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광주지역 중 · 고등학생의 학교급식 메뉴에 대한 기호도에 관한 연구

        최차란(Cha Ran Choi),이신경(Shin Kyung Lee) The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2012 남부대학교 논문집 Vol.12 No.-

        학교 급식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음식의 영양가보다는 기호도에 의해 좌우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중 · 고등학생의 급식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광주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9개교의 중 · 고등학생 640명을 대상으로 급식메뉴에 대한 기호도를 조사하였다. 밥류에서는 쌀밥과 복음밥의 기호도가 높았고, 콩밥의 기호도가 가장 낮았다. 면류에서는 우동과 스파게티의 기호도는 높은 반면, 남녀 학생 모두 팔칼국수에 대한 기호도가 낮았다. 국 종류에서는 남녀 중고동학생의 기호도가 비슷하여, 만둣국>육개장>부대찌개 순으로 높은 기호도를 나타냈고, 버섯찌개, 생선찌개, 북어국 동은 기호도가 낮았다. 부식류 중에서 기호도가 높은 음식으로는 갈비찜, 닭찜, 장조림 등 모두 육류음식이었으며 기호도가 낮은 부식은 연근조림, 콩 조림, 생선조림 등 채소류 및 생선류 음식이었다. 김치류에서는 남녀 모두 배추김치를 가장 선호하였고, 후식류는 전반적으로 모두 기호도가 높았다.

      • SCOPUSKCI등재
      • SCIEKCI등재

        탈지한 고아밀로오스 옥수수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최차란(Cha Ran Choi),김정옥(Jeong Ok Kim),이신경(Shin Kyung Lee),신말식(Mal Shick Shin) 한국응용생명화학회 1995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38 No.5

        For the use of starch gel like Mook(a Korean traditional gel foo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gelatinization patterns of defatted high amylose corn starch were investigated. The crude and total lipid contents of starch decreased by defatting from 0.07%, 0.92% to 0.03%, 0.19%, respectively. But iodine affinity increased from 51.6% to 71.3%. Water binding capacity of starches increased from 104.6% to 117.3% after defatting. Soluble carbohydrate and leached amylose of untreated and defatted starches were increased rapidly above 110℃. The apparent viscosity of starch dispersion using alkali solution increased above 0.3N NaOH solution but the transmittance increased above 0.4N NaOH. The DSC thermograms of both starches showed broad and double endotherm with relatively low enthalpy, but the second peak of endotherm was larger in defatted starch than in untreated starch

      • SCOPUSKCI등재

        자색고구마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최차란(Cha-Ran Choi),임종환(Jong-Whan Rhim),박양균(Yang-Kyun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9 No.1

        자색고구마 전분을 식품가공에 활용하고자 할 때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자색고구마 전분의 이화학적 성질과 호화 특성을 조사하였다. 자색고구마 전분의 조지방질 함량은 0.29%로 일반고구마 전분에 비해 높았고 전분입자의 모양은 둥글거나 다각형이며 X-선 회절도에 의한 생전분의 결정형은 Ca형이었다. 아밀로오스 함량은 14.36%로 일반 고구마보다 낮았고 물결합능력은 82.54%, 80℃에서의 팽윤력과 용해도는 각각 27.94%와 15.35%였다. 아밀로그라프에 의한 초기호화온도는 72℃로 최고점도가 없이 높아진 점도가 계속 유지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일반고구마 전분에 비해 노화 경향을 예측할 수 있는 consistency와 setback이 낮게 나타났다. 시차주사 열량기에 의한 호화양상에서 피크온도와 엔탈피는 각각 68.1℃, 1.24 cal/g이었다. 알칼리에 의한 광투과도는 알칼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는데 0.19 N 이상의 농도에서는 급격히 광투과도가 증가되었다. Brookfield viscometer로 측정한 점도도 비슷한 경향이었으나 0.21 N을 중심으로 점도의 급격한 변화가 있었다.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gelatinization patterns of purple-fleshed sweet potato starch were studied. Shape of starch granule was round and polygonal, X-ray diffraction pattern was Ca-type. Amylose content was 14.4% which was lower than that of other sweet potato starch. Water binding capacity was 82.54%, swelling power and solubility at 80℃ were 27.94% and 15.35%, respectively. Initial temperature of gelat-inization was 72℃ using Brabender/Visco/Amylograph, consistency and setback were lower than those of other sweet potato starch. The peak temperature and enthalpy determined by DSC were 68.1℃, 1.24 cal/g, respectively. The transmittance of starch dispersions in alkaline solutions increased with NaOH concen-tration up to 0.17 N, and then changed slowly at 0.19 N or above. The apparent viscosities were similar to the transmittance of starch dispersions in alkaline solutions, but drastically increased above 0.21 N.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전라북도 지역의 주요 특산물 중 식품에 대한 조사

        김정옥,최차란,신말식,Kim Jeong-Ok,Choi Cha-Ran,Shin Mal-Shick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5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15 No.5

        This surve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specialities which cultivated importantly in Jeollabukdo area in order to understand food culture of this area. Foods in speciality were divided into 4 groups, agricultural, aquatic, animal and the others products. Total number of 93 species of specialities, including 40 species of agricultural products, 29 species of aquatic products, 8 species of animal products and 16 species of the miscellaneous products, were identified from Jeollabukdo area. Especially, there were various fruits and vegetables among agricultural products and fishes among aquatic products in this region. Rice, pepper, pear, Mandarin fish, beef, pine mushroom, lentinus edodes and honey were determined as specialities in Jeollabukdo area. Various aquatic products were specialities in Gochang, Gunsan, Buan and Gimje region. Fruits, mushrooms, wild edible greens and animal products were specialities in Muju, Jangsu, Jeongeup and Jinan. Sweet fish, cat fish and freshwater crab were caught off in Sumjin river region only such as Namwon, Sunchang and Imsil, Recently, pumpkin(Cucurbita maxima) and paprika were determined as specialities in Jeollabukdo. In case of aquatic products, mushrooms and wild edible greens, their wild type products decreased, while cultivated type increased Commercialization by brand naming of agricultural and animal products were rapidly increasing. The kinds of specialities in Jeollabukdo area were changing by the influence of geographical, religious and social factors.

      • KCI등재

        전라남도 지역에서 생산된 천일염의 염도 및 중금속 함량

        이강덕,박정욱,최차란,송현우,윤수경,양호철,함경식,Lee, Kang-Deok,Park, Jeong-Wook,Choi, Cha-Ran,Song, Hyun-Woo,Yun, Su-Kyoung,Yang, Ho-Chul,Ham, Kyung-Si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6

        전남지역에서 생산된 천일염의 안전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전남의 주 생산지에서 생산된 천일염 433 종을 대상으로 NaCl 함량 및 중금속(Pb, Cd, As, Hg) 함량을 조사하였다. NaCl 함량은 대부분 80%대 수준이었으며 전체의 63%의 천일염이 $80{\sim}85%$ 함량을 보여 가장 높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Pb은 77%의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고 Pb이 검출된 천일염은 모두 기준치인 2 ppm 이하로 나타났다. Cd은 78%의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며 3곳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기준치 이하로 검출되었다. As는 4종의 시료에서만 검출되었는데 모두 기준치에 못 미치는 0.1 ppm 이하로 나타났고, Hg은 모든 천일염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NaCl 함량과 Pb 농도는 지역별로 차이를 보였고 Cd, As, Hg은 지역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전남에서 생산된 천일염은 생산 지역 간의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중금속오염에 대하여 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To assess the safety of solar salts of Jeollanamdo province where most of Korean solar salts are produced, 433 samples of solar salts in total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eir contents of sodium chloride and heavy metals (lead, cadmium, arsenic and mercury). Sodium chloride contents ranged from 80 to 85% in 63% of solar salts analyzed. Lead was not detected in 77% of solar salt samples and showed a value of below the maximum permissible limit (2 ppm) in other samples. Cadmium was not detected in most samples (78%), and the other samples where cadmium was detected showed a value far below the maximum permissible limit (0.5 ppm) except for three ones. Arsenic was detected in only four samples, but their concentrations were far below the permissible limit (0.1 ppm). Mercury was not detected in all sample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producing areas in the levels of sodium chloride and lead of solar salts, but the contents of cadmium, arsenic and mercury did not show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s. These results clearly indicate that solar salts produced from Jeollanamdo province are safe in the aspects of lead, cadmium, arsenic and mercury contents.

      • KCI등재

        고령환자 감염관리에 대한 물리치료 전공 대학생의 인식도와 실천도에 관한 연구

        유성훈(Yu, Seong-Hun),최차란(Choi, Cha-Ran)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19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1 No.2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환자 감염관리에 대한 임상실습 경험에 의한 물리치료 전공대학생들의 인식도와 실천도를 비교해서 관련성을 확인하여 고령환자 감염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소재 대학의 물리치료 전공 대학생 53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 임상실습 경험 전후의 감염관리 인식도와 감염관리 실천도는 독립표본 t-test, 인식도와 실천도는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고령환자 감염관리의 인식도와 임상실습 전후 관계를 비교한 결과, 임상실습 이전보다 이후에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실천도에서도 임상실습 이전보다 이후에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고령환자 감염관리의 인식도와 실천도에서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고령환자에 대한 물리치료 대학생들의 감염관리의 인식도와 실천도가 임상실습 이후에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식도와 실천도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고령환자에 대한 예비 의료종사자에 감염관리에 대한 인식개선에 도움을 주어 향후 의료보건 서비스 제공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infection control of elderly patients by comparing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physical therapy majors students with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in managing elderly patients infection. Methods : This study surveyed 536 physiotherapy college students in Gwangju, Korea. The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n addition, pearson 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 in clinical practice. Results : The comparison between the awareness of the elderly patient infection manage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 and post clinical practice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afterwards. In performance,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afterwards before and after clinical practice.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in the elderly. Conclusion : In this study,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of physiotherapy college major students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clinical practice. These results will help prospective medical workers in the elderly to improve their awareness of infection management, which will help them to provide health care services in the future.

      • 광주지역 중 · 고등학생의 식습관 조사

        이신경(Shin Kyung Lee),최차란(Cha Ran Choi),이현정(Hyun Jung Lee) The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2008 남부대학교 논문집 Vol.8 No.-

        본 연구에서는 중 · 고등학생의 식습관을 조사하여 학생들의 다양한 욕구충족 및 학교급식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광주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9개교의 중 · 고등학생 6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하루 세 끼 중 아침 결식이 73.6%로 나타났고, 음식을 먹을 때 중점을 두는 것온 맛있는 음식을 먹으려 함이 44.9%, 골고루 먹으려고 함이 25.8%이었다. 자신의 식습관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가족이 65.6%, 자신의 식습관 중에 개선해야 할 점은 편식이 37.6%, 불규칙한 식사시간 21.8%로 나타났다. 간식의 횟수에 대해서 살펴보면 중학생은 고등학생에 비해 10.4%가 간식을 거 의 안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간식의 횟수도 중학생에 비해 고등학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사소요시간의 경우 10 ∼ 20분 이내가 57.9%이었고,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10분 이내로 식사하는 비율이 높았다. 또한, 고풍학생이 중학생보다 육류나 자극성 음식 섭취정도가 더 높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