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객 만족/불만족에 미치는 소비정서의 매개효과

        손영화 ( Young Hwa Son ) 한국소비자학회 2005 소비자학연구 Vol.16 No.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consumption emotion to customer satisfaction/dissatisfaction. Specifically, customer satisfaction is not formed by cognitive evaluation such as perceived expectation disconfirmation but by cognitive evaluation and affective evaluation which lead to customer satisfaction/dissatisfaction. It was also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 of two dimensional emotion being composed of positive/negative emotion in its relationship with customer satisfaction/ dissatisfaction as an antecedents. Regarding the dimensionality test, whether the customer satisfaction/dissatisfaction has an independent construct or not, an independent (two factor) model was supported. In addition, the hypothesis that customer emotion has a mediating effect in a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expectation discrepancy and satisfaction/ dissatisfaction was partially supported. Specifically, customer satisfaction showed completely mediation effect in its relationship with negative emotion, whereas which is not true in positive emotion using two factor model. In case of one factor model, any mediating effect was not supported. Based on these significant findings, detail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통합교육 문제점에 대한 질적 연구

        손영화 ( Son Young Hwa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통합교육 당사자들을 만나 심층 면담한 내용을 분석하여 사회, 정서적 통합과 통합교육의 질적인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교육의 4요소 즉 학생, 교육과정, 교사, 교육환경 측면에서 통합교육의 요소 별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통합교육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질적 연구법에 따라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장애아동의 입장과 일반아동의 입장에서 통합교육이 지닌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비교하여 서술하였고 특수학급 교사, 통합학급 교사, 일반아동 학부모, 장애아동 학부모가 인식하고 있는 통합교육 요소들에 대한 현 실태와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통합교육을 통해 장애아동은 사회성을 신장시키는 반면 괴롭힘을 당하기도 하였고, 일반아동은 장애에 대한 편견을 줄이고 봉사정신을 기르는 반면 학습 권을 침해당 하기도 하였다. 통합학급에서 장애아동은 적절한 교육을 제공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고 적절한 배치에 대한 의견도 서로 달랐다. 또한 장애아동에 대한 수용적인 태도를 갖기 위한 학부모 연수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social and emotional integration problems of inclusive education. Met the inclusion of the parties interviewed in-depth analysis of the contents and consolid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was carried out to promote. The positives and negatives of four components of education, students, curriculum, teachers,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ere analysis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s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wer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classroom teachers to integrate, normal children, parents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arents in order to recognize the current state of integrated education. In regards to education, the social integr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can be mutually beneficial to both the disabled children and the other children in their natural school environment, Social integration reduce prejudice against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faster the spirit of a service oriented mind. Howeve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tegrated classes have not always received the appropriate attention they required. In addition parents need to have a more receptive attitud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tegration into the classroom.

      • KCI등재
      • KCI등재

        건강지향 소비자 행동에 대한 조사 연구

        손영화 ( Young Hwa Son ),조혜진 ( Hye-jin Cho ),박종철 ( Jong-chu Park ) 한국소비자학회 2015 소비자학연구 Vol.26 No.6

        본 연구는 건강에 대한 관심과 건강상태에 대한 자기인식에 따라 소비자들의 건강관리를 위한 소비행동에서 남녀차이가 있는지, 연령별로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대학생들과 일반인들과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해 보고 소비자들의 건강지향적 소비행동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실태조사를 수행하였다. 서울, 경기, 대구 및 광주지역의 대학생과 일반인들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건강관심도에서 남녀 차이가 없었으나 건강상태에 대한 자기인식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건강관심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건강상태에 대한 자기인식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대학생과 일반인들을 비교한 결과, 건강관심도에서는 대학생보다 일반인들이 더 높게 나타났고, 건강상태에 대한 자기인식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건강관리 행동에서의 성별, 연령대별 그리고 대학생과 일반인들의 소비행태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한 결과, 성별 분석결과는 헬스클럽에 회원 가입해서 운동하는 것과 조깅과 같은 운동을 하는 것 모두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났고, 음식조절과 같은 경우는 여자가 남자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나 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연령대별 분석 결과는 30대가 회원가입해서 운동하는 것과 조깅과 같은 운동을 하는 것에서 다른 연령대보다 높게 나타났고, 50대는 건강식품, 기능성 약품 복용 및 음식조절에서 다른 연령대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대학생과 일반인들의 건강관리 행동을 비교해 본 결과, 모든 건강관리 행동에서 대학생보다는 일반인들이 높게 나타났고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소비자의 건강관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건강관련 지출 금액이 높은 소비자일록, 규칙적인 생활을 할수록, 그리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은 소비자일수록 건강관리 행동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consumption patterns across genders or age groups, or between university students and adults, in accordance with one’s interest in health and self-perception of one’s own health. The subjects were university students and adults in Seoul, Gyeonggi Province, Daegu and Gwangju. The findings are as follows.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enders in terms of their interest in health, self-perception appeared to be higher in men than in women. There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nterest in health across different age groups, while no difference was found for self-perceived health. A comparis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adults show that university students registered higher in terms of their interest in health, whil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was found for health status. A review on the difference or lack thereof in consumption patterns between university students and adults, between genders and across different age groups showed that men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han women to register themselves at a gym and work out, or to carry out exercises like jogging. In terms of dietary planning, women scored higher than men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 analysis across different age groups shows that those in their 30s scored higher than other age groups when it came to joining a gym or doing workouts like jogging, while those in their 50s scored higher in terms of their intake of health supplements or dietary planning and control. A comparison of health management behavior in university students and adults show that in all types of health management behavior, adults scored higher than university students, with the difference be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 KCI등재

        대학생의 성취동기가 진로결정 및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손영화(Son Young-hwa)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0 한국사회과학연구 Vol.29 No.1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chievement motivation of university students on the career decision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 hypothetical model was set up to identify which factor of the achievement motivation affects career decision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on 425 University students in Daegu, LISREL8.52 program was used for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hypothesis test, an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achievement motivation factors. The results include followings. First, achievement motivation presented significant effect on the career decision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so hypothesis 1 and 2 were supported. Second, among 4 factors of achievement motivation, proficiency effort and ascent need had effect on career decision, and only proficiency effort had effect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se result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were suggested at last.

      •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작은학교 운영 이슈 분석

        손영화(Young-Hwa Son) 영곡사회심리발달학회 2023 사회심리발달연구 Vol.4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작은학교 관련 학술논문을 바탕으로 작은학교 연구 동향의 키워드를 알아보고, 강원도의 작은학교 정책인 ‘작은학교 희망만들기’ 사업을 운영하는 여러 작은학교들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공통되고 특색있는 교육활동을 찾아 작은학교지원 및 활성화 방안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데 있다. 방법 2000년 이후의 작은학교 관련 학술논문, 2017∼2021년 단위학교별 작은학교 희망만들기 운영 결과보고서와 2022년 운영계획서를 바탕으로 분석하였고, 강원도 P지역의 작은학교에 근무하는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넷마이너4를 사용하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하였으며, 자료의 처리 방법은 토픽 모델링, 연결 중심성 분석을 하였다. 결과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작은학교와 관련된 논문들의 연구 동향 키워드 분석은 ‘작은학교와 마을교육공동체’, ‘작은학교 통폐합의 발전과 개선 방향’, ‘공동교육과정 운영’, ‘작은학교 관련 정책’이다. 둘째, 작은학교의 교육과정을 키워드 분석한 결과, 코로나 이전인 2017년∼2019년과 코로나 이후인 2021년∼2022년에서 가장 연결 중심성이 높은 키워드는 ‘현장체험학습’이며, 코로나 이전과 이후의 기간 동안 모두 5순위 안에 있는 키워드는 ‘문화예술’로 나타났다. 또한 ‘스키’, ‘서핑’ 등 공통으로 나타난 키워드로 지역의 자연환경과 시설의 여부가 작은학교의 운영 프로그램에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P지역의 작은학교에 근무하는 초등교사 25명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는 전체의 88%가 작은학교에서의 근무 만족도가 높고 보람과 성취감을 느끼며 앞으로도 작은학교에 근무하길 희망한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수업 운영의 자율성, 학년 중심의 교육활동, 학생들과의 원만한 관계, 학교의 분위기에 대한 만족 이유를 기초로 한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작은학교만의 공통되고 특색있는 교육활동이 지속될 수 있도록 지역 교육과정과의 연계가 요구되고, 더 나아가 작은학교와 지역을 연결하는 통합 관리 네트워크의 구축을 제언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keywords in the research trends of small schools based on academic papers and analyze the educational programs of various small schools operating under Gangwon Province's policy 'Creating Hope in Small Schools.' It aimed to discover common and distinctive educational activities,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supporting and revitalizing small schools. Methods Academic papers related to small schools after 2000, unit school reports on the operation of 'Creating Hope in Small Schools' from 2017 to 2021, and the 2022 operational plan were analyzed. Additionally,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in small schools in Region P. The data analysis involved using Netminer 4 for text network analysis, employing methods such as topic modeling and centrality analysis. Results The primary findings include: Firstly, keyword analysis of papers related to small schools revealed research trends in 'Small Schools and Community-Based Education,' 'Development and Improvement Directions of Small School Mergers,' 'Cooperative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Small School-related Policies.' Secondly, analyzing keywords in small schools' educational programs showed that 'Experiential Learning' held the highest centrality both before COVID-19 (2017-2019) and post-COVID-19 (2021-2022). Additionally, 'Cultural Arts' consistently appeared among the top five keywords during both pre- and post-COVID periods. Moreover, commonly occurring keywords like 'Skiing' and 'Surfing' indicate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local natural environments and facilities on small schools' operational programs. The survey of 25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Region P revealed that 88% expressed high satisfaction, fulfillment, and a desire to continue working in small schools, citing reasons such as autonomy in teaching, grade-centric educational activities, positive relationships with students, and overall school atmosphere. Conclusions Based on the study's findings, it is recommended to establish a connection between regional curriculum and distinctive educational activities unique to small schools, ensuring their continuity. Furthermore, the proposition involves creating an integrated management network connecting small schools and their respective regions.

      • KCI등재
      • KCI등재

        창의성의 영역 일반성과 영역 특수성의 학문별 차이점 규명 : 교육학, 경영학, 공학의 창의성 키워드를 중심으로

        박춘성(Park, Choon-sung),도수정(Do, Soo-Jung),손영화(Son, Young-Hwa),조지현(Jo, Ju-Hyeo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2 창의력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국내 교육학, 경영학, 공학 분야에서 창의성에 대한 연구논문을 분석하여 창의성에 대한 영역 일반성과 영역 특수성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학문 분야 간 공통점은 영역 일반성으로, 학문 분야별 차이점은 영역 특수성으로 가정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학술 데이터베이스에서 2005년부터 2021년까지 발행된 교육학, 경영학, 공학 분야의 창의성과 관련된 논문 총 119편에서 창의성 관련 키워드를 찾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학문별 창의성 키워드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학문별 창의성에 대한 공통 키워드는 ‘새롭고, 사고, 산출, 절차, 독특한, 해결’ 등이었다. 둘째, 각 학문에서만 나타난 창의성을 대표하는 개별 키워드는 교육학은 ‘지식, 인지능력’, 경영학은 ‘다양한’, ‘가치’, 공학은 ‘사회’, ‘시스템 ’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문별 공통 키워드는 창의성의 영역 일반성으로, 학문별 개별 키워드는 창의성의 영역 특수성으로 해석하였다. 본 연구는 학문별 창의성 키워드를 중심으로 창의성의 영역 일반성과 영역 특수성의 의미를 구분 지어 보고자 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unveil the domain generality and domain specificity of creativity through analysis on domestic creativity-related studies in education, business administration and engineering. It was performed in assumption that academic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long to domain generality and domain specificity respectively. For this, creativity-related keywords were obtained from a total of 119 papers in education, business administration and engineering fields published from 2005 to 2021 on academic database. Then,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re examined through network analysis,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First, in terms of common keywords on academic creativity, ‘new’, ‘thinking’, ‘output’, ‘procedure’, ‘unique’ and ‘resolution’ were obtained. Second, in individual keywords representing creativity in each field, ‘knowledge’ and ‘cognitive ability’ were found in education while ‘diverse’ and ‘value’ were discovered in business administration. In engineering, ‘society’ and ‘system’ were obtained. Third, academic common and individual keywords were understood as domain generality and domain specificity of creativity each.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meaning of domain generality and specificity of creativity, focusing on academic creativity-related keywo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