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국내 중부지역에 있어서 기후변화에 따른 사료용 옥수수의 생산성 및 기후영향취약성 평가

        정상욱,성시흥,장치만,정종성,오미래,윤영식,성혜진,문상호,Chung, Sang Uk,Sung, Si Heung,Zhang, Qi-Man,Jung, Jeong Sung,Oh, Mirae,Yun, Yeong Sik,Seong, Hye Jin,Moon, Sang Ho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9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9 No.2

        본 연구는 중부지역 사료용 옥수수 생산성 조사를 위해 충청북도 충주시 대소원면과 충청남도 청양군 운곡면에 각각 시험포장지를 조성하여 2017년부터 2018년까지 2년간 실시하였다. 사료용 옥수수의 공시품종은 국내 육성품종인 광평옥을 사용하였고 초고, 엽수, 병충해, 생물수량, 건물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기후자료는 기상청의 기상관측소의 일평균기온, 일최고기온, 일최저기온, 월평균기온, 일강수량, 일일 일조시간 등의 관측자료를 참고하였다. 과거 연구자료를 바탕으로 옥수수 생산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기후인자를 선정하여 1999년부터 2018년까지 두 지역에 대한 기후영향취약성 시범평가를 진행하였다. 시험포를 조성한 2년간 옥수수 건물수량은 최근 20년 평균 수량인 21,193 kg/ha보다 낮았다. 특히 2018년의 충주시와 청양군의 옥수수 건물수량은 각각 6,475 kg/ha과 7,511 kg/ha으로 나타나 2017년에 비해 절반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20년간의 전국 평균과 비교해도 절반 이하의 수준을 나타냈다. 2018년 충주와 청양의 평균기온 및 최고기온은 두 지역 모두 평년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2018년 생육기간동안 일조시간은 충주지역 873.7시간, 청양지역 942.1시간으로 나타나 과거 30년 동안 생산량 상위그룹의 생육기간 동안의 평균 일조시간 689.8시간을 크게 상회했다. 2018년 옥수수 건물수량의 급격한 감소는 당해 여름철 고온현상, 장기간의 가뭄 및 강수량 부족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산정한 조건으로 기후영향취약성평가를 실시한 결과, 충주와 청양지역 모두 과거에 비해 최근에 취약성이 높아진 경향을 나타냈다. 옥수수의 생산성에 있어서 보다 정확한 기후영향취약성 평가를 위해서는 토양수분, 습도 등의 다양한 기후요인을 산정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 two-year study was conducted from 2017 to 2018 by the establishment of a test field at Chungju-si and Cheongyang-gun. Plant height, number of leaves, insects and diseases, and fresh and dry matter yields for corn hybrid('Kwangpyeongok') were investigated. Daily average,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monthly average temperature, daily precipitation, and sunshine duration during the growing season were investigated. We selected climate-critical factors to corn productivity and conducted an evaluation of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from 1999 to 2018 for both regions. In 2018, the dry matter yield of forage corn was 6,475 and 7,511 kg/ha in Chungju and Cheongyang, respectively, which was half of that in 2017. The high temperature and drought phenomenon in the 2018 summer caused the corn yield to be low. As well as temperature, precipitation is an important climatic factor in corn production. As a result of climate impact vulnerability assessment, the vulnerability has increased recently compared to the past. It is anticipated that if the high temperature phenomenon and drought caused by climate change continues, a damage in corn production will occur.

      • KCI등재

        뽕나무 (Morus alba) 사일리지의 기능성 성분 및 항산화 활성 분석에 관한 연구

        전병태(Byong Tae Jeon),김영규(Yeong Kyu Kim),이상무(Sang Moo Lee),박재현(Jae Hyun Park),성시흥(Si Heung Sung),박표잠(Pyo Jam Park),김성진(Sung Jin Kim),문상호(Sang Ho Moon) 韓國草地學會 2009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9 No.3

        한우 고급육 생산을 위한 사양관리에 있어 기능성 사료의 활용 가능성을 규명하기 위해 뽕나무 사일리지의 기능성 성분 및 항산화 활성효능을 분석하였다. 뽕나무 사일리지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건물함량 28.41 ± 3.12%, 조단백질 함량 12.43 ± 0.28%, 조지방 함량 2.47 ± 0.18%, 조섬유 함량 20.29 ± 0.75% 및 조회분 함량 6.98±0.12%였다. 뽕나무 사일리지에 함유된 활성성분의 분석 결과, 대표적 활성성분으로 혈당강하성분인 1-deoxynojirimycin (1-DNJ)의 함량이 0.568 ㎎/g으로 검량되었으며 혈압강하성분인 GABA (γ-Aminobutyric acid)의 함량은 5,936.22 pmol의 농도가 검출되었다. Flavonoid는 본 연구에서 검출이 되지 않았으며 총 phenol이 21.69 ㎍/㎎ 정도 함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뽕나무 사일리지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뽕나무 사일리지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 질수록 비례해서 활성효과가 크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0.25 ㎎/㎖의 농도에서 50% 이상의 활성효과가 인정되었고, Hydroxyl radical 소거 활성 역시 0.5-2.0 ㎎/㎖로 농도가 높아질수록 활성 효과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2.0 ㎎/㎖의 농도에서는 50% 이상의 활성효과를 나타냈다. Alkyl radical 소거 활성은 보다 낮은 농도에서 높은 활성효과를 나타내었는데 0.125 ㎎/㎖의 농도에서 50% 이상의 활성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이 역시 높은 항산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뽕나무 사일리지의 기능성 가축사료화의 의미를 충분히 가질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application possibility of mulberry (Morus alba) silage as a functional feed in feeding management of Korean native cattle for high quality beef production by analysing active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y. The chemical analysis of mulberry silage indicates that the content of dry matter, crude protein, ether extract, crude fiber and crude ash was 28.41±3.12%, 12.43±0.28%, 2.47±0.18%, 20.29±0.75% and 6.98±0.12%, respectively. The content of 1-deoxynojirimycin (1-DNJ), which is representative active ingredient of mulberry and blood sugar descending component, was 0.568 ㎎/g and the content of γ-Aminobutyric acid (GABA), which is blood pressure descending component, was 5,936.22 pmol. Mulberry silage used in this study did not contain flavonoids but did contain total phenols for 21.69 ㎍/㎎.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mulberry silage extracts and there was above 50% of scavenging activity at the concentration of 0.25 ㎎/㎖.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also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silage extracts. Alk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high at the low concentration of silage extracts, which was above 50% of scavenging activity at the concentration of 0.125 ㎎/㎖.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re was high possibility of mulberry silage as a functional feed for beef cattle.

      • KCI등재

        중부지역에서 유기조사료 생산에 적합한 작부체계에 관한 연구

        윤세형(Sei Hyung Yoon),김종근(Jong Geun Kim),정의수(Eui Soo Jeong),성시흥(Si Heung Sung)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07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7 No.4

        본 시험은 유기조사료 생산에 적합한 동·하계 사료작물을 선정하고, 이를 통한 지역별 유기조사료 생산을 위한 적정 작부체계를 선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관행재배 조건과 유기재배 조건에서의 사료작물별 생육특성의 차이는 하계사료작물에서 현저하게 나타났다. 즉 사료용 옥수수는 잡초 발생으로 생육이 억제되어 관행재배에 비해 현저한 수량감소를 나타낸 반면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은 잡초 발생이 없어 관행 옥수수 대비 높은 수량을 나타내었다. 동계사료작물은 관행재배와 유기재배에 의한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생산성 측면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보다 호밀이 우수하였다. 따라서 작부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하계 사료작물에서는 잡초의 발생여부, 동계사료작물에서는 사료작물의 종류에 기인됨이 밝혀졌다.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중부지역에서 유기조사료 생산을 위한 최적 작부체계는 중부지역에서는 수수×수단그라스와 호밀이라 할 수 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election of regional double cropping system for production of organic forage in middle part of Korea. The species of forage crop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corn, sorghum × sudangrass hybrid and japanese millet for summer crops and rye and Italian ryegrass for winter crops. Sorghum × sudangrass hybrid showed higher DM (dry matter) and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 yield than that of corn. Dry matter yield of corn decreased to 56% that of control because of weed. In winter crops, DM and TDN yield of rye is higher than that of Italian ryegrass. Rye was more adequate to produce organic forage in middle part of Korea. We could not find out the difference of nutrient value between each treatments. It means that the amount of nutrient is affected by DM productivity of each crop.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sorghum×sudangrass hybrid (summer crop) and rye (winter crop) cropping system could be recommended as producing high yield of organic forage in middle part of Korea.

      • KCI등재

        제주지역에서 사육중인 경주 육성마의 여름철 방목행동에 관한 연구

        전병태(Byong Tae Jeon),김명화(Myeong Hwa Kim),박재현(Jae Hyun Park),김성진(Sung Jin Kim),성시흥(Si Heung Sung),이상무(Sang Moo Lee),문상호(Sang Ho Moon) 韓國草地學會 2009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9 No.4

        본 연구는 2007년 6월 23일부터 6월 29일까지 제주도에 위치한 말 목장의 방목지에서 말의 연령에 따른 군별 행동양식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공시마는 육성마군 3세 11두, 육성마군 1세 12두를 대상으로 행동을 조사하였다. 연령에 따른 행동의 차이가 약간 나타나 육성마(1세) 군에서는 채식이 56%, 기립 23%, 횡와 10%, 보행 5%, 러닝 2.5%, 음수가 3%였다. 육성마 1세의 3두의 개체별 행동발현은 개체차이가 나타났으며 비율의 평균은 채식이 53%, 기립이 29%, 횡와 11%, 보행 5%, 음수 1%, 러닝 1%를 나타내었다. 육성마(3세) 군에서는 채식 54%, 기립 27%, 보행 13%, 러닝과 음수가 1.5%, 횡와가 1% 였다. 육성마 3세의 개체별발현 비율 평균은 채식이 53%, 기립 32%, 보행 10%, running과 음수행동이 각각 1%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경주마의 방목행동에 관한 최초의 연구라고 생각된다. 이 자료가 충분할 수는 없으나 이를 기반으로 경주마를 생산, 육성할 때 사양관리에 도움이 되고 앞으로 연구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horoughbred colts grazed in pasture at summer season of Jeju island, Korea, from June 23 to 29 in 2007. We investigated the behavioral pattern of the thoroughbred colts (n=23) at the age of 3-year-old (n=11) and 1-year-old (n=12). The group behavioral pattern of thoroughbred colt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age. It was shown that eating 56%, standing 23%, lying 10%, walking 5%, running 2.5% and drinking 3% in the 1-year-old thoroughbred colts group. Especially, it was significantly individual difference (P<0.05) in the average behavioral expression ratio of 1-year-old thoroughbred colts (n=3), which was eating 53%, standing 29%, lying 11%, walking 5%, drinking 1% and running 1%. On the other hand, it was investigated that eating 54%, standing 27%, walking 13%, running and drinking 1.5%, lying 1% in the 3-year-old thoroughbred colts group. Also, the individual behavioral expression ratio of the 3-year-old thoroughbred colts was eating 53%, standing 32%, walking 10%, running and drinking 1%, which was a similar pattern to the result of 1-year-old colts. It is considered that this is the first study regarding a pasturage action of a racehorse produced in Korea. These data cannot be enough, but this data will be based on the production of racehorses and fostered in the management.

      • KCI등재

        제주지역에서 사육중인 더러브렛 종빈마의 여름철 방목행동에 관한 연구

        전병태(Byong Tae Jeon),김명화(Myeong Hwa Kim),박재현(Jae Hyun Park),이상무(Sang Moo Lee),성시흥(Si Heung Sung),김성진(Sung Jin Kim),문상호(Sang Ho Moon) 韓國草地學會 2009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9 No.4

        본 연구는 경주마 생산 육성에 중요한 종빈마의 패독과 방목지에 있어 군별 및 개체별 행동양식을 조사하여 경주마 사양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방목 중인 포유 종빈마군에서는 채식이 62%, 기립 휴식이 31%, 음수가 3%, 횡와 휴식이 1%, 보행이 1%, 수유 행동은 2%가 발현되었는데 러닝은 발현되지 않았다. 포유 종빈마 개체별(3필) 행동발현비율의 평균은 채식이 295분으로 55%, 기립휴식이 193분으로 36%, 보행과 음수가 각각 18분, 15분으로 3%, 수유가 13분으로 2%, 횡와휴식이 6분으로 1%였다. 개체들은 평균적으로 grooming 11회, 배뇨 2회, 배분 1회의 행동발현이 관찰되었다. 패독에서 관리 중인 임신 종빈마 군에서는 기립 휴식이 48%, 채식 44%, 횡와 휴식 2%, 보행 4%, 음수 2%를 발현하였다. 임신 종빈마 개체별(3필) 발현 비율 평균은 채식 52%, 기립 40%, 보행 6%, 음수 2%였다. 개체들은 평균적으로 grooming 15회, 배뇨 1회, 배분 3회, 투쟁 1회, 구르기 2회의 행동발현이 관찰되었다. 이동패턴의 경우 옆 패독과 인접해 있는 곳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roup and individual behavioral patterns of thoroughbred mares which are important for raising race-horses, in paddoks (pregnant) and pastures (nursing). In a group of nursing mare, eating 62%, standing resting 31%, drinking 3%, lying resting 1%, walking 1% and nursing 2% were observed, although no running was observed. Average time spent on individual behavior of mares (3 heads) was eating 295 min (55%), standing resting 193 min (36%), walking 18 min, drinking 18 min (3%), nursing 13 min (2%), lying resting 6 min (1%). Average 11 times of grooming, 2 times of urinating, and 1 time of feces were observed for mare in pasture. 48% of standing resting, 44% of eating, 2% of lying resting, 4% of walking, and 2% of drinking were revealed for pregnant mares in paddock. Average individual behavioral pattern of pregnant mares (3 heads) was 52% of eating, 40% of standing, 6% of walking, and 2% of drinking. Average 15 times of grooming, 1 time of urinating, 3 times of feces, 1 time of fighting, and 2 times of rolling were observed for pregnant mares in paddock. For moving patterns, pregnant mares were inclined to concentrate on where the nearby paddok is close to.

      • KCI등재

        공기유동해석을 통한 온실내 식물군 미기상 분석기술 개발

        이인복(In-Bok Lee),윤남규(Nam-Kyu Yun),Thierry Boulard,Jean Claude Roy,이성현(Sung-Hyoun Lee),김경원(Gyoeng-Won Kim),홍세운(Se-Woon Hong),성시흥(Si-Heung Sung)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6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5 No.4

        변화무쌍한 기상변화가 설험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강제환기식 온실에서 실험을 하였고, 또한 대체적으로 크지 않은 온실에서의 실험으로 인하여 CFD모델결과의 오차를 크게 줄일 수 있었다. CFD와 현장실험 결과를 비교하여 본 결과, 온실내 1m 높이에서의 평균풍속이 각각 0.42mㆍs?¹과 0.39mㆍs?¹으로써 CFD의 지점별 오차 평균값은 7.7% 로 나타났다. Y8.5m 지점에서 가장 큰 오자가 발생하였는데, 최대 오차는 -53.8%로 나타났다. 이의 가장 큰 이유로는 온실 길이방향에서 중간지점인 Y8.5m에서 풍속이 매우 작았기 때문에 소숫점 2번째 자리의 차이라고 해도 큰 오차로 나타났다. 작물형상의 기하학적 복잡성이 매우 큰 것을 고려한다면 오차범위는 매우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온실내 1m 높이에서 평균온도의 CFD 평균오차는 2.2%로 나타났고, 최대편차는 5.5%이었다. 온실내 바닥으로부터의 복사열 발생량의 차이로 인하여 온실내 동쪽 지역에 상대적으로 큰 오차가 발생하였다. 외기 상대습도가 44%일 때, CFD 상대습도의 오차는 2.1%이었으며, 최대 오차는 -3.8%이었다. 식물군의 공기유동저항, 식물군의 수분 및 열평형 모델을 추가하여 보다 사실적인 CFD 모델을 설계하였다. CFD 모델의 설계방법이 정립되었기 때문에, 추후에 온실내 다른 작물의 미기상 및 이의 온실내 기상에 미치는 영향 등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직물의 적정생육환경에 주요 대상이면서도 동시에 센서설치의 어려움 등으로 인하여 연구에 어려움이 많았던 작물군내 미기상을 연구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The heterogeneity of crop transpiration is important to clearly understand the microclimate mechanisms and to efficiently handle the water resource in greenhouses.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 program (Fluent CFD version 6.2) was developed to study the internal climate and crop transpiration distributions of greenhouses. Additionally, the global solar radiation model and a crop heat exchange model were programmed together. Those models programmed using C?? software were connected to the CFD main module using the user define function (UDF) technology. For the developed CFD validity,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at a 17 × 6 ㎡ plastic-covered mechanically ventilated single-span greenhouse located at Pusan in Korea. The CFD internal distributions of ai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air velocity at 1m height were validated against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CFD computed results were in close agreement with the measured distributions of the ai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air velocity along the green-house. The averaged errors of their CFD computed results were 2.2%, 2.1%, and 7.7%, respectively.

      • KCI등재
      • KCI등재
      • 주요 農機械의 所有性向과 選好度에 관한 調査硏究 : On the Chung Buk Chung Won Area 忠北 中原地方을 중심으로

        成始興,崔圭洪,李承奇 建國大學校 附設 農業資源開發硏究所 1990 農資源開發論集 Vol.15 No.-

        To obtain the successful results of agricultural mechanization project, it is important to estimate the demand based on the accurate trend of ownership of agricultural machinery. To present the basic data on the changes of demand of agricultural machinery, the change of ownership trend and their preferences by the change of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 of domestic agriculture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farm house, having one or two sorts of machines, showed the combination form centered on the power tiller, on the other hand, the farm house having more than three sorts of machines centered on the tractor. 2. The large scaled farm house showed the combined system of several kind of machines, and centered on the integrated work. 3. Up to now, the principal machine for the agricultural mechanization has been power tillers, however it is estimated that tractors will become the principal machine by the tendency of large size and high efficiency. 4. It is expected that the demand of the large-size machines, such as tractor, combine and transplanter, will be continuously increased,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 multilateral studies should be done for the enhancement of their utility. 5. The economic analysis for the purchased agricultural machines should be done before purchased the machi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