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천연항균제 처리에 의한 양돈배합사료의 품질보존

        정재두,조성환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0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37 No.4

        우수한 항균력을 지닌 천연항균제인 자몽종자추출물(Grapefruit seed extract GFSE)과 초피추출물(Zanthoxylum piperium DC.)을 이용하여 사료의 변패에 관여하는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을 검토하였다. Paper disk 법에 의한 항균력 검사결과, 자몽종자추출물은 50ppm 이상에서 초피추출물은 200ppm 이 상에서 항균력을 보여 천연항균제로서 산업계에 적용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열 및 pH에 대한 안정성 검사결과, GFSE구와 초피추출물 처리구의 천연항균제 공히 pH 4~10 , 열 40℃~180℃의 범위내에서 항균력이 지속되는 결과를 보였다. 항균제 처리에 의한 미생물의 형태변화 조사결과 GFSE구와 초피추출물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해 미생물의 세포막을 파괴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양돈배합사료에 천연항균제를 배합처리하고 저장할 때, 자몽종자추출물로 처리한 사료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조단백질 및 조지방함량 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료중 변패미생물의 총균수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아울러, 시험사료에 대한 시험기간별, 향미, 색도에 대한 관능검사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낸 자몽종자추출물은 양돈배합사료의 품질보존에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여름철 고온다습기에 양돈배합사료에 천연항균제를 처리하여 사료의 품질유지에 유리한 결과를 예측할 수 있으며, 보충시험이 선행된다면 현장 적용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Following statement is the experimental results of antibiosis to microorganisms regarded as putrefaction of feed by use grapefruit seed extract(GFSE) and sable(Zanthoxylum piperium DC.)extract which have good antibiotic properties. As a result of antibiosis test using the method of paper disk, GPSE showed antibiosis over 50 ppm and sable extract did over 200 ppm. Natural antibiotic of GFSE and sable extract showed thermal & pH stability in the range of 40℃~150℃ and pH 4~10, respectively. We could investigate that GFSE and sable extract treatment destroyed cell membranes of contaminated microorganisms in camparison with control showing no changes. While the swine feed stored in the chamber, feed treated with GFSE showed the highest content of crude protein and crude fat as well as the least contaminted colony count. As feed treated with GFSE and stored in the storage chamber also showed the best sensory evaluation results, we could estimate that GFSE, natural antimicrobial agent, should be essential to the preservation of swine feed storaged in the high temperature and humidity in summer.

      • KCI등재후보

        Conjugated Linoleic Acid(CLA)가 축적된 돈육의 저장기간중 이화학적 특성변화

        이정일,정재두,이진우,이제룡,정진연,양한술,주선태 한국축산식품학회 2003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3 No.3

        Conjugated linoleic acid(CLA)를 비육돈에 급여하여 비육돈체조직내에 CLA를 축적시키고, CLA가 축적된 돈육의 품질 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조구는 80∼110 kg 까지는 일반사료회사에서 생산하는 사료를 급여하였으며, 처리구 1은 출하(출하체중: 110 kg) 2주전부터 일반사료회사에서 생산하는 사료에 CLA를 1.25% 첨가하여 급여하였으며, 처리구2는 출하 2주전부터 사료함량에 CLA를 2.5% 첨가하여 급여하였다. 처리구 3은 사료함량에 1.25% CLA를 첨가하여 4주간 급여하였으며, 처리구 4는 2.5% CLA를 4주간 급여하였다. 급여기간이 끝난 후 일괄적으로 함양도축장에서 도축하여 돈육의 등심부위를 함기포장하여 냉장온도(4'E)에서 14일간 저장하면서 각 실험항목을 조사하였다 저장기간에 따른 돈육등심의 일반성분,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평가등을조사하여 CLA가 축적된 돈육의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pH변화를 보면 전 저장기간동안 대조구에 비하여 CLA 급여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pH를 보여(p<0.05) CLA 급여가 PH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기간에 따른 pH 변화에서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pH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CLA급여 수준과 급여기간이 등심근내 조지방 함량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대조구와 CLA 급여처리구간에는 대조구에 비하여 CLA급여 처리구가 높은 조지방 함량을 보였다(p<0.05). 보수성은 대조구에 비하여 CLA 급여 처리구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저장 초기에는 대조구에 비하여 CLA 급여 처리구가 유의적으로(p<0.05) 낮은 육즙손실을 보였으며,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육즙손실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CLA 급여수준과 급여기간이 육색과 총육색소 함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적 특성평가 중 육색과 육즙참출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CLA급여 처리구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근내지방 축적 정도와 전체적인 기호성은 대조구에 비하여 CLA 급여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p<0.05).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conjugated linoleic acid 011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rk. Twenty pigs were divided into 5 treatment groups and subjected to each experimental diet(0, 1.25% and 2.5% CLA for 2 weeks, 1.25% and 2.5% CLA for 4 weeks, as total fed diet before slaughtering(about 110 kg). Pork loin samples were aerobically packed and stored for 14 days at 4$^{\circ}C$. Samples were then analyzed for general composition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pH value of CLA fed group pork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at of control group(p<0.05). Crude fat content of CLA treated group pork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pork(p<0.05),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ude protein, crude ash and total moisture contents between control and CLA treated groups. AU CLA fed group pork showed higher WHC value than control pork. Drip loss was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pork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n meat and fat color(CIE L*, a*, b*) were observed between control and the CLA treated group porks. Meanwhile, CLA pork tended to be lower in content of total heme pigment compared to control pork. No remarkable differences were found in sensory properties(color and drip loss) among control and CLA diet-fed group porks. Marbling score and acceptabilit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LA diet-fed pork compared to the control pork.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올리브유가 첨가된 프레스햄의 저장 중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이정일,정재두,이진우,하영주,신택순,곽석준,도창희,Lee, Jeong-Ill,Jung, Jae-Doo,Lee, Jin-Woo,Ha, Young-Joo,Shin, Teak-Soon,Kwack, Suk-Chun,Do, Chang-Hee 한국축산식품학회 2007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7 No.2

        본 연구는 프레스햄의 품질특성에 올리브유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시험구는 프레스햄에 첨가되는 올리브유의 양에 따라 5개의 시험구를 배치하였다. 대조구는 올리브유를 첨가하지 않고 총 구성분 중 10% 량만큼 등지방을 첨가하였다. 처리구 1은 프레스햄 제조시 첨가되는 돈지방 함량 중 5%를 올리브유로 대체시켰으며, 처리구 2는 10%,처리구 3은 15%,처리구 4는 20%를 올리브유로 대체하여 제조하였다. 제조된 프레스햄은 진공 포장하여 냉장온도($4^{\circ}C$)에서 28일간 저장하면서 실험에 공시하였다. 조단백질과 조지방 함량은 대조구와 올리브유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함유수분과 조회분 함량은 대조구가 올리브유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p<0.05). pH는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전 저장기간 동안 뚜렷한 경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장기간 경과에 따른 변화에서는 전 처리구가 저장 7일째에 가장 높았다가 7일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육색 변화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올리브유 대체 수준이 증가할수록 황색도 값은 증가하고 반면에 적색도 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에서도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조직감의 변화에서 대조구와 올리브유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었지만 뚜렷한 경향이 없었으며,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에서도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 프레스햄 제조시 올리브유의 첨가는 이화학적 특성 및 조직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단가불포화지방산 함량을 강화시킨 건강지향적 고급 육제품 생산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The effects of olive oil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ressed ham were investigated. Five different treatments were carried out varying the amount of olive oil added to pressed ham. for the control, 10% back fat among the total ham components was added without any olive oil. For the first treatment, 5% olive oil within the lard component was added into the pressed ham. The 2nd, 3rd and 4th treatments included 10%, 15% and 20% olive oil, respectively. Manufactured pressed hams containing olive oil were vacuum packaged and then stored for 28 days at $4^{\circ}C$. The crude protein and crude fa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and olive oil treated hams. The moisture and crude ash contents of olive oil treated ham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H between the control and olive oil treated hams. The pH increased during the first 7 days of storage and then decreased somewhat for the remainder of the 28 day storage period for all treatments. The meat color $b^*$ value of olive oil treated ham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whereas the meat color $a^*$ value decreased with the inclusion of olive oil. Neither value changed during the period of storag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xture between the control and olive oil treated hams throughout the storage period. In summary, pressed ham manufactured with added olive oil showed no change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texture characteristics. Thus, it may be assumed that high quality pressed ham can be manufactured with increased mono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 KCI등재

        쑥 분말 첨가가 유화형 소시지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이제룡,정재두,하영주,이진우,이정일,김곤섭,이중동 한국동물자원과학회 2004 한국축산학회지 Vol.46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dition of mugwort powder (0.7%, 1%, 2%)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emulsion-type sausages. The pH, color, TBARS, textural properties, minerals content and sensory evaluation were evaluated. The pH values of sausage containing mugwort powder were significantly lower as compared to control during 20 days of storage, but there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at 40 days of storage. The L* and a* values of sausage containing mugwort powder were signficantly lower as compared to control, but the b* valu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ausage containing mugwort powder. The TBARS values of sausage containing mugwort powder were signfkcantly lower than those of control at 20 and 45 days of storage. The hardness values of sausage containing mugwort powder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control. The Na content of sausage containing mugwort powder were significantly lower as compared to control, but Mg, Ca, Mn and Fe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ausage containing 2% mugwort powder. Sensory panels evaluated that sausage containing mugwort powder had the higher preference scores in mugwort flavor.

      • KCI등재후보

        뽕잎과 감잎분말 첨가가 유화형 소시지의 지방산화, 아질산염, 염기태질소화합물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효과

        이제룡,정재두,이정일,송영민,진상근,김일석,김회윤,이진희 한국축산식품학회 2003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유화형 소시지에 뽕잎 및 감잎분말을 각각 0.04와 0.08% 수준으로 첨가하여 지방산화, 잔존 아질산염 함량, 휘발성 염기태질소(VBN)함량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지방산화도를 나타내는 TB-ARS는 저장 45일까지 대조구와 뽕잎 및 감잎분말을 첨가한 소시지간에 차이가 없었지만, 저장 60일에는 뽕잎 및 감잎분 말 0.04% 첨가한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TBARS를 나타내었다. 잔존 아질산염 함량은 뽕잎 및 감잎 분말을 첨가한 소시지가 낮게 나타났다. 휘발성 염기태질소 ;VBN)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조구와 뽕잎 및 감잎분말을 첨가한 소시지 모두 증가하였다. 지방산 조성은 뽕잎 및 감잎분말을 첨가한 소시지가 PUFA/SFA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에서 뽕잎과 감잎분말을 첨가하여 유화형 소시지를 제조하였을 때 휘발성 염기태질소 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소시지의 지방산화를 감소시키면서 잔존 아질산 염을 낮추는 기능성 있는 제품 생산이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ausage containing mulberry leaf(0.04%, 0.08%) and persimmon leaf powder(0.04%, 0.08%) on lipid oxidation(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nitrite, volatile basic nitrogen(VBN) and fatty acid composition. The TBARS values of sausage containing mulberry leaf and persimmon leaf powde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p > 0.05) as compared to control during 45 days of storage, but TBARS values of sausage containing 0.04% mulberry leaf and persimmon leaf powder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control at 60 days of storage.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sausage containing mulberry leaf and persimmon leaf powder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The VBN content of all treatments significantly increased(p < 0.05) during the storage periods. In fatty acid compositions, the percentages of PUFA/SFA of sausage containing mulberry leaf and persimmon leaf powder were significantly higher as compared to control. In conclusion, sausage containing mulberry leaf and persimmon leaf powder was a more effective natural resource on the basis of the lipid oxidation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sausage.

      • KCI등재

        Rosemary와 유자과피 분말 첨가가 유화형 소시지의 POV, TBARS, 미생물 및 아질산염 소거능에 미치는 영향

        이제룡,곽석준,정재두,하영주,어용준,조현소,성낙주,도창희,Lee, J.R.,Kwack, S.J.,Jung, J.D.,Hah, Y.J.,Eo, Y.J.,Cho, H.S.,Sung, N.J.,Do, C.H. 한국축산학회 2005 한국축산학회지 Vol.47 No.4

        본 연구는 유화형 소시지 제조시 rosemary, 유자과피 분말 단일 및 rosemary와 유자과피 분말을 혼합 첨가하여 소시지를 제조한 다음 소시지의 POV, TBARS, 미생물 및 아질산염 소거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소시지의 POV 값은 rosemary, 유자과피 분말 단일 및 혼합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낮았으며, 특히 저장 60일에 유자과피 분말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POV 값을 나타내었다(P<0.05). 소시지의 TBARS은 저장 20일과 40일에 rosemary, 유자과피 분말 단일 및 혼합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낮았으며(P<0.05), 유자과피 분말 첨가 소시지가 가장 낮은 TBARS를 나타내었다. 소시지의 미생물 수는 저장 20일과 45일에 rosemary, 유자과피 분말 단일 및 혼합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낮았다(P<0.05). 소시지의 아질산염 소거효과는 rosemary, 유자과피 분말 단일 및 혼합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아질산염 소거효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저장 20일과 60일에 rosemary 첨가 소시지는 대조구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아질산염 소거효과를 나타내었다(P<0.05). 이상에서, rosemary와 유자과피 분말 첨가 소시지는 대조구에 비해 지방산화와 미생물 성장을 지연시키면서 잔존 아질산염 소거능이 높았고, rosemary와 유자과피 분말 혼합 첨가의 시너지 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dition of 0.1% rosemary, 0.9% citron peel powder and 0.1% rosemary combination with 0.9% citron peel powder on the POV, TBARS, aerobic microorganisms and nitrite scavenging of emulsion-type sausages. The POV values of sausage containing citron peel powder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control at 60 days of storage. The TBARS values of sausage containing rosemary, citron peel powder and rosemary combination with citron peel powder were lower than those of control at 20 and 40 days of storage. The aerobic microorganisms count of sausage containing rosemary, citron peel powder and rosemary combination with citron peel powder were lower than those of control at 20 and 45 days of storage. The nitrite scavenging of sausage containing rosemary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at 20 and 60 days of stor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