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정체수역 하천수 정화를 위한 인공부도의 여재 종류별 수질정화능 비교

        박은선(Eun-Sun Park),윤영한(Young H. Yoon),김원재(Weon-Jae Kim),임현만(Hyun-Man Lim),정진홍(Jin-Hong Jung),박재로(Jae-Ro Par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정체수역의 형성과 녹조발생 등으로 인하여 저하된 하천수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최근 미세기포, 광산화소재 및 식생여재 등 다양한 요소기술들을 융복합하여 현장적용성을 높이고자 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융복합부도의 하향류 여과에 의한 수질정화능을 검토하기 위하여 경기도 D하천수를 대상으로 여재의 종류(제올라이트, 화산재, 인공토양(RM))에 따른 오염물질별 처리효율을 분석하였다. 수질정화능 분석을 위한 평가항목으로는 SS, COD, T-N, T-P 및 Chl-a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인공토양(RM)가 다른 여재보다 모든 수질항목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아버지 유형이 대학생의 진로탐색자기효능감과 아버지와의 애착에 미치는 영향

        박은선 ( Eun Sun Park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08 동서정신과학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 of fathering styles on the university students` attachment and career search self-efficacy. 252 university students did fathering style questionnaire, career search self-efficacy inventory,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object relation inventory. The compassion Mentor fathers had the most positive effects on attachment and career search self-efficacy of their children. The fatherless and the time-bomb fathers` children had the weakest attachment and career self-efficacy. the superachieving fathers` children had strong career search self-efficacy, but their attachment with fathers were relatively unstable. These results shows the fathering style influence differently to attachment and career search self-efficacy, and it is important to consider fathering style in counselling. The significancies and limit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 노인과 청년의 부정적 정서조절에 연령과 개인 차이가 미치는 영향

        박은선(Park Eun Sun),이영호(Lee Young Ho) 한국노년학회 2016 한국노년학 Vol.36 No.1

        본 연구는 사회정서적선택이론을 바탕으로 한국 노인집단과 청년집단의 정서조절 능력을 비교해보았다. 노인집단과 청년집단에게 부정적인 내용의 영상을 보여준 후에 두 집단이 경험한 부정적인 정서를 얼마나 빠르게 회복하는지 실시간 측정함으로써 정서조절에서의 연령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와 함께 심리적 특성(특성불안, 우울, 신경증, 낙관주의)에서의 개인 차이가 정서조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함께 살펴보았다. 연구 참가자는 노인집단 31명(남 5명, 여 26명), 청년 집단 29명(남 14명, 여 15명)으로 총 60명이었다. 참가자들은 영상을 5분 간 시청한 이후 20분 동안 2분 간격으로 당시의 정서 상태를 보고하였다. 연령(노인, 청년)을 집단 간 요인으로, 보고된 정서 수준을 집단 내 요인으로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영상을 시청한 이후 노인 집단이 청년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더 빠르게 부정적인 정서를 회복하였다. 또한 연령 집단 내에서 정서를 빠르게 조절하는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은 상당히 다른 정서 조절 패턴을 보였지만 심리적 특성에서의 차이가 이러한 양상을 유의미하게 설명하지 못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research compares negative emotion regulation in Korean older adults and younger adults based on socioemotional selectivity theory. This study examined age difference of speed of recovering negative affect in real time after mood induction showing negative scene. In addition, how individual differences of psychological traits(trait anxiety, depression, neuroticism, optimism) affects the emotion regulation examined. A total of 60 subjects(31 older adults and 29 younger adults) participated. Participants viewed a film clip known to elicit negative emotions 5 minutes and reported changes in mood in 2-min intervals for 20 minutes. A repeated-measure analysis of variance (ANOVAs) was conducted with mood changes as a within-subjects factor and age as a between-subjects factor. The results showed that older adults were more likely to rapidly regulate their negative emotions than were younger adults. In addition, categorizing groups into rapid regulator and nonrapid regulator, even at a same age group, those people show different patterns for emotion regulation. However, Individual differences of psychological traits could not explains the effect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바깥놀이 중심의 미술활동이 만3세 유아의 놀이성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박은선(Park Eun 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3

        본 연구의 목적은 바깥놀이중심의 미술활동이 만3세 유아의 놀이성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S시에 소재한 S유치원과 K유치원 만 3세 유아 38명(비교집단19명, 실험집단 19명)을 대상으로 2018년 9월부터 12월까지 13 주 동안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때 실험집단은 바깥놀이 중심의 미술활동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누리과정에 기초한 실내중심 미술활동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을 적용 전과 후에 놀이성과 정서지능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바깥놀이 중심의 미술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들의 놀이성과 정서지능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치원현장에서 만3세 유아의 놀이성과 정서지능 증진을 위해 신체의 움직임과 오감을 활용하고 놀이중심, 과정중심으로 진행되는 바깥놀이 중심 미술활동을 적극적으로 실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rt activities centered on outdoor play for 3 years old on playfulness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participants of the research were 38 3 years old children who attend S and K kindergarten in Seoul. The experiment group engaged in an art activities centered on outdoor play over 13 weeks, the comparative group engaged in an indoor-based art activities based on Nuri curriculum. The pre-test for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emotional intelligence was evaluated before applying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s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who experienced art activities centered on outdoor play showed meaningful changes in total score of playfulness and emotional intelligence

      • KCI등재
      • KCI등재

        유치원 공간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해 및 대안 제시 : 자유놀이와 활동 공간을 중심으로

        박은선(Park, Eun Sun),노승희(Noh, Seung Hee)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학논집 Vol.25 No.2

        본 연구는 유아의 자유놀이와 활동을 위한 유치원 공간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해와 대안을 탐색함으로써, 유치원 공간 활용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공·사립 유치원 교사 6인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들은 유치원 공간에 따라 유아들의 놀이의 질이 달라질 수 있다고 이해하고 있었다. 또한 공간의 특성이 유아들의 창의성을 이끌어내며, 새로운 공간이 자유로운 시도를 가능하게 한다고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공간의 활용을 위해 교사들이 제시한 대안은 고정관념 떨쳐내기, 구성원들과 소통하기, 함께 고민하고 성장하기, 물리적 환경 개선하기, 교재교구 지원받기, 실제적 사례 제공받기, 보조인력 지원받기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공간 활용을 위한 실제적인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 way to support the use of kindergarten spaces by exploring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ing of and alternatives to kindergarten spaces for children’s free play and activities. To this e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The detailed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ood that the quality of children"s play varied depending on the kindergarten spac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lead to the creativity of children, and that a new space enables free trials. Second, the alternatives suggested by teachers for the use of kindergarten spaces are derived to overcome stereotypes, communicate with members, ponder and grow together, improve the physical environment, support teaching materials, provide practical examples, and support assistant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s practical support plans for space uti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KCI등재

        한국 일부 성인의 식용곤충에 대한 인식, 구매 및 섭취 실태

        박은선(Eun-Sun Park),최미경(Mi-Kyeong Choi) 한국영양학회 2020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3 No.2

        세계적으로 식용곤충은 중요한 잠재적 미래식량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식용곤충 및 이를 이용한 제품을 개발하고 보급하기 위해서는 식용곤충에 대한 소비자 인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인 453명 (남자 172명, 여자 281명)을 대상으로 2018년 12월부터 2019년 1월까지 식용곤충에 대한 인식, 구매 및 섭취 실태를 설문조사한 후 성별 및 연령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식용곤충을 인지하고 있는 대상자는 87.0% 이었으며, 알고 있는 식용곤충의 종류는 벼메뚜기 (92.4%), 누에번데기 (70.3%) 순이었고 식용곤충에 대한 정보는 방송·신문·잡지·인터넷 기사 및 광고에서 얻는다는 응답 (36.8%)이 가장 높았다. 식용곤충(제품)의 구매 또는 섭취 경험은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45.9% vs. 31.0%, p < 0.01), 연령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01). 이용해본 식용곤충 종류는 누에번데기 (76.5%), 벼메뚜기 (63.9%) 순이었으며, 구매한 곳은 음식점 (42.2%), 제품의 형태는 조리식품 (42.2%)이 가장 높았고, 이용한 주된 이유는 호기심에서 (30.1%), 식품 섭취 목적으로 (23.5%), 맛이 있어서 (22.9%) 순이었다. 식용곤충의 만족도는 맛 (3.4점), 가격 (3.3점), 품질 (3.3점), 안전성(3.1점), 모양 및 외형 (2.7점) 순이었으며, 특히 모양 및 외형의 경우 60대 이상이 유의하게 높았다 (p < 0.001). 식용곤충(제품)에 대한 향후 이용 의사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으며 (65.7% vs. 42.3%, p < 0.001), 연령 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높았다 (p < 0.001). 식용곤충 이용 의사에 대한 이유는 영양적 측면 (3.6점), 건강관리 측면 (3.4점), 환경적 기여 (3.3점), 호기심 (3.2점), 맛(2.8점) 순이었으며, 식용곤충 이용 의사가 없는 이유는 거부감 (4.1점), 신체적 안전 우려 (3.5점), 제품의 낮은 신뢰 (3.5점), 비싼 가격 (3.2점) 순이었다. 식용곤충에 대한 거부감은 여자가 남자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4.3 vs. 3.9, p < 0.001), 연령이 낮을수록 높았다 (p < 0.001). 식용곤충 이용 시 필요한 정보는 원산지 (63.8%)가 가장 높았으며, 선호하는 제품의 형태는 분말형태 (39.5%), 음식에 첨가 (24.1%), 환 형태 (20.1%) 순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할 때 소비자들의 식용곤충(제품)에 대한 높은 인지도에 비해 실제 이용 경험이나 향후 이용 의사는 낮았으며, 특히 여자와 낮은 연령층에서 낮았다. 또한 식용곤충의 모양 및 외형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아 식용곤충을 이용하지 않는 주된 이유인 거부감으로 인식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앞으로 여성과 젊은 층의 식용곤충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전환시키고 다양한 소비자 요구를 반영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한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recognition, purchase, and intake status of edible insects in adults, who are the main consumers of edible insects, and to provide the information necessary to expand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edible insects and related products in the future. Methods: A total of 453 adults (172 males and 281 females) aged 19 years and older were surveyed regarding their awareness of edible insects, purchase and consumption experience, and intention to purchase and consume,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were analyzed according to gender and age groups. Data collection took place from December 2018 to January 2019. Results: Those who had knowledge of edible insects accounted for 87.0%, whereas those who had more than average knowledge were 75.9%, suggesting recognition was relatively high. Men had more experience than women in purchasing or consuming edible insects and related products (45.9% vs. 31.0%, p < 0.01). In terms of age, experience was 22.5% in 20–30s, 44.6% in 40–50s, and 63.1% in 60s and older, showing significant growth as age increased (p < 0.001). The satisfaction level of edible insects was highest in taste (3.4 points), and especially for shape and appearance, it decreased as age reduced (p < 0.001). The most common reason for not being willing to use edible insects was feeling repulsive (4.1 points), which was significantly more common in women than in men (4.3 vs. 3.9, p < 0.001), and lower with age (p < 0.001). The most needed information display for using edible insects was country of origin (63.8%), the main nutrient in edible insects was protein (93.6%), and the most preferred form of products was powder (39.5%). Conclusion: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e recognition of edible insects was high, whereas experience of using edible insects and intention to use edible insects were low especially in women and younger group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consumers are dissatisfied with edible insects due to their appearanc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expanding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edible insects and related products in the future.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