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산폐기물 적치장 침출수의 사후관리 우선순위 평가

        박창구,윤경욱,김정욱,정명채,이진수,지원현,이준학,Park, Chang Koo,Yoon, Kyung Wook,Kim, Jung Wook,Jung, Myung Chae,Lee, Jin Soo,Ji, Won Hyun,Lee, Joon Hak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20 자원환경지질 Vol.53 No.6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광산폐기물 적치장 64개소에서 발생하는 침출수의 사후 관리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계층분석법(AHP)을 활용하여 침출수 수질, 유출량, 기타 영향요소 등의 평가항목들과 총 10가지의 세부 요소를 선정하고 각각의 가중치를 산출하였다. 가중치는 침출수의 수질 0.769, 유출량 0.147, 기타영향요소 0.084로 산출되어 관리를 위한 우선순위 선정 시 수질부문이 설문조사 평가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항목으로 확인되었다.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총 64개 적치장 침출수 평가결과는 관리의 시급성에 따라 I~V 등급으로 구분하였으며, I 등급 10개소, II 등급 1개소, III 등급 1개소, IV 등급 33개소, V 등급 19개소로 평가되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priority list for post-managements of leachates from 64 mine waste dump sites in Korea. For this, leachate quality, leachate quantity, and other factors were considered as evaluation criteria and the weights of 10 subfactors were calculated using Analytic Hierarchical Process (AHP) based on a survey from 20 experts in the field of mining environment. Calculated weights were 0.769, 0.147 and 0.084 for leachate quality, leachate quantity, and others,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experts consider leachate quality as most important. Based on this approach, we classified the 64 mine waste dump sites into five grades from Grade I to Grade V. Ten were classified as Grade I, 1 as Grade II, 1 as Grade III, 33 as Grade IV, and 19 as Grade V.

      • KCI우수등재

        국내 광산폐기물 적치장 침출수 발생 현황 및 중금속 오염도 평가

        박창구,김정욱,정명채,현성,김동관,오연수 한국자원공학회 2018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5 No.6

        This study has focused on evalu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seepage from 23 mine waste dumping sites in Korea. Seepage samples from the sites were taken and analyzed for heavy metals. The maximum levels (mg/L) in the samples were Al 53.98, As 16.19, Cd 1.15 Cu 37.30, Fe 28.64, Mn 39.00, Ni 0.097, Pb 0.750, and Zn 80.18. Among the sites, six mines were selected as continuous monitoring sites. As results of three months' monitoring of the sites, over the water guidelines for As, Cd, Cu, Fe, Mn, Zn and Al in seepage samples were found at two abandoned Au-Ag mines, Cd, Mn, Zn and Al at two Pb-Zn mines, and As, Fe and Mn at two other Fe-W mines. Therefore, those six mines need continuous monitoring on contamination assessment of seepage due to mining activities. 이 연구에서는 국내에 분포하는 광산폐기물(광물찌꺼기, 폐(광)석) 적치장의 침출수 유출 현황을 조사하고 중금속 오염도를 평가하였다. 현장답사 시 채취한 23개소의 적치장 침출수 미량원소 분석결과 원소별 최대함량 (mg/L)은 Al 53.98, As 16.19, Cd 1.15 Cu 37.30, Fe 28.64, Mn 39.00, Ni 0.097, Pb 0.750으로 검출되었다. 모니터링 대상 적치장 6개소의 침출수를 3개월간 분석한 결과, 주요 개발광종에 따라 2개소의 금-은광산에서는 As, Cd, Cu, Fe, Mn, Zn 및 Al, 2개소의 연-아연광산에서는 Cd, Mn, Zn 및 Al, 2개소의 기타광종(중석, 철) 개발광산에서는 As, Fe, Mn이 지속적으로 수질환경기준을 초과하는 높은 함량이 유출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이들 6개 광산폐기물 적치 장에서 배출되는 침출수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 KCI등재

        석면제거장치를 활용한 토양 현장정화의 효율성 평가

        박창구,정명채,김정욱,권요셉,이진수,관인 한국자원공학회 2013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0 No.6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removal equipments of fibrous materials including friable asbestos in soils. Asbestos removal equipment, was invented using artifical friability and its optimun working conditions were examined. Then, the suggested working conditions such as 200 rpm of rotation for brush, 3 m/s of inhale velocity and 0.1 m/s of moving equipment velocity were applied in the field.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various places including playground of elementary school, orchard and farmland and then analyzed with 20 retuning times in order to measure asbestos concentration before and after remediation. The collected asbestos from the soils by the developed equipment were 18.414 f/cc, 12.668 f/cc and 104.310 f/cc for playground, orchard and farmland respectively. Asbestos contents in soils were decreased from 1% to 0.5% with 50% removal effectiveness before and after soil remediation using the developed equipment. Additional facilities reducing soil water contents and disturbing the contaminated soil are suggested to improve the asbestos removal efficiency of the developed equipment. 본 연구는 국내에 적용 가능한 토양 중 섬유상 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를 개발하여,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인위적으로 토양 중 비산성 석면을 포집하는 석면정화장치를 개발하였으며, 최적구동인자를 확인하고 지목별 정화효율을 평가하였다. 최적 구동인자 브러시 200 rpm, 교란 및 흡입풍속 3 m/s, 이동속도 0.1 m/s, 정화반복횟수 20회를 적용하여 학교, 과수원, 전(밭) 등 다양한 지목에서 정화 전, 후 토양 및 포집된 대기시료를 분석하였다. 학교의 경우, 18.414 f/cc, 과수원 6.618 f/cc, 전(밭) 53.187 f/cc의 섬유상 물질을 포집하였으며, 토양분석결과 최대 정화 전 1%의 오염토양을 0.5%로 감소시키며 약 50%의 정화 효율을 보였다. 단 토양 교란 및 함수율 저감 장치를 추가 보완하여, 향후 정화장치를 개발하면 다양한 석면오염 토양개량복원 사업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비산성을 활용한 토양 중 석면 제거장치 개발 및 현장적용성 평가

        박창구,정명채,김정욱,이진수,관인 한국자원공학회 2012 한국자원공학회지 Vol.49 No.6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asbestos removal equipment using friability of soils, and to evaluate its in-situ application. Removal equipment for friable asbestos in soils using wind blowing system was invented and two representative sites with over 1% and less 1% of asbestos in soils were examined for field application. The total removal amount of air asbestos scattered from high level of asbestos in soil was 117.9 f/cc at 30 times trials and 50% of the friable asbestos was removed at 6 times. Eventually, asbestos level in the soil was decreased up to 1%. In addition to low concentration of asbestos in soil, the total removal amount of air asbestos scattered from soil was 24.4 f/cc at 30 times and 50% of the friable asbestos was removed at 8 times. Consequently 50% of friable asbestos in soils can be removed by 5~10 times trials using the equipment with 0.5m/s at 10m2 contaminated site. Because the maximum removal amount of asbestos in fibrous particles was 0.4 f/cc, a scale-up for the equipment is needed to enhance the removal ability of friable asbestos in soils.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 적용 가능한 토양 중 섬유상 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를 개발하여,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인위적으로 토양 중 석면을 비산하여 포집하는 석면정화장치를 개발하였으며, 토양 중 석면의 함유량 1% 이상과 1% 이하의 오염토양을 대상으로 현장 적용성을 시험하였다. 고농도(1% 이상)토양을 비산시켜 대기시료를 포집ㆍ분석한 결과, 총 30회 정화를 수행하였을 경우 117.9 f/cc의 섬유상물질을 제거하였으며, 6회 수행한 경우 50% 정도의 섬유상 물질이 포집되었다. 그 결과 토양시료의 정화 전과 후의 함유량은 최대 1.00%까지 저감되었다. 한편, 저농도(1% 이하) 토양의 대기시료 분석 결과, 총 30회 정화 시 24.4 f/cc의 섬유상 물질이 제거되었으며, 고농도 토양과 유사하게 8회에서 50%를 초과하는 포집 함유량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10 m2의 오염부지인 경우 이동속도를 0.5 m/s로 5~10회 운영하면 50% 이상을 제거할 수 있었다. 다만 농도에 관계없이 30회 수행했을 경우 최대 처리 용량이 0.4 f/cc로 측정되어 용량 증대를 위하여 규격을 확대한다면 넓은 지역에 대한 석면오염토양 복원사업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석면 비산 장비를 이용한 폐석면광산 주변 토양 중 석면 비산 평가

        김정욱,박창구,권요셉,정명채 한국자원공학회 2014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1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releasable asbestos sampler for measuring releasable asbestos from soil to air controlled by wind velocity, water contents and volumes of air sampling. Asbestos contaminated soils at the Kwangcheon mine were sampled, air-dried and homogenized during 24 hours' agitation. As a result of analysis, 0.25% of asbestos and enriched Ni and Cr were detected. Various wind velocities were applied to evaluate releasable characteristics. In addition, soils with various water contents and volumes of air sampling were also examined. By releasable test, friable asbestos contents were increased with wind velocit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water contents. As increasing the wind velocity from 1 m/s to 5 m/s, friable asbestos contents in air samples was increased up to 25 times. This study also found that over 15% of water contents in soils can be limited in friability of asbestos in soils. 이 연구에서는 석면 위해성 평가를 위한 활동근거시료채취방법의 대안으로 석면 비산성 평가 장비를 이용하여 풍속, 토양 함수율 및 시료채취 흡입양에 따른 토양으로부터 공기 중으로 비산되는 석면의 양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비산성 실험은 광천광산 주변 농경지 토양을 대상으로 비균질 토양(원시료)과 24시간 동안 균질화 작업을 수행한 균질 토양으로 구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비균질 토양의 경우, 다양한 풍속(1∼5 m/s)을 적용하였고, 균질 토양은 풍속을 3 m/s로 설정한 후 다양한 함수율과 흡입유량(400 L, 800 L 및 1,200 L, 누적)을 적용하였다. 토양 중 석면 함유량 분석결과 0.25%로 확인되었고, 중금속은 Ni과 Cr의 함량이 높게 평가되었다. 비산성 실험결과, 풍속이 증가하고 함수율이 감소할수록 비산되는 석면의 양이 증가하였다. 특히, 풍속이 1 m/s 에서 5 m/s로 증가함에 따라 공기 중 석면 농도는 약 25배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토양 함수율이 약 15% 이상에서 석면 비산이 제한적인 것으로 평가되었고 흡입유량이 증가할수록 공기 중 석면 농도는 감소하는 특징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