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앙아시아 페르가나 지역의 국경 분쟁

        강봉구(Kang, Bong Koo)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3 슬라브학보 Vol.28 No.1

        Borderland situations in the Ferghana Valley in Central Asia have brought about lots of inconveniences, and furthermore serious conflict and confrontation among residents of the border region. Trilateral border disputes among Uzbekistan, Kyrgyzstan, and Tajikistan have provided all this region with socio-economic instability and have became a structural cause of permanent security fragility in the Ferghana. This paper aims to explain backgrounds and the present state of border disputes up to recently, and to analyze the causes of protracted border delimitation. The sequence of this work is as follows: to explain the situation of border demarcation in early Soviet era, focusing on Moscow’s policy and the position of natives of the Ferghana; to describe the border conflict situations around several exclaves(or enclaves) located in the Ferghana which have been the epicenters in the tripartite border conflicts; to analyze why border delimitation process has been protracted for a long time; to propose a constructive and residents-centered way of solving border disputes in the Ferghana.

      • KCI등재
      • KCI등재

        호모 소비에티쿠스에서 호모 푸티누스로의 진화 - 규정요인과 속성을 중심으로 -

        강봉구 ( Kang¸ Bong Koo ) 대한정치학회 2020 大韓政治學會報 Vol.28 No.3

        푸틴 대통령의 사실상 집권 20년을 경과하면서, 푸틴주의를 지지하거나 수용하는 러시아인들이 공유하는 발상, 사고와 행동의 속성들이 포착되고 있다. ‘새로운 유형의 러시아인(a new type of Russian)’이 등장한 것이다. 소련 해체 이후 법적 공식적으로 소멸된 호모 소비에티쿠스는 ‘호모 포스트-소비에티쿠스’를 거쳐, 늦어도 2010년대 중반 이후로는 ‘호모 푸티누스’로 불릴 수 있게 진화되어 왔다. 이 호모 푸티누스 현상은, 게센(M. Gessen)이 소환한 호모 소비에티쿠스의 재현인가? 이 논문의 목적은 호모 푸티누스의 규정 요인과 속성은 호모 소비에티쿠스의 그것들과 어떤 차이점이 있는가를 규명하는 데 있다. 호모 푸티누스는 자유자본주의 세계체제와 자유주의 국제질에 지각생으로 편입된 러시아 사회가 당면한 현실(‘러시아식’ 민주주의와 자유자본주의의 특성)을 반영한 환경적 규정요인과 이에 대한 러시아인들의 대응이 빚어내는 상호작용을 통해 구성되어 왔다. 동시에 이 과정에 적극적으로 개입해 온 러시아 권력 엘리트의 정치적 상징작용 및 대중 조작도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푸틴주의가 제 모습을 갖추어감에 따라 호모 포스트-소비에티쿠스는 점점 더 정형화된 호모 푸티누스로 구체화되어 왔다. 본 논문은 호모 푸티누스의 등장은 이전보다 더 다면적이며 복합적인 국내외적 환경 속에서 일어난 것임을, 또 그것들이 규정하는 이해관계와 의미 체계 역시 러시아 대중의 경제생활 및 이념적·정서적 선호에 따라 체현되어 왔음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호모 푸티누스의 공유 속성들 역시 소련 시기와는 다른 미래 진화 과정을 가질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한다. In the course of Putin's virtually 20 years of power, the characteristics of ideas, thoughts and actions shared by Russians who support or embrace Putinism have been captured. A ‘new type of Russian’ appeared. Homo sovieticus, which was officially extinguished after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passed through the “Homo post-Sovieticus” and has evolved to be called Homo Putinus at least since the mid-2010s. Is this Homo Putinus a resurrection of Homo Sovieticus recalled by M. Gesse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efining factors and attributes of Homo Putinus and those of Homo Sovieticus. Homo Putinus has been constructed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an environmental regulatory factor that reflects the realities of the Russian society (characteristics of 'Russian style' democracy and liberal capitalism) and the response of Russians to it. At the same time, the political symbolism and manipulation of the Russian power elite, which had been actively involved in the process, also played a decisive role. Homo Post-Sovieticus has been increasingly embodied as Homo Putinus, as Putinism has taken shape through this process.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appearance of Homo Putinus has occurred in a more multifaceted and complex domestic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 than before, and that the interests and semantics they define have also been embodied in accordance with the Russian public's economic life and ideological and emotional preferences. As a result, Homo Putinus's shared attributes are also likely to have a future evolutionary process that is different from the Soviet era.

      • KCI등재

        유라시아경제연합(EEU)과 EU: 정체성 대립의 새로운 전선

        강봉구 ( Bong Koo Kang )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4 슬라브연구 Vol.30 No.4

        ‘유라시아경제연합’(EEU)의 출범 준비와 EU의 동으로의 확장 노력이 충돌하고 있는 현상은 지역통합 블록 간의 지경학적 경쟁, 지정학적 대결 등의 요소를 드러내고 있지만, 그 기저에는 정체성의 대립이 핵심 요인으로 존재한다. 이 시점에서 EU와 EEU 간의 정체성 대립을 촉발한 원인은 첫째, 큰 범주에서 세계정치의 구조변화이며 둘째, 직접적인 원인은 ‘푸틴주의’로 표현되는 러시아의 비유럽적 정체성 선택, 독자적인 발전전략 추구 및 자신의 발전모델 확산 기획(EAU형성) 때문이다. 러시아의 비유럽적 정체성의 이념적 기초는 ‘주권 민주주의’론과 ‘국제 보수주의’이다. 푸틴주의가 유지되는 한, 정체성의 대립 전선이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The clash of Russia-led EEU(Eurasian Economic Union) and EU represents geo-economic competition and geo-political rivalry between regional integration blocks, and, at the same time, at the bottom of that exists identity confrontation as the root cause. The driving forces of identity confrontation are as follows: Firstly,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world politics in the largest category; secondly, Kremlin’s choice of non-European identity, independent development strategy on its own way, and project(EAU) of diffusing Russia’s own development model. Ideological bases of Russia’s non-European identity are ‘sovereign democracy’ and ‘conservative international’. As far as Putinism survives, the front line of identity confrontation between EU and EEU is likely to last for a considerable period.

      • KCI등재

        러시아와 이란의 전략적 제휴?: 시리아 내전 개입의 의도를 중심으로

        강봉구 ( Kang Bong-koo )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6 러시아연구 Vol.26 No.2

        대다수 연구들은 시리아 내전에서 러시아와 이란의 긴밀한 협력은 군사적 외교적 경제적 이해관계의 부합에 따른 “일시적인 동반자 관계 혹은 필요에 따른 협력”이며, “제한적이며 정황적인” 것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 반대편에서는, 상기 관점은 러시아와 이란이 시리아를 포함한 중동지역에서 공유하고 있는 지정학적 이해관계, 근대 국제규범에 대한 보수적 입장 및 상보적인 경제적 유대 관계 등을 과소평가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이 논문은, 양국이 시리아내전에 군사적으로 개입한 의도에 근거하여, 이전의 사례들과는 달리 러시아의 대 서방 관계 개선 혹은 개선 의도에 따라 러시아-이란 양국 관계가 냉각될 가능성은 낮다고 주장하며, `일시적인 파트너십`보다는 좀 더 긴 시간에 걸쳐 전략적 제휴관계가 지속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그 주요 동력으로는, 세계ㆍ지역 정치에서 양국의 지전략적 계산, 특히 각국이 시리아의 아사드 정권에 대해 갖는 지정학적 이익이 서로 부합하고, 또 양국은 추구하는 가치(권위주의 및 주요 국제규범에 대한 보수주의적 시각) 및 비서방적 정체성 등을 대체로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Most of the studies on the closer partnership between Russia and Iran in Syrian civil war have argued that it is “a temporary partnership or a cooperation of necessity” and “limited and situational.” Studies standing on the opposite side have criticized that the prevailing interpretations have ignored the two countries` shared geopolitical interest in the Middle East including Syrian affairs, a conservative position on modern international norms, and complementary economic ties between themselves. On the analyses of Moscow`s and Tehran`s intentions in military intervention in Syrian civil war, this paper argues that differently from the previous experiences, Russia-Iran relations are unlikely to worsen in line with Moscow`s improvement or intention of improvement in relations with the West, and expects the strategic alignment of Russia and Iran is likely to continue for the foreseeable future. The main driving forces are that two nations` geo-strategic calculations in global and regional politics and particularly their geopolitical interest on al-Assad`s regime in Syria have been similar, and they have mostly shared values(authoritarianism and the conservative perspective on the main interstate norms) and non-Western identity.

      • KCI등재

        우크라이나 위기와 미국 - 러시아 관계 : 대외정체성 대립의 장기화

        강봉구(Bong Koo, Kang)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5 슬라브학보 Vol.30 No.3

        This paper, approaching US-Russia conflict and clashes over the Ukraine crisis from the perspective of identity confrontation, aims to make up for the explanatory restriction embedded in neo-realist or geopolitical approach and make argument that the confrontation of international identities between US and Russia is likely to last long. On the bottom of US-Russia conflict lies clashes of two irreconcilable positions: while Washington has regarded Putinite Russia consolidated with sovereign democracy discourse as a challenger to the liberalist world order and the West-led international norms, Moscow has thought that Washington has an intention to weaken Russia or at least Putinism, which has sought its unique values and development model different from those of the Atlantic world, and has taken counter-measures against it. With Ukraine crisis, in particular, as two parties have become confident in their belief, distrust and alienation with each other have been deepened. The international identity confrontation between US and Russia seems likely to last long due to the three factors as follows: the difficulty of reorientation by Russia of sovereign democracy and non-Western international identity, Washington’s position of not allowing Russian exceptionalism, and the changing configuration of global power relations relating to rising China.

      • KCI등재

        모디 총리 시기 인도-러시아 전략적 파트너십의 진로

        강봉구 ( Kang Bong-koo ) 대한정치학회 2017 大韓政治學會報 Vol.25 No.1

        이 논문의 주된 연구목적은 나렌드라 모디 총리의 집권 이후 더욱 모멘텀이 강화된 인도와 미국의 전략적 파트너십, 그리고 그 맞은편에서 진행된 러시아와 파키스탄의 군사협력 시동 등이 인도와 러시아의 오랜 전략적 파트너십에 미칠 영향의 정도를 분석하는데 있다. `액트 이스트(Act East)` 정책의 틀 내에서 모디 총리의 대미 제휴 강화드라이브와 이에 맞대응한 모스크바의 러-파 군사협력 시동은 오랜 전략적 동반자 인 인도와 러시아 관계에 긴장을 초래하였으며 양자관계 재조정의 주요 인자로 작용하고 있다. 과거 냉전기 소련과 인도를 결속했던 `자연스러운 동맹`의 핵심 조건이 사라졌다. 러시아가 인도를 위한 대중 균형자역할을 할 수 없게 된 상태에서 뉴델리가 미국에게서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하는 것은 인도의 최대 위협요인인 중국과 파키스탄을 견제하기 위한 사활적 선택지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양국에게는 상보적인 지전략적 위상, 다중심적 세계질서 옹호, 전략적 자율성의 강조, 장기적 관점에서 중국에 대한 견제 필요성 등 시각과 이해관계의 공유 부분이 아직도 남아 있다. 그러므로 양국의 전략적 파트너십은 약화되는 반면에, 양자관계는 급속히 냉각되기보다는 우호적 재조 정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xtent to which Indo-U.S. strategic partnership with more increased momentum since Prime Minister Narendra Modi`s coming to power and, on the opposite side, the start of Russian-Pakistani military cooperation will affect the traditional Indo-Russian strategic partnership. New Delhi`s drive for an alignment with US within the framework of Act East policy by Prime Minister Modi and Moscow`s initiation of military cooperation with Pakistan as a `tit-for-tat` measure have brought a tension between India and Russia, old strategic partners and become a main factor causing rearrangement of the bilateral relationship. An essential prerequisite for “natural allies” bonding the Soviet Union and India in the Cold War era has disappeared. In the situation that Russia cannot act as a balancer to rising China, the attempt by New Delhi to find a strategic partnership in the US is a vital option to curb the main security threat, China and Pakistan. However, shared perspective and interest by the two countries still remain such as complementary geo-strategic status, the consensus on a multi-centered world order, the emphasis on strategic autonomy, and from long-term perspective the necessity of curbing China. In consequence, whereas the weakening of strategic partnership continues, Indo-Russian relationship is likely not so much to cool rapidly as continue friendly readjusting.

      • KCI등재

        러시아의 대외정책노선과 2012년 이후 대외정책의 영향 변수들

        강봉구(Bong-Koo Kang)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2012 평화연구 Vol.20 No.1

        러시아는 1997년 '유라시아 지역의 독자적 강대국' 노선으로 대외정책노선을 형성하였다. 15년이 흐른 현재까지 러시아의 대외정책노선은 변화되지 않았으며, 앞으로도 본질적 변화없이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다. 지금까지는 강대국으로서 인정받기 위해 '위세(威勢)적 방어 전략'에 치중한 시기였다면, 2012년 푸틴3기부터는 경제현대화와 문화역량을 강화하는 '강대국으로서의 정상화 전략'으로 초점이 이동하고 있다. 러시아 대외정책노선에 대한 네 가지 주요 영향변수들 가운데, 가까운 미래에 변화 가능성이 있는 것은 통치체제로서 '푸틴주의'이다. 그러나, 러시아의 국내정치와 경제정책이 '재자유화'의 방향으로 전개된다고 하더라도 다른 세 가지 영향변수들에서 근본적인 변화가 없는 한, 러시아의 대외정책은 장기간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을 보장해 온 '독자적 강대국' 노선의 틀 내에 있을 것이다. Russia got to the formation of foreign-policy line, "an autonomous great power in Eurasia region" in 1997. While 15 years have passed, this foreign-policy line has not changed and will continue in the forseeable future. There is a difference, however, in that this line up to recent time has focused on an "assertive defense strategy" to be recognized as a great power and, now, moves the focus to the "strategy of great power normalization". Among the four influence factors upon Russian foreign-policy line, one factor which is open to the possibility of change in the near future is "Putinism" as a ruling system. Although Russian polictics and economic policy might turn to re-liberalization, however, as long as other three factors do not change fundamentally, Russian foreign policy will remain in the frame of "an autonomous great power" line which has guaranteed long-term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