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과 위식도역류질환

        김연지,Yeon-Ji Kim 대한소화기암연구학회 2022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ports Vol.10 No.2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infection is associated with gastroduodenal diseases such as gastritis, peptic ulcer diseases, gastric adenocarcinoma, and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lymphoma. Furthermore, various extragastroduodenal diseases have been suggested to be related with H. pylori infection. Although no single factor has been considered the cause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a negative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the prevalence of H. pylori and GERD severity. Additionally, the role of eradication therapy of H. pylori in reflux esophagitis is controversial, and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uccessful H. pylori eradication rate and reflux esophagitis development. H. pylori infection remains an inconclusive and important issue in GERD. Thus, more experimental studies are necessary to elucidate the potential mechanisms.

      • KCI등재

        완충체계 이론으로 본 청일 · 러일전쟁과 조선의 비극

        김연지(Yeon-Ji Kim) 고려대학교 평화와민주주의연구소 2014 평화연구 Vol.22 No.1

        본 논문에서는 완충체계 이론을 통해 구한말 형성되었던 두 번의 완충체계(청일전쟁기, 러일전쟁기)에서 강대국간 경쟁이 어떠한 메커니즘으로 전쟁으로 이어졌는지를 살펴보고, 완충국이었던 조선이 주권을 잃게 된 원인을 찾아보았다. 두 완충체계의 형성 시점에서 일본은 모두 상대적 약국이었다. 강대국 간 세력의 격차가 뚜렷한 상황에서 상대적 강국이었던 청국과 러시아가 조선에서 영향력을 확대해 갔지만 세력이 약한 일본은 직접적인 충돌을 피해왔다. 그러나 일본이 청 및 러시아와 세력의 격차를 줄이면서 양국의 갈등은 첨예화되었고, 이에 따라 완충국의 가치는 더욱 상승하게 되면서 강대국의 전쟁으로 이어졌다. 이 시기의 조선은 다양한 방법으로 군사력 증강을 시도하였지만 재정부족, 일관성 없는 군사정책, 주변 강대국들의 간섭 때문에 효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그래서 조선군은 강대국이 전쟁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전혀 고려 대상이 되지 못하였다. 한편 조선은 경쟁 강대국 중 덜 위협적인 쪽에 기대어 생존을 도모하고, 제3의 강대국을 체계 내에 끌어들여 체계 내의 강대국을 견제하려 하다가 종국에는 중립정책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중립을 유지할 수 있는 자위력을 갖추지 못한 상태에서 체계 내 강대국들의 동의 없이 선언된 중립은 쉽게 무시되었고, 결국에는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에 의해 주권을 잃고 말았다. This article examined what mechanism did lead the competition between power nations to war in the two buffer systems(the period of Sino-Japanese War and Russo-Japanese War) formed in late Chosun and also figured out the cause that made Chosun, the buffer state, lose its sovereignty. At the point that the two buffer systems were formed, Japan was a relatively weaker nation in both. In the situation that the power gap between the power nations was quite clear, the Qing and Russia, the relatively stronger nations, did increase their influence in Chosun, but Japan that was relatively weaker did avoid any direct collision. However, Japan started to reduce the power gap with the Qing and Russia, and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nations got sharpened. Accordingly, the value of the buffer state became even higher, which brought about war between the power nations. During this period, Chosun attempted to strengthen its military power in diverse ways; however, it turned out rather unsuccessful because of its financial crunch, inconsistent military policy, and interference from the surrounding power nations. This is why the army in Chosun was not considered at all in the process that the power nations decided on the war. In the meantime, Chosun tried to manage to survive leaning to the less threatening side among the power nations in competition and attract the third power nations into the system to keep the power nations in the system in check. But in the end, it promoted neutrality policy after all. However, the neutrality declared without any consent from the power nations within the system in the situation that Chosun had no self-defense capabilities to maintain neutrality was just readily ignored, and in the end, it came to lose its sovereignty due to Japan that won the Russo-Japanese War.

      • KCI등재후보

        알제리 에너지 산업의 변화와 기회

        김연지 ( Kim Yeon-ji ),방기열 ( Bang Ki-yeol )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2 지역산업연구 Vol.35 No.2

        북아프리카에 위치한 대표적인 에너지 생산국인 알제리는 자원 부존량과 지정학적 위치상 에너지 산업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는 국가이다. 국토면적 238만㎢로 아프리카 최대 규모의 국토를 가진 알제리는 석유매장량-세계 14위/122억 배럴, 가스매장량-세계 8위/4.5조m3를 갖춘 에너지 강국(에너지 자립도 383.0%)이며 또한 신재생에너지 측면에서도 사하라사막지역태양에너지부문에 50억 GWh의 잠재량이 있다. 알제리 정부는 에너지정책으로 기존의 화석에 너지로 일컫는 가스부분을 강화하는 한편, 미래 성장동력으로서 신재생에너지 개발과 이용에도 국제적인 노력에 동참하고 있다. 2009년에 국제 신재생에너지기구 International Renewable Energy Agency (IRENA)에 가입하고 신재생에너지 부문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알제리 관련 선행연구와 에너지관련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알제리내부와 외부의 에너지 산업과 연관된 변화를 점검하고, 나아가 인접 북아프리카 국가들과의 비료를 통하여 알제리의 정치, 경제, 산업환경의 SWOT분석을 실시하여 알제리의 에너지 산업을 정치, 경제, 산업적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As a significant hydrocarbon producer and gas exporter as member of OPEC, Algeria in Africa plays an important role in world energy markets. Furthermore, due to its geographical location, Algeria holds one of the greatest positions for renewable energy potential in the world. It joined International Renewable Energy Agency (IRENA) in 2009 and dynamizeㅇ renewable energy supporting policies. In this study, reviewing energy and economic data - such as total primary production, total primary consumption, energy intensity of GDP, and share of renewable energy in electricity production - illuminated the situation and needs in terms of Algeria’s energy industry. Also, through SWOT analysis, this study delves into th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f investing in the energy industry in Algeria as compared to other countries in the MENA region.

      • KCI등재
      • KCI등재

        건강한 무증상 헬리코박터 감염자에서 제균 치료는 위암의 발생을 감소시키는가?

        김연지 ( Yeon Ji Kim ),정우철 ( Woo Chul Chung ) 대한소화기학회 2014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4 No.1

        Helicobacter pylori는 만성 위염을 유발하고 위축성위염 및 장상피화생을 일으키는데, 위축성 위염이나 장상피화생은 위암의 전암성 병소로 알려져 있다. 1994년 국제 암연구소(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는 H. pylori를 발암인자로 분류했고,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도 1급 발암인자(class I carcinogen)로 규정하였다.1,2 이에 따라 H. pylori의 제균 치료가 위암 발생을 낮출수 있을 것이라고 추론은 하지만 아직까지 관련성에 대한 정확한 논의가 부족하다. 더욱이 감염된 대부분의 사람들에서 위암뿐 아니라 소화기 질환이나 증상조차 일으키지 않는 것을 보면 H. pylori와 위암 사이의 연관성은 아직까지 명백하게 드러나지 않고 있다. 현재까지 유일한 무작위 대조군 연구에서는 H. pylori 제균 치료군에서 위암 발생을 현저하게 낮춘것으로 보고하였지만, 같은 연구 결과를 다른 두 개의 시점에서 중복해서 분석하는 오류를 범했고 이것을 한 시점의 결과로 분석하였을 때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3 이번 연구4는 무증상 건강 H. pylori 감염자에서 제균 치료가 위암의 발생을 감소시키는지 알아보았다. 2001년부터 2013년까지 보고한 무작위 대조군 연구들에서 소화기의 증상이 없는 16세 이상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7일 이상의 제균 요법을 시행하였고, 이후 최소 2년 동안 위암 발생을 추적 관찰했던 6개의 논문을 메타 분석하였다.5-13 제균 치료를 시행한 3,294명의 H. pylori 감염자 가운데 51명(1.6%)에서 위암이 발생하였고, 제균 치료를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에서는 3,203명 가운데 76명(2.4%)에서 위암이 발생하였다. 제균 치료에 따른 위암 발생의 위험도 감소(RR reducation)는 0.66 (95% CI 0.46-0.95)였다(Fig. 1). 임상 역학적 연구의 지표로 사용하고 있는 치료에 대한 number need to treat (NNT)는 absolute risk reduction의 역수로서 이번 결과에서는 연구가 실시된 지역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메타 분석에 사용된 자료로는 위암 발생에 관한 NNT는 평균 124였으나, 하위 집단 분석에서 중국 남성의 경우에는 15로 가장 낮았고, 미국 여성은 245로 가장 높았다. 또한 연구자들은 기저에 전암 병변을 동반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로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제균 치료 이후에 위암 발생의 차이는 없었다(Fig. 2). 그러나 항산화제나 비타민을 같이 복용한 군에서는 유의하게 위암 발생이 감소하였다(RR 0.52, 95% CI 0.31-0.87) (Fig. 3). 식도암과의 관련에 대해서는 1개의 보고만 있는데 제균 치료를 시행한 817명 가운데 2명에서 식도암으로 진단하였고, 반면에 813명의 대조군 가운데는 1명에서 식도암이 발생하였다(p=0.57). 위암으로 인한 후속 사망률에 대해서는 5년에서 14.7년 동안 추적 관찰하였을 때, 2,242명의 치료군에서는 24명(1.1%)이 사망하였고 2,233명의 대조군에서는 36명(1.6%) 이 사망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RR 0.67, 95% CI 0.40-0.11). 그러나 총 사망률은 치료군에서 2,639명 가운데 192명(7.3%)이, 대조군에서는 2,614명 가운데 175명 (6.7%)이 사망하여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감소는 없었다(RR 1.09, 95% CI 0.86-1.38). 제균 치료와 연관된 부작용에 대해서는 1개의 대조군 연구 결과가 있는데, 피부 발적이 치료군에서 3.1%인 반면에 대조군에서는 0.1%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 이외에 특이할 만한 것은 없었다. 그 외에 다른 연구에서는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부작용은 보고하지 않았다.

      • KCI등재

        개항장객주의 변모 양상과 성격 고찰

        김연지(Kim Yeon-Ji) 한일관계사학회 2013 한일관계사연구 Vol.44 No.-

        19세기 말 조선은 개항을 맞이하면서 사회?경제?문화 전반에 걸쳐 많은 변화를 겪는다. 특히 개항으로 인해 외국상인과의 거래가 빈번해졌고 이는 조선후기 상업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외국상인의 등장으로 그들과 무역을 담당해야 하는 새로운 상인층이 필요하였고 그 중심에 ‘개항장객주’가 부상하고 있었다. 본고는 19세기 말 등장한 개항장객주의 성격이나 위상에 대해 아직 정립되지 않았음을 지적하고 그들의 형성부터 성장, 발전, 변모하는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개항장객주의 주요업무는 위탁매매였는데 그들은 판매자와 구매자로부터 구문을 수취하여 이익을 취하였다. 그들이 자본을 축적하면서 점차 그들의 권리(권익)를 보호하기 위해 단체를 설립하는 모습이 보이는데, 그 객주 단체가 이른바 객주상회소이다. 개항장객주는 위탁매매뿐만 아니라 금융업, 창고업, 해운업, 무역업 등에 종사하게 되는데, 이러한 모습은 자본을 축적하여 상회사를 설립하는 과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성장?발전해 가던 개항장객주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점차 변모 양상을 띤다. 그 중 일본상인의 내지 침투가 가장 큰 요인이라 할 수 있다. 개항장객주는 점점 자신들의 입지가 좁혀지는 가운데 도산하기도 하고 축적 자본이 많은 자들은 회사를 설립하여 근대 자본가의 모습을 띠기도 한다. 개항장객주의 개항장에서의 활동 시기는 짧다. 그러나 쇄국과 개항이라는 과도기적인 시기에 가장 큰 역할을 수행한 상인층이라 할 수 있기 때문에 조선후기 상업사에서 한국 근대 상업사, 경제사로의 과도기적 단계에서 그들의 존재를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Two themes of this article focus on the role of the character or position of the merchants in the open ports and in observing the growth, development, and decline of the merchants. The principal business of the merchants in the open ports was the consignment trade. They received the gumun(口文) from the seller and the buyer, and thus gradually gained profit. As the semerchants saved their funds, they gradually tried to establish an association for protecting their rights. This association was the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The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however, was soon abolished because foreign merchants interfered. The merchants engaged in not only the consignment trade, but also in finance, warehousing, and marine transportation. This was seen through the merchants saving their funds and establishing commerce. The merchants grew and developed, but they failed due to many factors.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said to have been that Japanese merchants filtered into Joseon. The merchants failed while their status narrowed. On the other hand, some agents who saved their capital established their own companies and became a kind of modern capitalist. The period of activity of the merchants was short. The merchants, however, carried out a major role among many merchants during the transition from isolation to the open ports. Therefore, their existence is not overlooked in the transition period in the history of commerce in late Joseon to the history of commerce in modern Korea.

      • KCI등재

        1890년대 부산항 生牛의 일본 수출

        김연지(Kim Yeon-ji) 한일관계사학회 2016 한일관계사연구 Vol.53 No.-

        본 연구는 1890년대 부산항 生牛의 일본 수출 현황을 『通商彙纂』의 기록에 근거하여 검토하였다. 『통상휘찬』의 한국 관련 기록은 1893년부터 1905년까지의 주한일본영사관의 보고 내용으로 이루어진다. 보고 내용은 각 개항지의 상황과 무역에 관한 기록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바, 본 연구의 자료로 중점 활용되었다. 개항이후 조선소의 일본 수출은 주로 조선시대 牛皮무역, 일제강점기의 牛疫, 방역제도, 釜山輸出牛檢疫所등에 관한 주제를 다루면서 언급되었다. 하지만 연구에서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할 부분은 조선소의 일본수출에 대해 구체적인 정황을 파악해야 하는 것이다. 부산항은 개항부터 일제강점기 이전까지 생우 수출이 가장 많이 이루어졌던 항구였다. 본 연구는 수출소의 성별, 연령, 평균가액, 매입지, 구입지, 수출판로 등을 분석하고 수출 동향을 통해 수출의 증가와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수요와 공급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조선소는 일본소보다 골격이 좋고 성질이 온순하여 노역을 시키기 좋으며 무엇보다 가격이 저렴하였다. 또 조선소는 식용으로도 선호도가 높았다. 이러한 일본의 조선소에 대한 호평과 기호가 조선소의 수출 증가에 기인하였고 조선소의 가격 하락, 1897년 5월 15일 농상무성령 제13호로 인한 수출자의 편리함 등이 증가의 요인이 되었다. 반대로 牛疫, 계절적인 특성, 풍 흉작으로 인한 농가경제, 일본의 미가 폭등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조선소의 수출이 감소하였다. 그동안 ‘우역’이라는 주제 속에서 한정되어 다루어졌던 조선소 수출에 대한 본 연구가 조선후기·일제강점기 대일 무역의 시간적, 공간적 간극을 메우는 데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has been considered about situations of export live cattles(生牛) from Busan in 1890’s, based on 『Tongsangwichan(通商彙纂)』. 『Tongsangwichan(通商彙纂)』 related to the korea records was made up of report of Japanese consulate to Korea from 1893 to 1905. The report about situation and trade of each treaty port had taken up many parts, accordingly it was important part on this study. After the opening of a port, the export of korean cattle to Japan was mentioned along with trade of cowhide(牛皮) in Joseon, Rinderpest(牛疫) under Japanese Rule, measures against epidemics and cattle exports Quarantine Office in Busan. Understanding the specific situations about the export of korean cattle, however, must take precedence in this study. Busan port was the largest place that exported live cattles, from the opening of a port until before the era under Japanese Rule. This study analyzed the gender, the age, the average price, the place to purchase, the port of destination and the export outlet, also founded that factors that affect the increase and decrease in the exports through the trend of the exports. Korean cattle got framework better than Japanese cattle, it was a gentle-natured to work, above all, it was so cheap. Moreover, korean cattle had a high preference for human food. The increase of korean cattle exports was based on public favor and the preference in Japan. The increase of korean cattle exports, in addition to, was continued according to the depreciation in price of korean cattle and conveniences of exporters due to section 13 of the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Agriculture and Commercial(農商務省令). On the other hand, the export had been decreased because of Rinderpest(牛疫), characteristics of season, farm household economy related to a good and bad harvest and booming the price of rice. During that time, the export of korean cattle was treated only in the subject ‘Rinderpest’. This study will play an important part in filling temporal and spatial gap of trade with Japan from the later part of Joseon to the era under Japanese Rule.

      • KCI등재

        항노로바이러스 천연물을 이용한 식품개발

        김연지(Yeon-Ji Kim),이정수(Jeong Su Lee),주인선(In Sun Joo),이성준(Sung-Joon Lee) 한국식품과학회 2017 식품과학과 산업 Vol.50 No.1

        Control of food pathogens is critical in food safety field. Norovirus is one of the major causes of gastroenteritis and food poisoning worldwide, however, currently, there is not a vaccine or a specific drug available for its treatment. There are several methods to inactivate norovirus during food processing by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however, the use of natural substance has been suggested as an optional strategy due to their safety and consumer preference. In this study supported by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in Korea, we identified novel plant-derived substances with significant anti-norovirus activities. The aim of this project was to determine the antiviral activity of a wide range of natural substances, including plant-derived extracts and essential oils, using a norovirus surrogate system, human norovirus repliconbearing cells, and mouse in vivo experiments. During the activity screening test, we identified novel anti-norovirus substances or oils using plaque assay with MNV-1. Six selected substances were formulated into an optimum mixture and used as an ingredient for salad sauce of which anti-novovirus activity was confirmed(pending for patent and paper submission). The potential application of selected natural substances as a metal surface sanitizer was also tested. Interestingly, the mixture of selected natural compounds showed a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against norovir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se substances may be used as food ingredient with anti-norovirus antivity or components for surface sanitizers to prevent norovirus contamination.

      • KCI등재

        진행 위암 환자의 복강 세척액에서 CEA와 CK20 전령 RNA 측정

        김연지 ( Yeon-ji Kim ),정우철 ( Woo Chul Chung ),최수아 ( Sooa Choi ),정윤덕 ( Yun Duk Jung ),이재준 ( Jaejun Lee ),채승윤 ( Seung Yun Chae ),전경화 ( Kyong-hwa Jun ),진형민 ( Hyung-min Chin ) 대한소화기학회 201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9 No.4

        Background/Aims: Peritoneal micrometastasis is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currence of gastric cancer. However, its effects remain equivocal. Herein, we examine the messenger RNA (mRNA) as tumor markers,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and cytokeratin 20 (CK20), in peritoneal washing fluid. Moreover, we evaluate whether these results could predict the recurrence of gastric cancer following curative resection. Methods: We prospectively enrolled 132 patients with gastric cancers, who had received an operation, between January 2010 and January 2013. The peritoneal lavage fluid was collected at the operation field and semi-quantitative PCR was performed using the primers for CEA and CK20. We excluded patients with stage IA (n=28) early gastric cancer, positive cytologic examination of peritoneal washings (n=7), and those who were lost during follow up (n=18). Results: A total of 79 patients with gastric cancers were enrolled,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9.95±19.25 months (range, 5-72 months). According to the multivariate analysis, T4 stage at the initial diagnosi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currence. All cases of recurrence were CEA positive and 6 cases were CK20 positive. The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of CEA were 32.0% and 100%, respectively, whereas those of CK20 were 37.5% and 71.4%, respectively. Disease free survival of CK20-negative cases was 36.17±20.28 months and that of CK20-positive cases was 32.06±22.95 months (p=0.39). Conclusions: It is unlikely that the 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ults of mRNA for CEA and CK20 in peritoneal washing fluid can predict recurrence. However, negative results can convince surgeons to perform curative R0 resection. (Korean J Gastroenterol 2017;69:220-22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