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의 중재충실도와 학습자의 읽기성취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해외 유치원 및 초등학교 통합학급환경을 중심으로

        안제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4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synthesize the average correlations that were found between teachers’ fidelity and reading outcomes in students in the literature on reading intervention in kindergarten to elementary school. It also aimed to examine how potential moderators might affect the degree of correlations between fidelity and reading outcomes. Methods A literature search were performed on electronic databases (i.e., Academic Search Premier, Education Source, ERIC, and psycINFO) for dissertations or peer-reviewed articles that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and teacher fidelity score from 2000 to April, 2023. The effect size and overall meta-analysis were analyzed using the ‘meta’ and ‘rmeta’ packages in the R Studio program. To facilitate the interpretation of the analysis results, Fisher's z were converted back to Pearson's r before presenting and interpreting the results.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small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fidelity and kindergarten to elementary students’ reading outcomes. The correlation effect size was 0.12(r) among 15 experimental studies and 0.24(r) among 10 non-experimental studies. Moderator effects were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types of fidelity components. Conclusions I discussed the possible reasons for low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fidelity and students’ reading outcomes based on aspects of fidelity measurement used in the studies so far.

      • KCI등재후보

        데이터기반교수의 적용 가능성 탐색: 의사결정 및 교수 변경 단계를 중심으로

        안제춘,최서현,Kristen L. McMaster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3 초등교육연구논총 Vol.39 No.3

        데이터기반교수는 학업적 어려움을 지닌 아동들의 학습을 돕는 데 효과적이라고 여겨지고, 그 중 데이터기반 의사결정 및 교수 변경의 절차는 특히 중요하다. 이는 학생의 진전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교사가 현재 실시하고 있는 교수가 충분히 효과적인지를 판단하고, 필요시 교수에 변화를 가하는 절차를 말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데이터기반 의사결정과 교수 변경을 그 적용 사례를 바탕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데이터기반교수 중 데이터기반 의사결정 및 교수 변경의 원리 및 절차를 개관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활용한 데이터의 수집 배경이 된 미국의 교사 전문성 개발 프로젝트를 개관함으로써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둘째, 프로젝트에 참여한 특수교사 및 쓰기학습곤란 아동 중 대표 사례를 선정하여 데이터기반 의사결정 및 교수 변경의 적용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특히 교사가 다양한 강화 영역(복잡성, 행동적 지원, 강도, 전이)에서 교수 변경을 실시한 사례를 바탕으로 효과를 분석한 결과, 데이터기반 의사결정 및 교수 변경 이후 쓰기학습곤란 아동들의 성취가 증진된 것을 확인하였다. 체계적인 데이터기반 의사결정 및 교수 변경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데이터기반교수의 다른 절차에 비해 비교적 관심이 적었던 절차이므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데이터기반 의사결정 및 교수 변경의 연구 및 현장 적용에 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Within the data-based instruction (DBI) framework, which has shown effective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the processes of data-based decision-making (DBDM) and instructional changes hold particular significance. These processes involve teachers assessing whether the current instruction effectively supports individual students, using student progress monitoring data, and making necessary modifications to better support student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comprehensive explanation of the implementation of DBDM and instructional changes with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To achieve this goal, we first outlined the general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DBDM and instructional changes. In doing so, we described a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conducted in the United States, which served as the source of data for this study. Second, we selected exemplary cas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long with their students with intensive writing needs. Particularly, we sought to assess the effects of teachers‘ implementation of DBDM and instructional changes across various domains (complexity, behavior support, dosage, transfer) on students’ writing outcomes. We identified an improvement in students‘ writing skills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DBDM and instructional changes. Given that limited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se procedures despite its significant importance, we discussed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surrounding the implementation of DBDM and instructional changes in schools.

      • KCI등재

        장애학생의 통합학급 내 수업방해행동에 대한 특수교사의 지원 및 대처 방식

        안제춘,황지은,이경원,변혜성,안예지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9 No.3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way special education teachers support and cope with class interference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rooms. We conducted the focus group interview with the two groups: A group of five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a group of four second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 a result, 3 upper-categories and 11 sub-categories were derived. The upper categories were the formation of positive relationships with school members before class interference behaviors occur, preventive reactions for antecedents before class interference behaviors occur, and reactions for students who are separated by inclusive class teachers to special education class and interventions for the consequence to inclusive class teachers separa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from inclusive classes and intervention for the consequences. The first upper category included sharing methods for consistently coping with class interference behaviors between inclusive class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forming positive relationships through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between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special teachers. The second upper category included the use of human resources to stabilize the behavio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upport for participation in group activities, guidance on alternative activities, formation of routin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visit special classes, and medication intake management. The third upper category includ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es and education using behavioral contracts and token rewards. Lastly, we discussed implications for maintaining positive relationships with school members to support before class interference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preventive measures for antecedents, respons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fter class interference behaviors, and intervention for the consequences.

      • KCI등재

        통합학급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교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안제춘,최서현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3 지적장애연구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학급교사와 특수교사 간 협력교수를 적용한 연구들의 효과를 종합하고, 그 효과 크기에 미치는 조절변인을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 주요학술지에2000년부터 2023년 4월까지 투고된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바탕으로 선정기준에 적합한 실험집단연구 총 20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협력교수의 전체 평균 효과 크기는 0.67(Hedges’ g)로 중간에서 높은 크기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학교급(유치원, 초등학교>중학교), 중재 기간(10주 이하>11주 이상), 종속변인 대상(장애학생>비장애학생) 분류에 따라 효과크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협력교수 적용에의 시사점,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 관한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sively assess the effects of co-teaching involving inclusive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Korea and identify potential moderating variables that may influence the effects. We conducted a meta-analysis using a total of 20 eligible experimental group studie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or dissertations) published between 2000 and April 2023. Our findings revealed a moderate to high effect size of 0.67(Hedges’ g) for the average overall effect of co-teaching. Subsequent analysis with moderator variables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ffect sizes based on school level (kindergarten, elementary school > middle school), intervention duration (less than 10 weeks > 11 weeks or more), and outcome variable (outcomes measured amo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implications for the implementing co-teaching in Korea, study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예비통합학급교사의 특수교육학 관련 소양강의 수강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안제춘,임진형 국립특수교육원 2023 특수교육연구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verall effects and moderators of special education lectures for pre-service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over the last ten years. This meta-analysis includes 19 peer-reviewed articles published in Korea.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overall effects of special education lecture was 0.72, which is more than medium effect size. From the results of moderator analysis, the articles that were published in 2016-2020 had stronger effects than the articles published in 2011-2015. Next, the articles with single group pre-post design had stronger effects than the articles with experimental-control group post design. In addition, special education lectures were more effective for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an pre-service kindergarten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Furthermore, special education lectures were most effective in improving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about special education and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d that further special education lectures need to provide contents that could improve perception, attitudes and competency for pre-service teachers. 본 연구는 예비통합학급교사가 대학에서 특수교육 소양강의를 수강하고 그 효과를 양적으로 분석한 연구물을 종합하고, 메타분석을 실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2011년(10년간) 이후 출판된 국내 학술지 논문 19편의 전체 및 연구별 효과크기, 조절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통합학급교사의 특수교육학 관련 강의 수강에 대한 전체 효과크기는 0.72로, Cohen(1988)에 의하면 중간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2011-2015년도 출판논문보다는 2016-2020년도에 출판된 논문의 효과가 높았으며, 실험-통제집단의 사후비교 설계보다는 단일집단의 사전-사후 설계에서 더 높은 효과를 보였다. 연구대상별로는 예비초등교사, 예비유아교사, 예비중등교사 순으로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종속변인별로는 예비교사의 지식 수준에 대한 효과가 인식 및 태도 혹은 역량(기능)에 대한 효과보다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예비교사를 위한 특수교육학 대학수업이 나아가야 할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자폐성 장애 학생의 사회적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테크놀로지 활용 중재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안제춘,최서현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9 No.2

        This study aimed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overall effects of technology- based interventions on the social communication skills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nd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s of various factors. The meta-analysis included 19 single-subject design studies. The Tau-U index was used to calculate the effect size using web program developed by Vannet et al. (2016) and combine the effect size using WinPepi application developed by Abramson (2012). Moderato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kruskal.test function in the R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s, technology-based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ASD showed a medium to high effect size on the development of social communication (overall effect size Tau-U=0.92, 95%CI=[.86-.98]). The analysis of moderating eff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 sizes of interventions depending on the students’ gender, severity of disability, frequency of intervention, length of session, and intervention environment. Other subgroup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rator effects, but technology types had moderator effects close to the significance level of .05.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utilizing technology-based interventions to enhance the social communication skills of students with ASD. 본 연구는 자폐성 장애 학생을 위한 테크놀로지(멀티미디어, 모바일러닝, 증강현실 및 로봇, 보완대체의사소통) 활용 중재가 사회적 의사소통(의사소통 행동 및 기술, 사회적 관계 유지 및 이해)에 미치는 효과를 종합하고 여러 변인에 따른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메타분석에는 단일대상연구 19편이 포함되었다. 효과크기 산출을 위해 Tau-U 지표를 활용하였다. Vannest 등(2016)의 웹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Tau-U 값을 계산하였으며, Abramson (2012)의 WinPepi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효과크기를 합산하였다. 조절효과 분석의 경우 R 프로그램 내 kruskal.test 함수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중재가 자폐성 장애 학생의 사회적 의사소통 발달에 미치는 효과는 중간에서 높은 크기를 나타냈다(전체 효과크기 Tau-U=0.92, 95%CI=[.86-.98]). 둘째, 조절효과 분석 결과, 연구참여자의 성별, 장애 정도, 중재의 주당 회기 수, 회기당 시간, 중재환경에 따라 중재 효과크기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 외의 하위범주에서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테크놀로지 유형에 따른 조절효과의 경우 유의확률이 유의수준 .05에 근접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폐성 장애 학생의 사회적 의사소통 증진을 향상시키기 위한 테크놀로지 활용 중재의 중요성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교육행정지도자 직무연수 참여를 통한 교육지도성 성찰 경험에 대한 연구: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김동일(金東一),안예지(安叡智),김은삼(金恩杉),안제춘(安帝春)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아시아교육연구 Vol.20 No.2

        변화된 시대·사회적 요구에 따라 기대되는 교장의 역할과 지도성에 대해 보다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성찰이 이루어져야한다. 교원의 직무수행에 필요한 역량은 대개 직무연수를 통해 개발되지만, 연수 효과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 방법은 부재한 실정이다. 향후 직무연수의 효과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교장의 직무에 적합한 연수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연수 참여자들이 연수 과정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현상에 대한 질적이고 탐색적인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행정지도자 직무연수를 이수한 19명의 중등교장을 대상으로 한 면담을 통해 교육지도성 성찰 경험 과정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는 Strauss와 Corbin(1990)이 제시한 근거이론의 분석절차에 따라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235개의 개념, 40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 직무연수 참여를 통한 성찰 경험 과정은 정보수집 및 분석, 역량 강화, 비전 정립, 그리고 비전 제시 및 변화 촉진 4단계로 나타났다. 셋째, 핵심범주는 ‘교육지도성 통찰을 위한 교육비전 실현방법 구체화하기’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교육지도성 함양 교장 직무연수 운영에 대하여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response to the changing times and social needs, long-term and macroscopic introspection of expected role and educa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should be undertaken.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leaders are usually developed through in-service training; however, there is no specific evaluation method for the training effectiv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qualitative and exploratory information on the various phenomena experienced by the participants in the training process for evaluating the effects of in-service training that suits for their needs. In this study, 19 middle school principles who completed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leader in-service training were interviewed to explore the process of introspecting on the educational leadership.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erived according to the analysis procedure of the grounded theory presented by Strauss and Corbin(1990). First, 235 concepts, 40 subcategories, and 15 categories were derived. Second, the introspection process through in-service participation was shown in four stages: gathering and analyzing information, strengthening competency, establishing vision, and presenting vision and promoting change. Third, the core category was derived as ‘Defining ways to realize education vision for insight into educational leadership’.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ed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future effective management of in-service training of the principles.

      • KCI등재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지원 방안에 대한 초 · 중 ·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 연구

        김동일(金東一),임희진(林希珍),김주선(金周宣),김희은(金希垠),문성은(文盛恩),이연재(李涓在),장혜명(張惠明),조은정(趙恩情),안제춘(安帝春)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아시아교육연구 Vol.20 No.1

        교육사각지대에 놓인 학습자를 지원하기 위하여 다양한 법과 정책이 시행되어 왔으나, 여전히 교육과 지원이 아닌 장애와 진단을 강조하는 접근으로 인하여 지원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실제로 학생의 문제나 요구를 파악하고, 교육과 지원을 제공하는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은 중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개념도 연구방법을 통해 초 · 중 · 고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지원 방안의 내용, 차원과 군집, 상대적 중요도를 살펴봄으로써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지원을 위한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 · 중 · 고등학교 교사 12인이 참여한 인터뷰 결과 45개의 진술문이 도출되었다. 둘째, 초 · 중 · 고등학교 교사 26인이 참여한 유사도 평정 결과 이러한 진술문은 ‘교육청 및 지역사회-학교 및 가정’ 및 ‘직접적 교육 지원-관련 서비스’의 2차원과 ‘교사의 주체적 지원’, ‘행 · 재정적 교육청 지원’, ‘학교 시스템 구축’의 세 군집으로 가장 잘 설명되었다. 셋째, 중요도 평정 결과 ‘교사의 주체적 지원’, ‘행·재정적 교육청 지원’, ‘학교 내 시스템 구축’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학교급별 차이가 존재하였다. Many laws and policies have been put in place to support at-risk learners including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borderline intelligence and dyslexia. However, the current approach, which is focused more on disability and its diagnosis rather than education and support, has been problematic due to the lack of supportive systems for certain disabilities and considerations for comorbidity. It is crucial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s on this issue because they serve an important role in detecting problems at an early stage and delivering appropriate educational services. In this study, teachers’ perceptions of ways to support at-risk learners was explored using the concept mapping method. The interview transcripts of 12 elementary to high school teachers were analyzed and 45 statements were extracted. These statements were sorted and rated by 26 elementary to high school teachers, which then were used to analyze the similarity and importance of the statements. The results could be best interpreted in two dimensions, first the education office and community-school and family axis and second the direct educational support-related services axis, and three groupings, which are teacher initiated support,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of education offices and supportive systems at school. The relative importance of teacher initiated support was the highest, and other two were quite similar.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 KCI등재

        지적장애인 대상 사회성 중재에 대한 메타분석 : 국내 집단설계연구를 중심으로

        김동일 ( Kim¸ Dongil ),임진형 ( Lim¸ Jinhyung ),안제춘 ( An¸ Jechu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20 지적장애연구 Vol.2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사회성 중재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으로,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집단설계연구 논문 총 48편(지적장애인 총 903명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연구에서 산출된 효과크기는 연구대상 변인(소속유형, 발달기), 중재 프로그램변인(프로그램 유형, 중재 기간, 중재 회기 수, 회기당 시간, 집단 크기), 그리고 종속변인에 따라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지적장애인 대상 사회성 중재의 전체 효과크기는 0.89로 Cohen의 기준에 따라 큰 효과크기에 해당하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조절변인에 따른 사회성 중재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변인에 따라 통합학급에 소속되어있는 경우와 성인기 지적장애인인 경우에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둘째, 중재 프로그램 변인에 따른 효과는 치료 프로그램인 경우, 17-24주간 중재를 실시한 경우, 30회기 이상인 경우, 회당 1시간 이상 실시한 경우, 중그룹(8-14명)으로 집단을 구성한 경우 가장 큰 효과를 보였다. 셋째, 종속변인에 따라서는 사회성의 하위변인 중 순응기술, 대인관계, 학업기술, 자기관리, 자기주장 순으로 큰 효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group-designed sociality interventions conducted on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is study, 48 peer-reviewed articles including 903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using a meta-analysis. The effects of those stud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participant-related variables(affiliation, developmental period), intervention-related variables(type of programs, duration, number of sessions, time per sessions, group size), and outcome-related variables. As results, the average effect size of sociality intervention was 0.89, which is a large effect in terms of Cohen’s criteria, as well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nalysis results by variables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participant-related variables, students from inclusive classes and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roduced the largest effect sizes. Second, for the intervention-related variables, therapeutic programs, programs conducted for 17-24 weeks, programs with over 30 sessions, programs conducted over an hour per sessions, and middle-sized group(8-14 students) interventions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 among each variable. Third, outcome-related variables produced a more significant effect size in order of compliance, peer-relations, academic skills, self-management, and assertion. From the results abov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생활중심 전환교육의 효과 : 국내 집단설계연구의 메타분석

        김동일 ( Kim Dongil ),이미지 ( Lee Miji ),안제춘 ( An Jechun ),최서현 ( Choi Seohyun ),임진형 ( Lim Jinhyu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20 지적장애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된 생활중심 전환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으로, 학위논문 및 학술지에 게재된 집단설계연구 논문 총 27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연구에서 산출된 효과크기는 연구대상 관련 변인(학교유형, 학교급, 지능지수), 종속변인, 기타 범주변인(출판유형, 집단설계), 연속형 변인(생활연령, 프로그램 기간)에 따라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생활중심 전환교육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는 1.198로 Cohen의 기준에 따르면 큰 효과크기에 해당하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변인에 따른 생활중심 전환교육 프로그램의 중재 효과는 1) 연구대상 관련변인 중 학교유형별로 특수학교보다 특수학급이 더 큰 효과크기를 보였고, 학교급별로는 초등부, 중등부, 고등부, 전공과 이상의 순서로 큰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지능지수별로는 70이상의 집단, 50미만의 집단, 50이상 70이하의 집단 순으로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2) 종속변인별로는 사회성기술, 직업기술, 자기결정력, 학습기술, 주거관리기술, 지역사회이용기술 순으로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3) 출판유형에 따른 효과크기는 학술지 게재논문이 학위논문보다 높았으며, 집단설계유형별로는 실험-통제집단 사후, 실험-통제집단 사전-사후, 단일집단 사전-사후 순으로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4) 연속형 변수인 생활연령과 프로그램 기간에 대하여는 모두 부적 효과를 보였지만, 프로그램 기간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이 아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ffects of life-centered transition program conducted on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total of 27 articles, including dissertations and peer-reviewed articles conducted in Korea, were selected and reviewed using meta-analysis. Effect sizes of stud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participant-related variables(type of school, level of school, intelligence quotient), outcome-related variables, continuous variables(chronological age, duration of program), and other categorical variables(type of article, type of group-designed). According to the study findings, the average effect size of overall life-centered transition program was 1.198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ch is considered as a large effect in terms of Cohen’s criteria. The analysis results by variables were as follows: 1) among participant-related variables, programs in special classes were more effective than in special schools by type of school, level of school produced a larger effect size in order of elementary, middle, high, and above majoring course, and intelligence quotient produced a larger effect size in order of above 70, less than 50, more than 50 and less than 70. 2) outcome-related variables produced a more significant effect size in order of social skills, occupational skills, self-determination, learning skills, housing management skills, and community use skills. 3) effect sizes in peer-reviewed articles were revealed as larger than dissertations by type of article, and type of group-designed produced a more significant effect size in order of experiment-control group post test, experiment-control group pre-post test, single group pre-post test. 4) continuous variables including chronological age and the duration of program both produced positive effect, whereas the duration of program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rom the results abov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