은 중앙세력에게 특정 지역의 왕·후호가 허용될 수 있는 배경이 되었다. 3세기 이래의 왕·후호에 대한 이해는 5세기 후반 개로왕과 동성왕대에 전격적으로 채택되어 표명되었다. 이것은 관등제와는 별개로, 中國 官爵의 假授를 통해 자율적인 인사권을 행사하고자 했던 개로왕과 동성왕의 정치적 의도에 따른 것이었다. 개로왕과 동성왕은 자신에게 충성하며 功을 세운 왕족과 귀족에게 將軍號에 임명하였다. 그리고 장군호를 받은 일부 功臣에게는 특정 지역의 왕·후로서 封爵하여 그 정치적 권위를 부여하고 ‘食邑’을 지급하였다. 장군호와 왕·후호 이전에 이미 爵的 성격을 지닌 官等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신분’에 따라 임명과 승급이 제한되는 관등제의 운영 방식과는 달리, 장군호와 왕·후호의 임명 기준은 ‘국왕’ 중심으로 설정되었다는 게 주목된다. Based on Baekje’s unique historical experience and development process, this article was written assuming that Baekje would have adopted and utilized a system for Wang ·Hu title (王·侯號) in the late 5th century. From the Han Dynasty to the Western Jin Dynasty, local governments (郡縣) awarded titles to Wang ·Hu·Kun·Jang title (王·侯·君·長號) to appease and control the influential forces of the Three Hans (三韓). Thus, a perception was established in the Three Hans that only the most influential people would receive the Wang ·Hu title. Baekje would likely also have shared this perception through its historical experience with the Wang ·Hu title. From the 3rd century to the early 6th century, Baekje gradually expanded to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Baekje maintained its subjugated influential forces and received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from the subjugated land through them. It is noteworthy is that it applied a kind of feudal governing method (分封) that recognizes the political and vested rights of influential forces. This approach was also made in negotiations with other foreign countries such as King Gaero and King Dongseong bestowed the military officer title (將軍號) as a recognition of outstanding merit to the royal family and aristocrats who were loyal to them and made contributions to the kingdom. Some contributors were granted political authority by being invested with the Wang ·Hu title in a specific area and reaped economic benefits by Tax-village (食邑) granted to them. Originally, Tax-village were granted through appointment to and promotion in the official rank. However, unlike the official rank gradation system in which appointment and promotion were restricted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status, the king’s will was prioritized in the Wang·Hu title.

      • KCI등재

        국제개발협력 정부기관 비교 연구 - 6개 원조공여국의 농촌지도를 중심으로 -

        백숙희 ( Sookhee¸ Baek ),임형백 ( Hyung Baek¸ Lim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20 지역개발연구 Vol.52 No.2

        농촌지도(rural extension)는 전 세계의 많은 국가에 존재하는 정부기관이다. 농촌지도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고, 많은 원조공여국과 원조수원국에 존재한다. 농촌지도는 국제개발협력에서 중요한 농업기관이다. 한국에는 일제강점기에 도입되었고, 현재에도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농촌진흥청의 주요 기능 중 하나로 남아 있다. 이 논문은 대표적인 6개 선진 원조공여국의 농촌지도를 비교·연구하였다. 농촌지도는 거의 4천년 동안 진화되어 왔지만, 현대적 농촌지도는 1874년 아일랜드에서 탄생했다. 지도(extension)이라는 용어도 영국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이렇게 탄생한 농촌지도는 제2차 세계대전, 즉 1950년대 이전에 전 세계로 확산된 농촌개발 모델이다. 제2차 세계대전 전에는 영국, 프랑스 등의 유럽의 각국들이 제국주의 하에서 아프리카, 아시아 및 라틴아메리카의 여러 나라들을 강점하여 농촌지도사업을 실시한 경우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UN, 미국 등을 통하여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제3세계의 근대적 농촌지도사업의 역사를 논할 때는 제2차 세계대전을 기점으로 삼아 그 이전과 이후로 나누고 있다. 그러나 농촌지도는 농촌개발모델이지 농촌개발 이론은 아니다. 농촌개발 이론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1950년대부터 등장하기 시작했다. Rural extension has a long history and exists in man donor countries and recipient countries. Rural extension is an important government organization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his papers is a comparative study of representative 6 donor countries. Modern rural extension was born in Ireland in 1874. Rural extension is rural development model which spread all over the world before World War Ⅱ, or 1950. Before World War Ⅱ, European countries, such as Britain, france, and other countries conducted rural extension in colonies in Africa, Asia and Latin America under imperialism. After World War Ⅱ, rural extension spread all over the world through the United States and United Nations(UN).

      • 신라대학교 주변 백양산의 동물상

        노치권(외 6명) 신라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12 自然科學論文集 Vol.22 No.-

        To study fauna of Silla University located in Mt. Baek-yang, we conducted six surveys from 29 May 2011 to 28 April 2012. We found five phyla 41 orders 197 species of animals inhabiting in this area: four phyla 27 orders 163 species of invertebrates and in vertebrates one order six species of fishes, three orders nine species of amphibians and reptiles, six orders 14 species of aves, and four orders five species of mammals. Of these species, some Korean endemic species were included: a fish of Rhodeus uyekii in a pond near main gate of this university, a frog of Rana coreana in a creek near a dormitory, and a rabbit of Lepus coreanus and a water deer of Hydropotes inermis in a grass region near a main stadium. A kind of hawk, Falco tinnunculus as a natural monument (animal) of no. 323-8, was observed on a building of medical and life science. A blue frog of Hyla japonica as a variation was found near a spring resort. Therefore, this area is considered an ecologically important area having a high animal diversity.

      • Efficiency for extracting icariin from Epimedium koreanum Nakai by temperature and solvent variations

        Baek,Hum-Young,Lee,Young-Sang 한국자원식물학회 2003 Plant Resources Vol.6 No.3

        To improve industrial scale extraction method for extraction of icariin from Epimedium koreanum Nakai, the yields under different extracting conditions such as solvent, temperature, duration and solvent to plant material weight ratio were compared. Regarding extracting solution, highest extracts and icariin yield could be achieved when 10% EtOH was used. In case of plant material to extracting solvent ratio,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uld be observed from 1/10 to 1/50, indicating 1/10 was the most efficient. Extracting temperature significantly affected extracts and icariin yields in that 90℃ increased the collected extracts and icariin contents up to 29.6% and 0.76%, respectively, compared to 27.2%, 0.33% at 70℃. The yield of extracts was less dependent upon extracting temperature compared to icariin yield. Regarding extraction time, 4 hr and 6 hr resulted in high extracts and icariin yield, respectively. We found extracting Epimedium koreanum Nakai in 10 times volume of 10% EtOH for 4 and 6 hr at 90℃ seem to be relatively efficient methods for extracts and icariin,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