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 인공지능 정책의사결정에 대한 탐색적 논의

        서형준 한국정보화진흥원 2019 정보화정책 Vol.26 No.3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ge, because of advance in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technologies, the various roles of AI have attracted public attention. Starting with Google's Alphago, AI is now no longer a fantasized technology but a real one that can bring ripple effect in entire society. Already, AI has performed well in the medical service, legal service, and the private sector's business decision making. This study conducted an exploratory analysis on the possibilities and issues of AI-driven policy decision making in the public sector. The three research purposes are i) could AI make a policy decision in public sector?; ii) how different is AI-driven policy decision making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s of decision making?; and iii) what issues would be revealed by AI's policy decision making? AI-driven policy decision making is differentiated from the traditional ways of decision making in that the former is represented by rationality based on sufficient amount of information and alternatives, increased transparency and trust, more objective views for policy issues, and faster decision making process. However, there are several controversial issues regarding superiority of AI, ethics, accountability, changes in democracy, substitution of human labor in the public sector, and data usage problems for AI. Since the adoption of AI for policy decision making will be soon realized, it is necessary to take an integrative approach, considering both the positive and adverse effects, to minimize social impact. 4차 산업혁명시대에 지능정보기술의 발전에 따라 인공지능의 다양한 역할이 주목을 받고있다. 구글의 알파고를 계기로 인공지능은 더 이상 공상의 기술이 아닌 실존하는 기술이라는 점에서 사회전역에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공공부문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한 정책결정의 가능성과 쟁점에 대한 탐색적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목적은 세 가지 측면으로 구분되며, 첫째, 공공부문에서 인공지능이 정책결정까지 이어질 수 있는지에 대한 검토이다. 둘째, 인공지능의 정책결정과정이 기존 정책결정과의 어떠한 차이를 가지는가이다. 셋째, 인공지능이 정책결정에 도입될 경우에 나오게 될 쟁점을 다루었다. 이러한 인공지능에 의한 정책결정이 기존의 정채결정과 구별되는 점은 많은 정보와 대안에 기반한 합리적 의사결정, 투명성 및 신뢰성의 제고, 정책이슈에 대한 객관적인 시각, 신속한 의사결정 등이다. 하지만 인공지능의 정책의사결정시 야기되는 쟁점 역시 존재 한다. 첫째는 인공지능의 우월성, 둘째 윤리성 논란, 셋째 책임성, 넷째 기존 민주주의의 변화, 다섯째 공공부문 인력의 대체 논쟁, 여섯째 인공지능에 필요한 데이터 활용의 문제점 등이다. 공공부문 정책의사결정에서 인공지능의 도입은 향후 실현될 것이기 때문에, 사회적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그에 따른 순기능과 역기능에 대한 융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 KCI등재

        국내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을 위한 정책연구: 국내‧외 플랫폼 정부 사례의 유형화를 중심으로

        서형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3 정보화정책 Vol.30 No.4

        This study aims to conduct the classification of Government as a Platform (GaaP) in a situation where the concept of GaaP can be diversely recognized. This is because inclusiveness and ambiguity in the concept of GaaP can hinder policy enforcement by working-level officials in the public sector. It drew the criteria for classification for GaaP based on literature and cases for GaaP. In the technical aspect, considering data as an overarching factor, the integrated system platform integrating the information system or websites of the public sector and the data platform as a single portal for open data to external stakeholders were sorted. In the governance aspect considering stakeholder as an overarching factor, the communication platform utilized for interac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s and the co-creation platform that encourages public-private partnership to create innovative outcomes were sorted. It suggested an actual implementation case and the policy implication according to each type of GaaP. 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GaaP, it conducted contents analysis as to which type of GaaP the domestic Digital Platform Government belongs to based on its detailed assignment.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GaaP, it drew balanced implementation for various types of GaaP, plan for promoting the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of stakeholders, and necessity of restructuring and reinventing of the public sector as policy implications for the domestic digital platform government.

      • KCI등재

        지역 스마트시티계획의 스마트시티 안전서비스 분석: 토픽모델링 분석을 중심으로

        서형준,명승환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23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26 No.1

        The researchers collected regional smart city plans of 25 local governments, and then drew 152 smart city safety services from regional smart city plans. As a result of text mining, the highest keword of frequency was ‘CCTV’ due to the ability of monitoring and data collecting risky situation. It classifies safety services in smart city into 10 topics; Topic-1(Monitoring service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Topic-2(Smart crosswalk), Topic-3(Smart fire hydrant), Topic-4(Smart streetlight), Topic-5(Location based safety service), Topic-6(Integrated alert service), Topic-7(Fire detection service), Topic-8(Drone based service), Topic-9(Data based analysis system), and Topic(Intelligent CCTV) through topic modeling LDA. The frequency is the high in order of Topic-10, Topic-2, and Topic-1. Additionally, we conducted comparison of topic classification of safety services betwee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provincial area. Topic-2 was relatively higher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an provincial area, and Topic-8 and Topic-10 were relatively higher in provincial area than Seoul metropolitan area.

      • KCI등재

        성인층의 인터넷 과의존 영향요인: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하여

        서형준,신지웅 한국정보화진흥원 2018 정보화정책 Vol.25 No.2

        This study aims to find the factors of Internet overdependence in adults, through the decision tree analysis model, which is a data mining method using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s raw data from the survey on Internet overdependence in 2016. As a result of the decision tree analysis, a total 16 nodes of Internet overdependence risk groups were identified. The main predicated variables were the amount of time spent per smart media usage in weekdays; amount of time spent per smart media usage in weekends; experiences of purchasing cash items; percentage of using smart media for leisure; negative personality; percentage of using smart media for information search and utilization; and awareness on good functions of the Internet, all of which in order had greater impact on the risk groups. Users in the highest risk node spent the smart media for more than 5 minutes per use and less than 5~10 minutes in weekdays, had experiences of cash item purchase, and had lower level of awareness on the good functions of the Internet. The analysis led to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First, even a short-time use has higher chances of causing Internet overdependence, and therefore, guidelines need to be developed based on research on the usage behavior rather than the usage time. Second, self-regulation is required because factors that affect overindulgence in games, such as the cash items, increase Internet overdependence. Third, using the Internet for leisure causes higher risk of overdependence and therefore, other means of leisure should be recommended. 본 연구는 성인층의 인터넷 과의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6 인터넷 과의존실태조사의 원자료를 활용하여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수행하였다. 의사결정나무분석결과 총 16개의 마디를 생성하였으며, 주요 예측변수로는 스마트미디어 주중 1회 이용시간, 스마트미디어 주말 1회 이용시간, 캐시템 이용경험, 3가지 콘텐츠 중 여가의 이용비율, 부정적 성격, 3가지 콘텐츠 중 정보검색 및 활용의 이용비율, 인터넷의 순기능 인식 순으로 목표변수인 인터넷 과의존 위험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위험군 확률을 보인 마디는 주중 1회 이용시간이 5분을 초과하면서 5-10 분 미만 이하로 이용하고, 캐시템 이용경험이 있으며, 인터넷 순기능 인식이 낮은 마디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한 정책제언은 첫째, 단시간 이용만으로도 인터넷 과의존 위험률이 높았기 때문에, 이용시간보다는 이용행태에 대한 연구롤 통해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둘째, 캐시템 이용과 같이 게임 몰입에 영향을 주는 것은 인터넷 과의존도를 증대시키기 때문에 자율규제가 요구된다. 셋째, 3가지 콘텐츠 중에서 인터넷을 여가목적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인터넷 과의존 위험률이 높기 때문에 가능한 인터넷이 주목적이아닌 다른 여가수단의 권장이 요구된다.

      • KCI등재

        공공데이터 개방에 관한 실증연구: ODB와 OUR Index를 중심으로

        서형준 한국정보화진흥원 2017 정보화정책 Vol.24 No.1

        In this study, to reveal determinant factors for degree of open data it conduct empirical analysis for ODB(Open Data Barometer) and OUR Index(Open, Useful, Reusable Government Data Index) that are global open data index among 26 countries.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focus is on ODB. In the Model 1 with independent variables, e-Government, SW Market size and government efficacy ar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for ODB. In the Model 2 with independent variables and moderating variable, e-Government, SW market size and social capital ar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for ODB. In the Model 3 with independent variables, moderating variable and interaction term, e-Government and social capital ar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for ODB. Second focus is on OUR Index. In the Model 1 and the Model 2 e-Government is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for OUR Index. In the Model, e-Government and SW market size × social capital(interaction term) ar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for OUR Index. And in path analysis, only ODB alternative model show Government efficacy with social capital has full mediation effect. In OUR Index alternative model there is no mediation effect with social capital. 본 연구에서는 공공데이터 개방수준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는 것은 물론 사회자본의 조절효과와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총 26개국을 대상으로 공공데이터 개방지수인 ODB와 OUR Index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을 진행하였다. 다중회귀분석결과 종속변수 ODB를 기준으로 할 때 독립변수만을 투입한 모델 1에서는 전자정부, SW시장규모, 정부효과성이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독립변수, 조절변수를 투입한 모델 2에서는 전자정부, SW시장규모, 사회자본이 유의미한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독립변수, 조절변수, 상호작용항이 투입된 모델 3에서는 전자정부, 사회자본이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종속변수 OUR Index를 기준으로 할 때 모델 1, 모델2에서 전자정부만이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독립변수, 조절변수, 상호작용항이 투입된 모델 3에서는 전자정부, SW시장규모×사회자본이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경로분석에서는 종속변수 ODB의 대안모형에 대해서 정부효과성만이 사회자본과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 KCI등재후보

        국내 지역 연구개발투자 효율성 분석: 지역혁신산출지수를 중심으로

        서형준,이형석 (재) 인천연구원 2018 도시연구 Vol.- No.13

        South Korea can utilize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as turning point in recession where it includes low growth, low fertility, and aging. To draw hyperconnectivity and superintelligence in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continuous provision of investm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should be secured. Above all we assumed that examining investment in R&D which cause hyper innovation in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high priority. Especially, because of spread of decentralization, each region gradually has extended its leverage in various policy fields like welfare and economy growth, so we analyzed efficiency of instrument in research and development in 16 domestic regions. We utilized the amount of investment in R&D, research manpower as input variables and also regional innovation output indicators, the number of SCI as output variables. We could find that efficiency of Seoul metropolitan area was less than that of total domestic region. In terms of Returns to Scale(RTS), almost all regions showed DRS(Decreasing Returns to Scale). Lastly, Gwangju, Gangwon and Ulsan are reported as reference sets for benchmark. 4차 산업혁명은 저성장, 저출산, 고령화 등으로 침체기에 있는 한국사회에 있어 새로운 도약의 기회가 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의 특성인 초연결성, 초지능성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과학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가 담보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의 초혁신을 야기하는 과학기술투자 즉 연구개발투자에 대한 면밀한 파악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인식하에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연구개발투자는 신성장이론에 따라 생산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 요소 중 하나로 경제성장의 주요변인이다. 특히 분권화의 지속적인 확대로 각 지자체의 영향력이 증대되어 가는상황에서 본 연구는 16개 지자체에 따른 연구개발투자의 효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개발투자비·연구원 수를 설정하였고, 산출변수는 지자체의 혁신역량을 대변하는 지역혁신산출지수, SCI 편수 효율성 분석을 위해SBM을 활용하였다. 분석기간은 2년의 시차를 적용하여 산출변수는 2009- 2012, 산출변수는 2011-2014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효율성 측면에서 수도권 지역이 국내전체 효율성 수치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규모수익 측면에서는 대부분의 지역이DRS(규모수익체감)상태를 보였으며 연구개발투자 효율성에 있어 광주, 강원, 울산이 본 벤치마킹 대상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에 따른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지역별 적절한 연구개발투자 배분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해야 한다. 둘째,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하다. 셋째, 단기성과를 위한 응용기술이 아닌 장기적인 원천기술 및 도전적인 분야에 대한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Optimization of Soil Nailing Design Considering Three Failure Modes

        서형준,이인모,이석원 대한토목학회 2014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18 No.2

        Soil nailing is a reinforcing method using the shear strength of in-situ ground and the pullout resistance of soil nailing. In thecurrent korean slope design standard, only the pullout failure and the shear failure are considered as the main design factors. However, in the slope of an actual construction site, multi-face excavation is executed rather than full face excavation, and facefailure can therefore occur in each excavation step due to the decrease of confining pressure on the excavation face during the topdownexcav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lude face failure as the main design factor in the slope design. This study verifiestheoretically the mechanical behavior of face failure as well as pullout failure and shear failure. The constrained conditions for eachfailure mode are defined, and the optimization of soil nailing design is proposed on this basis. The design variables considered for thethree failure modes are the bonded length of nail, the number of nails, and the prestress. These three design variables are estimatedfrom the optimization design procedure proposed in this study considering constrained conditions. As the optimization designprocedure of soil nailing proposed in this paper considers not only the pullout and shear failures but also face failure, it could be amore satisfactory design procedure in the actual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