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기 성문암 환자에서 소분할조사법의 방사선 치료 결과와 예후 인자

        이미조(Mi Jo Lee),김헌정(Hun Jung Kim),김우철(Woo Chul Kim),노준규(Jun Gou Loh)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05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21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general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early glottic cancer(T1-2N0M0), by assessing the role of primary radiation therapy and by analyzing the tumor-related and treatment-related factors that influence treatment results. We also studied the results of hypofractionated radiation therapy for early glottic cancer. Material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comprised 48 patients who suffered from early glottic cancer and were treated by primary radiotherapy at Inha University Hospital, between May 1997 and October 2004. T-stage distribution showed 38 patients as T1 and 10 patients as stage T2. Thirty-eight patients underwent hypofractionated radiotherapy using a 6 MY photon beam, a total tumor dose of 63Gy, in 5 weekly fractions of 2.25Gy, with an overall radiation treatment time of 38 days. Ten patients in the T2 stage tolerated a total dose of 63-72 Gy(median 68.4Gy) in 5 weekly fractions of 1.8-2.0Gy, with an overall radiation treatment time of 40-87 days(median 51 days). All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at least 3 years.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the treatment results. Result: The 5-year survival rate was 92% for all patients, 94% for T1 patients and 91% for T2 patients. The local control rate was 93.5% for all patients, 95% for T1 and 92.2% for T2 patients. Three patients suffered a relapse following radiotherapy, and underwent subsequent salvage surgery. We included T-stage, tumor location, total radiation dose, field size and overall radiation treatment time as potential prognostic factors. Only T-stage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univariate analysis, but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it was not found to be significant. Conclusion: High curative and voice preservation rates were obtained with hypofractionated radiotherapy. Further study with a larger number of patients is needed to determine th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treatment result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이중 에너지 CT 영상에서 다항식 기반 교정에 의해 추출된 유효원자번호 및 상대전자밀도의 정확도 향상 효과

        김대홍,조일훈,이미조 한국방사선학회 2023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7 No.7

        본 연구의 목적은 이중 에너지 CT 영상을 이용하여 다항식 기반 calibration 방법을 통해 유효원자번호(Effective atomic number, EAN)과 상대전자밀도 (Relative electron density, RED)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11개의 조직 등가 물질로 구성된 팬텀을 이중 에너지로 촬영하여 고에너지와 저에너지 영상을 획득하였다. 획득된 영상을 이용하여 Stoichiometric, 2차, 3차, 4차 다항식을 기반으로 EAN에 대한 저에너지와 고에너지 영상의 감약의 비율을 calibration 하였다. 각 calibration 방법으로 EAN과 RED를 추출하였다. 실험 결과 3차 다항식 기반 calibration에 의한 EAN의 평균 오차가 가장 작았다. EAN을 이용하여 추출한 RED 영상에서도 3차 다항식 기반 RED의 오차가 가장 작았다. 3차 다항식 기반 calibration은 EAN과 RED의 정확성 향상에 기여하며, 이를 통해 CT 검사에서 병변의 정확한 진단 또는 인체의 다양한 물질의 정량화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accuracy of effective atomic number (EAN) and relative electron density (RED) using a polynomial-based calibration method using dual-energy CT images. A phantom composed of 11 tissue-equivalent materials was acquired with dual-energy CT to obtain low- and high-energy images. Using the acquired dual-energy images, the ratio of attenuation of low- and high-energy images for EAN was calibrated based on Stoichiometric, Quadratic, Cubic, Quartic polynomials. EAN and RED were extracted using each calibration metho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average error of EAN using Cubic polynomial-based calibration was minimum. Even in the RED image extracted using EAN, the error of the Cubic polynomial-based RED was minimum. Cubic polynomial-based calibration contributes to improving the accuracy of EAN and RED, and would like to contribute to accurate diagnosis of lesions in CT examinations or quantification of various materials in the human body.

      • KCI등재후보

        Stereotactic body radiotherapy for solitary spine metastasis

        이선영,전미선,이미조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1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31 No.4

        A clear consensus has not been established regarding the best treatment for solitary bone metastasis. Here,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a controlled primary malignancy who had only solitary spine metastasis without metastasis to the extraspinal bone or viscera and underwent treatment between April 2007 and December 2012 with stereotactic body radiosurgery using CyberKnife, with a total dose of 24 Gy in three to four fractions. During that time, there were only four cases. This was effective in each case, and all the four patients had no local failure and remained alive at a median follow-up of 68 months (range, 64 to 80 months). Although our experience is limited, this study suggests that stereotactic body radiotherapy could be a feasible, safe, effective, and noninvasive alternative treatment for solitary spine metastasis in patients who are medically inoperable or unsuitable for surgery.

      • KCI등재후보

        자기공명 단층촬영에서 평가된 종양의 부피와 자궁체부의 침범이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제 2기의 자궁경부암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김헌정,김우철,노준규,이미조,정진화,배효숙 대한부인종양학회 2007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8 No.2

        목 적 :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제 2기의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치료 전 시행한 자기공명영상(MRI)으로부터 평가된 종양의 부피와 자궁체부의 침범여부가 환자의 생존율, 국소제어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예후 인자로서의 유 용성을 평가한다. 대상 및 방법 : 1999년 8월부터 2004년 5월까지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52명의 FIGO 병기 제 2기의 환자를 대상으로 생존율, 무병생존율, 재발양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방사선 치료 전에 MRI를 시행하였고 이를 통 하여 종양의 부피와 자궁체부로 침범여부를 평가하였다. 환자의 추적기간은 4개월에서 84개월로 중앙값은 38개월 이었다. 방사선치료는 외부방사선치료로 골반강에 4500 cGy와 자궁방결합조직에 900-1000 cGy를 추가로 치료하였 고, 고선량률 근접치료기로 6-7회 강내조사 (point "A"에 3000-3500 cGy/fx, 주2회)를 시행하였다. 약물치료는 방사선치료 첫날부터 주마다 cisplatin 40mg/m2을 투여하였다. 결 과 : 자궁경부암의 부피는 최대 109 mL에서 5 mL로 평균값이 29.5 mL였다. IIA와 IIB중 자궁체부의 침윤이 있는 환자는 각각 57.1%와 64.4%로 두 군 간에 차이는 없었으며 (p=0.716), 종양의 부피와도 병기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p=0.180). 내진으로 측정한 종양의 직경은 자기공명 단층촬영에서 얻은 종양의 부피와 유의한 상 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p<0.001). 그러나 자궁체부의 침윤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p=0.182). 림프절의 침범여부는 부피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p=0.055). 그러나 자궁체부의 침윤과는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 었다 (p=0.050). 종양의 부피는 자궁체부의 침윤과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1). 다변량분석에서 종양의 부 피를 30 ml를 기준으로 분류할 경우 30 ml 보다 큰 부피의 종양을 가진 환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낮은 생존 율 보였으며 (p=0.048), 또한 자궁침윤을 보인 환자들에서는 통계적으로 낮은 무병생존율을 보여주었다 (p=0.042). 결 론 : 자기공명 단층촬영으로부터 평가된 종양의 부피와 종양의 자궁체부로 침윤여부는 FIGO병기 제 2기의 환 자들에서 낮은 생존율과 무병생존율을 보여주었으며, 예후 인자로서 임상적 유용성이 있을 것으로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ognostic significance of primary tumor volume and uterine corpus invasion assessed by MRI in stage II uterine cervical cancer patients treated by concurrent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Methods: Fifty-two patients diagnosed with stage II cervical carcinoma were entered into the study. The tumor volume was calculated by the equation (Volume = width×length×height×π/6) as an ellipsoid approximation.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prognostic factors for overall survival (OS), disease-free survival (DFS), pelvic control (PC), and distant metastasis-free survival (DMFS). Results: The 5-year OS, DFS, PC, and DMFS rates were 65.8%, 59.3%, 72.6%, and 79.9%, respectively. The average volume of primary cervical tumor on MRI was 29.5 ml (5-109) and volume was not correlated with stage (p=0.180). Corpus invasion was exhibited in 50.0% and 93.8% of patients with small tumor volume (<30 ml) and large tumor volume (≥30 ml), respectively; and strongly correlated with tumor volume (p<0.001). By univariate analyses, larger clinical tumor diameter (p=0.031), positive pelvic lymph node (p=0.033), uterine corpus invasion (p=0.045), and larger tumor volume (p=0.003)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lation to worse survival. In multivariate analyses, dividing patients according to whether the tumor volume was more or less than 30 ml predicted OS (p=0.048) and uterine corpus invasion also predicted DFS (p=0.042). Conclusion: Tumor volume and uterine corpus invasion determined by pre-treatment MRI examinations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for patients with invasive cervical carcinoma treated with concurrent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 KCI등재

        질환별 세기조절방사선치료의 정도관리

        김성진(Sung Jin Kim),이미조(Mi Jo Lee),윤선민(Seon Min You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1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9 No.2

        목적: 본원에서 시행된 세기조절방사선치료(IMRT) 환자의 질환별 정도관리(QA) 결과를 통해 오차의 원인과 정도를 확인하고 오차를 줄일 수 있는 개선점을 찾아 임상에 적용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IMRT를 시행한 환자 50명(두경부, 28명; 유방, 14명; 골반부, 8명)에 대한 질환별 QA 결과를 분석하였다. 각각의 경우에 대해 film을 이용하여 gamma index를 구하였고, 이온함을 이용한 점 선량을 측정하여 치료계획 시스템의 선량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점 선량 측정에서는 50명의 환자 중 45명의 환자는 치료 계획된 선량과 측정된 선량의 오차가 ±3% 이내로 오차를 보였다. 최대 오차는 3.6%, 전체 평균 오차 0.17% (SD=2.25%)의 오차율을 보였다. 질환별로 살펴보면 두 경부 - 0.13% (SD=1.93%), 유방 -0.26% (SD=2.79%), 골반부의 경우 -0.24% (SD=2.44%)의 오차율을 보였다. 상대선량 측정에서는 측정된 필름의 Gamma index distance to agreement (DTA) - dose difference (DD) 3 ㎜-3%의 기준에서 두경부 6%, 유방 10%, 골반부 6%의 오차를 보였다. 등선량곡선 90% 이상의 영역에서는 두경부2%, 유방 1%, 골반부 0%의 오차를 보였다. 결론: 치료 위치에 따른 오차의 원인과 개선점을 파악하여 보다 양질의 IMRT를 구축하기 위한 기반을 다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o analyze our quality assurance (QA) data for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 according to treatment site and to possibly improve QA for IMRT in Hospital. Materials and Methods: We performed QA on 50 patients (head and neck, 28 patients; Breast, 14 patients; Pelvis, 8 patients) for IMRT. The calculated dose from RTP was compared with the measured value film, gamma index, and ionization chamber for dose measurement in each case. Results: The point dose measurement results in 45 of 50 patients showed good agreement with the calculation dose (±3%). The largest error measured thus far has been 3.60%, with a mean of only −0.17% (SD, 2.25%). Each treatment site showed an error rate of −0.13% (SD, 1.93%) for head and neck cases, −0.26% (SD, 2.79%) for breast cases, and −0.24% (SD, 2.44%) for pelvis cases. The gamma index verified with the error rate of head and neck cases (6%), breast (10%), and pelvis (6%), which corresponded to a tolerance of 3 ㎜ (3% for the head and neck, 2%, for the breast 1% for the pelvis, and 0% in the region where the isodose curve was greater than 90%. Conclusion: We recognize the cause of errors for each treatment site of IMRT QA and so we maximize our efforts to reduce error and increase accuracy.

      • KCI등재후보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제2기의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p53과 Bax의 발현과 임상적 의의

        최석진(Sukjin Choi),김헌정(Hunjung Kim),송은섭(Eunseop Song),김창영(Changyoung Kim),이미조(Meejo Lee),김우철(Woochul Kim),노준규(John J K. Lo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5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3 No.2

        목 적: 진행된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bax와 p53의 발현 빈도를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예후인자 로서의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1996년 6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FIGO stage IIb의 자궁경부암 환자 65명을 대상으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여 관찰된 bax와 p53의 발현과 환자의 5년 생존율과 무병생존율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결 과: 대상환자 65명에 대한 5년 생존율과 무병생존율은 각각 65.1%와 62.9%였다. p53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은 26.2%의 발현을 보였으며, 음성 환자 군과 양성 환자 군의 5년 생존율은 각각 66.6%와 61.1% (p=0.176)였으나, 무병생존율은 각각 72.1%와 50.9% (p=0.027)로 단변량분석에서 통계학적 차이를 보였다. 면역염색에 대한 bax의 발현은 52.3%에서 양성을 보였으며, 음성 환자 군과 양성 환자 군의 5년 생존율은 각각 68.8%와 63.6% (p=0.726)였으며, 무병생존율은 각각 68.1%와 64.1% (p=0.505)로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다. 다변량분석에서는 p53 단백의 발현과 bax의 발현이 생존율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지 못했다. 그러나 p53+/ bax-의 면역화학염색 결과를 보인 9명의 환자에서 의미 있는 가장 낮은 무병생존율을 관찰할 수 있었다.결 론: p53과 bax의 발현은 단독적으로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에서 유의성을 가지는 예후인자로 사용할수 없었다. 그러나 p53과 bax의 발현을 동시에 평가할 경우 유용한 예후 인자로서 임상적 유용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e objective ot our study was to evaluate the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01 p53 and bax proteins as prognostic markers in FIGO stage lib 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of Ihe uterine cervix. Malerials and Methods: Sixty-tive cases 01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cervix (stage lib) that were diagnosed from October 1996 to December 2003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for the bax and p53 expression. These expressions were determined immunohislochemically and they were correlated to the patients' ovemll survival and disease-tree survival. Resuns: The overall 5-year survival (OSI rate and the disease-free survival (DFSI rate were 65. t% and 62.9%, respectively. p53 and bax immunoreactivity was seen in 26.2% and 52.3% of cases, respectively, with vmiable levels 01 expression. On the univmiate analysis, only p53 positivily correlated wilh poor survival in DFS (log-rank test p=0.0271, but this significance was not maintained on multivariated analysis by Cox's regression. The nine cases With the Immunophenotype p53+/bax- had the poorest survival. Conclusion: Neither p53 nor bax expression are independent predictors ot the prognosis for stage lib cervical squamous cancers. Evaluation of p53 and bax co expression may aHect the clinical outcome and further investigation is needed.

      • KCI등재후보

        간외 담도암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역할

        김우철(Woo Chul Kim),이돈행(Don Haeng Lee),이건영(Keon Young Lee),이미조(Mi Jo Lee),김헌정(HunJung Kim),이석호(Suk Ho Lee),노준규(John JK Lo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1 No.2

        목 적: 간외 담도암에서 수술단독군과 수술 후 방사선치료가 시행된 군의 비교를 통하여 방사선치료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인하대 병원에서 근치적 절제술을 받은 41명의 간외 담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이 중 22명의 환자는 수술 단독으로 치료 되었고(1군) 19명의 환자는 수술 후 방사선치료가 시행 되었다(2군). 수술은 완전절제가 시행된 경우가 1군에서는 11명(50%)이었고 2군에서는 7명(36.8%)이었다.나머지 환자는 절제연양성으로 현미경 적미세종양이 남아있었다.두 군 간에병기,수술방법,병리소견등의 분포의 차이는 없었다. 방사선치료는 10MV X-ray를 이용하여 45˜54Gy(중앙값: 50.4 Gy)를 원발종양과 주변 림프절에 조사하였다. 결 과: 1군에서는 국소실패한 환자가 12명(54.5%)인 반면 2군에서는 3명(15.8%)으로 수술단독군에서 국소실패율이 의미있게 높게 나타났으며(p=0.010), 1군에서 국소실패한 12명 중7명이 절제연 양성군에서 발생하였고 2군에서는 국소실패한 3명 모두가 절제연 양성에서 발생하여 완전 절제군보다 절제연 양성군에서 국소실패가 월등히 높았다.1군과 2군의 3년전체 생존율은 각각 38.3%, 38.9%이었고 3년 무병 생존율은 각각 18.8%와 26.3%로 통계학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절제연 양성인 환자에서는 3년 생존율이 24.2%와 36.4%로 방사선 치료군에서 좋았고(p=0.06) 절제연 양성인 환자의 3년 무병생존율은 18.2%와 25.0%로 통계학적으로도 의미 있게 방사선 치료군이 좋았다(p=0.04). 결 론:간외 담도암 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는 국소제어율을 높이며,특히 절제연이 양성인 환자에서는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ole of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in extrahepatic bile duct cancer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1997 and 2001, 41 patients with extrahepatic bile duct cancer having undergone surgical resection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Of the 41 patients, 22 were treated by surgeryalone(GroupI) with remaining 19 treated by surgery and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Group II). A gross total surgical resection with pathologically negative margins was performed in 11 of the patients (50%) in Group I, and in 7 of the patients (36.8%) in Group II.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sease stage, surgical procedure or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groups. The patients in group II received 45˜54 Gy(median:50.4Gy)ofexternal beam radiation therapy to the tumor bed and draining nodal area. Results: The local failure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I (54.5%) than in group II (15.8%)(p=0.010). Of the 12failed patients in Group Iand the 3 failed patients in group II,7 and 3 had a positive resection margin. The overall 3-year survival rates were 38.3 and 38.9% and the 3-year disease free survival rates were 18.8 and 26.3% in groups I andII,respectively. However, the patients with positive resection margins who received adjuvant radiation therapy had higher 3-year overall survival rates than those with surgery alone (36.4% vs. 24.2%, p=0.06), and 3-year disease free survival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II patients who had positive margins compared with those in group I (25.0% vs. 18.2%, p=0.04). Conclusion: Post operative adjuvant radiation therapy appeared to reduce the incidence of localfailure in patients with extrahepatic bile duct cancer, and might improve the survival rate in the patients with positive resection margi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