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호모사케르로서 학생과 경쟁교육정책

        목영해 ( Young Hai Mok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0 교육철학연구 Vol.50 No.-

        호모사케르론은 아감벤에 의하여 주장된 이론으로서, 호모사케르는 살해해도 죄가 되지 않고, 종교적 희생의 대상도 될 수 없는 존재, 다시 말해 특정 조직에 포함되어 있으되 실제적으로는 배제된 존재를 말한다. 권력자는 가지고 있는 호모사케르의 지명권을 자의적으로 행사함으로써 통치권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호모사케르론에 의하면 한국사회에서 성적하위권 학생은 수업에 참여해 있으되 수업에서 배제된 존재이고, 교사가 가르치기를 포기해도 죄가 되지 않고, 교육체제에 대한 그 어떤 저항도 비웃음의 대상이 되는 존재로서 교육 호모사케르이다. 우리나라에서 성적 하위권 학생이 호모사케르가 되는 것은 통치권 강화라는 비교육적 목적을 가진 경쟁교육정책과 심한 학벌사회화 때문이다.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a low academic achievement student with a theory of ``homo sacar``. The theory of ``homo sacar is suggested by Agamben, a contemporary political philosopher and the theory is estimated as theoretically appropriate background for deep analysis on the social handicapped. Homo sacar is people which prohibited from being sacrificed but could be killed with impunity. In other words, the homo sacar is people which are fallen into ``inclusion excluded`` And the homo sacar feels serious shame. Jews in Nazi Germany and Muslims in the Guantanamo is an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homo sacar, Homeless people after IMF, foreign workers, temporary workers are the homosacares in contempary Korean society. In a case that a governor have a right to name a homo sacar and arbitrarily exercises the right, he is about to gain absolutely power. In Korea, low academic achievement students are named as ``loser``. They are excluded from a teaching at classroom, so to say, they are fallen into inclusion excluded, and they feel shame``. Low academic achievement Korean students have the ``inclusion excluded`` and the ``shame`` that are features for the homosacar, So low academic achievement students are sure to be the homosacar in Korea society All of low academic achievement students dose not alway become the homosacar. It is possible that they become to student which be cared. But deeply academical cliquism of Korea society and Lee Myoung Park government`s ``academic competition oriented education policies`` make low academic achievement Korean students be the homosacar. Society that have lots of the homosacar is not healthy community, and finally will be backward. So, we had better to revise or take away the academical cliquism and academic competition oriented education policies.

      • KCI등재

        라캉의 욕망론에 의거한 교육열 분석

        목영해 ( Young Hai Mok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5 교육철학연구 Vol.37 No.1

        이 논문은 ‘교육열’에 대한 본질적 차원의 연구가 필요하다는 전제 아래, 교육열을 라캉의 욕망론에 입각하여 분석한 글이다. 라캉에 의하면, 거세는 아이로 하여금 엄마의 상상적 남근이기를 포기하는 일이자, 기존의 사회문화체계 특히 언어체계를 수용하게 함을 의미한다. 상상계에서 벗어나 상징계에 입문하는 것이다. 이 거세의 결과로 언어로 이루어진 무의식과 분열된 주체가 생성된다. 분열된 주체들은 남근을 매개로 한, 엄마와의 향락적 관계의 회복을 열망한다. 하지만, 무의식적 주체는 이 열망을 감히 기표화할 수 없기 때문에, 무의식 속에 등록되어 있는 기표들 중에서 이 열망을 대체할 내용의 것을 내어 놓는 바, 이 기표가 곧 욕망이다. 교육열은 ‘엄마와의 향락’ 이라는 열망을 대체하여 드러난 기표이다. ‘엄마와의 향락’에 대한 열망을 대체하여“공부 잘 하고 싶다”, “공부 잘 하는 자식을 갖고 싶다”라는 식으로 드러낸 기표가 교육열인 것이다. 욕망으로서의 교육열이라는 맥락에서 보면, 교육열이라는 욕망의 원인이자 대상으로서 대상a는 명문대학이고, 학벌은 대상a가 속해 있는 실재계의 본질에 해당한다. This paper aimed to analyze the essence of the educational enthusiasm in Korean society. In Lacan, the desire is reminders which subtracts needs from demands. The original demand refers that a unconscious subject wishes to recover jouissanceic interrelationship with his/her mother. However the unconscious subject dose not dare to make signifiers for his/her wish, so the subject try to find signifiers as a substitute in the unconscious world. In Lacan, the signifiers as a substitute are desires. And because the object of the desire is void, the desire is never satisfied. So the desire holds feature of metonymy which move continuously from one signifier to another signifier. The educational enthusiasm is one of the substitutes for the original demand of the unconscious subject. So it is sure that the educational enthusiasm is the desire. Nevertheless the desires have to move on, the educational enthusiasm as the desire in Korea society have been stuck. So endeavors for the desire metonymy is needed.

      • KCI등재후보

        라캉의 정신분석이론과 불교 유식론의 비교연구

        목영해(Mok, Young-Hai)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학논총 Vol.44 No.-

        이 연구는 라캉의 정신분석이론과 불교 유식론을 그 공통점을 중심으로 비교하는 하는 내용의 것이다. 첫째, 라캉의 ‘무의식’ 개념과 유식론의 ‘아뢰야식’ 개념을 비교 연구한 결과에 의하면, 인간의 무의식은 기표의 더미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에서 두 개념은 맥락을 같이한다. 둘째, 라캉의 ‘세 계론’과 유식론의 ‘삼성설’을 비교 연구한 결과에 의하면, 인간의 정신세계는 인식주체와 객체가 둘이면서도 하나인 이미지 중심의 세계, 기표활동 중심의 세계, 순수한 충만한 세계라는 세 세계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에서 두 이론은 맥락을 같이한다. 셋째, 라캉의 ‘욕망’ 개념과 유식론의 ‘애’ 개념을 비교 연구한 결과에 의하면, 인간 욕망은 기표화의 산물이고, 그 욕망생성의 근거는 비어있음 즉 공에 있다는 점에서 두 개념은 맥락을 같이한다. 넷째, 라캉의 ‘주체’ 개념과 유식론의 ‘말라식’ 개념을 비교 연구한 결과에 의하면, 인간이 갖는 자아의식은 이미지적 자아가 기표화된 자아의식이고, 이러한 자아의식은 극복될 필요가 있는 부정적인 자아의식이라는 점에서 두 개념은 맥락을 같이한다. The concept of the unconsciousness in Lacan’s theory and the concept of the ālaya-vijñāna(阿賴耶識) in Yogācāra theory are in common in terms of that human unconsciousness consists with group of signified. ‘The three Order’ in Lacan and ‘the three View theory(三性說)’ in the Yogācāra have a same logical structure. ‘Desire’ in Lacan and ‘desire(愛)’ in Yogācāra share together same points which desires of human are based on the ‘void(空)’, and derive from symbolizing of wishes. And ‘subject’ in Lacan corresponds with Manas(末那識)’ in Yogācāra in a context that a self-identity comes from switching a imaginative self to a signified self, and the identity is one within language.

      • KCI등재

        프레이리와 랑시에르의 해방교육론 비교

        목영해 ( Young Hai Mok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2 교육철학연구 Vol.34 No.4

        본 연구는 프레이리와 랑시에르의 해방교육론을 비교 분석한 연구로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교육론은 교육활동은 가치중립적일 수 없다, 설명식 교육은 인간의 본질적 특성을 거스르는 교육 방식으로서, 학생을 정신적 피지배자로 만드는 결과를 초래함과 동시에 왜곡된 사회의 형성 및 유지의 수단이 되는 교육방식이다, 해방은 계급이 아닌 개개인의 인간 본질 회복 차원의 일이며, 따라서 해방은 물리적 힘이 아닌 교육의 힘을 통하여 이루어야 한다, 해방교육의 구체적 전개양식을 효과가 검증된 실제적 교육활동에서 추출하였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이에 비해 ‘문제제기식 교육’이라 불리는 프레이리의 해방교육의 전개양식은 학생이 일상적으로 접하는 문제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대화를 중심으로 전개되는데 비하여, ``무지한 교사에 의한 교육``이라 할 수 있는 랑시에르의 해방교육은 학생과 교재의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프레이리 교육에서의 교사와 학생은 그 경계가 사라지고, 공동연구자가 되기도 하지만, 랑시에르 교육에서 교사와 학생의 지위는 명확하게 나누어지며 교사의 권위는 유지된다, 프레이리 교육은 억압이 없는 사회의 실현을 위한 사회변혁에 비중을 두는 반면, 랑시에르 교육은 개인의 지적 자유의 확대에 비중을 둔다는 점에서 두 교육론은 차이가 난다. A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comparatively analysis Freire`s emancipation education theory and Ranciere`s one.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1. the common views which two theories share First, Educational activities are value laden because they are involved with political activities. Second, Teacher`s explanation centered teaching, named ``banking concept of education`` or ``making fool education`` is a bad teaching which is against human nature, and makes student a fool and the oppressed. It cause community to irrational and unequal one. Third, emancipation is not a work on social class but a job on recovering the human nature, so the emancipation have to be done by education. Forth, the practical strategies of emancipation education that two emancipation education theorists suggest were based on the educational experiences and the educational achievements 2. the different views that two theories have, and what the differences came from are as follows. First, Freire`s emancipation education, called ``problem posing education``, focuses on the dialogue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on the ordinary living with that the students daily face, whereas Ranci?re`s emancipation education, called ignorant teacher`s education, focused a on interaction student and their text books. Second, In Freire`s emancipation education, the separa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 come to vanishes, and teacher and student become co-worker, whereas in Ranci?re`s emancipation education, separa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 is sticked, authority of teacher is kept on. Third, Freire`s education give weight to make the society without oppression, whereas Ranciere`s education give weight to expend personal intellectual freedom. Forth, The differences between Freire`s education and Ranci?re`one come from differences of time and place that two scholars live in and experience, and differences of academic atmosphere that they were exposed.

      • KCI등재

        라캉학파의 무의식 지식론과 그 교육적 적용

        목영해 ( Mok Young Hai ) 한국교육철학회 2016 교육철학 Vol.6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to a possibility of unconscious knowledge, a relationship of the unconscious knowledge and the conscious knowledge,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unconscious knowledge. Almost of teachers and educational researchers think that the unconsciousness is filled with instincts, drives, and trauma, so the unconsciousness should be under discipline. prohibition. But Lacan, French psychoanalyst, argues that the unconsciousness is a kind of language. Let me explain, there are two kind of signifiants, the natural signifiant and the libido laden one. and the natural one is placed within the consciousness, the libido laden one is placed within unconsciousness. So we can tell the unconsciousness consists of the libido laden significants. In according to the Lacan School, the natural signifiants are developed into the consciousness knowledge, the libido laden significants in the unconsciousness are developed into the unconscious knowledge, and the unconscious knowledge is base for the conscious knowledge, in other words, the conscious knowledges is not a being without the unconscious knowledges. In terms of the unconscious knowledge for the conscious one, teachers and educational researchers must take new attitude about the unconsciousness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Educational researchers try to make educational strategies to activate unconscious knowledges, and teachers try to take the unconscious knowledges into consideration when they teach students textbooks.

      • KCI등재

        들뢰즈의 유목주의와 그 교육적 함의

        목영해 ( Young Hai Mok ) 교육철학회 2010 교육철학연구 Vol.48 No.-

        들뢰즈는 긍정적인 욕망관에 기반을 둔 유목주의를 주장한다. 들뢰즈에 의하면 욕망은 접속된 항목들의 배치 속에서 생성되는데, 인간은 살아감에 있어서 기존의 배치를 해체하고 새로운 배치를 형성하는 일을 끊임없이 반복한다. 살아가는 일이란 끊임없이 새로운 욕망을 생성하는 과정인 것이다. 들뢰즈에 의하면 욕망을 생성하는 배치가 안정되고 고착된 상태가 영토화이며, 국가는 영토화가 가장 강건하게 이루어진 사회체제이다. 따라서 사람들은 유동적이고 창의적인 욕망에 바탕을 둔 바람직한 삶을 살아가기 위해서 탈영토화를 시도하는 유목민이 되어야 한다. 들뢰즈 유목주의에 의하면 교육을 통하여 길러내야 할 인간상으로는 `유목민`이 적절하고, 교육과정은 리좀 체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교육방법은 `~되기`가 적절하다.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educational implications of a Deleuze`s nomadism. In these days, Dleuze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scholar, and his nomadism is a favorite topic of study. `Desire` is a key concept of Deleuze`s thought. In the Deleuze`s nomadism, the desires comes from/with a procedure of `becoming machine` and are products of assemblages of connected items. So the connections and the assemblages have various and rhizome structures, the desires also are in the variable and rhizome structure. In Deleuze, Since a nation want to control people`s life through a standardization and a fixation of the assemblages, person that want to live a good life have to become a nomadic people which resist control of the nation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Deleuze`s nomadism are as follows: First, Existing school system have a purposes to fix the assemblages that connected with desire. Therefore the existing schooling is not appropriate to desirable life. Second, The Deleuze`s nomadism is a guideline and a background of the minor philosophy of education. Third, A reasonal person, a moral person, a citizen, people of the nation, a technologist should be ruled out from the educated person. In the contrary, a nomadic people, a war machine, a abstract machine and a body without organs should become the educated person. Forth, Curriculum on the tree type makes student a dependable and conventional person, but curriculum on the rhizome type makes student a independable and creative person. Therefore the curriculum should be constituted not in the tree type but in the rhizome type. Fifth, `Being to minor and strange one` such as `being-wolf`, `being-child`, `being-sound` is a desirable and creative teaching method to make a independable and creative student. Sixth, assemblage of the Korean schooling make students take the desire of competition and be a competition machine.

      • KCI등재

        라캉의 정신분석학에 의거한 우리 교육열의 범주화

        목영해(Mok, Young-Hai)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논총 Vol.39 No.-

        이 글은 라캉 정신분석학의 병리현상 범주에 의거하여 병적 상태에 있는 우리 교육열을 범주화 하는 연구이다. 라캉에 의하면 정신불건강은 정신병, 신경증, 도착증으로 나눌 수 있고, 신경증은 다시 강박증과 히스테리로 나누어진다. 정신병은 박탈과 거세 모두를 실패함에서 오는 정신불건강 증상이고, 신경증은 박탈과 거세가 과도하게 이루어짐에서 오는 정신불건강 상태로서, 신경증의 하위 증상인 강박증은 무의식 주체가 타자의 욕망을 무시하는 데에서, 그리고 히스테리는 주체가 타자의 욕망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데에서 오는 증상이다. 도착증은 박탈은 이루어졌지만 거세는 실패하는 데에서 오는 정신불건강 증상이다. 이와 같은 정신불건강 범주에 의거하여 병적 상태에 있는 우리 교육열을 범주화 하면, 강박증적 교육열, 히스테리적 교육열, 도착증적 교육열로 나눌 수 있다. This paper aimed to classify the educational enthusiasm in Korean society on basis of Lacan’s psycho-symptoms category. In Lacan, psycho symptoms are categorized into ‘the psychosis’ which stems from the foreclosure, ‘neurosis’ which stems from the depression, ‘perversion’ which comes from the disavowal. Under the Lacan’s symptom categories, we are able to classify the educational enthusiasm in Korean society into the obsessively educational enthusiasm symptom, the hysterically educational enthusiasm symptom, and perversely educational enthusiasm symptom. We could counsel the parent with the obsessively educational enthusiasm to carefully listen and accept the desires of their child, advise the parent with the hysterically educational enthusiasm to carefully listen and accept the educational desires of their own, and recommend the parent with the perversely educational enthusiasm to seriously face educational reality.

      • KCI등재

        단군신화에 나타난 한국인의 교육원형

        목영해(Young Hai Mok)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4 敎育思想硏究 Vol.14 No.-

        국조신화인 단군신화, 그 중에도 특히 웅녀의 탄생과정 부분을 교육적 안목에서 분석하면 다음과 같은 교육원형을 추출할 수 있다. 첫째, 교육의 본질은 인간됨의 과정이다. 둘째, 교육은 학습자 중심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은 동물적인 본능이나 충동을 제거 통제하는 내용, 도덕과 문화에 관련한 내용, 분별심을 갖지 않게 하는 내용 등 인성교육에 관련한 것이 중심을 이루어야 한다. 넷째, 교육적 인간상은 협동적으로 생산하는 인간이다. 위의 교육적 원형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현재 우리 교육은 교육원형에서 매우 벗어나 있으며 이런 이유로 심각한 병리현상에 빠져 있다. A mythology is involved with universal thought form that named as archetype by Jung. The archetype creates images or visions that correspond in normal walking life. A originate of archetype is a permanent deposit in the mind of an experience that has been constantly repeated for many generations. Ignoring seriously and continuously the archetype, a person and society get fallen the symptoms of the abnormal.. The Dangun mythology has the Korean educational archetypes, we are able to extract educational archetypes from the Ungney(熊女)Story in the Dangun mythology. In the educational view, the Ungney Story that a bear is switched into human being on guide of Hwannung(桓雄) as a king and a god is a educational discourse. The educational archetypes on the Ungney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 is a cultivating process the human animal to the human being. Second, education is the learner-centered activities, the most important element for a successful education is readiness on emotional domain of learner. Third, role of teacher is guidance and helping to learners activities. Fourth, curriculum is consisted with what eliminate wildness out and cultivate the human nature on. Recently, the educational activities in the Korea Society have been ignoring the Korean archetypes, and so the Korean education has a serious symptoms and falls into big and deep difficult.

      • KCI등재후보

        ‘격물-치지-성의-정심’의 재해석과 그 교육학적 함의

        목영해(Mok, Young Hai)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7 敎育思想硏究 Vol.21 No.3

        ‘수신의 연계망’이라 부를 수 있는 ‘격물-치지-성의-정심’의 관계를 해석하는 성리학의 전통적 견해는 완결 순차적인 것이었다. 하지만 수신 연계망의 완결 순차형 해석은 ‘수신의 반복 진술’이라는 문제점을 가져온다. 팔조목에 대한 주희의 진술을 분석하여 보면, 수신의 연계망은 완결 순차적 관계가 아닌, 누진적 관계를 가진다. 누진적 관계에서는 수신의 반복 진술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격물단계에서 사물 사건을 접한 후, 치지 단계에서 사물 사건의 리를 인지하고, 성의의 단계에서 사람의 리를 인지 한 후, 정심 단계에서 전체 리의 네트윅을 알게 된 그 다음에 수신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누진적 관계로서 수신의 연계망을 해석할 때, 도덕교육에서 지식은 중요하다. 도덕적 실천은 도덕적 지식이 포함된 전체 지식의 기반 위에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efinition to the Four Categories of the 'Ta-hsueh(大學). There is recently lots of educational study on the Four Categories, because the Four Categories are practical principles of the neo-Confucianism education. The old definitions of the Four Categories are as follows: First half of the four categories, 'Ke wu chih chih(格物-致知)' is a theory for a knowing. The investigation of things is a performance of reaching and study on a matter, and the extension of knowledge is one of the recognizing on the Li of the matter. Second half of the Four Categories, 'Ch'eng ui cheng hsin(誠意-正心)' is a theory for a doing. The Ch'eng ui cheng hsin is only an earnest performance of the Li. But the old definitions have big problem such as a double description in the Eight Categories (八條目) of the Ta-hsueh . The new definitions of the Four Categories are as follows: The Ch'eng ui cheng hsin have not a no relation with a research into the Li, but have a relation. The Ch'eng ui is a performance that based upon the results of the Ke wu chih chih, and is a research into the Li of human. And the cheng hsin is a accomplishment of the Great Knowing(豁然貫通). The Ch'eng ui cheng hsin is a knowing centered 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