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잡지 『학생계』 소재 시 작품 연구

        노춘기(Noh, Choon-ki) 한국시학회 2013 한국시학연구 Vol.- No.38

        이 논문은 1920년 7월부터 1922년 11월까지 총 18호를 발간한 학생대상 종합지 『학생계』에 수록된 시작품과 문학론을 중심으로 문단과 문학대중이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하던 1920년대 초의 지도적 시인 그룹과 독자 사이의 상호 소통의 구조와 형태를 살피려는 기획이다. 잡지 『학생계』는 1920년대 초반이라는 우리 근대문학의 중요한 길목에서 당대의 문단을 주도하고 있는 동인지 출신의 엘리트 문인 그룹이 당대의 적극적 독자층과 소통하면서 예비문인을 길러내는 공간이었다. 이는 근대계몽기부터 각종 매체에서 이루어진 독자투고란과는 구별되는 두 그룹의 적극적 소통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학생계』는 신문학으로서의 근대문학을 개진하면서 『소년』류의 계몽적 시가와 분명한 선을 긋고 있던 동인지 그룹이 자신들이 서구와 일본의 근대문학으로부터 흡수한 문화적 미적 태도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전대의 독자투고란과는 구별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시작되는 공간이었다. 김억, 노자영, 황석우 등 동인지 그룹의 시인들은 이 매체를 통하여 김소월, 김동환 등의 당대의 재능 있는 예비문인들을 불러 모으고 그들을 매체 내에서 직접 교육하였다. 그리고 이 모든 과정이 일종의 모델 역할을 함으로써 『학생계』의 독자들인 청년/학생들에게 근대시의 새로운 가치를 적극적으로 개진하고 있었다. 그 과정은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차원의 일방적이고 평탄한 계몽과는 다른 측면에서의 긴장을 내포하는 것이었으며, 근대지의 당위성이라는 배경을 수용하면서도 최소한의 미학적 규범을 결코 포기하지 않음으로써 이들은 전대의 선배 문인들과 자신들을 구별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The object of this article is analysing the structure and aspect of communication between leading poets and readers in the magazine 『HakSaengGye』 published in 1920’s. The magazine was the field of communication and incubating between the elite group of modern korean poetry and the readers as potential writer in the 1920’s as the period of important turning point of modern literature of Korea. The correspondence column of the magazine was the discriminative space reflected the aesthetic attitude of modern literature from Japan and the western culture. Kim Euk, Noh JaYoung and Hwang SeokWoo as the leading poet of 1920’s directed talented students including Kim SoWol and Kim DongHwan by commentary of literary contest in the correspondence. All this process created modeling effect and the magazine became a kind of guidebook of modern literature and poetry. The process involved a tension different to that of normal enlightenment of 1910’s. The leading writers of the magazine did not abandon the aesthetic principles of modern literature and they distinguished themselves from their seniors of 1910’s.

      • KCI등재

        근대시 형성기의 창작주체와 장르의식 -1910년대 ≪학지광(學之光)≫ 지의 시작품을 중심으로-

        노춘기 ( Choon Ki Noh ) 민족어문학회 2006 어문논집 Vol.- No.54

        1910년대는 우리 근대시의 출발점이 되는 시기이다. `신체시`에서 `자유시`로 이어지는 근대시 형성과정의 직선적인 서술방식에 의해 가장 많은 여백이 남게 되는 공간이며, 곧 그 서술방식의 새로운 방향에 대해 가장 강력하게 문제를 제기하는 영역이다. 이 논문의 대상은 조선유학생학우회의 기관지였던 ≪학지광≫이다. 1910년대의 지성사적 지형도와 함께, 근대시가 형성되는 과정에서의 미학주의의 존재방식을 파악할 수 있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학지광≫은 이 시기 The object of this article is "Hag Ji Kwang (The light of learning)" which is an organ of `Society of Korean Students in Japan`. "Hag Ji Kwang" is a noticeable research material for 1910`s Korean modern poetry. In this all-round journal, many proses and a

      • KCI등재

        이호우 시조의 세계인식과 탈정치의 정치성

        노춘기(Noh, Choon-Ki) 우리문학회 2019 우리文學硏究 Vol.0 No.64

        이호우의 시조는 전통적 규범과 현대적 리얼리티의 갈등을 종합하여 새로운 시형식뿐만 아니라 그에 부합하는 가열한 시정신을 보여주었다. 이 논문은 그 시정신의 요체가 정치성과 탈정치성을 통합하는 그 견인정신에 있다고 보고 그 실체를 해명하고자 하였다. 1950년대와 1960년대를 비교하여 살피되, 이호우의 작품 세계에 일관되는 한 흐름으로써 정치적 정체성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이호우의 현실 인식은 해방 직후부터 강하게 드러나며, 특히 1950년대 이호우의 작품에는 동족상잔의 비극이나 독재에 항거하는 비판의 정신이 매우 강하게 드러나고 있었다. 필화를 초래했던 「바람벌」에서는 국토가 분단된 시대에 ‘온전한 조국’의 꿈을 지키는 자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내포되어 있었다. 1960년대에도 그의 역사와 현실에 대한 열렬한 관심은 그 강렬도를 잃지 않았다. 월남전에 참전한지 사흘만에 전사한 병사의 목숨이 3달러에 매도되고 있음을 비판한 「삼불야(三弗也)」등의 작품들이 오히려 비판적 정신의 범위를 확대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그 언어적 형식이나 진술의 방식이라는 변화는 있었으나, 해방 직후부터 1960년대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비판적인 현실인식을 시적으로 형상화하는 데에 적극적이었음이 확인되었다. 이호우의 중기 이후 대표작인 「개화」는 언제나 현실에 대한 민감한 긴장을 포기하지 않았던 이호우라는 시적 정신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 「기(旗)빨」과 같은 현실비판적 작품의 시적 맥락을 원용하여 읽을 수 있다. 요컨대 「개화」에서 묘사된 새로운 세계를 향한 간절한 기다림은 이 무렵 그토록 뜨거웠던 정치적 신념과 이상의 상징적 형상화로 해석될 필요가 있다. 즉 정치적 신념을 배제시킨 것이 아니라 그 정신을 가장 순도 높은 형태로 벼린 형상을 통하여 오히려 더 강렬하게 제시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그간 비정치적 혹은 탈정치적 텍스트로 파악되었던 이호우의 「개화」 계열의 작품들을 정치철학이나 역사철학이 첨예하게 상징화한 텍스트로 바라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호우의 시의식과 언어가 결합하는 방식을 더 입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Lee Ho-woo was a poet responsible for the succession and innovation of modern times via his sharp intuition. Through the intensity of real-life awareness, he contributed to expanding the status and realm of modern Sijo. At the same time, he was a practical intellectual who harshly criticized the contradictions of postwar Korean society. Lee Ho-woo"s work refused to converge on the traditional aesthetics limited to natural descriptions and universal sentiments and showed that he could deliver the most modern message through the most traditional forms. In particular, it is worth nothing that Lee Ho-woo took a step forward in the realm of modern Sijo through his unique strong sense of reality and fundamental questions. Combining the conflicts of traditional norms and modern reality, he presented not only a new style of poetry but also an enthusiastic self-correcting spirit to match. I considered his aesthetic feature to be in the spirit of unity between politics and decency and sought to explain its substance. Through this, I wanted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that would allow us to understand Lee Ho-woo"s work in a consistent way beyond change and division.

      • KCI등재

        근대계몽기 유학생집단의 시가 장르와 표기체계에 관한 인식 연구 -『태극학보』를 중심으로

        노춘기 ( Choon Ki Noh ) 한민족문화학회 2012 한민족문화연구 Vol.40 No.-

        이 논문에서는 과도기적 위치에 놓여있었던 태극학보 필진들 즉 청년유학생집단이 당대의 시가장르와 표기체계에 대하여 어떤 관점을 갖고 있는지를 학보에 수록된 시가 작품들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이들이 선택한 시가장르는 한시, 개화가사, 창가가사 등 당대의 신문과 잡지에서 유행하던 시가의 형식들과 크게 다르지 않았으나 한시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다는 점, 한시형 국문시가의 발표 등의 사실에서 볼 수 있듯이 한시라는 시가양식에 대한 신뢰가 상대적으로 높았다는 점이 두드러졌다. 이러한 모순은 산문의 형식과 시가의 형식이 별개의 영역으로 간주되고 있었던 데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사적인 정서의 표현이 가장 두드러지는 장르는 한시였으며 이는 정서적 표현이라는 시가 본연의 목적을 수행하는 데에 가장 적합한 형식이 한시라고 받아들여지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국문시가들에서 드러나는 발화의 양상의 측면에서, 이들은 시적 대상과 주체의 거리를 기준으로 한문과 국한문, 순국문의 선택하였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순국 문을 채택할 때에 독자로 상정되는 국내의 일반대중은 유학생집단과는 정서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대상이었으며, 반대로 순 한문에 한문의 통사구조를 따르는 한시를 창작할 때에 상정되는 독자는 유학생들 자신들로 제한되는 것을 전제하고 있었다. 본론에서 검토한 작품들에서 동료들 간의 대화 즉, 청자가 동료 유학생 집단으로 상정될 때에는 자신들의 불안과 혼돈을 노출하였다. 그러나 청자가 동료 집단을 넘어서 국민 혹은 민족으로 확장되는 경우에는 자신들의 불안과 혼돈은 은폐하고 일종의 가상적인 이상을 당위적이고 일방적인 언어로 표출하였다. 이는 이들이 국문시가보다 한시에 정서적으로 더 가까웠다는 사실을 의미하며, 이들이 적어도 시가의 측면에서는 상당한 정도로 과거의 지배적 문화적 관습의 영향 아래에 있었다는 점을 의미한다. 이 논문은 이러한 결과에 대하여 1900년대의 유학생집단들에게 그들의 미의식과 사적인 개인의 내면 혹은 정서의 표출이라는 욕구를 구현할 국문시가의 새로운 형식이 당대에 아직 출현하지 않았다는 의미로 해석하였다. The object of this article is investigation into the attitude of Korean students in Japan about the problems of selecting the writing system and the poetic genre targeting the articles and the verses on the magazine of ``TaegeukHakbo`` published in Tokyo, 1906. The writers in the magazine presented a lot of verses on the various poetic genre such as ``Chinese poetry``, modified ``Kasa`` and lyrics,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y contended that Korean characters must be used in writing for modernization of Chosun society, they preferred Chinese poetry which is written by Chinese characters. They revealed ambivalent attitude for selecting writing systems in the verses. It seemed that the tendency of accepting the Chinese poetry as most aesthetic form of verses caused that results. This means that they were closer to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verse forms than Korean Characters and Korean verse forms, And this means that for young students in Japan who wants to express their inner problems and their emotional sensitivity there were no a good alternative form of Chinese poetry yet, Therefore, the verses written by Korean characters did not become accepted as an effective forms in 1900`s society of Korean students in Tokyo.

      • KCI등재

        김종삼 시의 시간의식

        노춘기(Noh, Choon-ki) 한국근대문학회 2015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6 No.2

        이 논문에서는 해방기와 전쟁기를 지나온 김종삼 시인이 그 비극적 세계를 표상하는 방식을 살피고 이를 통하여 김종삼 시의 시간의식이 지니는 특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현상학의 관점에서 시간의식이란 세계시간과 별도로 구분되는 내재적 시간을 전제로 한다. 세계시간이 절대적이고 보편적인 시간을 의미하는 것이라면 내재적 시간은 주체의 ‘지각’의 범위와 강렬도에 따라서 상대적이며 개별적인 각각의 시간이 된다. 김종삼의 시간의식에서 가장 심층부를 차지하고 있는 영역은 전쟁의 경험과 기억으로 보인다. 강력한 배제의 의지는 그 배제의 대상이 시적주체의 내면에서 극복되지 않은 상처로서 여전히 고통스럽게 작동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본론에서 살핀 작품들을 통해서 김종삼이 전쟁과 폭력의 객관적 시간에 대하여 응시가 아니라 배제의 태도로 일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는 과거로부터 현재를 분리하고, 그 적요한 현재를 초월하는 시간 밖의 시간을 추구하고 있었다. 과거로부터 벗어나려는 완강한 의식적 지향의 결과로 현재로부터 분리된 세계를 지향하는 자리에 자신의 시적 현재 곧 시간의식의 초점을 두고 있었다. 그에게 전쟁의 시대란 내적 시간의 영역에 소환될 성질의 것이 아닌 것으로 받아들여진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나아가 시적 현재에 구현되어야 할 궁극적 미학과 동경에 반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마침내 소극적 회피가 아니라 적극적 소거의 대상으로서 내적 외적 시간의 조작을 통해 제거되어야 하는 것이었다. 바로 이러한 맥락에서 역설적으로 김종삼의 시간의식에서 가장 심층부를 차지하고 있는 영역은 전쟁의 경험과 기억이라는 점이 드러난다. 강력한 배제의 의지는 그 배제의 대상이 시적 주체의 내면에서 극복되지 않은 상처로서 여전히 고통스럽게 작동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전쟁이 끝나고 상당한 시일이 흐른 뒤의 작품들에서도 그 원체험을 환기시키는 경우가 발견되는 것도 그 때문일 것이다. 아울러 역설적으로 세계시간을 철저히 배제하고 내재적 시간으로만 추상화된 경우보다 두 층위의 시간의식이 긴장관계를 이루는 작품들이 더 풍요로운 시적 울림을 주고 있다는 점에서, 두 층위의 시간 사이에서 이루어진 내면적 고투의 과정이 김종삼의 시에 깊이를 더하는 동력이라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 of this article is the clarific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ime consciousness in the poetic works of KimJongSam. From the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the time consciousness (Zeitbewußtsein) is on the premise of the inner time consciousness (inneres Zeitbewußtsein) that is distinguished from natural time consciousness. The experience and the memories of war is the central constituent of the time consciousness of KimJongSam. On analyzed result of the poems in this article, he had excluded the description of the time of war and violences. He had separated the presence from the past and pursued the time out of the natural time. The strong intention of the exclusion imply the existence of the trauma from the object of the exclusion. From the tendency of exclusion, his time consciousness focused on the world that was separated from the historical presence. The time of the violence did not become accepted to him as an factor that will be recalled in the inner time consciousness. Furthermore is was not only the object of passive evasion but also the object of active erasure.

      • KCI등재

        한국 근대 자유시의 미적 전략과 근대적 서정의 형식

        노춘기(Noh, Choon-Ki) 한국시학회 2015 한국시학연구 Vol.- No.44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investigation of the formation and the esthetic attitude of Korean modern free-verse. In 1900’s the poem written in Korean language was recognized as an effective means of enlightenment campaign. But in the respect of subject consciousness and linguistic form, the writers of free-verse showed a different intention point from the senior writers. Since the emergence of the magazine of HakJiKwang, the younger writers presented the pioneering realization of the modern literature and the artistic expression. The modern free-verse in Korean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n the middle of 1910’s. And Hwang, Seok-Woo declared the aesthetic theory of the free-verse as a form of modern poetry in late 1910’s. He insisted that the starting point of Korean modern poetry must be in the free-verse. It meant that the free-verse is the essence of modern poetry. And he stipulated that the word of soul-nonusual and unpopular expression-is the essentials of poetic language. He denied the form of presentation of the previous pattern of poetry as a chantable lyrics. The writers of the freeverse advocated the realistic portrayal of the torturous world and the wounded subject. They defended the modern free-verse and suggested the aesthetic goal for the future of Korean modern poetry.

      • KCI등재

        1920년대 잡지에 나타난 비문인 창작시의 특성 연구 -독자투고와 현상문예를 중심으로-

        노춘기 ( Noh Choonki ) 우리어문학회 2021 우리어문연구 Vol.70 No.-

        1920년대에 독자투고나 상금을 내건 현상문예 제도는 수용자가 생산자로 전환되도록 이끄는 문학적 재생산의 중요한 구조로서 작동하였다. 현상문예는 그 공고의 규정 항목을 통하여 예술로서 문학의 규범과 전문 작가의 개념을 제시하는 한편 다양한 장르와 형식의 문학을 허용함으로써 그 저변을 넓히는 장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수용자에 머물렀던 일반 독자들이 이러한 제도들을 통하여 어렵지 않게 작가되기의 체험을 할 수 있도록 장려되었다는 사실과 함께 이 시기 장르 규범 및 예술 작품의 생산 과정의 실체적 양상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독자투고와 현상문예의 경우를 중심으로 1920년대 잡지의 비문인 필자들의 창작시의 존재양식을 살펴보았다. 『개벽』과 『조선문단』에 편중되었던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학생계』(1920년창간), 『조선시단』(1928년창간), 『문예공론』(1929년창간) 등의 잡지들을 대상으로 독자투고 혹은 독자 대상 현상문예 작품들을 둘러싼 매체적 역동성과 그 작품들의 주제적 형식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서 1920년대 잡지의 독자투고와 현상문예의 지면에 수록된 비문인 필자 창작시가 일반 독자와 창작자의 이중적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실제로 문인들만의 공간에 독자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교류하는 공간이 창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 매체는 일반독자의 작품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그 편집 상의 배치에 있어서도 전문 필자에 준하는 상당히 높은 비중과 편성으로 예우하였으며, 일반 독자를 준문인으로 실제로 부각하는 데까지 이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920년대가 비로소 문단이 태동하고 형성되는 시기였던 것을 고려할 때 독자 대중과 전문필진이 상호 교류하는 이러한 공간의 역동성은 향후 조선의 시단이 발전하고 조선시의 저변이 확대되는 데에 매우 의미 있는 현상이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In the 1920s, the reader’s column and the literary contest, which featured a personal contribution or prize money, worked as an important structure of literary reproduction that transformed the acceptor into a producer. The editors of the magazines presented the norms and concepts of literature as an art through the regulations of the contest. Regular readers who stayed as inmates were encouraged to experience the writer without difficulty through these systems. In order to understand the genre norms of this period and the actual aspects of the production process of modern poetry, it is especially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readers' column and literary contest at that tim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style of existence of creative poems by amateur writers of magazines in the 1920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ior research, which was concentrated on some magazines, magazines such as Haksengkye(the Student World), Chosun Sidan(the poetry circle of Chosun) and Munye Gongron(literary and public opinion) were studied. We also analyzed the media dynamics and the thematic and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magazines.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amateur writers' creative poems in the 1920s magazine's literary contest have dual characteristics of the readers and writers. And we confirmed that an open space was created where they were actually allowed to actively participate and interact with professional writers. The editors of these magazines actively embraced the work of ordinary readers. And the editor treated amateurs as professional writers in the editing and layout of magazines. We could also find real growth of the average reader as a writer in those magazines. Considering that the 1920s was the time when the literary field was formed, the dynamic of this space, in which readers and professional writers interacted, was a very meaningful phenomenon for Chosun's literature to develop and expand the base of poetry.

      • KCI등재

        정지용 초기시의 "감각"과 근대 표상 인식 -『학조』 수록 작품을 중심으로

        노춘기 ( Choon Ki Noh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51 No.-

        이 논문은 교토 유학시절의 작품을 중심으로 정지용 초기시의 위상을 재검토하고자 한다. 특히 이 글에서는 근대적 도시의 표상을 언어화하는 ‘감각’을 통하여 정지용의 시적 방법론이 구축되던 시기의 시적 주체의 특성을 해명하고자 한다. 지용이 초기시에서 표현의 참신함에 경도되어 있었다는 평가는 그의 시에서 작동하는 ‘감각의 사용법’ 즉 정서의 등가물이자 표상으로서 감각적 사물들에 접근하는 방식과 그 효과를 고려할 때에 비로소 온당한 해석에 도달하게 될 것이다. 또한 그의 이 시기 전반적인 작품에서 뚜렷한 현실인식이 드러나고 있지는 않다는 점에 대한 비판 또한 1920년대 중반 교토의 유학생 집단이 경험하고 있었던 이념과 정서의 괴리라는 조건을 이해할 때 그 ‘시름’과 ‘비애’가 정당하게 해석될 수 있을것이다. 교토 유학 시기에 지용이 보여주고 있는 현실인식은 적어도 감각적이고 정서적인 차원에서는 식민지 청년의 현실적 근거에 대단히 밀착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당대의 논설이나 정치적 언설들이 지향하고 있었던 도달할 수 없는 미래로서의 허구성에 비한다면 매우 정직한 것이면서 동시에 매우 효과적인 표현의 형식이었다. 정지용이 보여준 감각적 표상들은 그 초점이 단순한 풍경의 묘사에 있는 것이 아니었으며 그 자신의 내적인 긴장과 상처를 자신의 육체적 감각을 통하여 증명하는 순간을 지향하는 입체적이고 매우 정교한 구성물이었다. 그리고 그 구성물들이 거울로서 가리키는 바 정지용의 초기시의 화자는 본질적으로 고독 속에 놓여 있었으며, 그 고독이 진술을 통한 정서의 드러남을 억제하고 감각적 표상을 통해서만 드러나게 하는 언어적 전략에 의한 것임을 확인할 수있었다. 정지용의 시적 방법론과 언어관은 그의 ‘감각’과 언제나 동시적으로 작동하는 ‘감정’의 긴장을 내포하는 것이며, 그것이 그로 하여금 언어(진술)로서의 감정이 배제된 고독한 정신의 공간 즉 ‘유리창’ 안의 주체로서 남게 강요한다는 점을 초기시 이후의 작품들을 이해하는 데에도 유용한 관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he reappraisal of early works of JungJiYong in focus of the poetic works in Kyoto of Japan. Especially the sense which was confronted with modern representation is the focal point of the article. It was a point to be considered that JungJiYong showed the characteristic usage of the sense which was approaching the modern objects in the city of Kyoto. When rethinking of the condition of the disparation of the ideology and the emotional reality of the group of Korean students in Kyoto in 1920’s, the critic comment that he had not showed obvious attitude to the historical reality of the era need to be corrected. The works in Kyoto JiYong was close to actual reality in the level of sensitivity and emotion. In contrast to the fictitious properties of the articles or political discourse of the Korean students in the same age, they were considerably honest and effective form of artistic expression. JiYong showed the sensitive representations in order not to describe mere landscape of modern city of Japan but to express the internal tension and the trauma. The poetic narrator of JiYong was in the intrinsic loneliness that was organized by the strategy of linguistic projection through the suppression of the explicit emotions.

      • KCI등재

        조향 시문학의 근대성과 탈근대성

        노춘기(Noh, Choon-Ki) 우리문학회 2017 우리文學硏究 Vol.0 No.56

        조향 시문학의 시기별 전개는 대개 해방을 전후한 전기, 한국전쟁 이후의 중기, 그리고 후기로 구분해 왔다. 이 논문은 식민지 시절 일본어로 시를 창작하던 무렵부터 초현실주의를 극단까지 밀어붙이던 후기에 이르는 과정을 통합적 관점에 의하여 해명하고자 하였다. 해방과 함께 조향은 『낭만파』 동인지를 통하여 순수성, 민족성, 현대성을 그 하위 속성으로 하는 ‘낭만’을 민족문화와 민족시의 지향점으로 제시하였다. 이질적으로 보일 수 있는 세 가지 속성을 그는 ‘낭만’이라는 이름 아래 통합하고자 했던 것이다. 이는 우파 이데올로기와 모더니티를 통합하고자 하는 시도였던 것으로 보인다. 해방공간에서 그의 ‘낭만’은 탈정치성을 의미하는 순수성, 자주와 정체성을 의미하는 민족성이 부각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으나, 이것이 그의 시학의 본령은 아니었다. 『죽순』지에서 주로 드러나는 민족성 중심의 담론과 작품들은 그의 이념적 성향에 부합하는 것이었음에도, 당대적 상황에 따른 미필적 선택에 의하여 불가피하게 강화된 측면이 있었던 것이다. 그가 〈후반기〉 결성하고 새롭게 모더니즘 운동을 시작하고자 했던 맥락에는 ‘낭만’이라는 이름 아래 우파적 이념과 모더니즘을 통합하고자 했던 자신의 시도를 철회하는 의미가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맥락을 고려할 때 그가 중기 이후 도입하고 실험했던 초현실주의의 데뻬이즈망 기법 역시 해방공간에서 ‘민족성’ 혹은 ‘민족시’의 압박 아래 체험했던 정치성에 대한 강렬한 반작용의 결과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reconsider the poetic works of JoHyang, who was a surrealist and a member of the literary coterie, Hubanki. In particular, this article focuses on the text of the liberation period, such as the magazines Nangmanpa and Juksun. The main concept of this article is “new romanticism” which was presented by JoHyang. We need to analyze his early poems and poetic essays for a new understanding of his poetic orientation and impetus. In the case of Nangmanpa, JoHyang consistently emphasized “new romanticism” as distinct from the general concept of “romanticism.” He pitted “purity” against politics, the “chosunistic” against Western, and he emphasized a correct way of romanticism for satisfaction of the sense of new generation. In Juksun, he exposed faith in the ideology and aesthetics of the right party, who censured the anti-nationalism of communists. This means that he showed quite different aesthetics from those of his early works. In the texts of the liberation period, we can comprehend that he tried to make a radical transition from the literary attitude in those days. He tried to consolidate poetic sensitivity and social utility under the flag of “new romanticism,” which could be another name for modernity, and neo surrealism can be seen as the ultimate realization of modernity.

      • KCI등재

        해방기 조향의 시적 지향

        노춘기(Noh, Choon Ki) 우리문학회 2015 우리文學硏究 Vol.0 No.48

        이 논문은 해방기의 『낭만파』 와 『죽순』 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후반기 동인이자 초현실주의 시인으로 알려진 조향의 초기시의 지향을 재검토하고자 한다. 대부분의 조향론은 중기인 <후반기>동인 시절을 중심으로, 이 시기부터 본격적으로 제기된 초현실주의 시학을 중심으로 서술되고 있으나, 이 논문에서는 조향의 초기 시와 산문에 주목하고자 한다. 그간 상대적으로 연구자들의 관심에서 소외되었으나 조향 시문학을 일관되게 관통하고 있는 시의식의 근원적 동력이나 지향을 이해하기 위해 초기의 시와 시론을 상세히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1946년에 첫 동인지를 낸 『낭만파』에서 조향은 일반적 의미에서의 ‘낭만’과 구별되는 ‘새로운 로맨티시즘’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었다. 그는 정치와 대립하는 ‘순수’, 서구 문학과 대립하는 ‘조선적’인 것, 전근대와 식민지 시대의 유산을 극복하고자 하는 ‘새로운 세대의 감각’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낭만의 바른 길’을 주장했다. 『죽순』에 실린 산문과 시 작품을 볼 때, 그는 상대적으로 ‘시류에 휩쓸리는’ 사회주의보다, 민족과 전통을 사수하는 것이 현실을 직시하는 올바른 역사관이라는 믿음을 갖고 있었으며, 민족보다 계급을 우선시한다는 점에서 사회주의의 반민족성을 강하게 비판하는 우파의 미학과 이념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는 그가 해방이전에 동인 자격으로 『일본시단』등에 발표한 일본어 시의 미학과는 사뭇 다른 문학활동을 표방한 것이었다. 『죽순』 과 『낭만파』에 실린 조향의 작품을 통해 해방 공간에서 그가 매우 급격한 시적 전환을 시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는 해방 공간에서 시급히 요청되는 조선적 문학과 언어에 대한 탐구를 해방 이전의 시적 작업과 별개의 과제로 인식했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여기에는 좌우의 대립이 극렬하게 충돌하던 해방공간의 복잡성이 강력한 요인으로 작동하고 있었을 것이다. 다만, 이 시기에 그가 누구보다도 적극적으로 추구하고자 했던 ‘민족시’의 형식은 그가 이미 확보하고 있었던 감수성과 시의 사회적 효용을 동시에 추구하고자 했던 시도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는 ‘낭만’ 이라는 이름의 모더니티를 통해 둘을 통합하고자 했던 것이다. The object of this article is reconsideration of the orientation of the early works of Cho Hyang who has been known as a surrealist and a member of the literary coterie, Hubanki. Especially this article focused on the text in the magazine of Nangmanpa and Juksun in the liberation period. We need to reconsider his early poems and essays for new understanding of his poetic impetus and orientation. In the text of Nangmanpa, Cho Hyang emphasized ‘new romanticism’ consistently as distinct from the general meaning of ‘romanticism’. He insisted the purity against the politics, the chosunistic against the western and the right way of romanticism for gratification of the sense of new generation. In the works of Juksun, he showed the faith in the aesthetics and ideology of right party who critisized the anti-nationalism of the socialist. It means that he professed the literary activities in a quite different from the aesthetics of his early poems written in Japanese language. In the texts of Juksun and Nangmanpa, we can understand that he tried a radical change in the view of literature in the liberation period. As a form of nationalism poetry, he tried to integrate the social utility and the sensitivity of poetry. It could be the substantial meaning of ‘new romanticism’ as another name of moder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