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커뮤니티 웰빙의 다면적 주관적 인식 및 객관적 조건과 비교

        기영화 ( Young Wha Kee ),서인석 ( In Seok Seo ),남채봉 ( Chae Bong Nam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4 地方行政硏究 Vol.28 No.4

        본 논문은 서울시 다섯 개 자치구(강남, 구로, 동대문, 마포, 중구-종로)를 대상으로, 주관적 인식(주관적 웰빙)과 객관적 조건(객관적 웰빙)을 비교, 자치구별로 나타나는 경향성을 검토한다. 또한 주관적 웰빙을 두 가지 측면(개인적 만족도, 지역 수준 평가도)으로 분리, 양자를 비교하였다. 개인 만족도는 나에 대한 인식("I-ness")을 기초로 해당 서비스 항목에 대한 만족도를 의미하여, 지역 수준 평가도는 집합체 수준에서 누리고 있다는 정도이며, 우리(지역 사회) 중심("We-ness") 인식을 바탕으로 하는 것으로 규정하였다. 조사결과, 구로 및 동대문에서 개인 만족도가 지역 수준 평가도보다 높은 경우가 많았으며, 강남의 경우는 정반대 성향을 보이는 바, 개인 만족도에 비해서 지역 수준 평가도가 높은 경우가 대부분으로 나타났다. 또 한 가지 흥미로운 발견은 객관적 웰빙(객관적 조건)과 주관적 웰빙(주관적 인식: 개인 만족도와 지역 수준 평가도)의 불일치라고 할 수 있다. 향후 객관적 조건을 좀 더 엄밀하게 파악할 수 있은 자료를 확보하고 이를 토대로 주관적 인식과 객관적 조건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가 커뮤니티 웰빙 연구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this paper we a) analyze two-faceted perceptions of community wellbeing, specifically personal satisfaction and local evaluation, and then b) connect this analysis to the objective conditions of local communities. This exploration illumin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community wellbeing and objective community wellbeing Data are collected from about 1000 residents across six municipalities in Seoul: Kangnam, Guro, Mapo, Dongdaemun, Junggu-Jongro.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in Guro and Dongdaemun, personal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local evaluation, while the opposite tendency was observed in Kangnam, where local evaluation was higher than personal satisfaction. Other findings include a substantial discrepancy between subjective community wellbeing and objective community wellbeing. Further study is needed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conceptions and contribute to a more sophisticated theorization of community wellbeing research.

      • KCI등재

        평생학습동아리참여가 커뮤니티웰빙 인식에 미치는 영향

        기영화(Kee, Young Wha),김남숙(Kim, Nam Sook),권영선(Kwon, Young Sun)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21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평생학습동아리 참여가 커뮤니티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평생학습의 기대효과를 개인에 국한하지 않고 지역사회 평가로 확장한 것에 의의가 있다. A시 시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평생학습동아리 참여 여부가 거주 지역의 커뮤니티웰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커뮤니티웰빙은 지역자본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간주관성 커뮤니티웰빙과 그 지역자본에 만족하는 정도인 주관성 커뮤니티웰빙으로 세분화해서 분석하였다. 방법론적으로 평생학습 참여자의 관찰되지 않는 특성을 배제하고 일반시민과 비교할 수 있도록 연구모형을 설정하였고, 인과관계의 타당성을 도구변수(IV)를 활용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평생학습동아리 참여주민은 그렇지 않은 주민보다 주관적 커뮤니티웰빙 점수를 높게 나타났다. 평생학습동아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통제한 후 학습동아리 참여의 순수 효과가 지역자본에 만족수준을 더 높인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간주관적 커뮤니티웰빙에서는 평생학습동아리 활동 여부가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이는 평생학습동아리에서 활동하는 주민이 지역사회에 더 큰 행복감을 느낀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주민 개개인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무관하게 지역자본의 수준을 간주관적인 평가가 실질적으로 가능하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impact of learning circles on community well-being. Notably, the expected effect of lifelong learning was not limited to individuals but also expanded to the local community. Citizens of city A were survey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y participated in learning circles, which was used to evaluate the happiness of the local community. The concept of community well-being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two categories: presumed inertia community well-being, which objectively evaluates the level of local capital, and subjective community well-being, which measures the how satisfied the community is with the level of local capital. The survey excluded participants with undisclosed characteristics. By comparing the research model with the general public, the validity of the causal relationship increased.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instrumental variable (IV).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idents who participated in learning circles activities showed higher subjective measures of community well-being than those who did not. By controlling for the effect of learning circles activities, it is apparent that participation in learning circles positively affects satisfaction with local capital. However, in interpersonal community well-being, learning circles activities did not show significant results. Research shows that residents who are active in learning circles feel a greater sense of happiness in the local community. However, it was also confirmed that it is practically possible to evaluate the level of local capital irrespective of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residents.

      • KCI우수등재

        2013 봄 ; 성미산 지역공동체 커뮤니티웰빙의 패러다임 모형분석: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

        기영화 ( Young Wha Kee ),김승현 ( Seung Hyun Kim ),김남숙 ( Nam Sook Kim ) 한국행정학회 2013 韓國行政學報 Vol.47 No.1

        본 연구는 성미산 지역공동체 들여다보기를 통해 지역공동체의 커뮤니티웰빙을 탐색하고자 주민 주도형 도시마을공동체의 대표 사례인 성미산마을을 임의 선정하고 근거이론으로 연구하였다. 자료는 문서조사와 참여관찰 그리고 심층면접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연구참여자는 성미산 마을공동체에 3년 이상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7명이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 패러다임모형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의 자료는 개방코딩에 의해 78개의 개념과 27개의 하위 범주, 15개의 범주로 통합되었다. Strauss와 Corbin의 패러다임모형에 의한 분석 결과, 인과적 상황은 ``양육환경의 불만``과 ``가치관과 현실의 괴리``였으며, 현상은 ``일상문제해결``과 ``삶의 행복``으로 나타났다. 전후관계는 ``갈등발생``과 ``생활위기직면``이었으며, 중심현상에 대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재능기부``, ``소통과 교환구조마련``, ``공동체역량강화``, ``느슨한 관계망``으로 드러났다. 중심현상에 대한 중재조건은 개인차원이 아닌 공동차원의 문제접근과 끊임없는 회의와 친목모임 등 ``다양한 활동참여``와 ``주민간의 접촉``으로 드러났고, 결과는 ``마을에 대한 애착``, ``마을에 대한 기대``, ``마을살이 만족감``으로 나타났다. 성미산 지역공동체의 커뮤니티 웰빙 연구의 핵심범주는 ``개인과 공동의 웰빙 추구``로 통합되었다. 이들은 공동체 형성과정을 거치면서 개인의 문제가 개인만의 해결책이 아닌 공동의 문제로 외연화 시키고 일상생활문제를 공동으로 해결하려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지역공동체로 형성됨을 보이고 있어, 웰빙 추구가 개인의 웰빙 추구를 넘어서 커뮤니티웰빙으로 실현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concept and meaning of community wellbeing through a case study of a self-generated community. We chose the Sungmisan Village case as it has been widely publicized as a successful community building case and collected data through document research,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of seven research participants who had been involved in the Sungmisan community for over three years.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y Strauss and Corbin`s approach to grounded theory, using continuous comparison and final results were obtained by applying Strauss and Corbin`s paradigm model. We used open coding to extract 78 conceptions, 27 subcategories, and 15 categories and found that there was a dynamic interaction of factors in the process of Sungmisan community building. In detail, the cause-and-effect factors were “dissatisfaction with nurturing environment”, “gap between value ideals and reality”; phenomenal factors were “solve daily life problems” and “happiness in life”. Contextual factors were “incidence of conflict” and “confronting livelihood crisis” and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for the core situation were “talent donation”, “building a communication and exchange system”, “community empowerment”, and “loose networks”. Terms of arbitration in regards to the core situation showed constant characteristics of approaching problems at the community level rather than at the individual level such as “participating in various activities” and “frequent contact with neighbors”. The results were “attachment to village”, “high expectations about village”, “satisfaction with living in the village”. The overarching category of Sungmisan community-building can be summarized as “pursuit of individual and collective wellbeing”. In sum, Sungmisan community participants were able to extend the search for solutions to individual problems and everyday concerns to a collective process of building a community. This case shows how the pursuit of individual wellbeing can not only enhance individual wellbeing, but also community wellbeing.

      • KCI등재후보

        코치의 역량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

        박윤희 ( Yoon Hee Park ),기영화 ( Young Wha Kee ) 한국인력개발학회 2009 HRD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다양한 분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코칭의 흐름에 따라 점차 그 수요가 증가되고 있는 코치들에게 필요한 코치의 역량에 대해 기존 연구들을 검토하고 정리, 분석하여 향후 코치의 역량 연구에 기초지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기존 연구 분석을 통해 코치의 역할(관리자코치, 전문코치, 커리어코치)별로 역량에 다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코치의 스킬이나 지식보다는 내적인 품성과 자질인 내적 특성과 자세가 더 비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실적으로 코치가 내적 특성과 자세에 관한 역량 뿐 아니라 스킬과 지식에 대한 역량도 고루 갖추었을 때 유능한 코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향후 기존 연구들에서 그 중요성이 낮게 평가되고 있는 코치의 지식과 경험에 대한 연구와 코칭 적용 분야별로 코치의 역량에 대한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Recently coaching is very trendy in Korean society. The coaching has been spreaded and applied to other fields as well as business. According to the trend, the demand of effective coaches will be increased more and m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knowledge on the coaches` competency through examination and analysi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of the coaches` competency. Throughout this study, I found some differences on the coaches` competency according to their roles(manager coaches, professional coaches and career coaches) and internal characters and attitude are more important than skills and knowledge. But the effective coaches are needed to have skills and knowledge aswell as internal characters and attitude. I expect that the further studies on the coaches`s knowledge and experience that have been less important in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studies on the coaches` competency in each field where the coaching has been applied.

      • KCI등재

        다수준(multi-level)분석을 통한 공공기관 중간관리자의 코칭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연구

        최일완(Choi, II Wan),김남숙(Kim, Nam Suk),기영화(Kee, Young Wha)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2 인적자원관리연구 Vol.19 No.5

        공공기관 중간관리자의 코칭이 부하직원의 직무태도인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살펴 보고, 또한 중간관리자의 코칭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변수를 활용하여 중간관리자의 코칭에 대한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동안의 선행연구는 개인수준에서 회귀분석을 통해 관리자의 코칭효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위계적 선형모형(hierarchicallinearmodeling) 을 활용한 다수준(multi-level)분석을 실시함으로써 변수간의 관계 추정의 정확성을 높였다. 또한 중간관리자의 코칭과 부하직원의 조직시민행동 간의 영향관계에서 개인수준의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공공기관 중간관리자의 코칭이 부하직원의 직무태도인 조직시민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중간관리자의 코칭은 자기효능감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매개변수인 자기효능감은 중간관리자의 코칭과 부하직원의 조직시민행동 간 영향관계에서 중요한 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 한계, 향후 연구과제 등에 대해서 논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how public institutions of middle managers coaching affect staff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middle managers' coaching by utilizing the parameter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managers' coaching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rom self-efficacy. During the preceding research study, the effect on the manager's coaching on a personal level through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In this study, using a multi-level analysis conducted by hierarchical linear model increased the accuracy of the estim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also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t the individual level in the coaching of middle managers and staff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mpact that public institutions of middle managers coaching affect staff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also showed that the middle managers coaching affect the parameters of self-efficacy in giv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The parameters of self-efficacy was analyzed to perform an important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managers' coaching and staff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 KCI등재

        커뮤니티웰빙 평가요소로서 지방행정서비스요인의 적합성분석: 경쟁가설모형들의 신뢰성 및 타당성 비교를 중심으로

        김태훈 ( Tae Hoon Kim ),서인석 ( In Seok Seo ),기영화 ( Young Wha Kee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4 地方行政硏究 Vol.28 No.2

        지방행정서비스는 커뮤니티웰빙과 개념적으로 관련될 수 있다는 관점과 커뮤니티웰빙은 이론적으로 6가지 자본요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는 관점 사이에서 지방행정서비스는 어떤 구성요소의 하위요소로 고려되어야 할지 아니면 특별한 하나의 평가요소로 고민해야 하는지에 대한 궁금증으로 출발하였다. 즉, 잘 구현된 지방행정서비스는 지역주민에게는 긍정적인 이미지를 부여하며, 지방정부 선호도를 높이는 자극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지방행정서비스를 평가요소로서 커뮤니티웰빙과 조화시키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분석결과 우선, 경쟁가설로 제시한 인프라자본의 하위요소(H1), 사회자본의 하위요소(H2), 인적자본의 하위요소(H3), 커뮤니티웰빙의 다른 평가요소(H4) 중에서 H4 가설이 모형적합도에서 가장 우수하였다는 점이다. 이러한 결과는 인프라를 구성하고, 지역민의건강에 대한 복지정책을 수행하며, 사람들의 관계 회복과 지역회복을 위해 지방행정서비스가 노력할지라도 지방행정서비스는 단순히 이들의 하위요소라기 보다는 각 요소를 포함하는 복합체로서 또 다른 하나의 평가요소로 바라봐야 한다. 다음으로, 커뮤니티웰빙을 평가하기 위한 6가지 자본요인과 지방행정서비스 요인의 하위지표들은 대부분 적합한 수준이었다. 물론, 6가지 자본요인과 지방행정서비스를 합한 7가지 평가요소 간에도 부합도의 차이가 나타나 상대적 가중치에 대한 논의가 수반되어야 할 필요는 있기에 이들 간 상대적 가중치에 대한 향후 연구가 수반될 필요가 있다. A location of the public service of local government in CWB(Community Wellbeing) conception``s research discussion gives a complexities of which to sub-categorization in six capital factors or to other factor(7th factor). That is, the well-structured public services assigns the positive images to local citizens, and local citizens evaluate local service and local government to better. Therefore, harmonizing local services with CWB is very important. Upon the employment of the higher-order factors analysis, the result shows H4 is the best for competing hypothesis, which is the sub-elements of infra-structural capitals(H1), social capitals(H2), human capitals(H3), and the other factor of community wellbeing(H4).

      • KCI등재

        주관적 웰빙과 소득: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한 소득의 한계성 및 상대성 검증

        서인석 ( In Seok Seo ),우창빈 ( Chang Bin Woo ),기영화 ( Young Wha Kee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5 地方行政硏究 Vol.29 No.1

        본 연구는 ‘진실로 행복을 돈으로 살 수 있을까’ 라는 다소 도발적인 질문에 답하고자Easterlin의 가설을 접목하여 검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해 서울시는 주관적 웰빙이 충족되기 위해서는 여전히 많은 연봉이 필요하고, 소득편차를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수반될 필요가 있으며, 소득이 낮은 지역과 높은 지역을 구분하여 정책 및 제도적 보완이 적용될 필요가있다. 물론, 이러한 결과가 2012년 횡단면적 자료에 의한 것이기에 더 많은 자료를 통해 확인될 필요가 있다. 허나 소득격차가 서울시 내에서 존재하고 있으며, 이것이 서울시민들의 주관적웰빙에 상당히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기에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은 지속되어야하며, 미약하게 나마 정책적 타당성은 본 연구결과로 뒷받침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test the so-called “Easterlin Paradox”, simply, that money does not buy happiness, in the context of Seoul city, Korea. Using samples from the Seoul Survey, the study found that higher income is correlated with higher level of subject well-being of Seoul citizens, with the divides appearing geographically among the 25 “Gu” areas. The results suggest that public policy should focus more on bridging the divides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especially those in rich areas and poor ones. As this study uses only 2012 survey data, some methodological cautions need to be mentioned for future studies, and longitudinal data will be necessary to resolve those limitation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