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직업가치관, 간호사이미지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주현정 한국산학기술학회 202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5 No.3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감성지능, 직업가치관, 간호사이미지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모형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C시와 G시에 소재한 일 대학의 간호학과 1학년과 4학년 349명이며, 자료수집은2023년 3월 27일부터 4월 14일까지 실시하였고, SPSS/WIN 23.0과 AMOS 2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직접효과는 간호사이미지가 0.76(p <.001)으로 가장 큰 요인으로나타났으며, 그 다음 감성지능 0.14(p =.031) 순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인들은 간호전문직관을 76% 설명하였다. 둘째, 직업가치관에 간호사이미지는 0.36(p <.001), 감성지능은 0.48(p <.001)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들 변인은직업가치관을 52% 설명하였다. 그리고 1학년과 4학년 학년을 조절변수로 하는 다중집단 조절효과에서 간호사이미지와 직업가치관의 경로계수가 집단간 차이를 보여 부분조절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간호전문직관을 잘 형성하기 위해서는 감성지능 향상 훈련과 긍정적인 간호사이미지를 갖게 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며 긍정적인 사회적 인식이 향상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ructural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emotional intelligence, professional values, and nurse image on nursing professionalism among nursing students. The study subjects were 349 first- and fourth-year nursing students at a university in C or G city.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27 to April 14, 2023, and analyzed using SPSS/WIN 23.0 and AMOS 23.0. Results, the variables found to influence nurse professionalism were nurse image 0.76 (p <.001) and emotional intelligence 0.14 (p =.031), which had an explanatory power of 76%. In addition, nurse image 0.36(p <.001) and emotional intelligence 0.48 (p <.001) influenced professional values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52%. A partial moderating effect was detected as the path coefficients of nurse image and professional values differed in the first and fourth years. Therefore, to achieve good nursing professionalism,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 and apply programs that create a positive nurse image, and improve positive social awareness.

      • KCI등재

        플립러닝 학습법을 통한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 수업참여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주현정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4

        본 연구는 플립러닝 수업을 진행한 대학생 462명을 대상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 행동적 참여도, 인 지적 참여도, 정서적 참여도, 주도적 참여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모형을 검정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직접효과는 행동적 참여도가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 주도적 참여도, 과제가치, 정서적 참여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순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인들은 학습만족도를 86% 설명하였다.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과제가치는 행동적 참여도, 정서적 참여도, 주도적 참여도를 통한 학습만족도에 간 접효과가 있었다. 둘째, 성적이 중상위권(B+이상) 집단과 중하위권(B이하) 집단을 조절변수로 하는 다중집단 조절효 과에서 주도적 참여도와 학습만족도의 경로계수가 집단간 차이가 있어 부분조절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학습수준과 학업관심도에 따라 학습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안모색과 개인별 맞 춤형 학습적응 프로그램을 통한 중재전략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task value, behavioral participation, cognitive participation, emotional participation, and initiative participation on learning satisfaction in 462 college students who took a flip learning class. Results, As for the direct effect of variables affecting learning satisfaction, behavioral participation was the largest factor, followed by initiative participation, task value, emotional particip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These variables explained 86% of learning satisfac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task value had an indirect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behavioral, emotional, and proactive participation. In the multi-group moderating effect with the upper-middle class (B+ or higher) and the lower-middle class (below B) group as the moderating variables, there was a partial moderating effect because the path coefficients of leading particip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differed between the groups. It is necessary to seek various ways to increase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to develop an intervention strategy through a program tailored to each individual.

      • KCI등재

        역량바탕의학교육을 촉진하기 위한 교육평가: 통합평가모형 적용

        주현정,오민경,이종태,윤보영,Ju, Hyunjung,Oh, Minkyung,Lee, Jong-Tae,Yoon, Bo Young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2021 의학교육논단 Vol.23 No.1

        Educational program evaluation can improve the quality of the curriculum, instructional methods, and resources and provide useful data for making educational decisions and policies.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program evaluation system is essential in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establish an educational program evaluation system adapting an integrated program evaluation model to promote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First, an Educational Evaluation Committee was organized, consisting of faculty, staff members, and students. The committee established an integrated program evaluation model, combining Stufflebeam's Context, Input, Process, and Product (CIPP) model of a process-oriented approach and Kirkpatrick's four-level model of an outcome-oriented approach. Kirkpatrick's model was applied to the product evaluation of the CIPP model. The committee then developed evaluation criteria, indicators, and data collec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components of the CIPP model and the four levels (reaction, learning, behavior, and results) of Kirkpatrick's model, and collected and analyzed data. Finally, the committee reported the results of evaluation to a Medical Education Quality Improvement Committee, and the results were used to improve the curriculum and student selection. To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 identifying educational deficiencies and developing various elements of education in a balanced way through educational evaluation will be needed. Furthermore, it will be necessary to listen to opinions of various stakeholders, work with all members involved in education, and communicate with decision-makers in the process of educational evaluation.

      • KCI등재

        교사의 전문성 인식, 교수 의도 행동에 따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주현정,신혜원 한국보육학회 2018 한국보육학회지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teaching intentions, and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differed by teachers’ education and career and how those variables were associated with one another. It was conducted in 50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two- to five-year-olds at 22 national/public, private, and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rnett’s (1989) Caregiver Interaction Scale (CIS) translated by Choi and Shin (2015) was used to measure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the Current Status and Self-Desire for Professional Competence scale developed by Wang (2005) and translated and revised by Jeong (2016) was used to measure a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The Teaching Intention Scale (TIS) developed by Wilcox-Herzog and Ward (2004) and translated and revised by the researcher was used to measure teaching intentions. The researcher and the research assistant personally visited the centers to observe the teachers for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a questionnaire for teachers was used to determine a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and teaching intentions. For data analysis, t-test and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differed insignificantly by education or career. Second,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differed significantly by teachers’ career but differed insignificantly by education: the longer career, the better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Third, teaching intentions differed insignificantly by education or career. Fourth, teachers with better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showed higher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 Fifth, The higher level of teaching intentions teachers showed the more sensitive interactions they made with children. 본 연구는 교사의 전문성 인식, 교수 의도 행동,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이 교사의 학력과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각 변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국공립, 민간, 직장 어린이집 22곳에 재직 중인 만 2세∼만 5세 교사 50명이었다.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최소영과 신혜영(2015)이 번안한 Arnett(1989)의 교사 상호작용 척도(Caregiver Interaction Scale: CIS) 를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교사의 전문성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Wang(2005)이 개발하고 정아람(2016)이 번안, 수정한 평정척도(Current Status and Self-Desire for Professional Competence)를 사용하였다. 교수의도 행동은 Wilcox-Herzog와 Ward(2004)의 교수의도 행동 척도를(Teaching Intention Scale: TIS) 본 연구자가 번안,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연구자와 연구 보조자가 직접 기관을 방문하여 교사 관찰을 실시하였고,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교수 의도 행동은 교사용 설문지를 통해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t-검증과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교사의 학력과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교사의 경력이 많을수록 전문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수 의도 행동은 교사의 학력과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전문성 인식 수준이 높은 교사가 긍정적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더많이 하였다. 특히 교수 능력, 운영관리 능력의 전문성 인식 수준이 높은 교사가 좀 더 긍정적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하였다. 다섯째, 교사의 교수 의도 행동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영유아의 민감한 상호작용 수준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관계가 있었고, 교사의 교수 의도 행동은교사-영유아의 민감한 상호작용과 관계가 있었다.

      • KCI등재

        2단계 재정분권이 기초자치단체 재정에 미치는 영향

        주현정,임상수 한국지방세학회 2021 지방세논집 Vol.8 No.3

        The main purpose of fiscal decentralization is to grant autonomy and independence of local governments’ revenues and expenditures and to narrow the fiscal power gap between local governments. The government is promoting fiscal decentralization in two stages from 2019 to 2022, but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government’s fiscal decentralization policy are insignificant. This study compared how the fiscal decentralization system promoted in two stages actually affected the fiscal decentralization of local governments in three aspects: the effect of tax expansion, equity improvement, and ranking change. In particular,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two-stage fiscal decentralization method on the finances of local governments by comparing it with the first-stage fiscal decentralization. It analyzes the impact of the second-stage fiscal decentralization on basic local government finances by dividing it into scenario A, which is promoted by the second-stage fiscal decentralization, and scenario B, which is promoted by the first-stage fiscal decentraliz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overall, scenario A was superior to scenario B. In addition, in the city scenario A was superior to scenario B in terms of tax revenue expansion and ranking fluctuations, while scenario B was superior to scenario A in terms of tax revenue equity. In terms of tax revenue expansion and equity in autonomous districts, scenario A was superior to scenario B, while scenario B was superior to scenario A in terms of ranking fluctuations.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main local governments, scenario A was found to be superior to scenario B in terms of equity and ranking fluctuations, excluding tax revenue expansion. Therefore, from the perspective of basic local governments, scenario A is evaluated as superior to scenario B for the second stage of fiscal decentralization. 재정분권의 주요 목적은 지방정부의 세입과 세출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부여하고 지방정부 간 재정력 격차를 완화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정부는 2019년부터 2022년까지 2단계에 걸쳐 재정분권을 추진 중에 있으나 정부의 재정분권 정책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2단계로 추진된 재정분권 제도가 실제 기초자치단체의 재정분권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세수 확충 효과, 형평성 개선 효과, 순위 변동 효과 등 3가지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특히 본 논문은 2단계 재정분권을 추진하는데 있어 2단계 재정분권 방식이 기초자치단체 재정에 미치는 영향을 1단계 재정분권과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2단계 재정분권 방식으로 추진하는 경우인 시나리오 A와 1단계 재정분권 방식으로 추진하는 경우인 시나리오 B로 구분하여 2단계 재정분권이 기초자치단체 재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 군은 모든 면에서 시나리오 A가 시나리오 B보다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는 세수 확충 측면과 순위 변동 측면에서 시나리오 A가 시나리오 B보다 우월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세수 형평성 측면에서 시나리오 B가 시나리오 A보다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치구는 세수 확충 측면과 형평성 측면에서 시나리오 A가 시나리오 B보다 우월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순위 변동 측면에서 시나리오 B가 시나리오 A보다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청의 경우 세수 확충 측면을 제외하고 형평성 측면과 순위 변동 측면에서 시나리오 A가 시나리오 B보다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종합해보면, 기초자치단체 입장에서 2단계 재정분권은 시나리오 A가 시나리오 B보다 우월한 것으로 평가된다.

      • 한국어 교사의 읽기 전략 사용 양상 연구

        주현정 우리말학회 2017 우리말학회 학술대회지 Vol.0 No.-

        최근 많은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배우기 위해 대학에 진학하고 있다. 대학 에 입학한 외국인 유학생들은 강의 교재에서 자신들이 공부하는 부분을 찾아서 읽고 공부 하게 된다. 여기에서 학습자들에게 이해와 표현을 위해 사용되는 언어의 4가지 기능인 듣 기, 말하기, 읽기, 쓰기 중 읽기 기능이 중요하게 자리 잡게 된다. 즉, 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읽기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는 필요성이 야기되는 것이다.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과학교육 운영 실태: 누리과정시행 이후 과학교육 운영을 중심으로

        주현정,남기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science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Nuri curriculum, an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e activation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To achieve the objective, 209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0.1. The statistical results indicate that 1) scientific activity has not been active after implantation of the Nuri curriculum; 2) the content of science education was found to expand the curiosity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content and theme of Nuri courses and focus on items that can be easily accessible in life and environment, and the content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was highly associated with biology, physics, and earth science; 3) the activities and preparations of science education were conducted by homeroom teachers and the type of activity was the highest in inquiry-based experimental activity; 4) after the Nuri curriculum, there was a lack of experience in teachers’ training in science education, and the efficiency of the teachers’ training in implementing science education was low. 본 연구는 누리과정 시행 이후 유아교육기관에서 최근 이루어지고 있는 과학교육 실태를 조사하고 이후 유아 과학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서울, 경기지역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20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0.1을 사용하여 문항별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누리과정시행이후, 과학 활동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둘째, 과학교육 내용은 누리과정 내용 및 주제에 따라서는 유아의 호기심을 확장하며 생명체와 주변 환경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것 중심으로 실시하고 있다고 나타났으며 유아과학교육 내용지식에 따라서는 생물영역과 물리영역, 지구와 우주영역이 높게 실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학 활동 운영 및 준비는 담임교사에 의해서 가장 높게 이루어졌으며 활동유형은 ‘실험 탐구 활동’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누리과정 시행 이후 과학교육 교사 연수를 받은 경험이 부족하다고 나타났으며 과학교육을 시행함에 있어 교사연수의 효율성 또한 낮다고 응답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