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Vitexicarpin의 혈관내피세포에서 TNF-α 유도 혈관염증반응 억제효과

        이소민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혈관내피세포에서의 염증은 죽상경화증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죽상경화증 (atherosclerosis)은 혈관의 안쪽 내막에 콜레스테롤이 침착하여 내피세포의 증식이 일어나 죽종 (atheroma)이 형성되는 혈관질환이다. 혈관 죽상경화를 일으키는 요소로 고혈압, 고지혈증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외 과도한 스트레스와 운동부족, 당뇨병 등도 위험인자로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예로부터 항산화, 고혈압, 감기로 인한 두통 등의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던 마편초과에 속한 순비기나무 열매 (蔓荊子)의 함유성분인 vitexicarpin이 혈관 내피 세포에서 TNF- 유도시 혈관 염증 반응에 미치는 효과 및 기전을 알아 보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TNF-에 의해 유도된 HL-60 단핵구 부착의 증가를 현저히 감소시켰으며, TNF-에 의해 유도된 intracellular adhesion molecule-1 (ICAM-1),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VCAM-1) 그리고 endothelial cell-selectin (E-selectin)의 발현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또한 TNF-로 인한 활성 산소종 (ROS) 생성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inhibitor kappaB-alpha (IB-) 인산화 억제에 의한 NF-B의 핵 내로의 이동 및 활성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vitexicarpin은 혈관 내피 세포에서 세포 부착 인자의 발현을 억제하여 항 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ROS 생성 억제 및 전사인자인 NF-B의 활성 억제와 관련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Pro-inflammatory cytokines induce the injury of endothelial cells caused by increases of adhesion molecules, leading to vascular inflammation and the development of atherosclerosis. Recent pharmacological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vitexicarpin, flavonoid isolated from Vitex rotundifolia, was found to show potent inhibitory effect against lymphocyte vascular inflammation process.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whether vitexicarpin prevents on TNF--induced vascular inflammation process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 Pretreatment with vitexicarpin significantly decreased TNF--induced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VCAM-1),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 (ICAM-1), and endothelial-selectin (E-selectin) as well as matrix metalloproteinase (MMP)-2/-9 expression in HUVEC. In addition, preincubation with vitexicarpin also dose-dependently inhibited TNF--induced adhesion of HL-60 monocytic cells. Vitexicarpin significantly decreased TNF--induced intracellular ROS production. Furthermore, vitexicarpin suppressed NF-κB nuclear translocation and transcriptional activities induced by TNF- treatment. In conclusion, vitexicarpin may reduced vascular inflammation through inhibition of ROS/NF-B pathway in HUVEC.

      • 日帝强占期 ‘國民健康增進運動’과 그 性格

        이소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제가 조선에 이식한 보건의료체제의 이면에는 조선인의 건강이나 생명 보호보다는 그들의 지배를 정당화하기 위해 조선인의 건강을 이용한 일제의 의도가 숨겨져 있다. 즉 조선인의 신체와 건강관리를 위해 일제가 시행한 정책은 일제강점기 동안 조선에 확립된 식민지배체제의 수탈적 성격을 드러낸다. 하지만 일부 학자들은 일제에 의해 마련된 보건의료시설의 양적 증가와 서양 의료 기술의 도입에만 주목하여 일제가 조선의 근대적인 보건의료체제 마련에 기여하였다고 주장한다. 이 글은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일제강점기 조선인의 건강 문제와 관련하여 추진된 정책을 통해 일제식민지배체제의 실상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일제의 조선 강점 이후, 조선인의 건강 문제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추진된 보건의료정책과 국민체위향상정책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중일전쟁 이후 전시동원체제 확립을 위해 시행된 ‘국민건강증진운동’에 주목하였다. 일제는 식민지배체제 확립하기 위해 시행한 방역 사업 부분에서 강압적인 방식을 동원하여 정책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일제는 조선인의 건강, 생명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 의료시설 마련에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인다. 방역 사업 부분 중에서도 식민지배체제 확립과 관련성이 떨어지는 부분에서는 조선인 개개인의 건강이나 생명은 보호의 대상이 되지 않았다. 이러한 정책 방향은 중일전쟁 이후 전시동원체제 확립을 위한 국민체위향상정책의 시행으로 이어졌다. 일제는 전쟁 수행에 필요한 인적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조선인의 건강을 증진시켜야했다. 이에 따라 일제는 전쟁에 동원해야하는 청년층에 대한 체위향상정책을 시행하였다. 국민체위향상정책의 방향도 조선 청년들의 전투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집중되었다. 중일전쟁 이후 시행된 ‘국민건강증진운동’도 전시동원체제 확립을 위한 국민정신총동원운동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조선인의 정신을 전쟁에 적합하게 개조하기 위해 시행된 운동인 만큼 운동의 시행 과정에서 조선인의 위생 의식 향상, 생활 습관 개선, 그리고 전염병 예방을 위한 다양한 선전 활동이 시행되었다. 특히 1941년 아시아·태평양전쟁의 발발 이후 ‘국민건강증진운동’은 전시에 필요한 의식을 선전하기 위한 운동으로서의 성격이 더욱 강화되었다. 이에 따라 국가 총력 강화를 위해 ‘국민건강증진운동’과 유사한 운동들이 통합되었으며, 운동의 내용도 전시 생활 습관 강화와 內鮮一體와 皇國臣民化를 강화시키기 위한 방향에서 제시되었다. 이러한 '국민건강증진운동'의 취지와 실천 사항을 선전하여 조선인의 의식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선전방법이 이용되었다. 특히 일제는 『매일신보』를 통해 '국민건강증진운동'의 취지를 선전하였으며 일제의 전시동원체제를 합리화하였다. 이처럼 일제강점기에 실시된 '국민건강증진운동'은 중일전쟁의 장기화와 전시동원체제 확립이라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조선인의 신체와 정신을 전쟁 동원에 적합하게 만들기 위해 시행된 운동이었다. 이 운동을 통해 일제는 조선인의 위생 의식과 생활 습관을 개선하고 나아가 조선인에 대한 황국신민화를 강화하여 조선인을 전시 동원에 적합한 국민으로 양성하고자 하였다. Imperial Japan's behind the veil of the transplanted health care system intends to justify their possession and not working for Chosun people's health care and life conservation. In other words, the policy for Chosun people's health maintenance reveals plundering character of colonization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However, Some scholars insist that Imperial Japan had been formulated to modernization of the health care system based on an increase health care facilities and an introduction of western health care skills. This paper mainly based on described a grasp of details of colonial policies for the related Chosun people health care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First of all, this paper studied the policies of improvement of physical condition and health care system which are closely related Chosun people's health after the period of Japanese rules. And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Campaign' for building up the mobilization system in war time after the Sino-Japanese War is finally researched. Japanese had strongly carried out a prevention of epidemics to concrete colonization. However, they had taken up a negative attitude of not only health care facilities which are closely related Chosun people's health but also, the policies which are irrelevant to build up colonization among the prevention of epidemics policies. This policy direction was connected to establish the policy for improvement of physical condition for the mobilization system in war time after the Sino-Japanese War. Because they had to improve Chosun people's health for obtaining human resources of combat strength so, they had operated to improve of physical condition policy to Korean youth. Therefore, the policy for improvement of physical condition concentrated on increasing Korean youth's combat efficiency.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Campaign' after the Sino-Japanese War also operated one part of the General Mobilization of National Spirit Campaign for building up the mobilization system in war time. This campaign's purpose was for remodeling Chosun People's mentality to suit war so, they had diverse propaganda for Chosun People's preservation of health,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 and prevention of epidemics. On 1941, after the outbreak of Asia-Pacific War, this campaign's character enhanced a propaganda for Korean's awareness of war. So,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Campaign' and similar programs were integrated for enhanced aggregate national efficiency and campaign's character was also strengthen wartime living customs and the Imperial Subject Policy. Diverse propaganda for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Campaign' had advertised purposes of program and conduct codes by 『Mae Il Shin Bo』 and justify their the mobilization policy in war time. Accordingly,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Campaign' by Japanese Rules was a policy which for Korean's mentality and health changes to suit war in building up the mobilization and prolonged the Sino-Japanese War. Through this campaign, Japanese had been improved Chosun people's health preservation and life style and moreover, this campaign systemized whole Chosun people into the organized system unified with the administrative structure for mobilizing Chosun people by operation of recreating the imperial subject out of people.

      • 소셜 기부 참여동기 특성이 참여의향 및 기업과의 연결감에 미치는 영향

        이소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which are completed by the participation of consumers in social media, have emerged as a new type of 'social contribution' and have had a great social impact. As companies are expected to achieve positive result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motivational reasoning and the achievement of the consu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companies use social media to examine how motivations of consumers participating in social donations,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past, affect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Seco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intention of participation on the sense of connection with the company and to lead to the achievement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hird, CSR participation motivation, intention to participate, and sense of social connection with company will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brand image and self-image correspondence of company doing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CSR participation motivation, intention to participate, and sense of social connection with companies will differ depending on the authenticity of the company that conducts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o test the hypothesis, we surveyed 423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60s. The study used SPSS and Amos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consumer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social contribution affect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ocial contribution. Brand familiarity, self - improvement, pleasure, and external motivation were significant factors of SNS friend invitation and social reward. Second, the consistency of brand image and self - image affects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ocial contribution.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ith high agreement and low group, it was found that consumers who recognized high agreement had a positive inclination to participate in social contribution. Third, authenticity was found to affect consumer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ocial contribution.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ith high authenticity and low group, Consumers who perceive that companies are highly sincere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s because they perceive that they have low commercial intentions. And the practic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companies considering CSR activities when using social media. Second, it can be seen that activities that have high relevance level of brand image and self imag1e lead consumers' participation in social contribution. Third,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level of authenticity is high in conducting social contributions, it leads to the participation of consumer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s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will be more effective CSR activities for the company.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과거에 비해 심화됨에 따라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점차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며 소비자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기업들은 사회 공헌활동을 진행하는 과정 중 소셜 미디어를 소비자들과 소통하는 도구로 이용하여 소비자들과 직접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 졌다. 소셜 미디어 내에서 소비자의 참여로 완성되는 사회 공헌활동은 새로운 유형인 ‘소셜 기부’로 나타나 기업들은 긍정적인 성과를 기대하고 있으며 이러한 소셜 미디어 내에서 참여하는 기부 방식의 소셜 기부에 참여하는 소비자들에 대한 동기 추론과 얻을 수 있는 성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기업의 사회 공헌활동을 소셜 미디어를 활용해 소셜 기부에 참여하는 참여 동기에 대해 알아보고, 그 동기가 참여 의향과 기업과의 연결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소셜 미디어 내에서 기부에 참여하는 소비자들의 동기는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가 있다고 예측하였으며 내적 동기의 하위 요인은 브랜드 친숙도, 자기향상감, 즐거움이 있으며 외적 동기의 하위 요인은 SNS친구 권유, 사회적 보상, 물질적 보상이었다. 소비자들의 기부 참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브랜드 이미지와 자아 이미지의 일치성과 진정성이라고 예측하였으며 총 4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20대~60대의 남성과 여성 4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통계적 분석을 위해 SPSS와 AMOS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들의 소셜 기부 참여동기는 소셜 기부 참여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내적 동기의 브랜드 친숙도, 자기향상감, 즐거움과 외적 동기의 SNS 친구 권유와 사회적 보상의 요인이 소셜 기부 참여의향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 이미지와 자아 이미지 일치성에 따라 소셜 기부 참여동기, 참여 의향 및 기업과의 연결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치성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구분하여 각각 집단의 평균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일치성을 높게 인식하는 소비자들이 높은 참여 동기와 참여 의향을 지녔고, 기업과의 연결감에 있어서도 높게 지각하였다. 셋째, 진정성 인식에 따른 차이도 검증되었는데, 진정성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구분하여 각각 집단의 평균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기업의 진정성이 높다고 인식하는 소비자들은 진정성이 낮다고 인식하는 소비자들에 비해 소셜 기부 참여 동기, 참여 의향, 기업과의 연결감에 모두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첫째, 본 연구는 기업의 새로운 유형의 기부 형태인 소셜 기부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였다. 많은 기업들이 기업의 CSR 활동을 소셜 미디어를 통해 소비자들의 참여를 통해 수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연구들은 소비자들의 입장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기업의 입장으로 해석해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새로운 유형의 기부인 소셜 기부의 소비자들의 참여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과 특성, 그리고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점이 의의가 있다. 둘째, 소비자들이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와 자아 이미지의 일치성이 높다고 판단하면 그 기업의 소셜 기부 활동에 대한 참여 동기와 참여 의향이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기업들이 소셜 기부 활동을 진행할 때 기업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소셜 기부 프로그램을 진행한다면 소비자들의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소셜 기부를 진행함에 있어서 그 기업의 진정성이 높다고 느낀다면 소셜 기부 활동에 대한 참여동기와 참여 의향이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했다. 따라서 기업들은 소셜 기부 활동을 수행할 때 소비자들이 느끼기에 기업의 상업적 의도보다 기부 대상자에 대한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진정한 의미의 기부의도로 진행한다면 참여의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미분류 데이터를 이용한 새로운 협력학습방법

        이소민 東國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존이 많은 학습 방법들은 미분류 데이터(unlabeled data)의 역할을 무시한 채 분류데이터(labeled data)에만 의존해 왔었다. 분류작업을 하고자 할 경우 목표 값을 정확히 분류할 만큼의 충분한 분류 데이터가 필요하게 되는데 많은 기계학습 환경에서 분류 데이터는 미분류 데이터보다 얻기가 상당히 어렵다. 따라서, 따라서 작은 양의 분류 데이터와 상대적으로 쉽게 얻을 수 있는 많은 양의 미분류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류 정확도를 높이는 방법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중 최근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부분은 카네기 멜론 대학의 Tom Mitchell 교수를 주축으로 연구 진행중인 협력학습(co-training) 알고리즘이다. 하지만 이 방법은 거의 웹 문서 분류작업을 토대로 제안된 방법이고, 독립적인 두 개의 속성그룹으로 나누는 가정 때문에 이메일 데이터나, 일반 텍스트문서, 데이터 베이스 데이터에는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 본 논문은 독립적인 속성그룹으로 데이터를 나눠야 하는 기존의 협 력학습방법의 가정을 무시하고, 전체 속성을 사용하여 학습하는 새로운 협력학습방법을 제안한다. 분류 데이터만을 학습하는 감독자학습방법과 CMU의 협력학습방법, 제안한 방법을 UCI Repository 벤치마킹데이터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이 기존 방법보다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Most supervised learning models rely only on labeled training data, and ignore the possible role of unlabeled data. To correctly classify, we need sufficient labeled data to classify. But it is expensive to obtain labeled data than unlabeled data. Recently there has been significant interest in supervised learning method that combine labeled and unlabeled data to improve classification accuracy. One of the them, it is co-training method.(Blum & Mithcell, 1998) This method is based on web document classification, and assumes a natural separation of their features into two disjoint sets. Thus, it is difficult to apply for e-mail data or regular text document or database data se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co-training" method using all feature sets without assumption of two independent feature sets. We experiment supervised learning, Blum and Mitchall's co-training and proposed co-training method using data from the DCI repository. Empirical results demonstrate that proposed co-training algorithm outperforms previous co-training and supervised learning in most cases.

      • 대학로 문화지구 발전을 위한 정부와 민간 협력체계 연구

        이소민 동국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st light on a cooperative system for the cultural district in Daehakno Street. The Daehakno Street has significantly developed since it was designated as a cultural district in 2005. For example, the Street has seen the Hanguk Performing Arts Center and the House of Artists established. In addition, it is equipped with the Korea National Archives of the Arts and a plethora of theaters. In short, the Street has the cultural infrastructure for a variety of performances. A look back at the period of from 1995 to the early 2000s, for which it was a hot issue how the Street could have the infrastructure for performance arts constructed, tells the Street experienced a remarkable growth in the cultural infrastructure of performance. If so, who have made this change at the Street? Who have influenced it? Who have controlled it? What model can explain the cooperative system among important doers that has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district?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In order to cast light on the cooperative system for the development of the Dahakno Cultural District, this study classifies the relations between doers into three units: "Government Sector ? Government Sector", "Private Sector ? Private Sector," and "Government Sector ? Private Sector". And it analyzes the role of their interaction and the limits. To begin with, the government sectors have made a pivotal contribution to the establishment of the institutions for the cultural district at the Daehakno Street and financial support. In the 1990s, the problems of excessive commercialization and raise in rent which brought difficulty to the management of small theaters stood behind the development of the Street.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government sector established such institutions for cultural districts as "Clause 2, Article 10, Culture Art Promotion Act" by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Ordinance on Seoul Cultural District Promotion and Management," "Plan for Management of Cultural District" by Jongno-gu Office. These institutions have provided cultural facilities and businesses in cultural districts with benefits like exemption from taxes and burden charge, which relieves the small theaters? operational burdens. The central government?s acts, local governments? ordinances, and sub-local governments? management plans have come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District at Daehakno Street, which have maximized the effect of support. And "Clause 2, Article 10, Culture Arts Promotion Acts" by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laid the basis for "the Ordinance of Seoul City Culture District Nurture and Management," which served as the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Plan of Cultural District at Daehakno Street" by Jongno-gu Office. And the results of the projects for Cultural District at Daehakno Street are repor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o the above-mentioned order. This indicates that these three axes construct a cooperative system for the development of the District. However, the role of the government sectors and the cooperation between them alone cannot give enough explanation of why and how the Cultural District has developed. It is because the government sectors are not the producers of cultural contents, or core resources of the Street. Accordingly, it is true that the private performance arts associations have played as key a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Street as the government sectors have done. The private performance arts associations cooperate with each other for a variety of cultural projects. Internally, they produce information and communicate it to their members. They encourage their members, based on the information, to take active part in their own performance arts events, a campaign against illegal street-selling activities and illegally calling in customers, a campaign against pornographic performance, an open-air meeting for proposals to the government and a discussion meeting. On the other hand, externally, the private performance arts organizations ask other private performance arts associations for cooperation for their own planning projects. In December 11, 1999, the National Theater held an open discussion meeting for the "Development of Plays" asked by the Korean Actors Association, which is a good example of cooperation between private sectors. At that time, the Korean Actors Association maintained that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act to support actors,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y live on the least living expenses and thus suffer from poverty. The Korean Actors Association asked the National Theater for cooperation, which held the meeting, in December 11, 1999, to make the problem open to the public. However, likewise, the role of the performance arts associations and the cooperation between them alone are not enough to explain why and how the Cultural District has developed. In the situation in which it is impossible to depend just on their member fees to operate the private performance arts associations, the financial support by the government accounts for a significant part of their associations? budgets. This shows that the operation of private performance arts associations cannot be independent of the government?s influence. Consequently, with a view to casting light on the cooperative system for the development of Daehakno Street, it is necessary to cast light on the cooperative system between government sectors and private sectors, or the last puzzle of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District at the Daehakno Street. The cooperative system between government sectors and private sectors is divided into the cooperative systems before and after the institution of the Cultural District at Daehakno Street. To begin with, the private-government cooperative system before the institution of the Cultural District at Daehakno Street shows itself in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institution of cultural district. A look at the flow of the establishment of the institution of cultural district shows that a private performance arts organization?s raising questions were followed by the examination by the local government (Seoul City) of a special cultural district, followed by the central government?s promo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acts for a cultural district, followed by activated discussion meetings between private sectors and government sectors, followed by the revision by the central government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of the existing Culture Arts Promotion Acts, followed by the creation by the local government (Seoul City) of the ?Ordinance of Cultural District?. Put another way, private performance arts associates raised questions about the crisis of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culturally overcrowded area; in turn, the government sectors promoted the policy for cultural district, in response to the raised questions. This informal network between government sectors and private sector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establishment of the institution of the Cultural District at Daehakno Street afterwards. Next, the formal network, or the cooperative system, began to function after the ?Management Program of Cultural District at Daehakno Street? was confirmed. This private-government cooperative system gave a successful appearance in the process of the designation as recommendable facilities and the financial support like loaning. The government sectors laid the foundations for financial support such as exemption from taxes and burden charge by establishing "Clause 2, Article 10, Culture Art Promotion Act" and "Ordinance on Seoul Cultural District Promotion and Management." In order to implement the two acts, the government sectors started "Daekakno Street Cultural Street Development Commission." The Commission was a formal private-government cooperative system composed of government sectors, private performance arts associations at Daehakno Street, local merchant organizations, and related organizations. The Commission assumed the tasks of inspecting a recommendable district that is to be exempted from taxes and burden charge and evaluate organizations that want to receive ?loaning? support. As seen above, the development of Cultural District at Daehakno Street has come against the backdrop of the cooperative system between government sectors and government sectors, between private sectors and government sectors, and between government sectors and private sectors. However, this cooperative system has not reached a mature stage yet. Most private performance arts associations, except the National Theater and the Korean Actors Association, was established into 2000s. The Seoul Actor Association and the Korea Small Theater Association, which are evaluated as relatively sound, were established in December 2003 and December 2000, respectively. Only after the Cultural District at Daehakno Street was brought into existence did the formal network between the government sector and the private sector begin to function well. It follows that with a view to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District at Daehakno Street, there should be a more strengthened cooperative system between government sectors and government sectors, between private sectors and government sectors, and between government sectors and private sectors.

      • 주거지 근린환경이 보행취약계층별 통행 만족도와 경로선택에 미치는 영향

        이소민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보행은 우리 삶에 있어 중요한 이동수단이며, 활동을 위한 기본 수단이다. 사람중심의 사람을 위한 도시계획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으며, 보행활동 증진과 보행자 안전을 위한 정책과 노력들이 다각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주거지 근린보행환경은 근린생활권의 구성원들이 생활하는 주요 공간이자 통행의 수단 외에도 일상의 활동이 활발하게 이뤄지는 곳으로서, 모든 이들이 공간적·사회적으로 차별 없이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공간조성의 마련이 중요하다. 보행활동은 근린의 도시 형태나 물리적 조직과 함께 공공시설환경, 보행환경의 질적 요인과 보행자 개별특성 및 경험적 인지요소 등 다양한 요소들의 복합적인 관계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이처럼 보행자의 보행활동에 있어 물리적 환경뿐만 아니라 보행자의 경험적·인지적 요인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생활가로의 물리적 환경요소에 대한 보행자의 인식이 전반적인 주거지 통행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느 정도이며, 측정된 물리적 환경요소가 보행자의 보행활동과 보행경로선택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무엇인지를 다각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보행활동과 외부활동, 보행목적 등과 관련한 보행 만족도나 통행행태와 관련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일반보행자 또는 고령자나 초등학생 등 특정 집단에 한정하고 있으며, 물리적 요소나 주관적 측정변수에 한정되어 있는 경우가 다수이다. 일부의 경우 주관적·객관적 측정요소를 모두 다루고 있으나 보행자의 행태적 특성에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닌 공간적 특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 보행자가 실제 보행한 가로를 기준으로 이동시점에 따라 평가한 것이 아닌, 조사지점을 기준으로 공간중심의 평가를 우선하고 있다. 실제로 이러한 조사지점은 대부분이 상업지역을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주거지역의 경우 근린생활시설이 밀집하고 있는 공간을 중심으로 하고 있어 실제 근린보행환경 내 구성원들이 주로 이용하는 공간을 세밀하게 포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되어 진다. 따라서 일반보행자보다 주변의 위험요소나 환경요소에 대한 노출빈도와 위험이 높은 보행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생애주기의 흐름에 따라 일상생활과 보행활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 생활권 내 근린보행환경을 대상으로 보행취약계층의 경험적·인지적요소와 가로세그먼트단위의 물리적 요소가 근린보행환경의 통행 만족도와 보행경로선택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실증분석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작적 정의를 통해 정의한 초등학생, 영유아 양육자, 고령자 등 보행취약계층의 거주비율이 높고, 서울의 주거형태를 대표할 수 있는 격자형 주거지역 중 본 연구에 부합하는 사례연구 대상지 3곳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설문조사와 GIS 자료 분석을 통해 보행취약계층의 이동경로를 기반으로 한 통행 만족도와 경로선택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통행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보행취약계층의 통행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행취약계층의 통행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공공편의시설의 접근성으로 확인되었으며, 통행이 가능한 유효보도 폭과 범죄·사회적 안전성(이하 범죄 안전성), 불법 주정차 등에 대한 만족도가 그 다음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범죄 안전성의 경우 외부활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박효숙·이경환, 2019), 범죄 안전성이 높을수록 근린에서 머무르는 시간과 보행활동이 증가하기 때문으로 이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보행공간의 심미성과 다양성이 통행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안전성이 확보되고 가로의 규모가 동일한 경우 다양성·흥미성과 관련된 요소에 의해 가로선택이 결정되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서한림, 2013). 쾌적성과 관련한 요인은 보행취약계층의 통행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가로의 쾌적성이 보행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라는 선행연구(박소현 외 3인, 2009; 변지혜 외 2인, 2010; 성현곤 외 2인, 2011; 이수기 외 2인, 2016)와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일반보행자에게 근린보행환경의 질적 측면이 통행 만족도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반면, 보행취약계층의 경우 안전성과 관련된 요소가 가장 주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심미성과 다양성도 통행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지만, 안전성이 먼저 확보된다는 전제 하에 후순위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반보행자보다 상대적으로 위험 노출빈도가 높고, 보행 이동성이 낮기 때문에 안전성과 보행네트워크 접근성 요소가 통행 만족도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이해할 수 있다. 경로선택을 종속변수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가로세그먼트단위의 물리적 환경요인과 보행취약계층의 통행행태 측정지표인 경로선택과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행자가 인지한 경로와 실제 경로선택을 비교해 본 결과, 비 최단경로를 선택한다고 인지하는 비율이 58.6%인데 반해, 실제로 비 최단경로를 선택한 비율은 24.82%로 인지와 실제가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보행자가 최단경로를 선택했다고 인지하고 실제경로도 인지경로와 90% 가까이 일치한다는 선행연구 결과와는 큰 차이를 보였다(Gim and Ko, 2016). 보행취약계층은 이동거리가 증가할수록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는 경향이 있는데, 경로선택에 있어 이동거리와 경로의 연결수준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Borst et al., 2009; Ozbil et al., 2016). 이는 주거지역내 대부분의 도로가 보차혼용도로로 조성되어 있어 이런 경우 목적지까지 우회하더라도 안전한 경로를 선택하지만(Ozbil et al., 2016; Lee ana Lee, 2021), 도로위계가 높고 보도가 설치되어 있어 안전에 대한 기본요인이 충족되는 경우는 이러한 선택과 다른 결과를 보인다(Guo and Loo, 2017). 보행취약계층의 집단은 생애주기를 기준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주기별 특성에 따라 경로선택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다음과 같이 변화하는 특성을 보였다. 첫 번째로, 시야가 좁고 활동성이 커 안전에 취약한 초등학생 집단은 경로선택 시 네트워크 저항요인보다는 물리적 여건요인에 의한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그중에서도 도로 폭이 넓어질수록 비 최단경로를 선택하는 경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실제로 초등학생의 경우 폭이 넓은 도로를 횡단할 때 사고의 위험이 증가한다는 선행연구결과(이세영·이제승, 2014)와 일치하였다. 두 번째로, 유모차를 동반한 외출 빈도가 높고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한 영유아 양육자 집단은 빠른 길보다는 안전한 길을 선호하는 비율이 높다. 이는 보행자가 위험에 직면했을 때를 제외하고 최단경로를 선택한다는 얀 겔(1971)의 이론을 대입해본다면, 영유아 양육자 집단은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고 인식하며, 이를 회피하기 위해 비 최단경로를 선택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들은 물리적 여건요인보다는 네트워크 저항요인에 의한 영향을 더 받았으며, 특히 주정차차량의 수와 노외주차 점유율, 공원까지의 거리, 횡단시설 이용횟수 등이 비 최단경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네트워크 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저하될수록 유모차를 동반한 외출에 심리적 부담을 갖는 것과 비슷한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오성훈 외 2인, 2015; 구민지, 2017; 김묘정, 2017). 세 번째로, 다른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행활동 시간이 많고, 위험을 감수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강한 고령자 집단은 보도 유무, 공공시설 인접여부, CCTV 수 등에 따라 우회경로를 선택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Weinstein Agrawal et al, 2008; Borst et al., 2009; Ozbil et al., 2016; Guo and Loo, 2017; Shatu et al., 2019). 이들은 상업시설, 병원, 관공서, 공공공간 등의 보도 연결성과 편의성이 좋은 경우 조금 돌아가더라도 우회경로를 선택하며(황금회, 2016; 박효숙, 2017; 박효숙, 2019), 교통사고나 범죄로부터의 안전, 범죄예방시설 등은 고령자의 보행활동과 통행빈도에 밀접한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이형숙, 2011; 박효숙, 2017; 박효숙, 2019; 박영은, 2019)와도 일치한 결과를 보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근린생활권 내에서 보행취약계층의 통행 만족도와 경로선택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일반보행자와는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확인해보고, 집단별 특성에 따른 영향요인의 변화를 고찰함으로써, 보행취약계층의 이동성을 고려한 근린환경개선방안에 대해 고려해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안전에 가장 취약한 보행취약계층의 관점에서 실제 이동경로를 중심으로 근린생활권 내 통행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인지적 요인을 기준으로 측정하고, 일반보행자 선호요인과의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특히 취약계층의 집단별로 통행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의 차이를 다각적으로 검토해 근린생활권 내 보행활동 증진을 위한 방향성과 개선방안을 행태적 특성을 기초로 구체적으로 규명함으로써, 보행안전정책 및 관련 사업이 실제적으로 작동하고 이를 통해 근린보행환경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Walking is considered an important means of transportation and a basic activity in one’s life. With growing interest in urban planning, the importance of walking has been increasingly emphasized. Various policies have been introduced, and efforts are being made to promote pedestrian activity and safety. The residential neighborhood environment is the prime space where members of the neighborhood live and actively perform daily activities in addition to the means of transporta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reate a space where individuals can lead their daily lives without spatial and social discrimination. Pedestrian activity is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public facility environment, qualitative factors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of pedestrians, along with the urban form and physical organization of the neighborhood. Therefore, not only the physical environment but also the experiential and cognitive factors of pedestrians are considered important for walking activities. It is imperative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pedestrians' perceptions of the residential neighborhood environment influence overall residential travel satisfaction and how measured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affect pedestrians' walking activities and walking path selection.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walking satisfaction and travel behavior related to walking activities, outdoor activities, and the purpose of walking. However, they are limited to specific groups, such as pedestrians, the elderly, 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n many cases, they focus only on physical or cognitive factors. In some cases, all of these are covered, but the focus is on spatial characteristics rather than pedestrian behavior. Space-centered evaluation is prioritized according to the survey point rather than the street on which the pedestrian actually selected the route. Most of these survey points are centered on commercial areas, and in the case of residential areas, they are confined to spaces where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are concentrated. It is considered difficult to include the space mainly used by members of the actual neighborhood environment in detail.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daily life and walk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life cycle, focusing on pedestrian vulnerable groups, which have higher exposure frequency to surrounding risk or environmental factors than pedestrian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xperiential and cognitive experiences of pedestrian vulnerable groups and the physical factors of horizontal street segment units on pedestrian satisfaction and walking path selection in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targeting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in the Seoul living area. Three grid-type residential areas that represent the residential type of Seoul with a high proportion of pedestrian vulnerable groups, such as children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givers of infants, and the elderly, determined through the operational definition, were selected. Through surveys and GIS data analysis, the factors influencing travel satisfaction and route selection, based on the movement route of the pedestrian vulnerable groups, were analyzed. The findings showed that accessibility to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was identified as the primary factor that influenced the travel satisfaction of pedestrian vulnerable groups. Satisfaction with effective sidewalk width, crime and social safety, and illegal parking were identified as the next most influential factors. This is understandable given that outdoor activities could expose people to crime, and when safety is ensured, people tend to spend more time in the neighborhood and walking activity increases. Finally, the aesthetics and diversity of the walking space were identified as factors that affected satisfaction with the passage. For general pedestrians, the quality of the walking environment has a major influence on satisfaction with travel, whereas in the case of pedestrian vulnerable groups, safety was identifi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Given that the risk exposure frequency is relatively high and gait mobility is low, safety and walking network accessibility can be understood as factors that have a major influence on the travel satisfaction of pedestrian vulnerable groups. When the path perceived by pedestrians was compared with the actual path selection, the proportion of pedestrians who recognized that they chose the non-shortest path was 58.6%. However, the percentage of participants who actually chose the non-shortest path was 24.82%, showing a difference between the perceived and actual values. This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showing that general pedestrians recognized they had chosen the shortest path and that the actual path also coincided with the perceived path by 90%. pedestrian vulnerable groups tend to consider various factors as the moving distance increases, since the moving distance and the level of connection between the paths serve as important factors in path selection. Most of the roads in residential areas are on mixed traffic streets; thus, a safe route is selected even if it is a detour to the destination. The pedestrian vulnerable groups are classified on the basis of the life cycle, according to which the influencing factors on path selection change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elementary school group, which was vulnerable to safety owing to its narrow field of view and high activity, was more affected by physical factors than by network resistance factors when choosing a route. In particular, as the width of the road expands, the tendency to choose the non-shortest route increases,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a previous study in which the risk of accidents actually increases when crossing a wide road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the group of caregivers of infants and toddlers who frequently go out with a stroller and do not have freedom of movement demonstrated a greater preference for the safe route than for the fast route. The infant caregiver group perceives that they are exposed to risk, and it is judged that they tend to choose the non-shortest route to avoid it. They were more affected by network resistance factors than by physical condition factors. Specific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parked vehicles, the share of off-street parking, the distance to the park, and the frequency of use of crossing facilities had an effect on the selection of the non-shortest route. This can be understood as being similar to having the psychological burden of going out with a stroller as satisfaction with network factors decreases. Third, the elderly group, which had relatively more walking time compared with other groups, and a strong tendency to not take risks, chose the detour route on the basis of the presence of sidewalks, proximity to public facilities, and number of CCTVs. They chose the detour route when pedestrian connectivity and access to commercial facilities, government offices, and public spaces were satisfactory. In addition, safety from traffic accidents and crimes, and crime prevention facilities, showed a close association with walking activity and the frequency of passage of the elderly. This study verified how pedestrian vulnerable groups differed from general pedestrians in the factors affecting the passage satisfaction and route selection within the neighborhood. By examining the change in the influencing facto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it was possible to consider a neighborhood environment improvement plan considering the mobility of the pedestrian vulnerable group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measures the factors affecting travel satisfaction in the neighborhood, based on the actual movement route from the perspective of pedestrian vulnerable groups, which are most vulnerable to safety, and verified the difference with pedestrian preference factors through empirical analysis. In particular, factors affecting travel satisfaction and route selection for each group of the underprivileged were reviewed from various angles, and improvement plans were specifically identified to enhance the walking activities of pedestrians in the neighborhoo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practical operation of pedestrian safety policies and related project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 High inorganic phosphate may facilitate lung tumorigenesis at an early stage in K-rasLA1 mice

        이소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Inorganic phosphate (Pi) is necessary for all living organisms because it affects the development of organs such as the bones, muscles, brains, and lungs by controlling several pivotal genes and regulating signal transduc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utilize a high phosphate diet (HPD)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 effects Pi-mediated signaling at different time intervals, in an in vivo system.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K-rasLA1 lung cancer model mice. Mice were fed a normal diet (ND) containing 0.3% Pi and a high phosphate diet (HPD) containing 1% Pi for 1, 2 and 4 months.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all mice were sacrificed and were subjected to ICP-MS/OES, LA-ICP-MS analyses, Western blot,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immunohistochemistry (IHC), and immunofluorescence (IF) labeling. Results indicated that HPD accelerated tumorigenesis, and adenoma and adenocarcinoma incidence and tumor size increased significantly. However, at 4 months into the HPD using the K-ras LA1 lung cancer model, we observed suspended proliferation, massive ion level changes in the liver and lungs, energy generation via the tri-carboxylic acid (TCA) cycle in the liver, increased autophagy, and decreased angiogenesis and apoptosi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PD facilitates lung cancer promotion at an early stage of cancer development but after 4 months of HPD, tumorigenesis appears to slow down due to metabolic adaptation resulting in quiescence, which can cause severe cancer promotion in later stages. Therefore, carefully regulated Pi consumption might a critical role in lung cancer prevention.

      • NO 플라즈마의 화장품 가능성 평가

        이소민 아주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플라즈마는 이온화된 기체로, 고체, 액체, 기체에 이은 4 번째 상의 물질이다. 주로 용접과 네온 사인, 반도체 산업에 응용 및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암 치료 등 의료 분야에도 적용되고 있으며 피부에서는 콜라겐 생성 촉진, 피부 톤 개선, 피부 유해균 사멸 등의 다양한 효과가 보고되고 있어 활용 분야는 계속해서 확대될 전망이다. 본 연구는 대기의 주성분인 질소를 활용한 화장품 제조용 플라즈마 기기를 통해 플라즈마 활성종 중, 추적 평가가 용이한 nitric oxide (NO)의 양을 측정하여 플라즈마의 양적/질적 평가를 진행하였다. 효율적인 플라즈마 처리를 위해 sinking과 non sinking 법을 활용한 처리 방법을 시도한 결과, non sinking 법을 활용한 처리 방법이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토너와 앰플을 화장품 제형으로 선택하여 NO 플라즈마 주입 후 제형의 성상 및 주입한 플라즈마의 상태 변화를 관찰하였다. 두 제형에서 NO 플라즈마의 주입 성공량은 토너가 앰플보다 약 2 배 가량 높았으며, 시간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일주일 후, 소실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사용된 NO 플라즈마는 저온(4 ℃), 실온(25 ℃), 고온(37 ℃, 50 ℃) 조건에서 토너와 앰플 제형의 안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NO 플라즈마의 화장품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주입된 플라즈마의 안정성 확보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 가상현실(VR)을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이 학습자의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1-2학년을 중심으로

        이소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oday's students receive information through video and visual media rather than print media, the demand for art education using digital media has increased. As can be seen in the 2015 revised Art curriculum, which emphasized ‘aesthetic sensibility' and ’visual communication ability' as learner's competence, in art education, appreciation education that emphasizes visual culture and sensibility is emphasized and shares its context.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considering the lessons that enhance each learner's interest and achievement,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curriculum that is helpful in learning, and adolescence is an important time to create one's own worl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effect of applying Virtual Reality(VR) to the art appreciation class as a future-oriented learning experience for high school students in grades 10-11 on the significant changes in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procedures and methods were implemented. We reviewed the concept of art appreciation an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appreciation as a theoretical background, and explored the process in which art appreciation education has been developed to closely examine the methodic aspects of appreciation education to find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developing appreciation classes. Based on this, after analyzing the area of ​​art and appreciation of the current curriculum,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concept and education of virtual reality were examin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sing virtual reality in art appreciation. Based 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the art appreciation area was set as the subject of the unit, and a teaching-learning program using virtual reality was designed. As the theme for this class, I started with the history of modern art, and the impression of the impressionism(James H. Rubin, 2013/2017), the first art thought to draw a modern life and environment with a variety of themes and techniques, as a theme of the appreciation class Selected and conducted research classes. A total of 14 engineering club girls from grades 10-11 of S High School in Incheon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nd virtual reality was utilized as an art appreciation class for 8 classes during October 2019. As a method of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designed virtual reality appreciation class,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for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which were verified as reliability as a measurement tool.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pre-test result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sponding sample t-test were processed by statistical statistics with the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SPSS) Ver 21.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In addition, qualitative analysis of learner class results, student interviews, and researcher observation logs led to verification of research effectiveness and educational results. The conclusions based o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art appreciation teaching-learning plan using virtual re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motivation for learning in grades 10-11 high school students.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was analyzed by analyzing the data of the pre- and post-tests. Learning motivation increased by 0.79 points,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qualitative analysi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changed in both the student interview and researcher observation journals and learning motivation sub-areas. In particular, the rate of increase in the areas of ‘exploration and curiosity, relevance, satisfaction, motivation' was relatively high and uniform.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conducted the art appreciation class using virtual reality showed higher achievement than the pre-test in the post-tes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test paper. In terms of academic achievement,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as the academic achievement increased by 2.07 points through pre- and post-tests. Third, as a result of qualitative evaluation of the practical results of the class, student interviews, and the researcher's observation log, it was found that the post-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mproved. In particular, when the sub-area of ​​motivation for learning was analyzed in connection with the student testimony interview, it was confirmed that the students' interest and achievement in art appreciation learning increas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rt appreciation class using virtual re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high school, and that it had educational effectiveness within the educational field. This study conducted an art appreciation class using virtual reality and derived positive effects 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The design of the virtual reality art appreciation class has significance in that it sought a new teaching-learning method and verified the motivation for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with its effectiveness. It is hoped that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this study will not on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teaching-learning development of art subjects based on virtual reality as a digital media, but also contribute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learners and various developments in art education. 오늘날의 학생들이 인쇄 매체보다는 영상과 시각 매체를 통해 정보를 받아들이고 있는 만큼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미술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였다. ‘미적 감수성’, ‘시각적 소통 능력’을 학습자 역량으로 강조한 2015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미술교육에서는 시각문화와 감수성을 강조하는 감상교육이 중시되며 그 맥락을 같이한다. 교육 환경에서는 학습자 각자의 흥미와 성취를 높여주는 수업을 고려하여 학습에 있어서도 도움이 되는 교육과정을 구성해야 하며 청소년기는 자신의 세계를 만들어 가는 중요한 시기로 이 시기의 학생들에게는 미래지향적인 다양한 학습경험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1-2학년 학습자들에게 미래지향적인 학습경험으로 가상현실을 미술 감상수업에 적용하여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의 유의미한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목적으로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절차 및 방법을 시행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 미술 감상의 개념과 감상의 교육적 의의에 대해 고찰하고, 미술 감상교육이 현재까지 발전해온 과정을 탐색하여 감상교육의 방법적 측면을 면밀히 살펴 감상 수업을 개발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을 모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의 교육과정인 2015개정 교육과정의 미술과 감상 영역을 분석한 뒤, 가상현실의 개념과 교육을 고찰하여 미술 감상에서의 가상현실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모색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기반으로 하여 미술 감상영역을 단원의 주제로 설정하였고, 가상현실을 활용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본 수업을 위한 주제로 근대의 미술사를 시작하여 다양한 주제와 기법이 있는 근대의 삶과 환경을 그리고자 한 최초의 미술 사조인 인상주의 사조(James H. Rubin, 2013/2017)를 감상수업의 주제로 선정하여 연구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인천에 소재한 S 고등학교의 1-2학년으로 구성된 공학 동아리 여학생 총 14명을 선정하여 2019년 10월동안 총 8차시의 미술 감상수업으로 가상현실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설계한 가상현실 감상수업의 효과를 검증하는 방법으로 측정도구인 신뢰도가 검증된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 사전사후 검사결과, 신뢰도분석과 대응표본 t-test는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PSS) Ver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으로 전산통계 처리하였다. 또한 학습자 수업 결과물, 학생 인터뷰 그리고 연구자 관찰일지를 질적 분석하여 연구 효과성 검증과 교육적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정리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상현실을 활용한 미술 감상 교수-학습지도안이 고등학교 1-2학년 학생의 학습동기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학습동기 향상 정도는 사전·사후 검사의 자료의 분석하여 알아보았다. 학습동기가 0.79점 증가하여 유의미한 차이의 통계가 나타났다. 또한, 질적 분석인 학생 인터뷰 및 연구자 관찰일지와 학습동기의 하위영역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변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탐구 및 호기심, 관련성, 만족감, 동기지속’영역의 증가율이 비교적 높고 균일하게 드러났다. 둘째, 가상현실을 적용한 미술 감상 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학업성취도 평가 검사지에서 사후검사에서 사전검사보다 높은 성취도를 보였다. 학업성취도에 있어서는 사전·사후검사를 통해 학업성취도가 2.07점 증가하여 유의미한 통계적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수업의 실기 결과물, 학생 인터뷰, 교육전문가 인터뷰 및 연구자의 관찰일지 등을 질적 평가한 결과로 사후의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의 향상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학습동기 하위영역을 학생 소감 인터뷰와 연관 지어 분석하였을 때 학생들의 미술 감상 학습에 대한 흥미도와 성취도가 상승한 것을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가상현실을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이 변화하는 교육패러다임과 동기유발과 수업 몰입에 있어 적합한 방법으로 학교현장에서 새로운 매체 도입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가상현실을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이 고등학교 1-2학년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교육현장 안에서의 교육적 실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가상현실을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을 진행하여 고등학교 1학년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결과로 도출하였다. 가상현실 미술 감상 수업 설계는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을 모색하여 그 효과성으로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 신장을 검증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교수-학습방법이 앞으로 디지털 매체인 가상현실을 바탕으로 한 미술교과 교수-학습 개발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성장과 발달, 미술교육의 다양한 발전에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