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Milk Mineral과 α-tocopherol 첨가가 유화형 소시지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이제룡,곽석준,정재두,하영주,이진우 한국축산식품학회 2006 심포지움 및 학술발표회 Vol.- No.37

        이상에서 milk minerl과 α-tocopherol을 첨가하여 유화형 소시지를 제조하였을 때 일반성분, 육색 및 조직감에서 대조구와 차이를 보였고, 소시지의 가열감량을 낮추면서 유화 안전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 KCI등재

        Rosemary와 유자과피 분말 첨가가 유화형 소시지의 POV, TBARS, 미생물 및 아질산염 소거능에 미치는 영향

        이제룡,곽석준,정재두,하영주,어용준,조현소,성낙주,도창희,Lee, J.R.,Kwack, S.J.,Jung, J.D.,Hah, Y.J.,Eo, Y.J.,Cho, H.S.,Sung, N.J.,Do, C.H. 한국축산학회 2005 한국축산학회지 Vol.47 No.4

        본 연구는 유화형 소시지 제조시 rosemary, 유자과피 분말 단일 및 rosemary와 유자과피 분말을 혼합 첨가하여 소시지를 제조한 다음 소시지의 POV, TBARS, 미생물 및 아질산염 소거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소시지의 POV 값은 rosemary, 유자과피 분말 단일 및 혼합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낮았으며, 특히 저장 60일에 유자과피 분말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POV 값을 나타내었다(P<0.05). 소시지의 TBARS은 저장 20일과 40일에 rosemary, 유자과피 분말 단일 및 혼합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낮았으며(P<0.05), 유자과피 분말 첨가 소시지가 가장 낮은 TBARS를 나타내었다. 소시지의 미생물 수는 저장 20일과 45일에 rosemary, 유자과피 분말 단일 및 혼합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낮았다(P<0.05). 소시지의 아질산염 소거효과는 rosemary, 유자과피 분말 단일 및 혼합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아질산염 소거효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저장 20일과 60일에 rosemary 첨가 소시지는 대조구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아질산염 소거효과를 나타내었다(P<0.05). 이상에서, rosemary와 유자과피 분말 첨가 소시지는 대조구에 비해 지방산화와 미생물 성장을 지연시키면서 잔존 아질산염 소거능이 높았고, rosemary와 유자과피 분말 혼합 첨가의 시너지 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dition of 0.1% rosemary, 0.9% citron peel powder and 0.1% rosemary combination with 0.9% citron peel powder on the POV, TBARS, aerobic microorganisms and nitrite scavenging of emulsion-type sausages. The POV values of sausage containing citron peel powder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control at 60 days of storage. The TBARS values of sausage containing rosemary, citron peel powder and rosemary combination with citron peel powder were lower than those of control at 20 and 40 days of storage. The aerobic microorganisms count of sausage containing rosemary, citron peel powder and rosemary combination with citron peel powder were lower than those of control at 20 and 45 days of storage. The nitrite scavenging of sausage containing rosemary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at 20 and 60 days of storage.

      • KCI등재

        유화형 Sausage의 품질특성에 식물성유와 동물성유 CLA 첨가가 미치는 영향

        이정일,이진희,곽석준,하영주,정재두,이진우,이제룡,주선태,박구부 한국동물자원과학회 2003 한국축산학회지 Vol.45 No.2

        CLA-식물성유와 CLA-동물성유가 대체가 유화형 sausage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3개의 시험구를 배치하였다. CLA-CO는 돼지 등지방 함량 중 30%를 CLA-corn oil로 대체시켰으며, CLA-SSO는 30% CLA-safflower seed oil, CLA-LD는 30% CLA-lard을 각각 대체하여 유화형 sausage를 제조한 후 1, 7, 14, 21 그리고 28일 동안 4℃의 냉장고에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특성, 조직감, 지방산패도, 지방산 조성 및 CLA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CLA-식물성유와 CLA-동물성유를 첨가한 sausage의 pH는 전 저장기간동안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p<0.05), 모든 처리구가 저장 14일째에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pH를 보였다(p<0.05). Sausage의 L*과 a*값은 모든 처리구간에 큰 차이는 없었으나, b*값의 경우 CLA-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전 저장기간 동안 유의적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CLA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모든 지방산 조성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인 반면에 linolenic acid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CLA 처리구인 CLA-CO와 CLA-SSO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p<0.05).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 경과에 따른 지방산 조성의 변화는 없었다. 조직감에서는 CLA-LD 처리구가 대조구나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응집성, 탄력성, 고무성 및 파쇄성 등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유화형 sausage의 지방산패도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처리구 모두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5), CLA-CO 처리구가 대조구 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 유화형 sausage 제조시 CLA 첨가는 이화학적 특성과 조직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제품의 저장기간을 연장 및 CLA를 축적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고급 sausage 생산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Emulsion-type sausages were manufactur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LA-vegetable oils and CLA-lard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emulsion-type sausage. Each treatments replaced pork back fat with CLA-corn oil (CLA-CO), CLA-safflower seed oil (CLA-SSO) and CLA-lard (CLA-LD) were stored during 1, 7, 14, 21 and 28 days at 4℃. The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texture,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fatty acid composition and CLA content of each treatments were measured during 1, 7, 14, 21 and 28 days at 4℃. During storage, pH of control showed higher pH value than that of CLA-vegetable and CLA-lard treatments. The pH values of all treatments was significantly low at storage 14 days (p<0.05). The color L^* and a^*-value of all the treatments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with the storage periods. Color b^*-value of CLA-treatments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during the storage period. Fatty acids composition was changed by addition of CLA-vegetable oils and CLA-lard. All kinds of fatty acids composition were decreased with CLA replacements than that of the control. Whereas linolenic acid content extremely increased by replacement of CLA-vegetable. CLA content of CLA-treatments was extremely increased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cohesiveness, springness, gumminess and brittleness of CLA-LD treat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at of the other treatments. The TBARS value of all treatmen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as the storage period was passed. TBARS of sausage products containing CLA-CO was the lowest. Summing up the a forementioned results, emulsion-type sausage manufacturing with CLA-vegetable oil and CLA-lard was not affected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texture characteristics. Also, it may be assumed that the high quality sausage can be manufactured with the extent of storage period and CLA accumulation.

      • KCI등재

        Conjugated Linoleic Acid(CLA) 급여수준과 급여기간이 돈육의 조직감과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이정일,하영주,곽석준,이중동,김두환,강근호,허선진,박구부 한국동물자원과학회 2003 한국축산학회지 Vol.45 No.6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added diet feeding on CLA accumul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t meat. The CLA used to add in diet was chemically synthesized by alkaline isomerization method with com oil. Pigs were divided into 5 treatment groups(4 pigs/group) and subjected to one of five treatment diets(0, 1.25% CLA for 2 weeks, 2.5% CLA for 2 weeks, 1.25% CLA for 4 weeks and 2.5% CLA for 4 weeks, CLA diets; total fed diets) before slaughter. Pork loin were collected from the animals(110㎏ body weight) slaughtering at the commercial slaughter house. Pork loin meat were aerobic packaged and then stored during 2, 5, 8, 11 and 14 days at 4℃. Samples were analyzed for shear force value, texture, TBARS, fatty acid composition, cholestreol and CLA content. CLA treatment groups showed significantly(p<0.05) higher shear force value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group at 11, 14 days of cold storage. All treatment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storage period passed. There was a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in texture between control and CLA treatment groups. All CLA treatment groups showed significantly(p<0.05) lower TBARS value than the control. TBARS value was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storage in all treatment. CLA treatment groups showed significantly(p<0.05) lower cholesterol content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group. As dietary CLA was increased in feed, the content of CLA was increased, but the control was almost not detected. The contents of CLA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chilled storage for 14 days. In the change of fatty acid composition, the contents of oleic, linoleic and arachidonic were decreased by dietary CLA-supplementation, whereas the increase level of CLA-supplementation resulted in the higher palmitic and stearic acid. In all results, CLA could be accumulated in pork meat and its antioxidant capability had been indicated. It was suggested that dietary CLA-supplementation could be produced high quality pork.

      • KCI등재

        돈육 품질인증을 위한 도체 육질점수 표준화에 관한 연구

        김두환,서종태,곽석준,이정일,Kim, Doo-Hwan,Seo, Jong-Tae,Kwack, Suk-Chun,Lee, Jeong-Ill 한국축산식품학회 2007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7 No.4

        공시재료는 도축 후 24시간 동안 $-3^{\circ}C$ 예냉실에 보관한 후 좌등심(배최장근, longissimus dorsi muscle)을 정형한 후에 부경양돈농협 김해축산물 공판장에서 자체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육질평가 항목 중 근내지방을 기준으로 1-3점 점수를 받은 등심시료를 채취하여 근내지방도가 등심의 일반성분, 육색, 이화학적 특성 및 조직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근내지방도에 따른 함유수분, 조단백질과 조회분 함량은 근내지방도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조지방 함량은 근내지방도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IMF 3 처리구가 IMF 1, 2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조지방 함량을 보였다(p<0.05). 근내지방도에 따른 pH 변화에서 IMF 2와 3 처리구가 IMF 1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pH를 보였다(p<0.05). 전단가와 가열감량은 근내지방도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육즙감량은 IMF 3 처리구가 IMF 2 처리구에 비해서는 낮은 육즙감량을 보였으며, IMF 1 처리구 보다는 유의적으로 낮은 육즙감량을 보였다(p<0.05). 경도(hardness)는 근내지방도가 높을수록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IMF 3 처리구가 IMF 2처리구에 비하여 낮았으며, IMF 1 처리구에 비해서는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부착성(adhesiveness), 응집성(cohesiveness), 탄력성(springiness)은 근내지방도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점성(gumminess)은 근내지방도가 높을수록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IMF 3 처리구가 IMF 1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점성을 보였다(p<0.05). 파쇄성(brittleness)은 근내지방도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근내지방도가 높을수록 파쇄성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육색 중 명도는 근내지방도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적색도와 황색도는 근내지방도가 높을수록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상관관계 결과 육색과 육즙감량은 다른 항목간에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반면에 적색도는 단지 전단가와 경도에서만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H는 육색과 육즙감량간에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함유수분과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ramuscular fat scores on pork quality assurance. Pork loins were collected from animals (110-120 kg body weight) slaughtered in a commercial slaughterhouse, assigned an IMF score (1-3) from and stored for 24 hrs at $-3^{\circ}C$. Samples were analyzed for chemical composition, pH, cooking and drip loss, shear force, meat color, and texture characteristics. The moisture, crude protein and crude ash conten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various IMF score groups. The crude fat content of the IMF score 3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IMF score 1 and 2 groups (p<0.05). The pH values of the IMF score 2 and 3 group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IMF score 1 group (p<0.05). There was a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hear force value and cooking loss among the IMF score groups. The purge loss content of the IMF 3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IMF score 1 group (p<0.05). The increase in IMF score resulted in lower hardness, gumminess, and brittleness values. The hardness and gumminess of the IMF score 3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IMF 1 score group. The adhesiveness,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IMF score groups. With regard to meat color traits, lightness ($CIE\;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IMF score groups. The $a^*\;and\;b^*$ values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e IMF score. In genera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CIE color values and drip los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hile only redn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hear force and hardness. pH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IE color values and drip loss, while positively correlated with moisture content.

      • 효소복합체가 양돈슬러리 및 돈사 악취발생에 미치는 영향

        정기한,한정철,곽석준,정재두,이진우,김두환,Jung, K.H.,Han, J.C.,Kwack, S.J.,Jung, J.D.,Lee, J.W.,Kim, D.H. 한국축산환경학회 2008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4 No.1

        본 연구는 효소복합체 처리가 양돈분뇨의 액비화 과정의 악취제어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액비저장 탱크에 4주간 저장하면서 효소복합체 처리, 폭기 처리, 효소와 폭기 동시 처리 및 대조구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또한 효소복합체를 돈사에 살포하여 돈사내 공기의 질과 양돈장 부지경계선에서의 복합악취농도를 조사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효소복합체와 폭기 처리는 양돈분뇨의 액비화 과정의 암모니아와 황화수소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암모니아와 황화수소 농도는 4주간의 액비화 과정 동안 지속적으로 감소되었다. 효소복합체의 일정 수준 처리는 양돈분뇨 액비화 과정의 악취저감을 위한 효율적인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효소복합체와 폭기 처리는 양돈분뇨의 액비화 과정의 총질소, 총인 및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효소복합체 처리는 양돈분뇨 액비의 품질 유지와 악취저감을 위한 하나의 기술적 대안으로 충분한 것으로 보인다. 효소복합체 살포는 돈사내 공기의 질을 개선하고 양돈장의 부지경계선에서의 복합악취 저감에도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효소복합체 처리는 양돈분뇨 액비화 과정의 악취제어와 고품질 액비제조 가능성이 인정되며, 돈사 내부 및 양돈장 환경개선과 악취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nzyme complex on odor emission from swine slurry and the process of making swine liquid manure.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using the enzyme complex of liter per ton level of liquid swine slurry in the manure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time. Characteristics of liquid swine slurry were affected by the enzyme complex, total nitrogen and ammonia nitrogen contents were reduced compare with control.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concentrations in the finishing pig building and offensive odor compound on the boundary line of swine farm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spraying in swine finishing building. In conclus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using the enzyme complex of liter per ton level of liquid swine slurry for making liquid swine manure may improve the quality of swine liquid fertilizer and reduce odor emission. Also farm scale enzyme complex treatment may improve air quality in finishing pig building and deduce offensive odor compound of swine far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