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점토광물의 식품산업분야 활용 방안

        박소림,이소영,김효진,임성일,남영도,강일모,Park, So-Lim,Lee, So-Young,Kim, Hyo Jin,Lim, Seong-Il,Nam, Young-Do,Kang, Il-Mo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5 자원환경지질 Vol.48 No.3

        지구상에는 2000종 이상의 광물이 존재하고 있으며 환경, 건축, 축산, 화학, 의약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 중 점토광물은 흡착과 방출을 통해 물리 화학적인 성질이 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국내 비금속 광물자원의 매장량은 약 96억 톤으로 그 자원 효용이 높은데 반해 고부가가치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벤토나이트와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제품들이 화장품과 생활용품, 포장재 등에 일부 사용되고 있지만 잠재적인 가치 측면에서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식품산업에 활용된 사례는 사실상 전무하다. 광물자원에 대한 식품/약용으로의 섭취기록은 이미 오래 전부터 문헌상으로 존재하고 있으며, 국내 매장량이 높은 자원임을 감안할 때 식품 소재로서의 활용가치는 상당하리라 생각된다. 점토광물의 특허 동향 조사를 통해 미국, 유럽을 비롯한 세계 각국이 기업체를 중심으로 광물자원을 식품산업에 적용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 중이며, 관련 산업이 성장시기에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광물자원 관련 식품산업분야 특허 동향과 광물자원의 식품산업분야 이용 및 규제 현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광물자원을 식품분야에 어떻게 활용할 지에 대한 적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re are more than 2000 minerals on earth, and it has been implemented in various fields such as environment, architecture, livestock, chemistry, pharmaceuticals. Clay minerals are considered that they can change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through the adsorption and release of metal ions. Although domestic deposit of non-metallic mineral resources is approximately ninety-six billion tons, its application is limited and has hardly been used in high value-added industries involved in medicine, medical supplies, and functional food materials. Bentonite and zeolite are already used for cosmetic purposes and also used in living goods and packing materials. However, direct application to the food industry is relatively very rare. Since records regarding the intake of minerals for foods and medicines are found in the old literatures, the utilization of non-metallic minerals as food materials appears to be highly profitable. According to the trends in patent research for food and mineral resources, the company plays a main role for the development of the food containing non-metallic minerals in USA, and the trends confirms that this industry is emerging. Here, we provided the information about domestic and foreign patent trend for food industries involved in mineral resources and the application of mineral resources in the food industries. We also covered the domestic regulation regarding usage of mineral resources in food, and proposed domestic application plan for food production using mineral resources in the future.

      • KCI등재

        곡류 및 두류를 이용한 젖산균 전배양용 식용 배지의 제조

        박소림(So-Lim Park),박선현(Sunhyun Park),장지은(Jieun Jang),양혜정(Hye-Jung Yang),문성원(Sung-Won Moon),이명기(Myung-Ki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6

        본 연구는 곡류 및 두류를 이용하여 식용 가능한 젖산균 모배양용 식용배지를 개발하고자 실시하였다. 식용 배지의 제조를 위하여 곡류는 발아현미, 찰현미, 발아찰현미를 사용하였고, 두류는 대두콩(대두콩, 껍질을 제거한 대두콩, 발아대두콩, 껍질을 제거한 발아 대두콩)과 검은 대두콩(검은 대두콩, 껍질을 제거한 검은 대두콩, 발아 검은 대두콩, 껍질을 제거한 발아 검은 대두콩)으로 나누어서 젖산균 증식배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젖산균은 Lactobacillus(Lb.) farciminis, Lb. homohiochii , Lb. pentosus, Lb. plantarum, Leuconostoc(Leu.) paramesenteroides, Leu. citreum 및 Leu. lactis 총 7종이다. 곡류를 이용한 식용배지에서 배양한 경우, 7개 종균의 평균 균수는 7.6~8.0 log CFU/mL의 균수를 나타내었다. 대두콩으로 제조한 식용배지는 껍질을 제거한 발아 대두콩 배지에서 대부분의 균이 높은 증식량을 나타내었다. 특히 Lb. plantarum은 10.08 log CFU/mL로 가장 높은 균수를 보였다. 검은 대두콩의 경우는 껍질을 제거한 발아 검은 콩배지에서 증식량이 많았다. Lb. homohiochii는 껍질제거 발아 검은 콩배지에서 9.90 log CFU/mL로 가장 많은 증식량을 보였다. 모든 결과에서 곡류와 두류를 이용한 식용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할 때 젖산균 증균량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고, 특히 가장 증식량이 우수한 ‘껍질을 제거한 발아 검은 대두콩’ 식용 배지를 향후 젖산균 모배양에 이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edible culture media with various types of cereals and soybeans for the pre-cultiv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LAB). To manufacture the edible culture media, LAB enrichment media were prepared using cereals such as brown rice (including germinated brown rice, glutinous brown rice, and germinated glutinous brown rice), yellow soybeans (including yellow soybeans, hulled yellow soybeans, germinated yellow soybeans, hulled and germinated yellow soybeans), and black soybeans (black soybeans, hulled black soybeans, germinated black soybeans, hulled and germinated black soybeans). Seven species of LAB were used in the experiment: Lactobacillus (Lb.) farciminis, Lb. homohiochii, Lb. pentosus, Lb. plantarum, Leuconostoc (Leu.) paramesenteroides, Leu. citreum, and Leu. lactis. For edible culture media from cereals, the average viable cell count of the seven starter cultures was 7.6~8.0 log CFU/mL, while that of the MRS culture medium, a synthetic medium, was 9.2 log CFU/mL; thus proliferation was lower by about 1~2 log CFU/mL in starter cultures from cereals compared to the synthetic medium. In the case of the edible culture media from soybeans, most bacteria showed higher proliferation in the hulled and germinated soybean media. In particular, Lb. plantarum showed the highest cell count at 10.08 log CFU/mL. In the case of edible culture media from black soybeans, the proliferation rate was higher in the hulled and germinated black soybean medium. Lb. homohiochii showed the highest proliferation in the hulled and germinated black soybean medium at 9.90 log CFU/mL. All results show that edible culture media using cereals and soybeans are generally good for LAB. Especially, hulled and germinated black soybeans are optimal for the pre-cultivation of LAB medium.

      • KCI등재

        국내 전통식품 품질인증 된장의 α-SMA 발현억제효과

        박소림 ( So Lim Park ),이소영 ( So Young Lee ),김인선 ( In Sun Kim ),임성일 ( Seong Il Lim ),송진 ( Jin Song ),최신양 ( Shin Yang Choi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3 산업 식품공학 Vol.17 No.4

        국내 전통식품 인증을 획득한 된장을 대상으로 간 섬유화 억제를 위한 기능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국내 농산물로만 제조되어진 전통식품인증 된장 총 24개 제품을 전국에서 수집하여 70% 메탄올로 추출한 다음, MEF 세포주에 처리하여 간섬유화의 지표인 α-SMA의 발현 억제활성을 측정하였다. 공장식 생산과정을 거치는 일반 시판된장과 대조군 대비, 경북지역에서 수집된 No. 13 전통인증된장 추출물이 약 74%의 α-SMA 발현억제활성을 나타내어 뛰어난 간 섬유화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의약품으로 사용되는 silymarin 84%과 비교시 10% 정도밖에 차이나지 않았으며, 2년 이상의 발효시간을 거친 제품임을 감안할 때 향후 발효시기에 따른 기능성의 향상에 대한 기대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α-smooth muscle actin (α-SMA) inhibitory activity of traditional doenjang in Korea. Only the traditional doenjang of which quality was certificated in Korea was used in this study. The most significant marker for fibrolysis is the expression of α-SMA and when MEF cells were treated with extract of Kyongbuk doenjang, the α-SMA expression was suppressed 74%, Gangwon and Chunbuk doenjang were suppressed the α-SMA expression more than 60% compared with the control. Particularly Kyongbuk doenjang was fermented over 2 years and the difference between Kyongbuk doenjang and silymarin was only 10%.

      • KCI등재

        전통식품 품질인증 일부 시판 된장의 효소활성 및 항당뇨 활성

        이소영(So-Young Lee),김인선(In-Sun Kim),박소림(So-Lim Park),임성일(Seong-IL Lim),최혜선(Hye-Sun Choi),최신양(Shin-Yang Choi) 한국생물공학회 2012 KSBB Journal Vol.27 No.6

        We investigated the anti-diabetic activity and enzymatic activity of 24 commercial doenjang samples certified for traditional foods. Twenty four doenjang samples showed the wide ranges in enzymatic activities (protease activities 0-50.45 unit/g, α-amylase activities 0-675.9 unit/g, β-amylase 13.6-308.6 unit/g), and there were no difference in enzymatic activity by the producing region. To evaluate the potential anti-diabetic activity of 24 doenjang samples, we examined the effect of doenjang methanol extract (DME) on 2-[n-(7-nitrobenz-2-oxa-1, 3-diazol-4-yl) amyno]-2-deoxyd-glucose (2-NBDG) uptake. Ten samples among 24 samples significantly stimulated the uptake of 2-NBDG. When the cells were treated with DME at 400 ug/mL, No. 17 and 23 specially stimulated 2-NBDG uptake by 1.23-fold and 1.25-fold, respectively,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 cell. And there were no cytotoxicity in the C2C12 cells treated with DME at concentration of 500 ug/mL. Among 24 samples, No. 6, 7, 12, 21 and 24 showed the α-glucosidase inhibitor activity at concentration of 10 mg/mL; however, they were less effective than acarbose which is a commercial α-glucosidase inhibitor.

      • SCOPUSKCI등재

        제2형 당뇨 모델 KK-Ay 마우스에 대한 발효 녹차의 항당뇨 효과

        이소영(So-Young Lee),박소림(So-Lim Park),남영도(Young-Do Nam),이성훈(Sung-Hun Yi),임성일(Seong-Il Lim) 한국식품과학회 2013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5 No.4

        제2형 당뇨질환모델인 KK-A<SUP>y</SUP>를 이용하여 녹차와 발효녹차의 항당뇨 활성을 측정한 결과, 발효 녹차는 비발효녹차에 비해 높은 항당뇨 활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발효녹차 섭취군의 혈당은 당뇨 대조군보다 낮게 유지되었으며, 60일 이후에는 시판 건강기능식품 섭취군(양성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되었을 뿐만 아니라 당화혈색소값도 8.08%로 대조군 및 양성대조군 군보다 낮게 나타났다. 간 조직의 DNA microarray 분석결과, 이러한 발효녹차의 항당뇨 활성은 glycolysis 활성화를 통한 glucose이용율 및 베타세포 function 증가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발효녹차는 혈중 triglyceride 수치를 낮추고 HDL-cholesterol 수치를 높이는 등 당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지질대사이상 개선에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 미루어 보아 발효녹차는 항당뇨 관련 건강기능식품으로의 상업적 이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anti-diabetic effect of green tea fermented by cheonggukjang was evaluated using KK-A<SUP>y</SUP> mice, an animal model of type 2 diabetes mellitus. Over a 90 day testing period, food and water intake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group fed fermented green tea (FGT) and a group fed commercially available health functional food (PC), when compared with a diabetic control group (DC). The blood glucose levels of FGT mice were lower than in DC mice throughout the test period and were similar to the levels in PC after 60 days. Levels of Hemoglobin A1c (HbA1c) levels and insulin resistance were lower in mice of the FGT group than in mice of the DC group. DNA microarray analysis showed that administration of FGT increased the abundance of 12 mRNA transcripts related to diabetes. Whereas FGT increased hexokinase transcripts related to glycolysis more than 37 fold, levels of Pdx1 (pancreatic and duodenal homeobox1) and Cacna1e (calcium channel) transcripts increased more than 1.8 fo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