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장백전>의 새 이본 <계황비보은록>의 서사적 특징

        엄태웅 동양고전학회 2020 東洋古典硏究 Vol.0 No.81

        이 논문은 <이장백전> 계열의 새 한글본 이본 <계황비보은록>을 학계에 처음 소개하고 그 서사적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계황비보은록>과 상당한 친연성을 보이는 이본 <계씨보은록>을 대 비해서 고찰해본 결과, 이 이본은 이장백의 君子로서의 면모, 충신의 면 모를 강조하는 특징을 보였다. 반면 계소저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그 관심이 미미했음이 드러났다. 결말부의 특징을 통해서도 이와 유사한 맥락을 감지할 수 있었는데, <계씨보은록>이 홍언순의 부인, 자식, 후 손, 친구 등 그 주변으로 관심을 확장하는 데 비해 <계황비보은록>은 이장백의 영웅적 면모에 일관된 관심을 보여 줬다. <계씨보은록>은 <이장백전> 계열의 특성을 잘 보여주는 이본이다. 그런데 이번에 새롭 게 소개하는 <계황비보은록>은 이러한 <계씨보은록>의 특징을 담고 있으면서도 ‘이장백’ 중심의 서사를 일관되게 유지하고 있었다. 이를 통 해 <계황비보은록>이 남성주인공의 義氣를 강조하고자 했던 洪純彦逸 話의 특징을 새롭게 계승한 면모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이본의 발견으 로 <이장백전>의 이본은 총 7종이 되었다. 이에 대한 종합적 고찰은 후고로 남기고자 한다. This thesis aims to introduce the new Korean version of <Gyehwangbiboeunrok> in the <Leejangbaekjeon> series to the academic world for the first time and to reveal its narrative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ntrast between <Gye Hwangbiboeunrok> and <Gyesiboeunrok>, which showed considerable affinity, this version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emphasizing the aspect of Lee Jangbaek's noble man character and loyalty. On the other hand, it turned out that the interest in Gyesoje was relatively insignificant. A similar context could be sensed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ding. While <Gyesiboeunrok> expanded interest to Hong Eonsoon's wife, children, descendants, friends, etc. showed consistent interest in The heroic aspect of Lee Jangbaek. <Gyesiboeunrok> is a good example of the characteristics of <Leejangbaekjeon>. However, the newly introduced <Gyehwangbiboeunrok> contained the characteristics of <Gyesiboeunrok> and maintained the narrative centered on ‘Leejangbaek’ consistently.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aspect that <Gyehwangbiboeunrok> newly inherited the characteristics of 洪純彦逸話, which was intended to emphasize the righteousness of the male protagonist. With the discovery of this version, the number of version in <Leejangbaekjeon> became a total of 7 types. A comprehensive review of this will be left behind.

      • KCI등재

        시원 선생의 한글소설 연구 - 넓은 편폭과 깊은 호흡 : 유형 분류를 중심으로 -

        엄태웅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7 한국문학연구 Vol.0 No.53

        In this paper, I considered how Kim Ki-dong determined sub-genres of old novel written in Hangeul(Korean), in his old novel research works. When we approach his research about sub-genre, we can find three important works. These are An Introduction of Korean Old Novel(1956), The Theory of Old Novel in Joseon Dynasty(1959), The Research of Korean Old Novel(1981). These three works showed some change of his research about sub-genres of old novel. First, correction of sub-genres' concept and rearrange of works belonging to sub-genres. Second, adding new sub-genres, Third and Fourth, reexamination and renewal of sub-genres. His research made foundation of modern research environment of Korean old novel, especially research of sub-genres which represented academic advances. And he did not afraid of correction of his past research until he died. So he could found structure of research of Korean old novel. He is a history of research of Korean old novel. 이 논문은 시원 김기동 선생의 학문적 업적 중 한글소설 연구, 그 중에서도 특히 시원 선생이 매 저술마다 시도했던 유형 분류에 대해 살폈다. 시원 선생의 저작을 유형 분류의 의의의 측면에서 접근하면 크게 세 권의 저술에 주목해야 한다. 『한국고대소설개론』(1956), 『이조시대소설론』(1959), 『한국고전소설연구』(1981)가 그것인데, 이들 저술에서 펼친 유형론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조금씩 변화를 하면서 선생이 유형론과 관련하여 중요하게 생각했던 바를 드러낸다. 그 특징은 크게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하위 장르 개념의 수정 및 소속 작품의 조정, 둘째, 새로운 하위 장르의 추가, 셋째와 넷째는 하위 장르의 재검토와 갱신이다. 대표적인 한글소설 유형들은 약간의 수정을 거치며 자리를 잡게 되고, 범주화가 명확하지 않았던 유형들은 몇 차례의 결합과 분리를 통해 오늘날 우리 학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하위 장르의 토대가 되었다. 시원 선생은 학문적 황혼기에도 공부를 게을리하지 않고, 꾸준히 자신의 연구를 되돌아보고 교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한국 고전소설 연구의 학문적 기반을 형성하였다. 한글소설에 대한 유형 분류는 그러한 연구 지향의 구체적 현현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 KCI등재

        <연정 구운몽>의 서사 전개 및 주제 구현 양상과 그 의미

        엄태웅 동양고전학회 2017 東洋古典硏究 Vol.0 No.68

        이 논문은 <구운몽>의 활자본 고전소설 이본인 <연정 구운몽>에 주목하여, 이 이본이 지니고 있는 서사 전개 및 주제 구현의 양상과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일반적으로 고전소설 연구에서 이본은 선본을 확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는데, 이 논문에서는 <연정 구운몽>의 특징을 이본 그 자체가 지니고 있는 독자적인 면모로 보았고, 이를 바탕으로 이본의 특징적 성격을 희곡적 측면에서 찾았다. 우선 演訂이라는 단어가 제목에 부기된 이유를, 다른 작품의 제목에 演訂이 부기된 경우로부터 그리고 이본 내의 몇몇 표지로부터 찾았다. 다음으로는 이본의 서사 전개 양상에서 그 특징을 찾았다. 이는 ‘풍부한 상황 서술’, ‘직접 발화의 빈번한 등장’, ‘대화 내용의 구체적 서술’, ‘시․상소문의 제시’ 등으로 나누어 살폈다. 선본 계열과 비교하여 <연정 구운몽>의 차이점을 도출하였고, 이 차이점이 <연정 구운몽>의 서사적 의미망 안에서 어떻게 기능하였는지 따져보았다. 다음으로 주제 구현 양상에서 그 특징을 찾았다. 이 이본은 선본 계열과 유사한 주제 의식을 지니고 있으되, 각몽에서 가시적 효과를 보여줄 수 있는 장면 전환 부분을 생략하는 대신 이를 성진의 인식적 차원의 변화로 갈음하였다. 이로 인해 주제 구현의 과정에 미묘한 차이가 발생했고, 수용자들은 변화된 서사에 보다 공감했으리라고 보았다. 요컨대 <연정 구운몽>은 곳곳에서 희곡적 성격을 드러내는 바, 이 이본이 정밀한 연극 대본은 아니지만 공연 상황을 염두에 두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판단했다. This paper focused on the narrative and theme of <Yeon-jeong Ku-un- mong> which is one of the different versions of <Ku-un-mong> when published in 1910's as a modern printing. Generally researchers regarded different version as a means of research for finding best version. But this paper aimed at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version <Yeon-jeong Ku-un-mong>. This version kept in mind for play(drama), so we could easily find the purpose of change for scenario. 'Yeon-jeong' in <Yeon-jeong Ku-un-mong> is 연정(演訂) in Korean words in Chinese characters. It is sure that this word means that the text considered play(drama). The narrative of <Yeon-jeong Ku-un-mong> also told us that this old novel aimed at the stage. Tendencies are classified four features, first, abundant situation description, second, frequent direct conversation, third, concrete description about direct conversation, fourth, showing poem and appeal for audience. The theme of <Yeon-jeong Ku-un-mong> has an interesting differences in comparison to the group of best version. When main character awakened, this novel showed the most important message. In the group of best version, he awakened to the cloud that he couldn't distinguish anything. But in this novel, cloud didn't appear, in other words, didn't change the scene. Instead, main character realize himself that he changed from Yang-so-yoo to Seong-jin. It is probable that change of process to conclusion aroused reader and audience's sympathy. To sum up, we could know that this novel kept in mind for play(drama).

      • KCI등재

        『삼국유사』 「기이」 부여ㆍ고구려 관련 기사의 서술 의도 - <북부여>, <동부여>, <고구려>에 대한 역사적ㆍ서사적 접근 -

        엄태웅 열상고전연구회 2015 열상고전연구 Vol.47 No.-

        본고는 『삼국유사』 「기이」의 <북부여>, <동부여>, <고구려>, <변한 백제>, <남부여 전백제 북부여> 등의 기사에 주목하였다. 그 결과 이들 기사가 고구려, 백제를 ‘부여 계열 국가’로 인식하고, 고구려를 졸본부여로, 백제를 남부여로 명명하고 있다는 흥미로운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찬자가 비단 국가명만 변화시킨 것이 아니라, 그 내용에 있어서도 부여 계열 국가로서의 면모를 설명하기 위해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북부여>, <동부여>, <고구려> 기사를 중심으로, 부여와 고구려의 역사를 어떻게 서술하고 있는지 찬자의 의도를 살폈다. 찬자는 글 배치의 변화 및 관련 기록의 생략 및 추가, 적극적인 주석 작업 등을 통해 기사에 자신의 서술 의도를 효과적으로 녹여냈다. 서술 의도는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된다. ‘북부여의 계승자는 동부여의 해부루(금와, 대소)가 아니라 졸본부여의 주몽이다.’와 ‘졸본부여는 북부여를 계승하여 북부여와 같은 위치에 나라를 세웠는데, 그곳은 다름 아닌 요동지역이다.’이다. 찬자는 이러한 자신의 주장에 맞춰 <북부여>, <동부여>, <고구려> 기사를 서술하였다. <북부여>는 북부여 그 자체보다도 후대 부여 계열 국가의 존재 양상에 포커스를 맞추어 서술이 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북부여 발원의 위치에 대한 명확한 입장이 개진되기도 했다. 이를 통해 부여 계열 맥락화의 단초를 확인할 수 있었다. <동부여>는 부여 혈통에서 해부루 및 그 후손들을 배제시키고, 그 자리에 주몽을 대체하려는 목적에서 서술이 되었으며, 아울러 그 과정에서 북부여 발원지의 신성성을 강조하기 위한 서술 전략이 엿보였다. <고구려>는 이상 두 기사에서 주장한 바를 다시 확인하고 강조하며 보호하는 방식으로 서술되었다. 이에 주몽의 부여 계승적 면모를 여러 각도에서 조명하고, 졸본부여의 위치와 관련하여 일말의 혐의도 남기지 않고 관련 기록들에 조목조목 입장을 개진하였다. 결국 세 기사는 일관된 하나의 입장을 토대로 작성이 된 것으로, 이를 통해 『삼국유사』 찬자가 신라의 역사와 함께 부여 계열 국가들의 역사를 고려의 시원을 설명해주는 중요한 역사축으로 설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chapter 「Kiyi」, 『Samgukyusa』 is the history book and narrative book in one. In Chapter 「Kiyi」, we can find a few interesting records written about Buyeo & Goguryeo. There are 「Buk-buyeo」, 「Dong-buyeo」, 「Goguryeo」, 「Byeonhan Baekje」 in chapter 「Kiyi」, interestingly they are named by writer(s) in different title. The writer left the name 「Buk-buyeo」 & 「Dong-buyeo」 as it is, meanwhile added explanations in the name 「Goguryeo」, 「Byeonhan Baekje」 that 「Goguryeo」 is 「Jolbon-buyeo」 and Baekje in 「Byeonhan Baekje」 is 「Nam-buyeo」. After changing existing records, writer homogenized the meaning of four chapters affiliated with 'buyeo'. Then why did writer intend four records as the story of 'buyeo'. Because the writer wanted to appreciate the history of Buyeo and Goguryeo, and spoke that the territory of two countries was larger than we had known.

      • KCI우수등재

        4차적률의 올바른 해석

        엄태웅,이성백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9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30 No.5

        The fourth moment κ has not been interpreted in one cord. Many textbooks say the kurtosis tells how much peaked the underlying distribution is at the center part of the support, but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telling that kurtosis does not yield any information about the center portion of the distribution. This paper reviews different interpretations about kurtosis aiming to reach correct interpretation that the kurtosis tells how thick the tail part of the distribution is, not how peaked its central part. Finally we propose an appropriate Korean term for the kurtosis which includes clearly its actual meaning. 4차적률 κ 값은 분포의 중심부분의 뾰족함정도로 해석되고 있으며 국내에서 출판되고 있는 대부분의 교재에서도 κ 를 뾰족함을 의미하는 첨도 (peakedness)로 정의하고 있다. κ 값이 받침 (support)의 중심부분에서 분포의 뾰족함정도에 대해서는 어떤 정보도 말해주지 않는다는 것을 지적하는 연구들이 국외에서 수없이 발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κ 가 분포의 중심부분의 자료와는 아무 상관 없으며 오히려 꼬리부분의 두꺼운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임을 보여주는 기존의 발표된 예제들을 재현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국내 통계교육이나 응용에서 κ 가 사용될 경우 그 의미를 분포의 중심부분의 뾰족한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가 아니라 꼬리부분의 두터운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사용되어야 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더불어 이러한 오해의 의미를 담고 있는 첨도라는 용어보다는 꼬리부분의 두터운 정도를 반영하는 척도라는 의미로 κ 를 미후도~(尾厚度: tailedness)라고 부를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후보

        ‘공동체 라디오 방송’의 확산을 위한 ‘대학 방송국’과의 연계 방안

        엄태웅,유춘동 (재)한국연구원 2022 한국연구 Vol.- No.10

        1920년대 ‘라디오’가 세상에 처음 출현한 뒤로, ‘라디오의 종언’에 관한 담론은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 라디오는 “기술로서, 오디오 콘텐츠의 공급원으로서, 그리고 전 세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문화적 매체”로서 굳건한 위상을 갖고 있다. 한국 라디오의 발전사에서 중요한 사건은 2004년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승인한 ‘소출력라디오 설립,’ 즉 ‘공동체 라디오 사업’이다. ‘공동체 라디오’는 기존 주류 미디어와 다른제3영역의 방송으로, “공동체 내에서, 공동체를 위하여, 공동체에 대해, 공동체가 운영하는 방송”이다. 현재 전국에서 27개의 공동체 라디오 방송이 운영되고 있는데, 앞으로이 제도는 계속 확대 발전할 예정이다. ‘공동체 라디오 사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플랫폼의 신설이 시급한 과제이다. 이 글에서는 그 방안의 하나로, 대학 내의 주요 부속 시설 중의 하나인 ‘대학 방송국’에 주목하여,이를 연계하여 공동체 라디오와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논의해 보았다.

      • KCI등재

        김광순 소장 필사본 《한국고소설전집》9권 소재 <구운몽>에 대하여

        엄태웅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0 고전과 해석 Vol.32 No.-

        이 글은 율문체가 빈번히 나타나는 <구운몽> 이본의 개괄적 특징과 더불어 작품의 원문(입력본)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신자료 소개를 목적으로 하였지만, 이 자료가 수록되어 있는 문헌은 사실 신자료라는 명칭과 어울리지 않는다. 그 문헌은 바로 고전소설 연구자들에게 매우 낯익은 전집인 김광순 소장 필사본 한국고소설전집 (9권)이기 때문이다. 익숙한 문헌에 수록되어 있었으면서도, 이 이본은 선본 계열이 아니기 때문에 그간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그러한 점에서 이 이본은 신자료로 소개받을 충분한 자격을 갖추었다고 볼 수 있다. 문체적․내용적 독특함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주지하다시피 <구운몽> 이본은 여러 갈래로 다채롭게 전승되면서 여러 색다른 이본을 만들어냈다. 이 이본 또한 그러한 과정에서 산출된 것으로 보인다. 다양한 형태의 율문체가 확인되기 때문이다. 율문체적 특성이 구체적으로 어떤 장르 및 문화에서 온 것인지는 추후 상세한 고증을 통해 밝혀야 할 것이다. 다만 필사기를 통해 볼 때, 이 이본이 판소리 문화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후속 연구를 통해 이를 해명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troduc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original text(input text) of the original version of <Ku-un-mong> which has a rhythm. Although it was intended to introduce new materials, in fact, this copy is included in the 9th volume of the manuscript of Kim Kwang-soon's collection of Korean old novels, which is a material familiar to researchers. The versions of <Ku-un-mong> has been handed down in a variety of ways to create a variety of different version. This version also appears to have been produced in the process. However, at the stage of introducing the material, it is difficult to ascertain whether the rhythmic style in this text was influenced by Gasa(歌辭) or Pansori. However, the transcription weighs in the assumption that this version might have been influenced by Pansori. It is included in a famous collection, but has not been introduced to date. Accordingly, an input copy of the original text was presented to be used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車相瓚의 『通俗朝鮮四千年祕史』 편찬의식 고찰

        엄태웅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1 고전과 해석 Vol.35 No.-

        이 논문에서는 차상찬의 첫 단행본인 『통속조선사천년비사』를 살펴보았다. 이 책은 역사서이면서도 ‘통속’이라는 단어를 제목에 넣었는데, 여기서 통속이라는 말 은 보다 많은 이들에게 두루 통한다는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적당하며 이는 ‘대중 교양’이라는 언급과도 일맥상통한다고 보았다. 이 책이 보다 흥미로운 점은 역사 기 술과 서사 기술이 거리낌 없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사실이다. 책 속에서 그 조화 의 양상이 어떠한지 구체적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역사서 집필은 그가 갖고 있는 역사 인식과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 차상찬은 소외된 곳에 주목하 던 인물이다. 소외되어 있던 우리 민족, 그리고 소외되어 있던 민중 계급을 고찰하 였다. 글의 장르도 역사나 문학 장르에서 소외된 양식이다. 차상찬은 소외된 것들에 적극적으로 의미 부여를 하였던 인물인 것이다. 최근 차상찬의 고향인 춘천에서 강 원문화교육연구소를 중심으로 그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앞으로 차상찬이 졸업한 고려대학교에서도 그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기를 기대한다. This thesis examines Cha Sang-chan's first book, 'The History of the Four Millenniums of Popular Joseon'. Although this book is a historical book, the word 'popular' is included in the title, but it is appropriate to interpret it as meaning that it is universally applicable to more people than it is understood through the introduction or book reviews, and it is also consistent with the mention of 'popular culture'. What makes this book even more interesting is the fact that historical and narrative skills are harmonious without hesitation. In the book, we looked at the aspect of harmony through concrete examples. And he saw that the writing of such a history book was related to his understanding of history. Cha Sang-chan was a person who paid attention to the marginalized. The marginalized Korean people and the marginalized people's class were considered. The genre of writing is also a style alienated from the genre of history or literature. Cha Sang-chan is a person who actively gave meaning to the alienated things. Recently, in Chuncheon, the hometown of Cha Sang-chan, research on it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centering on the Gangwon Cultural Education Research Center. It is expected that interest in him will increase at Korea University, where Cha Sang-chan graduated from in the future.

      • KCI등재

        진료 에피소드를 이용한 협진 의료이용 현황 분석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청구자료를 중심으로

        엄태웅,김남권,김신아,Uhm, TaeWoong,Kim, Nam-Kwen,Kim, Sina 대한예방한의학회 2015 대한예방한의학회지 Vol.19 No.2

        Objective : We analyzed present condition of cooperative medical care using claims data of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form patients treated by Korean-Western cooperative medicine. The study aimed to offer guidelines in selecting disease-related research in developing Korean-Western convergence technology. Method : Based on the patients using Korean medical service, we analyzed claims data of patients using Korean medical service and western medical service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13. We were assigned to the server remotely. With the concept of 'episode of care', we rebuilt claims data and analyzed present condition of cooperative medical usage. Results : We analyzed present condition of cooperative medical care per episode of care. Among outpatients, Low back pain, lumbar region(M5456) was the highest number. Among inpatients, Sciatica due to intervertebral disc disorder(M511) was the highest number. Conclusion : Based on the claims data provided by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we have derived a list of multy frequently disease frequently treated by cooperative medical care by analyzing present cond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