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통 사상 및 교육 방법의 현대 도덕 교육과정에서의 활용 가능성 연구

        함규진 ( Kyu-jin Ham ),신창호 ( Chang Ho Shin ),임홍태 ( Hong Tae Lim ),지준호 ( Chun-ho Chi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6 한국 철학논집 Vol.0 No.50

        도덕은 하나의 철학적, 심리적 상념으로서도 존재하지만, 실천으로 이어져야만 비로소 도덕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기본적으로 도덕이란 타자가 자신과 공존할 때, 그 타자와의 관계에서 좋음(goodness) 또는 옳음(righteousness)을 추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 도덕이란 대부분 본능적으로 체득할 수 없기에 도덕교육이 있게 되는데, 한국인의 경우 서구와 다른 도덕적 전통을 갖고 있으며 따라서 서구적 도덕교육으로 충분하지 않거나, 전통적 도덕교육을 활용함으로써 더 나은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찾을 수 있다. 그런 견지에서 전통의 실천적 의미를 재해석하고 활용하는 일은 한편의 논문으로는 너무 방대한 과제이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비교와 범주화, 그리고 활용의 편의를 위해 전통을 ‘근세 유교(조선왕조 이후의 유교) 전통’으로 한정짓고, 다시 도덕교육 가운데 현행 도덕과 교육의 교육과정을 전통 교육과정과 비교함으로써 일정한 성과를 얻고자 하였다. 전통 교육과정은 기(氣)의 발달에 근거하여 연령별로 단계별 학습을 시도했으며, 그 핵심 이념은 인(仁)과 의(義), 실천적 덕목은 효(孝), 제(弟), 자(慈), 직(直), 근(勤), 검(儉)이라고 정리해볼 수 있다. 여기서는 그러한 전통 교육 이념이 ‘자신과의 관계’, ‘타인과의 관계’, ‘사회 공동체와의 관계’, ‘자연·초월과의 관계’로 영역을 나누고 각기 지향할 가치, 실천할 덕목을 배정한 현 도덕과 교육의 체계와 상통할 수 있다고 보고, 그에 따라 교육 현장에서 실천할 몇 가지 전통-현대 융합적 교육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Any moral ideas get integrity upon their practices. Because in human society systems, morality have capability among human interactions, for it gives moral standards(good or bad/ right or wrong) to them. And when the society system is Korean, Koreans surely have developed unique styles of moral practice and moral education in their traditional ages. So reinterpretating and categorizing the moral tradition for taking advantage of it in contemporary context, make sense. In this study, Korean moral tradition is focused in its scope, as ``Confucian moral tradition in semi-modern era``. For convenience of study and the potentials of effective revision, Korean tradition have been resized. In Confucian moral tradition, semi-modern Korean moral ideas could be presented as ren(仁) and yi(義). Furthermore, ren and yi could be practiced with several moral virtues, like xiao(孝), di(弟), ci(慈), zhi(直) qin(勤) gian(儉). When compared with contemporary moral education idea systems, the traditional system can have affinity with the systems in moral ideas division(``with-self morality``, ``with-others morality``, ``with-universe and transcendence morality``). And several fusion-style, integration-based education practices can be developed and applied at contemporary school moral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통일운동과 통일교육을 위한 통일 당위성에 대한 연구

        함규진(Ham, Kyu Ji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통일인문학 Vol.68 No.-

        통일은 대한민국의 국가목표이다. 그러나 오랫동안 정부의 일방적인 정책목표일 뿐이었고, 시민사회에서 통일의식을 고취하고 통일을 준비하기 위한 통일운동과 통일교육은 대단히 미비하였다. 오랜 권위주의 정권 아래 시민사회의 자율성이 억제되어 왔으며, 1987년의 민주화 이후에는 ‘레드 콤플렉스’는 유지되는 한편 민족주의는 쇠퇴했기 때문이다. 이는 현실적으로 국민통일의식의 지속적인 저하의 문제를, 이론적으로 국민의 동의와 지지 없이 이루어지는 국가 목표의 정치적 책임 정당성 문제를 제기한다. 따라서 이제 새로운 통일 당위성 담론을 개발하여, 통일을 국민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목표로 정립할 필요가 있다. 이제까지 제시된 통일 당위성 담론은 크게 민족주의, 실리주의, 보편주의 내지 인도주의로 정리할 수 있다. 이 담론들은 모두 일정한 타당성과 설득력을 가지지만, 오늘날 보다 유효하면 당위성을 제공하면서 정치적 책임으로서 더 폭넓은 정당성을 확보하려면 대안적 담론이 필요하다. 여기서 ‘근본적 사회개혁으로서의 통일’을 상정하고, 한국 사회의 근본적 개혁을 추진하기 위한 근거이자, 목표로 통일을 모색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이는 민족주의, 실리주의, 보편주의의 장점을 두루 갖추는 한편, ‘지금 여기’의 문제의식에 보다 부응함으로써 더 유효한 통일 당위성 담론일 수 있다. 또한 정치적 책임에 있어서도 보다 강력한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다. Unification is a national goal of Republic of Korea. But for decades, it was only an objective of Korean government in reality: unification movements and unification education among civil society was poorly developed. Long-lived authoritarian regime have controlled autonomy of society, and after democratization in 1987, ‘red complex’ of many Koreans persisted while nationalism diminished. Therefore, we can think a question of Korean people’s low unification consciousness, and another one of political obligation when government pursues its objective without peoples’ consents and supports. There have been three important justification of unification discourses: nationalism, practicalism, and universalism. Each discourse has strongpoints for unification discourse. But more effective and convincible one is needed. Reformism can take unification as start point of reform movements and end of the It includes strongpoints of three unification discourses and gets focus on ‘here, now’. So we can expect more effective and convincible discourse of unification in it.

      • KCI등재

        한국적 민주주의의 형성과 민본주의의 역할

        함규진(Ham, Kyu-Jin) 한국정치정보학회 2016 정치정보연구 Vol.19 No.1

        민주주의’가 한국에 이식된 때는 해방 내지 정부 수립부터였고, ‘정치적 민주주의’가 정립된 때는 1987년 이후였다. 그러나 21세기 초인 지금에 이르러서도 ‘우리는 과연 민주주의 국가에서 살고 있는가?’, ‘민주주의의 효용이란 무엇인가?’ 등의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담론이 종적 없이 유행하고 있다. 그것은 한국 민주주의의 ‘외생적 기원’과 그 전후의 특유의 정치사에서 배태된 ‘한국적 민주주의’가 오늘날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한 ‘한국적 민주주의’란 민주주의 제도화에 불리한 환경에서 민주주의를 정립하려는 시도이기도 했고, 그 자체가 그런 민주주의 제도화의 방해물이 되기도 했다. 여기서는 한국적 민주주의의 형성 과정을 분석함에 있어 ‘민본주의’라는 개념을 제시하고, 그 개념을 ‘애민’과 ‘위민’이라는 두 가지 요소 중심으로 정리한 다음, 전통 정치사상 및 정치문화에서 비롯된 그러한 민본주의가 한국 민주주의 발전사에 영향을 미친 과정을 주로 집권세력과 그 대항세력이 표출한 담론에 대한 문헌 분석으로 탐구하며, 마지막으로 오늘날 한국 민주주의의 숙제에 대하여 민본주의가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고찰 한다. Korean democracy have evolved in many years. With the foundation of Republic of Korea, constitutional and legal forms of democracy were also founded in a row. But political democracy in its regular form have constructed after 1987 June Struggle. And now, early 21st century, Koreans still worry about their standards of democracy and the efficacy of democracy itself. This conundrum is originated from the complex and unconventional situations of the origin of Korean democracy. From them, Korean political actors invented an unconventional thought and style of democracy, "Korean-style Democracy" for an alternative of Western-style democracy or an buffer of it. In analysis of Korean-style Democracy, it"s useful to adopt a concept of "Minbon thought."(people-as-root-thought) Minbon thought could be found through traditional politics of Korea, and for its codes of conduct, demand a high-level moral integrity and diligence(in policy making for his/her subjects" well being) of ruler. Minbon thought have affected Korean modern politics and development of democracy unconsciously. With analysis and review of the thought and its affection, we can find new insights in deepening and reconsidering Korean democracy.

      • KCI등재

        북한 관련 보도에 대한 초등학생의 이해와 통일교육의 과제

        함규진 ( Kyu Jin Ham ),이신애 ( Shin Ae Lee ),장세영 ( Se Young Jang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5 초등도덕교육 Vol.0 No.50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통일의식의 함양은 가장 중요한 과제의 하나다. 그러나 최근 사회 전반적으로 통일의식이 저하되고 있는 가운데 청소년층에서도 통일의식이 매우 저조한 현상이 나타난다. 그 여러 원인 중 하나로 교육과정에서의 통일교육의 비효과성을 들 수 있으며, 또한 효과적인 통일교육 방안을 고려할 때 천안함 침몰, 연평도 포격, 목함지뢰 도발 등등 종종 돌발적으로 발생하는 북한의 무력도발과 장성택, 현인택 처형 등등 북한의 비인도적이고 잔혹한 행태의 보도에 대해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의 문제를 생각할 수 있다.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북한 도발과 북한 처형 관련 보도에 대한 반응 및 이해를 조사하고, 그것이 북한 및 북한주민에 대한 인식과 통일관에 어떤 연관성을 갖는지를 분석해 본 결과, 북한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북한 관련 보도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지속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그런데 북한에 대한 관심이 높을 경우 북한 및 북한 주민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많고 통일의식도 높으므로, 북한 관련 보도를 접함으로써 충격을 받고 북한에 대해 거리감과 혐오감을 갖게 될 경우 종래의 긍정적 태도가 불식되며 결국 통일의식 저하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북한에 대한 관심도를 높이면서 북한 관련 보도를 긍정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통일교육이 요청되며, 그 대안으로 회복적 정의관과 비폭력 대화 등의 이론적 접근법을 배경으로 하면서 액션 러닝, 하브루타, 플립드 러닝 등의 수업 기법을 활용하는 방안이 고려 가능하다. Unification consciousness would critical of unification preparation. But recent researches show serious degrading of it among Korean people, especially among young members. For reversing this situation, more effective and proper unification education is needed. Some North Korea-related media news, ROKS Cheonan sinking, Yeonpyeong Island bombardment, for example, would giv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rious shock. And from the shock, they would build up their negative consciousness about North Korea and North Korean people and it degrade unification consciousness in the long run. This hypothesis was supported by the data based on student survey in this study. For providing proper alternatives in unification education, several peace-oriented educational principles and visions, like restorative justice or nonviolent communication, can be applied. Several class teaching skills, like action learning, flipped learning, Havruta, also can be applied for enhancing educational effect.

      • KCI등재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의 통일교육 이념 분석 : 초등 교육을 중심으로

        함규진 ( Ham Kyu-jin ),이신애 ( Lee Shin Ae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6 초등도덕교육 Vol.0 No.54

        이전 교육과정과 2015 교육과정에서 통일교육 부문의 이념적 특성을 비교분석하면, 세부적으로 강조점이 달라졌음을 알 수 있다. 2007 교육과정에서는 `민족`이, 2009 교육과정에서는 `(세계)시민-다문화`가, 2015 교육과정에서는 `애국`이 그런 강조점에 해당된다. 일선 교사들에 대한 통일교육 이념 및 선호도 조사 결과 대부분 통일교육에서 `민족` 이념을 가장 기피하면서도 그 이념에 따라 교육하기를 아직도 선호하는 모순적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다문화` 지향성이 높은 교사들은 `애국`이념과 통일교육 자체에 대해 회의적 태도가 높다. 2007, 2009, and 2015 unification education departments of elementary education curricula have generally common ideological directions but some detailed differences. We can find that `nationalism`, `world-citizenship and multiculturalism`, and `patriotsm` as their respective emphasized ideological components. In a survey of 267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ny teachers disliked more `nationalism` as their political ideologies than others. But they have get used to the `nationalism` as their educational ideologies in unification education classes. Teachers who like more `multiculturalism` than other ideologies tended to skeptical toward the unification education itself.

      • KCI등재

        조선 역대 왕들의 감선(減膳) : 그 정치적 함의

        함규진(Ham Kyu Ji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연구 Vol.34 No.-

        감선(減膳)은 조선왕조에서 중요시된 의례적 관행의 하나다. 그 사상적 배경은 중국 한왕조의 동중서에서 유래하는 '천인감응론'이며, 이에 따르면 군주는 가뭄이나 홍수 등 자연재해가 발생했을 때 이를 잘못된 정치에 대한 하늘의 경고 및 견책으로 받아들이고 반성하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 여기에 『시경』, 『대대례』 등의 가뭄이 들었을 때는 군주의 식사를 줄인다는 규정 근거가 더하여, 전통 한국에서는 오래 전부터 감선을 실시해 왔으며 유교적 정치사상이 지배적이 된 조선왕조에서는 그 횟수와 수준이 특별했다. 감선은 고도의 정치성을 띤 상징적 행위였다. 우선 그것은 지배집단이 피지배집단에게서 "확산적 지지"를 이끌어내는 의례의 하나로 기능했으며, 따라서 조선왕조의 체제 수호에 기여했다. 또한 지배집단의 한 축으로서의 신료집단이 유교적 요구에 충실한 군주상을 봄으로써 그를 인정하고 신임하도록 하는 군주리더십의 한 방편이기도 했다. 그리고 드물게는 군주가 신료집단을 압박하고 그들이 마치 "부모를 잘못 모신 불효자들"처럼 송구한 태도로 군주의 우위를 인정하지 않을 수 없도록 만드는 비상수단으로도 활용되었다. 감선은 태종부터 시작하여 순종까지 이어졌으며, 조선왕조 519년 동안 341회 행해졌다. 조선 전기의 문치주의적 정치체제 수립 과정에서 감선은 문치주의의 성쇠에 비례하여 부침하였으나, 16세기 말에는 감선을 한낱 형식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보는 경향이 늘었다. 하지만 이후에도 왕에게 유교적 모범을 요구하는 신료집단의 입장과, 감선에서 왕권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려는 왕의 입장이 맞물려 감선은 꾸준히 행해졌다. 조선후기에 접어들 때는 한때 왕권 강화의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후 감선은 급속히 형식화되었으며, 그 사상적 배경인 천인감응설이 많은 지식인들의 흥미에서 벗어나면서 감선의 정치적 효과 또한 대부분 상실된 채 의례적 전통으로 이어지다가 조선왕조 멸망에 이르렀다. Gamsun, in its literal meaning, "dish reduction", had been a very important and faithfully maintained ritual during Chosun Dynasty. Chosun kings carried out gamsun 341 times in their reigns.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gamsun could be found in the doctrine of 'Interactions Between Heaven and Mankind', which lays down duties of self-accusation and political correction to a reigning monarch who is faced with natural calamity. The political roles and effects of gamsun were, on the whole, system maintenance. The populace of traditional Korea saw an ideal, abstinent and pain-sharing political leader in the king who have been carring out gamsun with sincerity. Moreover, as a political actor in traditional political arena in Korea, king could take advantage of gamsun, for he demonstrate his moral power over royal officials, his followers and potential rivals, with gamsun. And sometimes he use it as a reprimand, for in confucian ethics, a king is supposed a 'father', and like undutiful sons who have not care their fathers' meals, officials who have not care their king's will(and 'drive' him carrying out gamsun) should be reprimanded. Over the years, gamsun had been routinized. And as it became a banal and senseless ritual of court, its political effectiveness also be faded. However, kings have thought it as their enshrined duty, and insisted upon carrying out it. Even after the fall of Chosun Dynasty by Japan-Korea annexation in 1910, deposed king carried out gamsun.

      • KCI등재

        경(敬) 사상에 입각한 통일문제 접근

        함규진 ( Kyu Jin Ham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3 초등도덕교육 Vol.0 No.43

        본 연구는 오늘날 심각한 상황에 봉착했다고 할 수 있는 통일문제에 새로운 접근법을 제안하려는 목적을 갖고 있다. ``심각한 상황``이란 정책적으로 대북한 관계 개선과 통일환경 조성이 모두 이렇다 할 진전 상황이 없이 경색과 유화 국면을 반복하고 있으며, 통일대업 성취에 무엇보다 중요한 국민, 특히 청소년의 통일 의식과 통일의지가 날로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통일교육과 통일운동의 차원에서도 위기가 인식되고 있는 현실을 말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전통사상에서 敬 관념을 찾아내고, 이를 오늘날의 현실에 맞게 응용하여 통일문제 접근에 활용한다. 敬 사상의 근본적 지침인 ``수기이경``, ``행독경``, ``집사경``을 오늘날의 통일정책과 통일교육에 응용하여 새로우면서 효과적인 원칙으로서 자리잡도록 이 연구는 제언한다. Nowadays. the vision of Reunification of Korea is quitely dim. For all. the unification consciousness and will are declining among South Koreans(especially youngers) steadily. So many-years-long projects of South Korean unification education have proved as inefficient stuffs, drawing a question for a new. good and acceptable approach. Jing(敬), a classical term of traditional Confucianism, can be core of the new approach. for its practicing rules. Sugijgyong(修己以敬), Haengdokgyong(行篤敬), and Jipsagyong(執事敬) could be applied respectively to unification education area and unification policymaking area. with some adjustments for modern condition. If they adopt these rules to the areas. they should make many changes for themselves. to get used a new mindset that would make them more humble and earnest to North Kore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