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Moral Dilemmas of Art Educators

        Jin-Young Koh(고진영)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8 미술과 교육 Vol.19 No.1

        This paper in progress attempts to pose some critical questions that rise from actual situations of art education practices in relation to social problems, and imply new possibilities from the interrelation of education and inclusive education. In other words for educational implications, how can education be examined through the lens of Kolb’s (1984)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And, are there facets of Kolb’s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that can be challenged through methods or ideas about education? Two theoretical threads run through this paper. The first is a social concern with the potential of education to empower individuals who have social problems and have been marginalized by the education system. The second theoretical thread of this paper is a pedagogical concern, particularly with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 KCI등재

        미술 교육자의 도덕적 갈등

        고진영(Jin-Young Koh)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8 미술과 교육 Vol.19 No.1

        이 글은 교육 실행 상황에서 사회 문제와 관계하여 일어나는 상황에 대한 비평적 질문을 시도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교육에서의 상호 관계와 통합 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을 시사하고자 한다. 교육적 의의를 위해 어떻게 콜브 (Kolb, 1984)의 경험적 배움 이론을 통해 교육이 검토될 수 있는지? 또한 교육적 방법이나 연구를 콜브의 경험적 배움 이론을 통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첫 번째는 잠재적 사회적 고민과 함께 교육적 가능성이 사회적 문제와 교육체계에서 소외되는 개인들의 권리를 위한 고민을 한다. 그리고 이 글에서의 두 번째 이론적 맥락은 교육학적 고민, 특히 교육자들과 학생들의 상호관계에 관한 고찰을 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STEAM 기반 커리큘럼: 스탑모션 애니메이션 교육사례

        고진영(Jin-Young Koh),조인성(옮김)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20 미술과 교육 Vol.21 No.1

        이 연구 프로젝트의 목적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통합교육 개발에 있다. 이 글을 통해 의미있고 성공적인 통합교육 제안과 중요한 부분들을 강조하고 있다. 효과적인 STEAM 기반 수업을 위해 다른 분야의 선생님과의 협업과 소통이 중요한 부분이다. 이 연구서에 보여주는 한 사례를 통해 어떤 소재나 목적들을 기준으로 구성하여 수업을 계획했는지를 보여준다. 스탑모션 애니메이션 수업 연계를 통해 다양한 배움의 스타일과 어떻게 수업을 이끌어 갈수 있을지를 제안하고 실질적으로 어떻게 수업에서 소재를 사용하고 응용할 수 있을지를 고민해보고자 한다. 학생들과 선생님들의 의견을 조사하여 어떤 점이 주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흥미로운 부분이 있는지를 찾아서 앞으로의 통합교육 개발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KCI등재

        STEAM-Inspired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Students: A Case of Stop-Motion Animation Unit

        Jin-Young Koh(고진영)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20 미술과 교육 Vol.21 No.1

        The goal of this research project was to develop integrated units of study appropriate for middle-school students. This study has shown that in order for integration to be meaningful and successful, there must be an equal emphasis placed on all components of instruction. For the effective STEAM-inspired instruction,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all involved teachers were significant. The lesson unit developed as action research feature the collaboration of teachers from a variety of subject areas who naturally aligned their objectives and standards with each other. For example, the Stop-Motion Animation unit was implemented through a collaborative effort between the Computer, Science, and Art Teachers. Each unit also features lessons that cater to different learning styles and that are evaluated by multiple forms of assessment. In addition to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lessons, the researcher also produced two surveys for colleagues and students to understand the middle school students’ attitudes and interest levels toward the integration of the art into curricula. The survey results indicated a significant interest in arts integration, but also a concern among teachers about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integration practices.

      • KCI등재
      • KCI등재

        아동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특성 및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1990 년대 이후의 연구를 중심으로 -

        이경화(Kyung Hwa Lee),고진영(Jin Young Koh)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1998 한국가족복지학 Vol.3 No.1

        The study analyzed 106 papers including masters thesis and Ph. D. dissertation and 44 articles from 1990 to 1997 with relevant to child development through parental characteristics and parent-children relationship. Among various variables related to effects on child development,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variables between children development and their par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in child development are found to be maternal characters which have effects on their fostering behavior and their child behavior and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According to the study, programs for enhancing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 are needed in order to develop child positive development. In an information society, some programs using multi-media are needed to develop in order to solve problems which lies in management of current education programs for parents.

      • KCI등재후보

        영재의 지능, 창의성, 자아개념간의 관계 분석

        이경화(Lee Kyung hwa),고진영(Koh Jin young),박숙희(Park Sook h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07 영재와 영재교육 Vol.6 No.1

          본 연구에서는 영재판별과정에서 나타난 영재들의 지능, 창의성, 자아개념을 분석하고 각 변인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SIGT 영재교육연구원에서 영재판별검사를 실시한 276명의 유/아동 영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검사결과를 분석하였다. 지능, 창의성, 자아개념의 하위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에 의하면, 연령과 자아개념의 각 하위요인 및 지능은 창의성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특히 언어성 지능은 창의적 능력, 창의적 성격 및 통합창의성 모두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동작성 지능은 창의적 능력과 통합창의성과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으나 창의적 성격과의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BR>  그런데 지능과 자아개념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창의성과는 수학적 자아개념, 신체적 자아개념 그리고 친구 자아개념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발견할 수 있었다. 한편 영재프로그램에의 참여 여부에 따라 지능과 언어창의성을 제외한 창의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자아개념 검사결과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영재판별과 교육에 있어서 지능과 창의성 등의 인지적 특성과 함께 자아개념과 같은 정의적 특성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는 관점을 주장하지만, 결과에 의하면 지능과 창의성은 높은 상관이 나타났으나, 정의적 영역인 자아개념과는 모든 하위요인들과 의미미한 상관이 나타나지는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lligence, creativity and self-concept of gifted children in Korea. We first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lligence, creativity and self-concept to test the so-called "threshold hypothesis". We found a relation between intelligence, creativity and self-concept. In this exploratory study, Integrated Creativity Test(Lee, 2005), Intelligence tests (K-WPPSI and WISC) and Self-concept test(Lee & Koh, 2004)with identified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taken by 276 participants who consisted of preschoolers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were tested at SIGT for identification of giftedness.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lations between intelligence, creativity and self-concept in Korean children were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addition, there was a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language intelligence. Even though there was not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intelligence and self-concept, We foun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self-concept in the areas of math, physical and friend. In other terms of this stud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that were divided into one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gifted program and another group who didn"t. In the future, we need to consider diverse characteristics for identification of giftedness and proper educational treatment and guidance for gifted education.

      • KCI등재

        학령기 아동의 자아개념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연구

        이경화(Lee Kyung Hwa),고진영(Koh Jin You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03 영재와 영재교육 Vol.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성취와 자아개념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자아개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초등학교 학생의 학업성취를 증진시키기 위한 기본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학업성취의 관계는 어떠한가? 초등학생의 자아개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초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자아개념은 어떠한가? 등을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BR>  본 연구의 피험자는 서울의 초등학교에서 선발된 124명의 4학년 학생들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아개념 검사는 Marsh(1989, 1990)에 의해 개발된 자아개념 검사도구인 SDQ-I(Self-Description QuestionnaireㆍI)로, 본 연구자가 변역하여 사용하였다. 학업성취는 국어, 수학, 과학, 사회 등 각 교과목의 4학년 정기모의고사 성적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0.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t-test, ANOVA, 상관계수가 산출되었다.<BR>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초등학생의 자아개념에 성별 차이가 나타났다. 즉 신체적 능력과 읽기 능력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학업적 자아개념과 학업성취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특히, 일반교과와 읽기, 수학 등에서의 상관이 유의미했다.<BR>  이와 같이 초등학생들의 특성을 밝힘으로써 학생들의 학업성취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학생지도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s a basic tenet for improving educational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education achievement with self concept and examining the effect of the self concept on educational achievement. For accomplishing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ostulated: 1.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school-age children"s self-concept and educational achievement? 2. What are the self-concept of school-age children"s by gend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24 fourth graders selected from one elementary school in Seoul area.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on self-concept SDQㆍI, and Achievement Test for educational achievement which was developed by the school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0.0. The t-test, ANOVA, Coefficient were employed for analyzing the data. Some suggestions based on this findings were might be given: Firstly, as a result of the findings of the difference of self-concept by gender, there"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in self-concept on physical ability and reading ability. Secondly, as a result of the findings of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self-concept and educational achievement of by total score of all the subjects, there"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m in self-concept on general subjects, reading, and ma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