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ㆍ中 鬼神觀에 나타난 문화적 다양성 연구

        李澯旭(Chan-wook, Lee),金芝恩(Ji-eun, Kim)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2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3

        동양 문화권에서 죽음과 鬼神에 대한 담론은 동양의 死生觀을 이해하는 하나의 중요한 단초가 된다. 인간은 누구나 살아가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불가항력적이며 불가피한 죽음을 공포와 경외감으로 인식하고 있다. 삶과 죽음의 문제는 단선적으로 설명할 수 없고, 접근 방식이나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 그리고 그러한 해석은 민족성과 전통, 종교와 사상에 따라서 의식과 인식체계의 차이가 드러나게 되는데 특히나 동양에 있어서 죽음과 사후세계, 그리고 거기서 비롯되는 귀신의 존재는 현세의 삶에 영향을 미칠 만큼 깊이 자리매김 해 온 것이 사실이다. 바로 그러한 형성과정 속에서 고착된 것이 바로 동양의 귀신관이다. 관념적이며 추상적인 귀신에 대한 화두에 접근하는 방식은 다면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한국과 중국 두 나라에 형성되어 온 귀신관은 어떠했는지, 또 어떻게 일상의 삶 속에 반영되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문학적 텍스트를 살펴보는 것도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귀신 이야기에는 풍부한 문화사적 함의가 내포되어 있기 때문이다. 물론 한국과 중국의 귀신관을 하나로 정리하는 것은 사실 대단히 지난한 문제이다. 귀신이란 존재자체가 형이상학적이고 실제 존재여부조차 증명되지 않은 초월적인 성격을 지니기에 더욱 그렇다. 본 논의는 한국의 任?(1640~1724)과 중국의 蒲松齡(1640~1715)의 대표적인 작품인 〈天倪錄〉과 〈聊齋志異〉를 통해 귀신을 통해 드러나는 문화의 다양성의 실체를 단편적이나마 구명하고자 했다. 그리하여 두 작품은 모두 기본적으로는 유교적 귀신관을 전제로 하지만 그 안에는 불교나 무속, 도교의 신선사상까지도 아우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귀신에 대한 관념이 한국보다 중국에서는 한층 더 자유롭고 다채롭게 다루어 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천예록〉에서는 祭祀를 통해 祖靈을 경외심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부분이 있지만 〈요재지이〉에서는 귀신과의 만남과 사랑이 훨씬 자유롭고 거리낌이 없이 형상화되는 이유에서다. 이는 포송령이 인간과 귀신사이에는 명확한 구분이 없다는 일차원적 시각으로 본 결과이다. 즉, 만물은 다 영혼이 있다고 믿고 영혼과 음양의 기가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인간과 귀신 그리고 동식물의 영혼은 본질적으로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인간과 귀신이 함께 존재할 수 있고 사랑을 위해 인간이 귀신으로, 귀신이 인간으로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상황에 따라서 귀신이 사람보다 더 인간적일 수도 있고 사람이 귀신보다 더 사악할 수도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인간세상과 저승세계가 별 차이가 없다고 본 〈요재지이〉는 〈천예록〉보다 더 환상적이며 흥미롭고 기이한 작품이다. 이상으로 〈天倪錄〉과 〈聊齋志異〉의 두 작품을 통해 나타난 귀신에 대한 다층성과 복합성은 한국과 중국 문화의 다양성으로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Understanding the discourse between death and phantoms in the Asian culture can be an important clue into understanding the oriental world view. Death is an inevitable part of life and sudden death is often meet with fear and awe. Life and death cannot be explained in simple terms. As such, approaching the subject from different directions and angles can lead to a variety of explanations and viewpoints. Through these viewpoints, the different understanding and paradigm regarding ethnicity and tradition can be revealed. Moreover, understanding of death and afterlife in Asia and the resulting current real world influence of the existence of phantoms cannot be ignored for its place in daily life. Through this process is where the Asian phantom theory exists. The following paper attempts to uncover the true cultural diversity express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Asian phantom theories. The ideal and abstract nature of phantoms can lead of a variety ways in which the issue can be approached. As such, it is important to narrow the understanding through examining how phantom theory was created in Korea and through Chinese people, and how the historical works have expressed its understanding on phantoms. The paper looks at the cultural diversity expressed through phantoms examined in parts of the famous works of Leem Bang (임방) and Po Sung Ryong (포송령), 〈Chun Yeo Rok〉 (天倪錄) and 〈Ryo Jae Ji Lee〉 (聊齋志異). It is an extremely difficult task to define the theory of phantoms in words. As such, even Confucius and other saints, as well as many academics in Korea, could not give a clear guidance to the subject. Thus, even though the two works mentioned above includes the doctrines of Confucius as its base, one can find parts of Buddhism, shamanism, and theory of eternal life in Taoism embedded within. Therefore, understanding the microcosm and complexity of phantoms expressed through the two works, 〈Chun Yeo Rok〉 (天倪錄) and 〈Ryo Jae Ji Lee〉 (聊齋志異) can be brought together to accept the cultural paradigm that it attempts to explain.

      • KCI등재

        LSTM 기반 딥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한 상수도시스템 누수인지 모델 개발

        이찬욱,유도근,Lee, Chan Wook,Yoo, Do Guen 한국수자원학회 2021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4 No.8

        Water Distribution Networks, one of the social infrastructures buried underground, has the function of transporting and supplying purified water to customers. In recent years, as measurement capability is improved, a number of studies related to leak recognition and detection by applying a deep learning technique based on flow rate data have been conducted. In this study, a cognitive model for leak occurrence was developed using an LSTM-based deep learning algorithm that has not been applied to the waterworks field until now. The model was verified based on the assumed data, and it was found that all cases of leaks of 2% or more can be recognized. In the future, based on the proposed model, it is believed that more precise results can be derived in the prediction of flow data.

      • KCI등재

        逸士傳을 통해 본 19세기 지식인의 시대인식

        이찬욱(Lee, Chan-wook),심호남(Shim, Ho-nam) 우리문학회 2013 우리文學硏究 Vol.0 No.38

        일사전은 19세기에 집중적으로 편찬되었다. 국내외적으로 혼란이 극심한 시기에 지식인들이 逸士傳을 집중적으로 편찬했다는 것은 특별한 의의를 가진다. 문학은 시대인식을 내포하고 있는 만큼, 본고에서는 19세기 지식인들이 출간한 일사전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19세기 지식인의 시대의식을 살펴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이옥의 傳과 『?山外記』, 『秋齋紀異』, 『委巷?聞』, 『里鄕見聞錄』, 『熙朝?事』을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먼저 작자의 신분이 편찬의식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이후 각 일사전(biography of hermit)이 어떤 기준으로 입전하였는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작성자의 신분과 관계없이 유교적 이념에 투철한 인물을 주로 입전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일사전에 드러난 시대인식은 크게 4가지를 들 수 있는데 ‘개인의 자긱’, ‘기존 유교질서의 유지’, ‘직업윤리의 긍정’, ‘외세에 대항하는 자주적 인식’이 그것이다. 그 과정에서 비록 忠孝烈을 강조하여 表彰하려는 목적이 있다고 하더라도 사건이 구체화될수록 본래 의도와는 다른 현실을 폭로하였다. 현 체제에서 소외된 ‘逸士’라는 범주에 부합하는 인물들을 드러내지만 편찬자는 역설적으로 그들을 통하여 가장 체제유지적인 면을 드러내었다. 종합해보면, 인식의 단위가 가문에서 개인으로 이동하였고 여성의 무조건적인 희생을 강요하던 정절에 대한 인식에도 변화가 생겼다는 절, 위항인의 직업윤리나 예술적 가치를 긍정하는 근대적인 사고방식이 드러났다. 또 위항인이나 천인을 입전하고 그들의 업적이나 심성을 긍정적으로 기린 점은 이전 시기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획기적인 변화이다. 이를 통해 19세기 지식인들의 시대인식이 근대에 가까웠다는 것이 드러난다. Biographies of recluses were intensively compiled in 19th century. It is remarkable that scholars eagerly compiled biographies of recluses when there was unprecedented turmoil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Since literature is the mirror of ages, this thesis attempts to examine how scholars perceived their times by means of their literary works called “biography of recluses”. Specifically. Lee Ok’傳, 『?山外記』, 『秋齋紀異』, 『委巷?聞』, 『里鄕見聞錄』 and 『熙朝?事』 were argued in the thesis. As for study methods, status of the author was firstly analyzed whether it was reflected on his literary works. Secondly, each biography of recluses was studied to clarify what standards were applied to his works when he chose main character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faithful Confucian followers appeared in his stories regardless of the author’s social status. Perceptions of ages in the biographies of recluses a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self-awareness, maintaining Confucian order, Positive stance to professional ethics,and independent ideology defying Western influences. Although he tried to emphasize royalty. filial duty, and faithfulness in his works, the stories happened to expose several facets of reality contrary to his original intention. In other words, the author illustrated characters who secluded themselves from the system, but it shows scholars’ conservative perspectives paradoxically. Several modern ideas are found in the biographies of recluses. First, scholars began to view the world as an individual, not as a member of certain family. Secondly, patriarchal ideology which demanded women’s sacrifices started to be swayed. Also, it is a modern aspect that scholars respect professional ethics and artistic values. Finally, it is a radical change that the author wrote stories about middle and low class people and cherished their achievements and morality. These changes demonstrate that Scholars’ Perception of 19th Century was remarkably close to modernity.

      • KCI등재

        黃眞伊와 李冶의 愛情詩에 나타난 意象에 대한 比較 硏究

        李澯旭(Lee, Chan-wook),吳?(Wu, Xi) 중앙어문학회 2017 語文論集 Vol.71 No.-

        본고는 黃眞伊와 李冶의 애정시에 나타난 〈月〉과 〈水〉가 意象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연구한 결과물이다. 穿鑿한 연구 결과, 黃眞伊의 〈月〉은 〈女心〉, 〈공허한 하늘〉, 〈戀心과 怨望〉, 〈자아〉, 〈고독감〉 등으로 意象 되었고, 李冶의 경우는 〈임과의 想思〉, 〈부부의 관계〉, 〈떠난 님〉 등으로 상징되었다. 〈水〉의 경우 黃眞伊의 작품에는 〈변함없는 사랑〉, 〈유혹의 대상〉으로, 李冶의 작품에는 〈떠난 님〉, 〈고독감〉, 〈戀心〉 등으로 의상되어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두 시인은 작품에서 자연의 물상이자 객관적인 〈月〉과 〈水〉를 주관적인 사상·감정으로 받아들여 기발한 착상과 정취가 물씬 풍기게 意象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article is about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of the portrayals of “moon” and “water” between poems written by Huang Zhenyi(黃真伊) and Li Ye(李冶). The result of the research shows that the moon in Huang’s poem is referred to using several expressions such as “women’s heart,” “empty sky,” “heart of love and despair,” “self,” and “loneliness.” However, the main words that appear in Li’s poems are primarily the symbol of “lovesick about husb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uples,” and “the man who has left.” As far as “water” is concerned in Huang’s poem, the corresponding phrases are “everlasting love,” and “people being tempted,” while opposite expressions appear in Li Zhi’s poem: “the man who has left,” “loneliness,” and “the heart of love.” The above arguments can be proved using the poem. The two female poets find inspiration in their poems with “moon” and “water,” two symbols that exist in the real world, and express their feelings using their subjective ideas.

      • KCI등재

        증례 : 순환기: 심장성 쇼크를 동반한 확장심근병증과 패혈증으로 발현된 부신경절종

        이찬욱 ( Chan Wook Lee ),홍승표 ( Seung Pyo Hong ),이정훈 ( Jung Hoon Lee ),김지원 ( Ji Won Kim ),이현철 ( Hyn Chul Lee ),권현희 ( Hyun Hee Kwon ) 대한내과학회 2016 대한내과학회지 Vol.90 No.4

        저자들은 위험인자가 없는 중년의 남성에서 드문 질환인 부신경절종으로 인한 심한 확장심근병증에 동반된 심장성 쇼크 및 패혈증의 염증반응 악화를 진단하고, 적절한 약물 치료와 수술적 제거로 완치된 경우를 경험하였다. 부신경절종으로 인한 심장성 쇼크 혹은 확장심근병증 및 패혈증의 염증반응 악화는 매우 드물지만,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심혈관계 혹은 감염성 질환 악화 환자에서 감별 질환으로 부신경절종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겠다. Rarely, a paraganglioma can lead to disastrous cardiac complications such as heart failure, cardiomyopathy, or myocardial infarction and inflammatory complications such as sepsis. We describe a 41-year-old man who developed severe dilated cardiomyopathy with cardiogenic shock and sepsis who had a paraganglioma in the retroperitoneum. Echocardiography showed extensive global hypokinesia with severe left ventricular systolic dysfunction. In addition, leukocytosis with elevated inflammatory markers and positive blood cultures indicated sepsis. Abdominal enhanced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showed a large heterogeneous mass with cystic changes in the retroperitoneum. Serum and urine samples indicated elevated levels of catecholamine and its metabolites, and a 131I-meta-iodobenzylguanidine (MIBG) scan indicated uptake of MIBG. After intensive medical treatment and surgical removal of the paraganglioma, the dilated cardiomyopathy and sepsis resolved. The diagnosis of paraganglioma should be considered in patients presenting with acute heart failure or sepsis of nonspecific origin. (Korean J Med 2016;90:334-340)

      • 토양 양분함량 및 칼륨 관비공급량에 따른 시설 수박의 수량 및 칼리 흡수량 평가

        이찬욱(Chan-Wook Lee),이예진(Ye-Jin Lee),이슬비(Seul-Bi Lee),현병근(Byung-Keun Hyun),송요성(Yo-Sung Song),김양민(Yangmin Kim),조송래(Song Rae Cho),류철현(Chul Hyun Yoo)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시설재배지는 연속적으로 작기가 진행되기 때문에 비료투입이 많아 염류집적 저감을 위한 적절한 양분관리가 필요하다. 적절한 관비량 설정을 통한 비료사용량 절감 및 양분 이용효율 증진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처리구별 수박의 수량 및 칼리 흡수량을 분석하여 토양 내 칼륨 함량에 따른 관비량 조절 기준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시험포장으로 논산의 수박 재배 농가 중 적정범위보다 낮은 칼륨 범위의 토양(미만), 적정범위를 초과하는 토양(초과)을 선정하였다. 2021년 2월~6월 동안 재배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점적호스를 이용하여 요소(질소46%), 인산칼리(0-52-34), 황산칼리(칼륨50%)를 시용하였다. 수박 관비표준량 기준 3수준(0.5배, 1배, 2배)으로 처리구를 구성하였으며 질소와 인산은 관비표준량의 1배로 하였다. 각 처리구별 최종 과 수량 및 식물체의 분석치를 통하여 생육기간 중 칼리 흡수량을 분석하였다. 적정미만 토양에서는 수박 수량이 칼륨 1배구에서 8.4 Mg 10a<SUP>-1</SUP>로 가장 많았으며, 지상부 건중과 칼리 흡수량도 각각 738.07 kg 10a<SUP>-1</SUP>, 29.76 kg 10a<SUP>-1</SUP>로 최대였다. 적정범위 초과 토양에서의 과 수량은 칼륨 2배구에서 8.1 Mg 10a<SUP>-1</SUP>로 가장 많았으나, 1배구(8.0 Mg 10a<SUP>-1</SUP>), 0.5배구(7.9 Mg 10a<SUP>-1</SUP>)와의 차이는 적었다. 지상부 건중과 칼리 흡수량은 각각 726.77 kg 10a<SUP>-1</SUP>, 50.99 kg 10a<SUP>-1</SUP>로 0.5배구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 중량식 라이시미터 활용 참깨 재배시 토양특성에 따른 양분 유출량 평가

        이찬욱(Chan-Wook Lee),이예진(Ye-Jin Lee),이슬비(Seul-Bi Lee),현병근(Byung-Keun Hyun),김양민(Yangmin Kim),조송래(Song-Rae Cho),송요성(Yo-Sung Song),오택근(Taek-Keun Oh)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작물 생육에 필요한 필수 영양소가 농경지에서 유출되어 수계로 들어가면 오염을 유발하는 원인물질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작물생육에 요구되는 양 만큼만 공급하는 양분관리가 중요시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투입된 비료 성분의 이동을 파악하기 위해 중량식 라이시미터에서 참깨 재배 시 토양 특성에 따른 양분 유출량을 산정하였다. 중량식 라이시미터는 국립농업과학원 토양수분이동 실험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깊이 1.5m, 면적 1.0m² 의 스테인레스 재질의 원통이다. 시험 토양의 토성은 점토함량 18% 이상(식질), 점토함량 18% 미만(사양질)이었고, 식질 토양에 비해 사양질이 양분함량이 더 높은 토양이었다. 참깨(건백)는 2020년 5월 25일 정식하여 8월 24일 수확하였으며, 비료는 표준사용량(N-P₂O<SUB>5</SUB>-K₂O=2.9-3.1-3.2 kg 10a<SUP>-1</SUP>)을 시용하였다. 재배기간 동안 지표면 1.5m 아래로 배수된 물량을 tipping counter 를 통하여 측정하였고, 이 값에 양분 농도 분석치를 곱하여 양분 유출량을 산정하였다. 수확 후 참깨의 종자 중량은 식질에서 66.7 g m<SUP>-2</SUP>, 사양질에서 59.8 g m<SUP>-2</SUP>였으며, 종자를 제외한 지상부의 건중은 각각 351.1 g m<SUP>-2</SUP>, 321.8 g m<SUP>-2</SUP> 으로 식질 토양에서의 작물 생육이 양호하였다. 참깨 재배기간 중 식질에서의 양분 지하유출량(kg 10a<SUP>-1</SUP>)은 N, P, K 각각 5.64, 0.02, 0.41이었으며, 사양질의 경우 10.70, 0.02, 8.07 로 사양질에서 더 많았다. 동일한 비료량을 투입하였을 때, 토양 특성에 따라 양분유출 특성에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토양의 시비관리는 토양의 비옥도와 유출에 미치는 물리적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韓國의 歸化姓氏와 多文化

        이찬욱(Chan-Wook, Lee)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4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7

        우리나라는 삼국시대부터 고려를 거치는 동안 많은 외국인들이 한반도에 귀화하여 정착했었다. 한반도가 다문화 국가였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해방과 분단, 6.25전쟁 등으로 인한 한국사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해방 이후 민족의식과 순혈주의를 고취하고 한민족이 단일민족임을 강조하는 역사 교육이 강조되었기에 한국사 속에 면면히 흐르고 있는 다문화적 성격에 대해서는 소홀하게 취급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선조들은 귀화인들로 인해서 다양한 문화체험을 할 수 있었고, 그로 인해 문화적인 면을 창의적으로 수용하며 전통을 세울 수 있었다. 한국 귀화인에 관련하여 빼놓을 수 없는 사실은 한국인의 성씨(姓氏) 중에는 외국인 귀화족(歸化族)이 상당히 많다는 점이다. 귀화족을 민족적으로 대별하면, 중국계, 몽골계(蒙古系), 여진계, 위구르계, 아랍계, 베트남계, 일본계 등이며, 이를 시대별로 살펴보면 삼국?고려 시대에는 중국인, 고려시대에는 중국인 외에 여진?베트남?몽골?위구르?아랍인, 조선시대에는 중국인과 일본인 등이다. 한국 통계청은 2003년 1월에 ‘2000년 인구주택 총 조사 성씨 및 본관 집계 결과’를 발표하였다. 발표된 성씨는 모두 286개였으며, 본관은 4179개였다. 이 가운데 김(金)씨가 전체 인구의 21.6%인 992만 6천명으로 가장 많았다. 김씨 다음으로는 이(李)씨와 박(朴)씨가 많았으며, 김씨?이씨?박씨 이들 3개 성씨 인구만 전체 인구의 44.9%이었다. 인구 100만 명이 넘는 성씨는 이들 3개 성씨를 포함해 최(崔), 정(鄭), 강(姜) 등 6개였다. 한편, 성씨 통계와 별도로 우리나라에 귀화한 외국인들의 성씨를 집계한 결과 모두 442개였으며, 필리핀계 145개, 일본계 139개, 중국계 83개 등이었다. 이와 같은 상황 하에서, 한국사회가 21세기에 접어들어서 진정한 다문화 사회를 지향한다면, “우리는 한겨레”라는 말처럼 단일민족이라는 공동체의식의 감옥에 갇혀버려서는 안된다. 오히려 기나긴 역사의 흐름 속에서 우리 안에 이미 내재하고 있는 다문화 유전자를 되새기며, 조상들의 ‘다문화성’에 대해 배우는 것이 우선순위일 것이다. During the Three Kingdom Period and Goryeo Dynasty, many foreigners were naturalized and settled in the Korean Peninsula, suggesting that the Korean Peninsula was historically a multicultural nation, but the distinctiveness of Korea’s history caused by Japanese colonization, independence from the colonial rule, national division and the Korean War provoke nationalism in Korea. As a result, the multicultural aspects in Korean history has been neglected. Through shared lives with the naturalized peoples, our ancestors could experience various cultures and establish a tradition by creatively embracing the diverse cultural aspects. This meant that foreigners gave the Korean Peninsula new culture and helped to write new history. What is notable about naturalized Koreans is that many family names originated from them. Ii classified ethnically into Chinese, Mongol, Jurchen, Uighur, Arab, Vietnamese and Japanese lineage. Also, it is chronological classified into China during the Three Kingdom Period and Goryeo Dynasty; Chinese, Mongol, Jurchen, Uighur, Arab, and Vietnamese during the Goryeo Dynasty; China and Japan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2003, Korea’s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nounced a report on the ‘current state of surnames and clans in 2000’ according to which there was a total of 286 surnames and 4179 clans. Surname Kim was shown to represent 21.6% of the nation’s total population with 9,926,000 people. Following Kim, Lee and Park hold the second and third place respectively. These three surnames occupy 44.9% of the total population. There are six surnames of a people of one million: Kim, Lee, Park, Choi, Jeong, Kang. Meanwhile, independent of statistics, the number of surnames of naturalized Korean is a total of 442 including 145 Filipino, 139 Japanese, 83 Chinese, etc. Given this situation, there is a need to escape from a single-race nationalism for the establishment of a genuine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Rather, it is more important for Koreans to learn the multiculturalism which is inherited from their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