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DEN Tip에서의 피로균열 발생 및 진전거동에 대한 파괴역학적 해석

        최용식,석창성,조용근,임창현,박종주 成均館大學校 科學技術硏究所 1994 論文集 Vol.45 No.1

        In order to predict the behaviour of a crack growth with accuracy, the SIF K values for the double edge notched specimen have been determined by finite element method. With considering the root radius of notch and the crack length which increase step by step, the availability of the modified K values have been evaluated by comparing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from fatigue test.

      • 관상동맥질환의 중증도와 혈중지질치 및 아포지단백과의 상관관계

        임현주,황종현,류재근,정병천,조용근,채성철,전재은,박의현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7 慶北醫大誌 Vol.38 No.1

        목적 :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인자로서 혈청지질 및 혈장 지단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또 아포지단백이 관상동맥 질환을 일으키는데 다른 지질보다 더 중요하다는 연구가 많이 발표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아포지단백에 대한 연구가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이에 저자등은 혈중지질치와 새로운 위험인자로 알려지고 있는 아포지단백치를 측정하고 이들과 관상동맥질환 중증도와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 관상동맥질환이 의심되어 관상동맥조영술을 실시한 6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12시간 이상 공복후 혈청을 채취하여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아포지단백 AI (ape AI), 아포지단백 B (ape B)를 측정하였다. 관상동맥조영상 50%이상의 협착이 있는 혈관의 수 (lesion number), 최대협착을 합한 값 (lesion score), 각 분절의 최대협착을 합한 값 (total score), 가장 심한 협착 값 (peak stenosis) 등으로 관상동맥 중증도를 알아본 다음 이들과 혈청지질치, 아포지단백과의 상관 관계를 비교해 보았다. 상관 관계는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구하였다. 결과 : 관상동맥질환의 중증도와 각 지질치 간의 상관 관계를 비교해 보았을때 lesion number와 관계있는 것은 연령 (r=0.2789), 중성지방치 (r=0.2829)이며 lesion score와 관계있는 것은 연령(r=0.2911), 중성지방치0 (r=0.3316), 총콜레스테롤과 HDL-콜레스테롤의 비 (r=0.2361), apo B 치(r=0.2759), apo AI과 apo B의 비 (-0.3154)로 나타났다. Total score는 연령 (r=0.3100), 총콜레스테롤치 (r=0.2452), 중성지방치 (r=0.3022), 총콜레스테롤과 HDL-콜레스테롤의 비 (r=0.2770), apo B치 (r=0.2927), apo AI과 apo B의 비 (r=-0.3408)와 연관이 있었고 peak stenosis는 중성지방 치(r=0.3305), ape B 치 (r=0.2968), apo AI과 apo B의 비 (r=-0.3977)와 관계가 있었다. 연령으로 조정하여 partial correlation을 좌면, 관상동맥조영술상 중증도는 중성지방치 (r=0.3408), apo B 치(r=0.2877), apo AI과 apo B의 비 (r=-0.3460)와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 이중 ape AI과 ape B의 비는 lesion score (r=-0.2640), total score (r=-0.3057), peak stenosis (r=-0.3460)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보아 apo B치 그리고 apo AI과 apo B의 비가 관상동맥 중증도의 예견인자로 다른 혈중 지질 치보다 더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s : Recently, it was reported that the measurements of apolipoprotein levels may be valuable in the clinical assessment of coronary artery disease severity. However there are a few reports rega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oronary artery disease severity and apolipoprotein levels in Korea. Thus, we measured serum lipid and apolipoprotein levels and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ronary artery disease severity and serum lipids and apolipoproteins levels. Subjects and Methods : The 69 patients who underwent coronary angiography to evaluate chest pain were subjected to this study. We measured the levels of serum cholesterol, triglycerides, HDL cholesterol, apolipoprotein AI(apo AI) and apolipoprotein B(Apo B) and measured the severity of coronary artery disease by lesion number, lesion score, total score and peak stenosis. Then, we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ronary artery disease severity and apolipoproteins and calculat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r=0.3) between age, triglycerides, apo B levels, apo AI/B ratio and coronary artery disease severity. In controlling for age, tyiglycerides, apo B levels and apo AI/B ratio shows significant correlation(r=0.3)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severity. Especially, apo AI/B ratio shows significant correlation(r=0.3) with lesion number, total score and peak stenosi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po B levels and the ratio of apo AI/B can be used as significant independent predictor for coronary artery disease severity rather than other serum lipid levels.

      • 좌심실비후 환자에서 베타차단제의 급중단이 임상증상 및 좌심기능에 미치는 영향

        황종현,김영태,배용학,임현주,조용근,채성철,전재은,박의현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7 慶北醫大誌 Vol.38 No.1

        목적 : 베타 차단제와 칼슘 길항제의 장기투여로 안정상태에 있는 비후형 심근증이나 고혈압성좌심실비후 환자에서 이들 약제를 갑자기 중단하였을 때 혈역학, 심기능 및 임상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경북대학교 병원 순환기내과에서 통원치료중인 비후형 심근중 환자 5명과 심한좌심실비후를 동반한 고혈압 환자 6명(남자 6명, 여자 5명)을 대상으로 장기투여 중이던 베타 차단제와 칼슘 길항제를 최소 5일 중단한 후 임상증상, 혈압 및 심박수의 변동, 그리고 투약중지 전후에 도플러 심초음파도를 기록하여 좌심실내경, 벽두께, 좌심실근량, 구혈율 및 승모판혈류속도곡선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 1) 약물치료 중단 후, 베타차단제의 경우 9명 중 6명에서, 그리고 칼슘길항제 및 디소피라미드를 복용하던 각 1명, 도합 7명의 환자에서 심계항진, 호흡곤란의 악화, 흉통이 관찰되었고, 심계항진을 호소한 1예에서는 심방세동이 재발되었다. 2) 혈압, 심박수, 확장말기 및 수축말기 좌심실내경, 심실중격 및 심실후벽 두께, 좌심실근량 및 구혈을 모두는 치료약물 중단 전후에 다소 변화하였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3) E파 최고속도와 E파 시간속도적분은 약물투여 중단 전후에 유의한 변화는 없었으나, A파 최고속도와 A파 시간속도적분은 중단 후에 각각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both P<0.01), E/A 최고속도비와 E/A 시간속도적분비는 각각 유의하게 감소하였다(both P<0.01). 한편, E파 감속시간, 등용이완시간 그리고 A-Ar 간격[A파의 최고점에서 A reversal(Ar)파의 최저점간의 시간] 모두는 중단 후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1 결론 : 비후형 심근증 이나 고혈압성 좌심실비후 환자에서 장기투여중이던 베타 차단제와 칼슘길항제를 일시적으로 중단하였을 때 임상중상의 악화와 더불어 확장기 기능의 변화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약물치료로 비록 임상적으로 안정상태에 있더라도 치료를 갑자기 중단할 때는 주의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changes in clinical findings, hemodynamics and cardiac function after abrupt withdrawal of longterm beta-blockers and/or calcium channel blockers in hemodynamically stable patients with hypertrophic cardiomyopathy and left ventricular(LV) hypertrophy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Methods : Eleven patients with hypertrophic cardiomyopathy(n=5) and LV hypertrophy associated with hypertension(n=6) were studied. Symptom assessment, blood pressure, electrocardiography and echocardiography including pulsed Doppler examination were obtained before and at least 5 days after abrupt cessation of beta-blockers and calcium antagonists. Results : 1) Deterioration in symptoms(i.e. palpitation, aggravation of dyspnea and chest pain) was observed in seven patients after abrupt withdrawal. 2)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blood pressure, heart rate, end-systolic and end-diastolic LV dimensions, interventricular septal thickness, LV posterior wall thickness, LV mass, and ejection fraction before and after drug withdrawal. 3) Doppler time intervals and E wave peak-velocity and time velocity integral(TVI)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before and after drug withdrawal. But A wave peak-velocity and TVI after abrupt withdrawa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both p<0.01), and E/A peak-velocity ratio and TVI ratio were significantly decreased(both p<0.01). Conclusions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emporary omission of beta blockers and calcium channel blockers develops deterioration in symptoms and LV diastolic dysfunction in hypertrophic cardiomyopathy and LV hypertrophy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Physicians should avoid abrupt withdrawal of longterm beta blockers in LV hypertrop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