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귤의 Ascorbic Acid함량변화에 관한 연구 : 저장온도, 저장기간에 따른 Ascorbic acid 함량변화와 조리, 가공시의 변화에 관해서

        이미덕,이혜경,최영란 이화여자대학교 가정대학 식품영양학회 1974 식품영양연구 Vol.- No.4

        제주밀감 42개를 18℃ 2℃, -12℃에 각각 저장시킨 후, 실험 제1일(수확일로부터 61일) 제5일(수학일로부터 66일) 제8일(수확일로부터 69일) 제12일(수확일로부터 73)의 기간 경과에 따라 부위별, 즉 알맹이, 알맹이와 피막, 속껍질, 겉껍질 별로 측정한결과 제1일에서는 온도별 부위별 Vitamin C 함량이 모두 비슷했는데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실온(18℃)과 냉동 온도(-12℃)에 저장한 것이 냉장온도(2℃)에 저장한 것에 비해 Vitamin C가 빨리 파괴되었다. 이렇게 볼 때 냉장 온도(2℃)에 보관하는 것이 귤중의 Vitamin A의 파괴를 적게 하고 맛도 보존되는 것 같았다. 1) 18℃의 상온에서 속알맹이내부 Vitamin C량은 제1日에 가장 많았고 껍질 부분이 적었는데 저장기간이 늘어날수록 알맹이 부위의 Vitamin C는 감소현상을 보였다. 껍질부위의 것은 증가되었는데 이는 껍질부분이 수분증발로 인해서 말랐기 때문에 Vitamin C가 농축된데 기인한다고 본다. 2) 냉장온도인 2℃에서는 실험초기에는 알맹이와 껍질사이의 Vitamin C 함량에는 차이가 없었는데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속 알맹이는 Vitamin C의 함량에 큰 변화가 없으며 껍질부위에서 변화가 있었다. 이는 수분증발로 인한 농축현상으로 보고 있다. 3) 냉동온도인 -12℃에서는 알맹이나 껍질이 모두 저장기간이 길러짐에 따라서 감소되었으며 껍질 부분이 알맹이 부분보다 감소가 더 컸다. 4) 저장 온도별과 저장기간을 합해서 보면, 알맹이, 또 알맹이와 피막의 Vitamin C의 함량은 어느 온도에 저장하든지 또 저장 기간이 어느 정도 연장되더라도 가장 안정하며, 심한예로 12일 저장된 것은 실온에서 약간 부패가 있어서 맛이 변했는데도 Vitamin C의 함량에 큰 변화를 주지 않은 것은 주목할만한 일이다. 껍질의 Vitamin C 함량은 속껍질의 것이나 겉껍질의 것이 모두 저장온도와 저장 기간에 따라서 Vitamin C 함량에 큰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귤차는 Vitamin C 함량이 4.84㎎으로 신선한 귤의 12% 정도로 나타났는데 이는 조리과정중의 파괴로 본다. 통조림으로 된 Orange Mandarin 은 펭귄표가 가장 우수했으며 신선한 귤의 50% 정도의 Vitamin C를 포함하고 있었다. 그리고 orange juice와 orange nectar에서는 Libby's orange juice가 신선한 귤과 같은 정도의 Vitamin C함량을 보였다.

      • KCI등재

        정치폭력과 여성 : 베트남의 미국 전쟁 시 여성의 활동에 대한 연구

        미덕(Miduk Kim)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21 현상과 인식 Vol.4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 전쟁이라 불리는 베트남의 미국 전쟁(1954-1975) 당시 여성들의 여러 활동을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필자의 2015년과 2017년의 베트남 기념관·박물관 방문을 바탕으로, 문헌자료(학술논문, 신문기사, 문학작품)를 중심으로 살핀다. 하노이 여성박물관에 전시된 응우옌티빈(Nguyen Thị Binh), 응우옌티딘(Ngyen Thi Dinh), 라티땀(La Thi Tam), 보티모(Vo Thi Mo/Bay Mo), 3/8 여성 포병그룹(8 March Women’s Artillery Group), 응오바탄(Ngo Ba Thanh), 트렁미호아(Truong My Hoa), 보티탕(Vo Thị Thang), 딘티반(Dinh Thị Van), 호깐릭(Ho Kan Lich), 응우엔티민히엔(Nguyen Thi Minh Hien), 당두이쩜(Dang Thuy Tram) 등을 중요 역사적 사건과 배경 속에서 설명한다. 남성의 정치폭력 참여와 달리 여성의 전쟁 참여는 비가시적이며, 사사화된다. 그런데 본 사례에서 살핀 것처럼, 여성의 전쟁 참여 또한 공산주의 체제/이데올로기의 영향, 민족독립해방의 기치 및 전면전의 특성으로 자연스러운 저항의식이자 민족주의 의식발양의 결과이다. 공동체 파괴, 폭력에 대한 저항으로서의 민족독립운동에의 여성의 참여가 그렇게 예외적인 현상이 아니라는 것이다. 다양한 여성 주체의 전쟁에서의 활동이 더욱 발굴되고, 젠더 이분화된 군사주의가 재생산되거나 그 경계가 사라지는 상황들도 더욱 탐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women’s activities during the American war in Vietnam, which is called women’s war due to relatively immense participation of females. This study employs various works(academic literature, newspapers, autobiography, novels, and films) and is also based on my visit to historic museums in Vietnam in 2015 and 2017. The female figures introduced are from Hanoi Women’s Museum. The list includes Nguyen Thị Binh, Ngyen Thi Dinh, La Thi Tam, Vo Thi Mo, 8 March Women’s Artillery Group, Ngo Ba Thanh, Truong My Hoa, Vo Thị Thang, Dinh Thị Van, Nguyen Thi Minh Hien, Dang Thuy Tram. This introduction is contextualized into signigicant war histories and events. Unlike men’s participation in political violence, women’s participation in war is invisible and personalized. However, as the historical case in this study has shown, women’s participation during the war was also a natural process intrigued by their political resistance and nationalist consciousness based on the influence of communist systems/ideology, national independence and the all-out war. Women’s participation in the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which stands against violence, community destruction, is not such an exceptional phenomenon. The various activities of female subjects in war should be further discovered, and the situations which gendered militarism is reproduced or its boundaries disappear should be more explored.

      • HAROLD PINTER'S THE CARETAKER

        尹美德 誠信女子大學校 1986 硏究論文集 Vol.23 No.-

        Harold pinter`s The Caretaker, written in 1959 and first produced in 1960, was his first successful play. Critics have called his carly plays “comedies of menace” since Irving Wardle used the term for Pinter`s first full-length play, The Birthday Party. In The Room, The Birthday Party, The Dumb Waiter, and A Slight Ache, a character in a room or a house is visited by a stranger (or strangers) whose mysterious Presence proves to a menace to the protagonist and who victimizes him (or her) without any explainable motives. A detailed analysis of The Caretaker reveals the explicit menace in the play. However, the menace in The Caretaker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menace in the other early play. As Alrene Skykes pointed out, “in The Caretaker there is no longer unexplained mystery, and no actions which cannot be accounted for in terms of familiar human motive.” Aston, Mick and Davies menace the security of each other and as a result, all three people become victimes as well as victimizers. Especially, Davies is far more his own victim than he is that of Mick or Aston. He is incapable of accepting Aston`s hospitality,full of greed and complaints, and he cannot accept the offered haven on sharing basis. He is a self-imposed victim. Aston`s dream of building a shed, Mick`s dream of converting the old house into a fashionbable penthouse and Davies` dream of going down to get his papers to prove his identity will never come true. The Caretaker is a master piece of Pinter`s which offers a darkly comic and poignant view of man`s fragmented life in modern society.

      • KCI등재

        연구논문 : 인류학 연구 과정에서 발생하는 권력 메커니즘에 대한 논의; 성찰적 연구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미덕 ( Mi Duk Kim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3 韓國文化人類學 Vol.46 No.1

        이 글의 목적은 인류학 연구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권력 메커니즘을 살펴보는 것이다. 인류학 지식 역사에서 객관적인 지식 창출로부터 권력 메커니즘에 대한 관심으로 전환되는 배경을 설명하고,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의 관계와 재현의 문제, 그리고 성찰적 연구의 문제를 설명하고 있다.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의 관계에 대해서는, 연구자의 의도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변화하지 않는 구조화된 위계를 인정하고 어떤 수위에서든 연구 참여자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근본 원칙을 환기할 때, 연구자가 윤리에 대한 강박으로 인한 부작용과 위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성찰적 연구는 연구자의 정체성과 고백을 드러냄으로써 재현에서의 비위계성을 강조하고, 양식 면에서도 연구 참여자뿐만이 아니라 연구자의 정체성이 등장한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게다가 연구자 자신을 드러내는 겸손과 윤리성이 돋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인식론의 측면에서 연구자의 자기 현시라는 권력관계 및 계급성의 문제가 있다. 타자가 아닌 자신을 드러냄으로써 연구 참여자의 비특권적 지위를 고정시키고 연구자의 특권을 재생산한다는 것이다. 둘째 기능적인 면에서 성찰을 자기 고백과 혼동함으로써 연구 참여자에 대한 자세한 서술로만 그치고, 이에 대한 설명이 부재하다는 점이다. 이 글은 권력 메커니즘과 성찰적 연구에 대한 검토 및 비판을 통해, 인류학 연구에서 연구자가 누구를, 무엇을 위해 연구하는가라는 원론적 질문이 더욱 엄격하게 행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상기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explores power mechanisms which anthropological researchers may confront during the process of carrying out anthropological research. First I explain how the production of objective knowledge has been historically transformed discursively into power mechanisms in anthropology. The question of represent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subject of research, are then discussed in the context of reflexive writing. In dealing with the question of the relationship of the researcher to the researched,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mobile structural power hierarchy which stands between them. Prior consideration of the researched can make a researcher lessen hypocrisy and side effects caused by ethical compulsion in the knowledge production. The reflexive writing style, which has emerged as an alternative to figure out ethical dilemmas, is quite interesting in terms of the emergence of the identity of researcher her/himself and an assumed non-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researched. Reflexive writing also looks more interesting than socalled objective knowledge due to the researcher`s humility and ethical attitude.

      • KCI등재
      • KCI등재

        노자와 스피노자의 자연관에 기초한 환경윤리교육

        미덕 ( Mi Duck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9 윤리교육연구 Vol.0 No.19

        현대 문명의 급격한 발전이 낳은 인간의 의식 속에는 이분법적인 사고와 자연은 인간을 위해 존재한다는 서양의 인간 중심주의적 자연관이 자리 잡고 있다. 이로 인해 오늘날의 환경 문제가 야기되었다고 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우리의 환경윤리교육은 대안으로 동양의 자연관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동양과 서양의 자연관을 단순 비교하는 이러한 환경윤리교육은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그 동안 도덕 교과에서 환경윤리 교육은 환경윤리 이론과 사상을 중심으로 가르치거나 직접 자연 속으로 들어가 체험을 함으로써 자연과 교감하게 가르치거나 하는, 양 극단의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렇지만 이제는 동서양 자연관 모두를 포함한 도덕적 추론과 상상력을 함께 강조하는 통합적 접근이, 환경윤리교육에 필요하다. 노자와 스피노자는 자연을 목적론적 체계로 보는 것을 경계한다. 본 연구에서는 노자와 스피노자의 자연관을 함께 다룬 마리타 맥카티의 자연관 교육 프로그램을 살펴본다. 이 프로그램은 ``자연`` 개념과 자연에 대한 상상력을 길러준다. 그리고 도덕적 추론 능력과 도덕적 상상력의 신장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으므로, 우리의 환경윤리교육에 주는 시사점이 크다고 할 수 있다. The current environmental problems and ecological crisis are not just simple issues limited to one society, but they are complicated global issues. To solve this ecological crisis, we should change the way we see nature itself and be aware of the necessity of teaching environmental ethics to our future generations Environmental ethics is the study of questions about the value between human beings and nature. By simply comparing the asian view of nature with that of western people view causes many problems. The greed western outlook on nature has destroyed nature and regarded nature as something to conquer. And it is a main cause of this environmental crisis that we face. The asian philosophy of environment and Lao-tzu`s are suggested as a solution to the environmental crisis. It also could be an alternative proposal for the change of consciousness to that matter. However, we still can find a solution to this problem in western philosophy, so it is important to figure out the similar aspects of these two different philosophies. By teaching environmental ethics in Korea, many teachers adapt the method of comparing the asian view of nature with that of the western view. Also, the textbooks for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dealing with environmental pollution issues for the most part. And this has been perceived negatively. There have been two extreme teaching methods, one focusing on the theories about environmental ethics and the other giving students the chances to sympathize with nature by experiencing nature itself. In mor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eek the compromise between- a theory based approach and an experiential approach. In moral education, the synthetic approach is a newly suggested approach. It is the combination of ethics education based on asian and western views on nature and teaching how to make moral deduction. This research study the philosophy of Spinoza and Lao-tzu`s. They are believed to be very helpful to overcome the environmental crisis. As a part of moral study,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needs more programs helping the learners develop their imaginative power and understand the concept of " nature" by using their imagination. There is one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program that deals with the philosophy of Spinoza and Lao-tzu`s, it is Marietta McCarty`s education of "nature" in Little Big Minds. This program helps the students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nature" and develop the imaginative power about the nature. At the same time, it includes the philosophy of Spinoza and Lao-tzu`s. This research look into some of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Marita McCarthy`s program. There are many environmental ethics programs based on Lao-tzu`s view on nature but there are few based on Spinoza. Marietta McCarty`s program is based on the philosophy of Spinoza and Lao-tzu`s.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this teaching method and how to teach this program to the students, is not studied very much so this could be a very risky trial.

      • KCI등재

        베트남 전쟁 시 미국 적십자 여성의 활동

        미덕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5 여성학논집 Vol.32 No.1

        이 글의 목적은 군사주의와 젠더 관점에서 베트남 전쟁 당시(1962-1975) 미국 적십자 여성의 활동을 살피는 것이다, 적십자는 1881년 클라라 바톤의 창설 이래 미 정부 및 군 당국과의 밀접한 연계 속에서 군인과 군인 가족 지원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다. 적십자는 베트남에서 11년간 활동 했는데 주요 활동으로 군과 고향을 연계한 부대 서비스, 군병원 서비스, 오락센터와 이동클럽을 운영한 해외오락보충부대가 있었다. 특히 해외오락보충부대는 1965년 가을 베트남 다낭에 처음 도착하였고 1972년에 프로그램이 종료되었다. 이 부대 소속의 여성들은, 군 기지 근처에 클럽을 세워 군인들에게 오락과 휴식을 제공하고, 센터가 없는 외딴 곳에 있는 부대는 여성들이 직접 방문해 커피나 도넛을 나눠주고 오락 프로그램을 수행하였다. 적십자 여성 노동자는 대개 20대 중반의 미혼 여성으로서 대학교육과 사회경험을 우대했기 때문에 백인 중산계층 배경의 여성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주요 임무는 군인의 사기 진작과 건전한 오락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고향의 어머니, 애인, 여동생이나 누나의 역할을 대행했고 남성 군인이 지켜야 하는 조국의 여성을 상징했다. 활동의 어려움에는 열악한 생활환경, 남성이 압도적으로 많은 공간에서 파생하는 젠더문제, 전쟁으로 인한 긴장과 무력감 등이 있었다. 이들의 활동은 군사주의와 젠더의 관점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적십자 여성의 활동은 남성의 사기 진작을 목적으로 보살핌과 위로라는 전통적인 성역할에 충실했다. 둘째, 다만 그들의 존재는 고향에 두고 온 어머니, 애인, 누이동생의 이미지로 상징적으로 활용되었다. 따라서 성적 대상화가 부재한 것은 아니었지만 대체로 군인들로부터 예의바른 대우를 받았다. 셋째, 여성들의 나이가 군인들보다 더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소녀라 불리며 보호와 위안의 교환이라는 젠더 위계의 재생산을 확인할 수 있다. 넷째, 군인들이 보호해야 하는, 정숙한 미국 여성의 도덕성과 그렇지 않은 현지 여성의 부정적 이미지 간의 이분법 또한 작동하였다. 한편 여성 자신에게는, 다른 국가를 접하고 전통적으로 남성 영역인 전쟁에 참여하는 도전과 기회의 장이라는 것 또한 분명했다. 이 글은 베트남 전쟁 시 미국 적십자 여성의 활동의 이러한 모순적이고 복잡한 상황을 보이고자 했다. This article aims to discover the activities of American Red Cross(ARC) women during the Vietnam War(1962-1975) and to explain them with the prism of militarism and gender. Since the establishment of ARC by Clara Barton in 1881, the organization has supported the soldiers and their families with the close cooperation of the U.S. government and the military authority. During 11 years of the activities of ARC in Vietnam, it provided three main services, Service to Military Installations(SMI), Service to Military Hospitals(SMH), and Supplemental Recreational Activities Overseas(SRAO). In particular, the first SRAO unit was arrived in September 1965 in Da Nang, Vietnam and the program was ended in 1972. The SRAO program ran recreation centers to provide recreation and rest to soldiers and delivered active audience participation programs. For the small scale troops where no service clubs were available, the women served coffee and doughnuts with a clubmoible. ARC women were required to be college graduated, in middle 20s, and thus predominantly consisted of white middle class women. The main activities were to boost soldiers’ morale and to provide wholesome recreations, and the women were symbolically represented as mothers, sisters, and lovers in the States. Difficulties included poor working environment, gender issue in terms of overwhelmingly male-dominated environment, and the powerlessness from the war. The women’s activities can be explained in relation to gender and militarism as such. First, the clear aim of their presence during the vietnam war was to boost soldiers’ morale and their activities reproduce the traditional sex role such as care and comfort. Second, along with the comfort service, they were represented as symbols of the America’s mother, sister and lovers whom soldiers should protect and fight for rather than having direct sexual contacts. Although there was not absence of sexual objectification of the women, it is safe to say that they were politely treated by the soldiers in general. Third, we can confirm gender hierarchy in that they were simply called girls although they were older than soldiers. Fourth, the dichotomy between respectable American women and negative images of local women was also assumed. In the meantime, since the motivation of their voluntary work overseas were to experience foreign countries challenging traditional sex role in the States and to participate a war considered conventionally as men’s sphere, the women wielded their agencies. This article tries to show such a paradoxical and it complicated situation relating the activities of ARC during the Vietnam W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