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도시 개발에 따른 도시구조 변화의 분석

        임동일(Dong-Il Lim)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10

        1990년~1995년에 걸쳐 건설된 일산신도시에 의해 농촌지역인 고양군은 불과 15년 만에 대도시로 급성장했으며, 인구는 물론 산업기능도 급속히 증가하였다. 일산신도시의 개발 이전인 1990년부터 개발 후 10년이 지난 2005년까지 고양시의 읍ㆍ면ㆍ동별 인구 및 가구, 산업체와 종사자의 변화를 통해서 고양시의 공간구조의 변화를 파악한 결과, 신도시의 개발로 인하여 신도심지역의 도심성이 강화되고 구도심을 형성하는 1~2개 동에 집중되었던 산업기능은 구도심 주변으로 확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기존의 4개 구도심은 일산신도시의 개발로 인하여 신도시와 함께 도심기능이 강화되거나, 도심형 산업이 감소하면서 소규모 상업시설 중심의 부도심격으로 쇠퇴, 신도시개발의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아 전체 도시의 성장에 따라 성장하는 형태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신도시의 개발은 구도심의 전반적인 쇠퇴보다는 신ㆍ구도심 간 새로운 기능적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전반적인 도시구조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Go-Yang city, rural region by the 1980s, had rapidly grown to the big city for only 15 years because of Il-San new town development which was developed during 1990~1995. So the population and industrial function were greatly increased too. The change of urban spatial structure was grasped by tracing the distribution of population, household and industries of Go-Yang city during 1990~2005. The new urban center had grown to the center of the whole city, while the industries of existing centers were extended to the neighbor areas. The existing centers had been changed into 3 types - (1) changed into a part of new urban center, (2) declined to sub-center with small merchant facilities. (3) continuously grown wih the development of whole city. As a result, a new town development had changed the urban structure by creating new functional relationships among the existing and new centers rather the existing centers had declined.

      • KCI등재

        Geochemical Compositions of Coastal Sediments around Jeju Island, South Sea of Korea: Potential Provenance of Sediment

        임동일,Lim, Dong-Il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003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4 No.4

        Surficial sediments from the northern coastal area of Jeju Island, southeastern Yellow Sea (South Sea of Korea) were analyzed for grain-size texture, som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clay mineralogy in order to assess their provenance. Rare-earth element compositions and some geochemical discrimination diagrams, especially of Ti/Al, Nb/Al and Rb/Al ratios, were revealed to be useful indices for identifying the origin of sediments. These indices, together with clay mineral compositions, suggest that the coarse-grained sediments originate from the volcanic rocks of Jeju Island, whereas the fine-grained sediments are derived from Chinese rivers, especially the Changjiang River. The oceanic circulation pattern and the physical-chemical properties of seawater in the Yellow and East China seal support the possibility that the fine-pained Changjiang (Yangtze River) sediments can reach the coastal area of Jeju Island (southeastern Yellow Sea). 황해 남동해역의 제주도 연안에 분포하고 있는 퇴적물의 근원지를 조사하기 위해 표층 퇴적물의 입자조직, 지화학 성분 그리고 점토광물 분석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Ti/AI, Nb/Al 그리고 Rb/Al 비 등을 포함한 특징적인 원소성분도(geochemical discrimination diagram)와 희토류 원소들의 함량 특성은 퇴적물의 근원지를 판단하는데 매우 유용한 지시자들로 제시된다. 이들 결과에 의하면, 연구해역의 세립질 퇴적물은 대부분 증국의 양자강으로부터 기원 ${\cdot}$ 운반 퇴적되었으며, 조질질 퇴적물은 주변 화산암의 풍화 잔류물인 것으로 해석된다. 창해와 동중국해에서 치근 조사된 해수의 순환 패턴과 물리-화학적 특성은 양자강으로부터 기원된 세립 퇴적물이 연구해역을 포함한 한반도 남해(황해 남동해역) 연안역까지 운반 퇴적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선형 근사 헨스톡 적분방정식에 대하여

        임동일,임복영,Rim, Dong-Il,Lim, Bok-Young 한국수학사학회 2005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ol.18 No.3

        본 논문에서는 선형 헨스톡 적분방정식과 조금 다른 선형 근사 헨스톡 적분방정식을 소개하고, 어떤 적분방정식이 헨스톡 적분의미에서는 해를 갖지 않지만 근사 헨스톡 적분의미에서는 해를 갖는 예를 보이고 더욱 더 우리는 선형 근사 헨스톡 적분방정식의 해의 존재성과 유일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In this paper, we introduce linear approximate Henstock integral equations that is slightly different from linear Henstock integral equations, and we also offer an example which shows that some integral equation has a solution in the sense of the approximate Henstock integral but does not have any solutions in the sense of the Henstock integral. Furthermore, we investigate the existence and uniqueness of solution of the approximate Henstock integral equation.

      • 도시개발에 의한 강릉시 공간구조변화의 분석

        임동일 ( Dong Il Lim ) 한국지역발전학회 2010 지역발전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계획적 개발사업이 강릉시의 도시공간구조의 변화에 미친 영향을 해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계획적 개발사업으로 인하여 기존 도심이 쇠퇴하고 새로운 도심이 형성되는지 아니면 구도심과 신도심이 공존하는 것인지를 밝힌다. 다음으로 신·구도심이 병존한다면 이들 도심 간에 기능적 위계나 특화와 같은 공간적 질서가 형성되는가를 분석한다. 강릉시의 계획적 개발사업은 1940년대와 1970년대 도심 및 내부시가지의 토지구획정리사업, 1980년대 이후의 택지개발사업방식이 시행되었다. 1980~2005년간 도시지역의 인구가 증가한 반면 농촌지역은 인구가 감소하여 전체인구는 정체상태였으며, 가구수는 도시지역의 가구수 증가에 의해 전체 가구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또한 1986년 이후 전체산업 사업체수와 종사자수 모두 약 2배 정도 증가했다. 도심권은 1980년대 중앙동 및 옥천동 일원에서 2005년에는 중앙동, 옥천동, 교1동, 포남1동까지 확대되었다. 도심지역의 확산에는 포남동과 교동 지역의 개발사업이 크게 작용했다. 구도심의 인구와 산업은 1970년대 후반 포남지구 개발 이후 포남동으로 이동했으며, 1990년대 후반 교동지구 개발 이후 2000년대에는 이들 지역의 인구와 산업이 다시 교1동으로 이동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강릉시의 공간구조는 구도심에 집중되었던 인구와 산업이 인접한 지역으로 확산되면서 기존지역의 밀도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도심확산과정에는 구도심 주변지역에서 시행된 도시개발사업에 의한 시가지 개발이 매우 큰 영향을 미쳤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urban development projects on the change of the urban structure of Gangneung-City. It analyzes whether the old civic center has been deteriorated and new civic centers have been formed, or if the old urban center can exist together with the new civic centers formed by the urban development projects. It also analyzes, if the new and old civic centers can coexist, whether the spatial order like a functional rank or specialization between the civic centers is reformed. The development projects of Gangneung-City were started with the land readjustment projects of inner city area in 1940s. The land readjustment project of Ponam district in the late of 1970s and the land development project of Gyodong district in the late of 1990s led the expansion of urban area. While the population of Gangneung-City had been stagnant from 1986 to 2005, the household had been increased steadily at the same period. In urban area, both the population and the household had increased but in rural area, the population had decreased. And the total number of firms and employees had increased by double at the same period. The civic center area had been expanded from Jungang-dong and Okcheon-dong in 1980s to Jungang-dong, Okcheon-dong, Gyo1-dong, Ponam1-dong in 2005. And the urban development projects of Ponam-dong and Gyo-dong have influenced on the expansion of civic center area. The population and industries of old civic center had been moved to Ponam-dong after the development of Ponam-district in the late of 1970s, and they have subsequently moved to Gyo1-dong after the development of Gyodong-district in the late of 1990s. The intensity of the population and the industry of old civic center have been lower and lower through the expansion process of civic center area. The new urban areas created by urban development projects around the old civic center had affected the great influences to the expansion process of civic center.

      • KCI등재

        강원도 3대 도시의 인구이동 결정요인 분석

        임동일(Dong-Il Lim)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1

        본 연구는 강원도의 대표적 도시인 춘천시, 원주시, 강릉시를 대상으로 인구이동의 추이를 분석하고, 인구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첫째 고용기회와 교육기회는 인구이동에 유의한 것으로 판별되었는데, 이는 선행연구에서 이들 부문이 인구이동과 정(+)의 관계가 있다는 결과와도 부합되었다. 둘째, 통계적 유의성이 약하긴 하지만 도시화의 정도가 인구유입에 영향이 있다는 결과는 도시의 편리성이 인구유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해석된다. 셋째, 공공재 수혜로서 사용된 도로포장률이 통계적 유의성은 낮지만 인구유입에 부(-)의 효과를 갖는다는 결과에서 도로망 확충이 인구유입보다는 교통거리의 장거리화 및 거주지역의 광역화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춘천시, 원주시, 강릉시의 인구이동에 고용기회와 교육기회가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강원도의 지역개발 차원에서 이들 요인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제시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end of migration and to find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o migration in Chuncheon, Wonju and Gangneu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mployment chance and education chance give positive effect to migration. And it agrees with the results of the preceeding researches. Second, Though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is low, the result that urbanized degree gives positive effect to migration indicates the possibility of positive effect of urban convenience to migratioin. Third, the pavement rate of the roads which is substituted for public goods service gives the negative effect to migratioin, though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is low. This result shows the possibility that the road building has influenced the extending of traffic distance and the spreading of residence area. In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s the positive effect of employment chance and education chance to migration,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pposed to be considered in the regional plan in Gangwon-do.

      • KCI등재

        사회 및 환경적 요인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효과 - 수도권으로부터 강원도로의 인구이동 동인(動因)을 중심으로 -

        임동일 ( Dong-il Lim ),황윤진 ( Yoon-jin Hwang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17 지역개발연구 Vol.49 No.1

        최근 들어 인구이동의 국내 총량과 수도권 지역의 이동량은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수도권에서 강원도로의 인구이동은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수도권과 강원도 간의 인구이동 추이와 인구이동의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수도권과 강원도 간의 인구이동의 경우 서울 및 수도권에서 강원도로 전입한 인구의 비중은 2000년대 중반 이후 증가추세를 보였으며 두 지역 간의 인구순이동도 서울 및 수도권으로의 순유출에서 강원도로의 순유입으로 전환되었다. 또한 강원도에서 서울 및 수도권으로의 전출자수 비중도 지속적으로 감소추세를 나타내었다. 둘째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수도권 지역에 대해 강원도가 인구유입요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러한 요인의 영향으로 강원도로의 인구유입이 증가하고 있다는 추론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취업, 교육서비스,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 예술·스포츠·여가 서비스 등의 사회·환경적 요인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모든 요인이 수도권으로부터 강원도로의 인구유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예술·스포츠·여가 서비스 요인이 상대적으로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구정책을 포함하는 지역발전 계획 및 정책 수립에 기초적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recent, the migrations in Korea and in the capital area have decreased. However the migration from the capital area to Gangwon-do has been increasing.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end of the migration and to search the elements affecting the migration between the capital area and Gangwon-do. As a result, the migration ratio from the capital area to Gangwon-do has been increased since the around of 2005 and the net migration between the two regions changed from net immigration to the capital area to net immigration to Gangwon-do. And the migration ratio from Gangwon-do to the capital area has been continually decreased. As the results of the actual analysis,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elements including the job opportunity, education service, health and welfare service, art·sports·leisure service have influenced on the immigration to Gangwon-do. Especially the effect of the art·sports·leisure service was comparatively strong. The results of his study are supposed to supply the basic knowledge for establishing the regional plan and policy

      • KCI등재

        계획개발된 단독주택지구의 주차문제에 대한 토지이용 원인

        임동일(Dong-Il Lim)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6

        본 연구는 계획적으로 조성된 단독주택지구의 주차부족을 야기하는 근본적 원인이 현실을 제대로 고려하지 못한 토지이용계획에 있음을 제기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강릉시 교동2택지개발지구의 단독주택지구를 사례로 개발계획에 나타난 토지이용계획과 주차계획 등을 검토하였으며, 현장조사를 통해 토지이용현황과 주차실태를 조사하였다. 단독주택지구의 주차문제를 발생시키는 주요 요인으로는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토지이용계획에 있는데, 이는 주차수요가 과소 추정되고 주차장 공급이 부족한 결과를 낳았다. 또한 개발 이후의 토지이용과 주차에 대한 관리가 소홀했다는 점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토지이용계획 수립 시점부터 향후 토지이용 변화를 예측하여 적절한 토지이용계획 및 주차장 확보계획이 이루어져야 하며, 주차수요의 변화를 반영한 토지이용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suggest the problems of land-use plan which causes the lack of parking space and to study the improvement of the problems. The land-use plan and the parking plan of the Gyo-dong 2 land development project are examined and the land use and the parking conditions are surveyed. The major cause of parking problem is not to have planned land use realistically. Because of the non-realistic land use plan, the parking demands are underestimated and it has resulted in decreasing the supply of parking space. In addition, the land use and parking managements have been negligent since the land development. In order to improve the parking problem, the change of land use should be considered in land use plan. And actual land use and parking plans should be made and land use management which considers the change of parking demands should be practiced.

      • KCI등재

        미국 지방도시의 도심개발 사례를 통한 지속가능성 연구 : Delaware 주의 도심개발지구(DDD) 제도를 사례로

        임동일(Lim, Dong Il) 한국지역개발학회 2021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33 No.1

        This study aims to capture implications on the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in the U.S.A by analyzing the Downtown Development District Program of the Delaware state.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ynergy effect of each project was maximized by way of linkage development system of commercial core and downtown neighborhoods. Second, The key point of the DDD is the incentives which induce private investment. Various public incentives have been provided to private sector including the DDD rebates, permit process reform and special zoning districts etc. Third, The stakeholders have organized the governances. And they have worked together throughout all stages from the determination of the DDD boundaries to the process of each project in DDD. Forth, District plan of DDD has been adopted with related plans - comprehensive plan, state spending strategies, land use regulations and existing overlay districts etc. The implications of Delaware DDD Program imply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The synergy effect has been maximized by the linkage of the individual projects and the effectiveness and vitality of the projects have been improved by participation of local people. The implications of Downtown Development District Program are needed to consider for improvement of urban development system in Korea.

      • KCI등재

        GWP조직문화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고용불안정성과 조직신뢰의 조절효과

        임동일 ( Lim Dong Il ),한상훈 ( Han Sang Hoo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2

        본 연구는 GWP조직문화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이 관계에서 고용불안정성 및 조직신뢰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 3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자료의 처리는 SPSS 2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상관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중다회귀분석,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GWP조직문화는 조직몰입에 정적인 관계의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고용불안정성은 GWP조직문화와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조직신뢰는 GWP조직문화와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본 연구는 GWP조직문화와 조직몰입의 관계만을 검증하던 선행연구에서 경영환경의 악화로 인해 근로자들이 느끼는 감정인 고용불안정성과 조직신뢰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로 발전시킴으로써 조직몰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GWP organizational cultur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insecurity and organizational trust. Data were collected from 317 of employees in a large company and analyzed through frequencie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 version 22.0 program.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GWP organizational cultu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organization commitment. Second, there was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insecu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WP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there was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WP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provided an empirical data to effectively impro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insecurity caused by negative business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trust, unlike the prior research only focusing on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GWP organizational cultur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