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동화를 활용한 배려활동이 유아의 정서조절 및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하영주,노진형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4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3 No.2

        This study involved using carefully selected fariry tales to improve children's emotion and peer compet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5 four-year-old children from two private childcare centers in Jinju, South Korea. All subjects were from similar financial backgrounds and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n=20) and a control group(n-25). The experimental group engaged with intergrade activities that incorporated children's stories whose characters portrayed positive social skills for more than 40 minutes, twice a week (for a total of 20 sessions). Subjects completed both an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scale and a peer competence inspection tool before and after program comple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ies, descriptive statistics, and variance with SPSS WIN 14.0.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emotional regulation and peer competence than did the control group. This suggests that engagement in caring activities that make use of fairy tales have a positive effect on pro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peer competence in young children. 본 연구는 동화를 활용한 배려활동이 유아의 정서조절 및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진주시에 위치한 사립 유치원 2곳의 만 4세 유아 45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에게는 매주 40분 이상 주 2회에 걸쳐 동화를 활용한 배려활동을 제공하였고 비교집단에게는 동화 읽기 활동을 하였다. 프로그램은 2013년 4월 29일부터 2013년 7월 5일까지 10주에 걸쳐 주 2회 총 20회 진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4.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산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정서조절 및 또래유능성 점수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동화를 활용한 배려활동이 유아의 정서조절 및 또래유능성 증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 KCI등재

        표면요철 매입형 CFRP봉과 CFRP시트 보강방법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보의 구조성능평가 및 개선

        하영주,하기주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5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기존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구조성능 개선을 위하여 표면요철 매입형 CFRP봉과 CFRP시트를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구조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표면요철 매입형 CFRP봉의 사용량, CFRP시트 보강 유무에 따라 총 8개의 실험체를 제작하고 실험을 수행하여 구조성능을 평가하였으며, 본 연구의 실험결과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표면요철 매입형 CFRP봉 보강 실험체 BER 시리즈의 경우, 표준실험체 BSS와 비교하여 12%~46% 내력이 증가하였고, 표면요철 매입형 CFRP봉과 CFRP시트의 보강방법에 따라 보강한 실험체 BER시리즈는 표준실험체 BSS보다 최대내력이 각 각 12~46%, 17%~67% 증가하였다. 그리고 표면요철 매입형 CFRP봉으로 보강된 실험체 NER 시리즈는 부착슬립, 피복분리 형태로 파괴되었으나,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과 CFRP시트를 보강한 실험체 BERB 및 BERA 시리즈는 CFRP시트를 부분 및 전면보강에 따른 콘크리트 구속효과 및 모재와 표면요철 매입형 CFRP봉의 부착강도 증가로 인하여 부착슬립의 형태로 파괴되었다. In this study, experimental research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reinforced concrete beam using retrofitting two materials(groove and embedded CFRP rod, CFRP sheet(fully or partial retrofitting) in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buildings. Eight reinforced concrete beams, retrofitted embedded CFRP rod(BER1, BER2) and embedded CFRP rod with CFRP sheet(BERB series, BERA series), and standard specimen(BSS) were constructed and tested under monotonic loading. Design parameters of test specimens are the amount of embedded CFRP rod and fittings method of CFRP sheet.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maximum load carrying capacity of specimens, embedded CFRP rod with CFRP sheet(BER series), were increased the by 12~22% and 36∼67% respectively in comparison with the standard specimen BSS. Test specimens BER series were failed with the adhesion slip and concrete cover separation. And test specimens BERB series, BERA series were failed with the adhesion slip due to the confining effect of CFRP sheets.

      • KCI등재

        교육환경과 주택가격 간 관계와 사회공간적 격차에 대한 함의 : 서울시의 사례연구

        하영주,이원호 한국경제지리학회 2013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는 교육환경이 형성하는 주택가격에 관한 문제를 사회공간적 격차(양극화)의 문제와 연관된다는 점에 주목한다. 즉 본 연구는 공적인 특성과 기능을 가진 교육환경이 주택가격 결정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주택가치의 사유화되는 과정 속에서 사회적인 격차를 초래한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서울시 사례를 통하여 교육환경으로 인한 부동산 가치의 결정, 그에 따른 소득(자산)의 공간적 격차 심화가 일어나는 현상을 거시적으로 확인하형ㅆ다. 더불어 본 연구의 핵심주제인 교육환경으로 인한 주택 가격의 결정과 그에 일어나는 현상을 거시적으로 확인하였다. 더불어 본 연구의 핵심주제인 교육환경으로 인한 주택 가격의 결정과 그에 영향을 마치는 세부 요인들을 양천구를 사례로 실증분석 하였다. 결과적으로 공간적 스케일에 따라 모두 교육환경, 주택가격 및 사회적 격차는 상관관계를 가진 분포패턴을 분명히 보이고 있으며, 아울러 세부 실증분석에서도 교육환경이 주택상품 그 자체의 물리적 특성에 못지않게 가격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결국 교육환경과 교육성과 및 소득격차 간 연계성을 사회적으로만 다루는 것이 아니라 공간적으로 다루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게 된다. 아울러 기존 주택부문 연구에서도 단지 주택가격 결정이 기술적인 연구가 아니라 사회공간적 격차와 관련된 사회과학적 이슈로도 다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내용 자체의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시론적이며 기초적인 연구로서 향후 더 많은 관련 연구의 출발점으로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This study began with the fac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housing price needs to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structuring of socio-spatial disparity. In other words,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eduction with public features and functions plays a role of housing price determination and the rising price is privatized only to cause socio-spatial inequality. The study first examines how the education factors determine the housing price and cause increasing social inequality in Seoul at the macro level. It also carried out more detailed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environment factors housing price with the case study of yangcheon-gu, Seoul.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environment, housing price and social disparity at various spatial scales. It also figured out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actors play an important role of housing price determination as much as material features per se. This mean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housing price and inequality needs to be dealt with not just socially but also in spatial perspective. In addition, the housing price determination is not just techni-cal research but an social science issue in the context of rising socio-spatial disparity. This study is of only significance as a starting point of promising related researches in the future and much more efforts will b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