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Grey Area between Education and Indoctrination -The Reconstructionist Trials and Errors of The Educational Experiment

        남채봉 ( Chae Bong Nam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3 시민교육연구 Vol.45 No.4

        본 논문은 1930년대 미국 재건주의자들이 주장한 교육 목적 및 그에 따른 교화(indoctrination)의 필요성을 둘러싼 논의를 다룬다. 경제 공황 및 극심한 빈부 격차 및 세계 대전 전후로 복잡한 국내외 위기를 겪고 있던 가운데, 재건주의자들은 교육 개혁을 통한 새로운 사회질서 정립을 주장하였다. 특히 이들은 자유방임주의에서 비롯된 여러 사회 경제적 문제에 주목, 사회 복지 및 평등 이념을 적극 옹호하는 가운데, 교육 현장을 이미 통제하고 있는 지배 이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교화를 통한 새로운 교육 이념 전파가 불가피함을 주장하였다. 본 논문은 이와 관련한 재건주의자들의 주요 주장과, 그들이 교화를 정당화시키는 근거 및 그에 대한 새로운 정의, 그리고 재건주의의 쇠퇴, 나아가 이들의 주장이 오늘날 시민 교육에 지니는 함의에 대해 논의한다. This paper discusses the grey area between education and indoctrination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Reconstructionist rationales. In the 1930s in the U.S., amidst social and economic crises, the Reconstructionists upheld the normative commitment of education for social change and, more specifically, endorsed indoctrination as a means to accomplish this goal. Their arguments provoked heated debates concerning the grey area between education and indoctrination. This paper reviews the ways the Reconstructionists defined indoctrination and legitimized it in a democratic system, and examines the resulting implications for current social studies and civic education. Looking at the Reconstructionist trials and errors helps contemporary civic educators not only re-think the value-laden nature of social studies and civic education but also understand the thorny issues surrounding social criticisms, neutrality, indoctrination, and their own normative visions of civic education.

      • KCI등재

        “우리도 이야기할 수 있다”: 청소년 참여 실행 연구(Youth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가 다문화 시대 비판 시민 교육에 지니는 의의

        남채봉 ( Chae Bong Nam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3 시민교육연구 Vol.45 No.2

        본 논문은 청소년 참여 실행 연구를 소개하고, 이것이 시민 교육에 지니는 의의를 검토한다. 청소년 참여 실행 연구(Youth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YPAR)는 청소년들이 연구 대상(object)으로서가 아니라, 연구자로서 성인 연구자들과 동등한 위치에서 자신들과 관련한 중요한 문제들을 함께 탐구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실천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참여 연구 방식이다. 본 논문은 사회 정의 및 반(反) 인종주의 지향, 프락시스에 기초한 교육방법, 유기적 접근법이라는 세 측면에 비추어, 다문화 시대 비판 시민 교육을 구상함에 있어 YPAR가 지니는 중요성을 논의하며, 이어 YPAR에 대한 실제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YPAR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시민 교육 연구 외연의 확장을 주장하는 바, 사회과 관련 교육과정이나 교수·학습법 등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교실현장 너머 지역 사회와 더불어 유기적으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비판적인 교육 활동들을 포괄하는 쪽으로 확장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This paper discusses some implications of youth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YPAR) for engaged and transformative civic education. In YPAR, youth participate in knowledge production as co-researchers, investigate various issues of social justice and discrimination that affect their everyday lives, and also take action for social change. Being used especially in projects involving historically marginalized youth in the U.S., YPAR helps youth researchers cultivate a wide range of academic skills, such as literacy skills and analytic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as well as develop a critical consciousness of societal issues. Three major aspects of YPAR-social justice and anti-racism, praxis-based pedagogy, and holistic and ecological approach-are highlighted as especially relevant to engaged and transformative civic education. A particular case of YPAR is introduced as an example. This paper also argues for broadening civic education research to include diverse and situated civic practices taking place in various settings in the community. Such an expansion can contribute to the preparation for critical and engaged citizens who respect and practice the pluralistic ideals in a democratic society.

      • KCI등재

        커뮤니티 웰빙의 다면적 주관적 인식 및 객관적 조건과 비교

        기영화 ( Young Wha Kee ),서인석 ( In Seok Seo ),남채봉 ( Chae Bong Nam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4 地方行政硏究 Vol.28 No.4

        본 논문은 서울시 다섯 개 자치구(강남, 구로, 동대문, 마포, 중구-종로)를 대상으로, 주관적 인식(주관적 웰빙)과 객관적 조건(객관적 웰빙)을 비교, 자치구별로 나타나는 경향성을 검토한다. 또한 주관적 웰빙을 두 가지 측면(개인적 만족도, 지역 수준 평가도)으로 분리, 양자를 비교하였다. 개인 만족도는 나에 대한 인식("I-ness")을 기초로 해당 서비스 항목에 대한 만족도를 의미하여, 지역 수준 평가도는 집합체 수준에서 누리고 있다는 정도이며, 우리(지역 사회) 중심("We-ness") 인식을 바탕으로 하는 것으로 규정하였다. 조사결과, 구로 및 동대문에서 개인 만족도가 지역 수준 평가도보다 높은 경우가 많았으며, 강남의 경우는 정반대 성향을 보이는 바, 개인 만족도에 비해서 지역 수준 평가도가 높은 경우가 대부분으로 나타났다. 또 한 가지 흥미로운 발견은 객관적 웰빙(객관적 조건)과 주관적 웰빙(주관적 인식: 개인 만족도와 지역 수준 평가도)의 불일치라고 할 수 있다. 향후 객관적 조건을 좀 더 엄밀하게 파악할 수 있은 자료를 확보하고 이를 토대로 주관적 인식과 객관적 조건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가 커뮤니티 웰빙 연구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this paper we a) analyze two-faceted perceptions of community wellbeing, specifically personal satisfaction and local evaluation, and then b) connect this analysis to the objective conditions of local communities. This exploration illumin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community wellbeing and objective community wellbeing Data are collected from about 1000 residents across six municipalities in Seoul: Kangnam, Guro, Mapo, Dongdaemun, Junggu-Jongro.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in Guro and Dongdaemun, personal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local evaluation, while the opposite tendency was observed in Kangnam, where local evaluation was higher than personal satisfaction. Other findings include a substantial discrepancy between subjective community wellbeing and objective community wellbeing. Further study is needed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conceptions and contribute to a more sophisticated theorization of community wellbeing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