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rostaglandin F2a 에 의한 유도분만에 관한 연구

        안유헌(YH Ahn),정한중(HJ Chung),우인호(IH Woo) 대한산부인과학회 197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0 No.3

        PGF2a를 정상 만삭임신부인 초산부 19명과 경산부 34명 모두 53예를 대상으로 정맥내에 희석점적하여 유도분만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임상적으로 분석 검토하였다. 1. 유도 분만 53예중 그 성공율은 94%로서 초산부에서 90% 경산부에서는 98%였다. 2. 조기파수된 예에서는 실패율이 6.8%였다. 3. Pelvic score가 높은 용이군(6∼16)에서는 실패한 예가 전혀 없었고 Pelvic score 가0∼5인 곤란군에서는 유도분만 실패율은 16.7%였다. 그리고 Pelvic score와 유도분만 시간은 초산부 및 경산부에서 모두 상관계수가 각각 r=-0.97, r=-0.91로 역상관관계를 나타냈다. 4. 정맥내 희석 점적주입을 실시한 시간으로부터 자궁수축이 나타난 시간까지는 초산부에서 최장 1시간 40분, 최단 5분 평균 21분이였으며 경산부에서 최장 1시간 최단 5분 평균 25분 으로 전예에서는 평균23분이었다. 5. 유도분만에 소요된 PGF₂α의 용량은 초산부에서 최대 6.880㎍, 최소 520㎍, 평균 2,850 ㎍이였고 경산부에서 최대 5,200㎍ 최소 200㎍으로 전체 평균은 1,750㎍이었다. 6. 진통이 유발된 시간으로부터 태아 만출시까지의 유도분만 전체소요시간은 초산부에서 최장 10시간 15분 최단 1시간 50분 평균 5시간 33분이며 경산부에서는 최장 8시간 30분 최단 1 시간 30분으로 평균 3시간 32분이었다. 7. PGF₂α유도분만으로 인한 이완성 산후 출혈은 6%에서 볼 수 있었다. 8. PGF₂α의 유도분만중 발생한 안면조홍은 5예였었고 오심 및 구토가 3예에서 있었으며 그 정도는 아주 경미하였고 별다른 처리없이 분만을 진행시킬 수 있었다. 9. 유도분만으로 출생한 신생아의 Apgar score는 출산후 첫 1분에서 모두 8이상으로 태아건 강에 아무런 이상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Prostaglandin F₂α에 의한 정맥내 점적주입을 분당4.0㎍씩으 로 시작하여 유도분만을 하면 Pelvic score가 6이상이거나 조기파수예에서는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성공시킬 수 있었다. It has been well known that prostaglandins E and F are effective in uterine contraction on both pregnant and nonpregnant uterus, Since 1969 when Karim reported that prostaglandin F₂αwas effective in induction of labor, many researches have been published with different results because of different route of adminiftration, different dosage or standard of observation. A clinical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clinical reaction of prostaglandin F2a for induction of labor. Induction of labor was performed in 53 women who were on 36 to 44 weeks of normal gestation. The prostaglandin F2a was administered by continuous intravenous drip infusion started from dosage of 4.0ug per minut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duction failed on 10.53% of primiparas, in 2.94% of multiparas, and overall failure ra te was 5.66% on the average. 2. Failure rate on cases with in cases with intact membrane was 14.28% in pimiparas, 3, 33% in multiparas, and 0% in the group of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3. Failure rate in the group with pelvic score 0-5 was 33.33% in primiparas, 8.33% in multiparas, and overall failure rate was 16.67% while 0% in the easy group with pelvic score 6 or more. 4. Lag period was 21 minutes in primiparas and 25 minutes in multiparas on the average. 5. Total doses of prostaglandin F₂ used for induction of labor were 2,850mg in primipar as and 1,752mg in multiparas. 6. Mean labor hours were 5.55 hours in primiparas and 3.53 hours in multiparas. 7. Postpartum atonic bleeding was 6% after induction of labor with prostaglandin F₂ 8. Side effects of prostaglandin F2a were mild in few cases : Facial flusing, nausea and vomiting were disappeared without specific treatment. 9. Newborn babys` conditions were excellent with Apgar score over 8 in one minute of their age.

      • KCI등재

        임신성 당뇨병 산전검사에서 50 gm-경구 당부하검사의 의의

        김승룡,박문일,안유헌,김진조,이정한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8

        1994년 11월부터 1996년 9월까지 한양대학교 부속 서울병원을 방문한 산모를 대상으로, 임신 24∼28주에서 GDM 선별검사로서 50 gm oral GTT를 실시하였다. 대상 환자는 모두 312예로서 `GDM 고위험군(235예)`과 `대조군(77예)`으로 분류하였다. 모든 대상 환자에서 `1hr-50 gm oral GTT`의 결과가 130 mg/dL 미만이면 정상으로, 그 이상이면 양성으로 분류하였으며, 양성인 겨우 `3hr- 100 gm oral GTT`를 시행하였다. 100 gm oral GTT의 결과에서 4가지 기준치(공복, 1시간, 2시간, 3시간에서의 혈당치)에서 2개 이상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GDM으로 분류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GDM 고위험군에서의 비만환자 발 생률이 8.5%(18/213)로서 대조군의 6.8%(5/74)보다 높았으나 통계적 의미는 없었다. GDM 고위험군에서, 50 gm oral GTT 결과가 양성인 경우는 전체의 44.3%로서 대조 군에서의 26%보다 의의 있게 높은 빈도를 보였다. 한편 선별검사에서 양성으로 분류된 경우에 실시한 100 gm oral GTT가 비정상으로 나타난 경우는 모두 `GDM의 고 위험군`이었다(100% 19/19). 또한 50 gm oral GTT의 한계 치의 설정에 차이를 보이고 있는 바 130∼139 mg/dL 사이 를 보인 group을 연구하였으나 GDM은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로 미루어보아 적어도 국내 에서는 모든 산모를 대상으로 GDM의 선별검사(50 gm oral GTT)를 실시하기보다는, 우선 `GDM의 고위험군`을 분류하여 50 gm oral GTT를 시행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 로 사료된다. One of the most common metabolic disorders that is complicated by pregnancy is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GDM may be affiliated with various adverse outcomes of pregnancy including obstetrical complications such as increased rate of cesarean section, preeclampsia, and birth trauma, and perinatal morbidities, such as macrosomia, hypoglycemia, hypocalcemia, and hyperbilirubinemia. Women with GDM are at higher risk for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later in life and are predisposed to dyslipidemia and cardiovascular disease. GDM may also have long-term affects on the offspring. The offspring of mothers with pregestational and gestational diabetes have been found with a higher frequency of obesity in childhood, impaired glucose tolerance or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in adolescence or thereafter. The prevalence of GDM in Korean women is 2∼3%, which is similar to that in Caucasian and African-American women in North America. The frequencies of obstetrical complications and adverse perinatal outcomes observed in Korean women with GDM are also similar to those in other reports. Thus, screening of GDM is very important in Korean wome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significance of 50 gm-oral glucose tolerance test (GTT) as a screening test of GDM from November, 1994 to September, 1996. The tests were performed during the 24∼28th gestational weeks period. Three hundred twelve patients (235 high risk and 77 control) were entered to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maternal age, gravity and parity in the high risk group were 30.93 6.82, 4.50 2.25, and 0.97 1.11, respectively. The mean maternal age, gravity and parity in the control group were 26.26 4.86, 1.95 1.31 and 0.35 0.72 respectively. No differences were presented between the two-groups. 2. The mean body mass index in the high risk group and control group was 21.23 2.64 and 20.10 2.68 kg/m2,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between the two groups. The incidence of obesity in each group was 8.5% and 6.8%, respectively. 3. The mean birth weight of neonates in the high risk group and control group was 3075.0 582.7 gm and 3206.4 428.6 gm respectively.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4. The incidence (43%, 104/235) of positive screening tests (1hr oral GTT>130 gm/dl) in the high risk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26%, 20/77) of the control group. 5. All positive results of 100gm-oral GTT (100%, 19/19) were seen from the patients with positive screening tests (50 gm-oral GTT). 6. All positive results of 100 gm-oral GTT were seen in patients whose levels above 140 mg/dL. No positive results were seen in patients whose levels between 130∼139 mg/dL. In view of the above results, the authors believe that the screening test of GDM, 50 gm-oral GTT, would be preferable for `high risk groups of GDM` only, rather than for `all pregnant women`, at least in Korea.

      • KCI등재

        분만기 심근증 1 예

        이재억,박문일,안유헌,국정용,김명곤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2

        저자들은 37세의 경산부에서 임신 제 35주에 조기분만을 하였던 산모에서 확장성 분만기 심 근증으로 사료되는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Peripartum cardiomayopathy is defined as a syndrome of cardiac failure occuring in the latter part of pregnancy or in the puerperium, without obvious cause and without prior evidence of heart disease. It is important to recongnize the association of cardiac failure and pregnancy as a separate syndrome so that, once identified, peripartum cardiomyopathy can be treated promptly and aggressively. We have exprienced one case of dilated cardiomyopathy in preterm delivery at 35th gestational weeks, which are presented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당뇨병이 합병된 임신에 대한 임상연구

        조삼현,황윤영,이재억,유중배,박문일,안유헌,유주현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11

        1. 임신전부터 당뇨병을 가지고 있던 산모가 18예(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이 4예,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이 14예)로 이들의 평균연령은 19.8+-5.3(23-42)세였고 임신전 평균 BMI는 21.3+-3.8 kg/m^2으로 정상수준을 보였다.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의 경우 임신전 평균 BMI는 18.4+-2.3 kg/m^2으로 낮았고,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의 경우 22.2+-3.8 kg/m^2으로 나타났다. 임신성 당뇨병 산모의 평균 연령은 31.1+-4.3(26-38세)였고 임신 전 평균 BMI는 23.9+-4.7 kg/m^2으로 임신 전부터 당뇨병을 가진 산모들보다 높았다. 2. 임신전부터 당뇨병을 가진 산모는 임신전 인슐린과 경구용 혈당 강하제, 식이요법 및 운동요법으로 치료하였던 환자들로 경구용 혈당 강하제로 치료한 환자들은 임신중에 인슐린으로 대치하여 치료받았다. 임신성 당뇨병 환자 13예의 경우 인슐린과 식이요법으로 치료하였고 이들의 치료시기는 임신중기에 4예(20.0%), 임신말기에 3예(15%)였고 분만시 본원에 처음 내원하여 치료받지 못한 예도 6예있었다. 3. 임신성 당뇨병에 대한 위험인자를 가진 임신성 당뇨병 산모들은 30세이상인 산모가 6예(46.1%), 당뇨병에 대한 가족력이 이쓴 산모가 5예(38.4%), 전에 거대아나 사산아를 분만한 적이 있는 산모가 각각 1예씩 2예(15.3%), 비만한 산모가 2예 815.3%)로 임신성 당뇨병 산모 13예중 한가지 이상의 위험인자를 가진 산모가 9에로 69.2%였다. 4. HbAlc는 총 31예중 25예에서 검사하였는데 10예(40.0%)에서 9.0%보다 높게 나타났다. 측정된 25예의 측정시기는 임신 제 1기가 9예, 임신 제 2기가 3예, 임신 제 3기가 13예였고, 9.0%보다 높았던 10예의 분포는 임신 제 1기에서 2예, 제 2기가 1예, 제 3기가 7예였다. 이 10예중 주산기 합병증이 동반된 예는 7예(70.0%), 모성합병증이 동반된 예는 8예(80.0%)였다. 임신전 당뇨병이 있던 산모군 18예중 자연유산의 경험이 있는 산모가 5예(27.8%)로 유산경험이 없는 13예(72.2%)에 비해 혈당조절이 안된 경우들이었다. 또한 선천성기형은 1예뿐이었는데 Equinovarus기형을 가진 예로 임신 제 24주에 본원에 처음 내원하여 당뇨병이 발견된 환자로, 산전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임신전부터 당뇨병을 가졌는지 또는 임신성 당뇨병에 의해서 당이 높았는지 알 수 없었고 배아발달시기의 혈당치도 알 수 없었다. 5. 모성 합병증은 분만을 전후하여 전체 31예중 17예(55.5%)에서 한가지 이상의 모성 합병증이 관찰되었다(Table 6). 임신성 고혈압이 8예(25.8%)로 가장 많았고 신증도 7예(22.6%)였으며, 그외 망막증 3예, 저혈당증 2예, 감염증 2예(신우신염 1예, 산욕열 1예), 산전빈혈 2예, 양수과다증 1예가 있었고, 케톤산증, 분만시 산도손상, 산후출혈, 모성사망 등은 없었다(Table 7). 6. 임신전부터 당뇨병이 있던 산모들 18에중 6예(33.3%)에서 혈관 합병증이 동반되었는데,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산모가 2예,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 산모가 4예였고 신증이 4예, 망막증이 2예였다. 임신전 혈관 합병증이 동반된 당뇨병 환자에서의 모성 합병증(80.0%)이 혈관 합병증이 동반되지 않은 경우(30.7%)보다 훨씬 증가된 빈도를 보였다. 주산기 합병증도 혈과 합병증이 동반된 6예중 3예(50.0%)에서 동반되었다. 7. 주산기 합병증은 31예중 20예(64.5%)에서 하나 이상의 주산기 합병증이 동반되었다. 임신전부터 당뇨병이 있던 산모 18예중 9예(50.0%)와,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된 산모 13예중 11예(84.6%)에서 동반되었는데, 조산 9예(29.0%), 과체중아 6예(19.4%), 자궁내 태아사망 4예(12.9%), 자궁내 태아발육부전 4예(12.9%), 대사장애(과빌리루빈혈증 3예, 저혈당증 2예), 감염증 2예, 그외 태아기형 1예, 견갑난산 1예, 과숙아 1예 등이 있었다(Table 8). 그중 과체중아를 보인 에는 6예로서 식후 2시간 혈당은 물론 공복혈당이 높았고, 과체중아에서 흔히 동반되는 신생아 질식이 3예(50%), 견갑난산이 1예(816.6%)있었다. 8. 분만방법은 질식 자연분만이 41.9%, 제왕절개 분만이 41.9%, 흡입분만이 16.2%로 본원의 제왕절개빈도 34%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가장 많은 적응증은 진행장애가 38.5%였다. 제왕절개 분만빈도는 임신전부터 당뇨병이 있던 산모군이 25.8%로 임신성 당뇨병 산모군의 16.1%에 비해 높았다. 분만시기는 임신전부터 당뇨병이 있던 산모군은 35.2+-8.2주, 임신성 당뇨병 산모군은 37.2+-3.4주였다. The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and pregnancy are divided into the pregestational diabetes and the gestational diabetes. The diabetic pregnancy increased the risk of the eclampsia, preeclampsia, metabolic disorders, birth injury, infection, and maternal mortality and associated with increased perinatal death rate, major anomalies, preterm delivery, neonatal morbidity(severe respiratory distress and metabolic derangements), and inheritance of predisposition to diabetes. Therefore we collected 31 analyzed and reviewed retrospectively among 12362 admitted to Hanyang University Hospital Obstetrics & Gynecology department between January 1986 and March 1994. Results were as follow: 1. The patients consist of 4(12.9%) with 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IDDM), 14(45.2%) with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NIDDM), and 13(41.9%)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GDM). 2. The mean maternal age was lower in pregestational diabetes(29.8+5.3) than gestational diabetes(31.1+4.3). 3. The mean maternal body mass index was higher in gestational diabetes(23.9+4.7 kg/m^2) than pregestational diabetes(21.3+3.8kg/m^2). 4. 69.2% of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had more than one risk factor(age over 30, family history of diabetes, a prior macrosomia, malformed or stillborn infant, obesity, hypertension, or glucosuria). 5. The maternal complications were found 17 cases(55.5%) and the most common type of complication was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25.8%). 6. The maternal complications was found to be much higher in diabetic pregnancy with vasculopathy(80%) than without vasculopathy(30.7%). 7. 20 cases(64.5%) were found to have perinatal complications. 8. The frequency of cesarean section was higher in pregnancy with diabetes(41.9%) than without diabetes(34.0%).

      • KCI등재

        임신과 동반된 갑상선 기능이상증

        김경태,황윤영,이재억,문형,유중배,안유헌,국정용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1

        갑상선 기능항진증 1. 치료유형별에 따른 각 군을 비교하면 임신전이나 조기에 치료받은 군일수록 임신과 관련 된 합병증 (유산, 태아손실, 조기분만, 전자간증 ...)과 태아에 대한 영향 (Apgar score, 자궁내 성장지연)이 적었다. 2. 임신시 치료가 늦었던 군이나 전혀 치료를 받지 않은 군에서 (group IV,V) 가장 심한 합병 증인 전자간증 1예와 울혈성 심부전증 2예가 있었으며 치료를 받은군에서도 (group III) 갑상 선 기능검사 수치가 잘 조절되지 않았던 경우 유산과 자궁내 성장지연이 있었다. 3. 본연구에서는 태아의 선천성기형은 1예도 없었다. 갑상선 기능저하증 1. 연구대상수가 적었으며 대부분 임신전이나 조기에 치료가 잘 되어 임신과 관련된 합병증 으로 전자간증이 1예(11%), 자궁내 성장지연이 2예(22%)이외에는 다른 합병증은 없었다. 2. 임신시 치료를 전혀 시행받지 않은 1예에서 울혈성 심부전증, 심낭삼출액 및 심장탐폰이 동반된 전자간증이 1예 있었다. Because thyroid disorders have predilection for young women, it is not surprising that they encountered with some frequency during pregnancy. Additonally, there is evidence that changes induced by pregnancy may actually stimulate remission and exacerbation of preexisting thyroid disease. Inadequate treatment of patients with moderate-to-severe thyroid dysfunctoin during pregnancy has been reproted to result in increased maternal and fetal morbidity. This study was undertaken on 31 pregnat women with hyperthyroidism and 10 pregnanct women with hypothyroidism at the Department of Obsterics and Gynecology,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from DEC. 1, 1986 to DEC.31, 1993.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 : hyperthyroidism 1. In comparision with the timing when antithyroid durg is initiated, the groups which treated prior to or at early pregnancy (group I,II), there were less maternal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pregnancy(aborition, fetal loss, preterm labor and delivery, preeclampsia et al.)and fetal complications(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low Apgar score). 2. There were severe maternal complications of preeclmpsia and congestive heart failure in the groups which treatments were late or no treatment given during pregnancy (group IV, V). 3. In the group III, there were abortion and intrauterine growth relardation in 2 cases of in complete treatment. 4. Congenital anomalies associated with maternal hyperthyroidism were not seen. B : hypothyroidism 1. Although the group was small in this study, no other compications associated with pregnancy were noted in the group which treated prior to or at early pregnancy except 1 case of preeclampsia and 2 cases of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2. The group which no treatment given during pregnancy was only 1 case that has severe maternal compications of preeclmpsia, congestive heart failure, pericardial effusion and cardiac tampona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