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학습전략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과 시간 관리에 미치는 효과

        강보은,김정섭 대한사고개발학회 2012 사고개발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Learning Strategy Program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and Time Management of second graders in middle school.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oes the Learning Strategy Program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of second graders in middle school? Second, does the Learning Strategy Program have an effect the Time Management of second graders in middle school? This study was examined with pre-post experimental design. Learning Strategy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17 weeks. Self-regulated Learning Scale and Time Management Scale were administrated to all subjects as pre-test and post-test. To verify the effect of the experiment, ANCOVA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had been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Strategy Progra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regulated Learning from the controlled group which hadn't.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had been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Strategy Progra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ime Management from the controlled group which had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has been verified that Learning Strategy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level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and Time Management of second graders in middle school.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 수준과 시간 관리 수준의 향상을 위해 학습전략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가설검증을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H중학교 2학년 전체 11개 학급의 학생 370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같은 학군 내에 소재하며 규모와 학업성취도 수준이 유사한 M중학교 2학년 10개 학급의 학생 346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처리과정에서 최종연구대상으로는 실험집단 308명, 통제집단 293명이 선별되었다. 프로그램은 17주간에 걸쳐 총17회기로 진행하였다. 자료처리는 공변량 분석(ANCOVA)을 이용하였다. 연구가설 검증결과 본 연구의 학습전략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 수준과 시간 관리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 KCI등재

        부의 양육참여가 부모의 양육태도를 매개로 자녀의 그릿에 미치는 영향

        강보은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연구논총 Vol.4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ong-term effects of paternal involvement and parenting style on children's grit. Structural equation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from the 3th year (2010) ~ 11th year (2018)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Findings showed that there i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aternal involvement, parenting style, and children's grit.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fathers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parenting during infancy showed a more compassionate parenting style, which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consistency of interest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 paternal involvement promotes children's perseverance of effort. The father's controlling parenting style had a negative influence on children's consistency of interes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mportance of paternal involvement and parenting style of fathers and the individual influences of fathers and mothers' parenting styl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is study, which revealed the influence of paternal involvement and parenting style on children's gr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fathers as caregivers. 이 연구는 부의 양육참여와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그릿에 미치는 장기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문제 검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한국아동패널(3차 년도(2010, 2세)~11차 년도(2018, 10세))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다중대체법을 실시하였으며, 최종 분석에 포함된 대상은 2000명이다. 연구 결과 부의 양육참여,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그릿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영유아기에 양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아버지일수록 온정적인 양육태도를 보이며 이는 자녀의 흥미유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버지의 높은 양육 참여도는 자녀의 노력지속 역시 촉진한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유의미한 영향이 확인되지 않은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태도와 다르게 아버지의 통제적 양육태도는 자녀의 흥미유지에 부적 영향 관계가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부의 양육참여와 양육태도의 중요성과 부와 모의 양육태도의 개별적인 영향력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시사한다. 부의 양육참여와 양육태도가 자녀의 그릿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힌 이 연구는 양육자로서 아버지의 영향에 대한 추후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부모의 그릿이 자녀의 그릿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분석 : 부모의 양육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강보은 한국초등교육학회 2022 초등교육연구 Vol.35 No.1

        This study examined the lasting impact of parents' grit(consistency of interest and perseverance of effort) and parenting style(warmth, autonomy support, structure, and coercion) on children's grit(consistency of interest and perseverance of effort). This study was used the 4th-grade cohort(4th & 6th graders)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KCYPS 2018) as analysis data. The study procedure is as follows. First, it analyzes the Growth Model to examine the change in children's grit development. Second, it analyze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confirm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parents' grit, parenting style, and children's grit. It was found that parents' grit and parenting style had a lasting impact on children's grit. It was confirmed that parental consistency of interest not only had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grit but also had an indirect effect through coercion of parenting style. It was found that perseverance of effort continuously promotes children's grit through autonomy suppor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n early study that empirically confirmed the lasting impact of parents' grit and parenting style on children's gri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grit development studies. 이 연구는 부모의 그릿과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그릿 발달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부모의 흥미유지와 노력지속이 부모의 양육태도인 따스함, 자율성지지, 구조제공, 강요를 통해 자녀의 흥미유지와 노 력지속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분석 자료로 한국아 동ᆞ청소년패널조사 2018 초등학교 4학년 코호트(4학년, 6학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부모의 그릿, 부모의 양육태도, 아동의 그릿 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 형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의 그릿과 양육태도는 아동의 그릿을 증진시키는 데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모의 흥미유지는 자녀의 그릿 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양육태도 강요를 통해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흥미유지와 달리 노력지속은 자율성지지를 통해서 자녀의 그릿을 지속적으로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종단 분석을 통해 부모의 그릿과 양육태도가 아동의 그릿 발달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 결과는 이후 그릿 발달 연구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된다.

      • KCI등재

        중학생의 학습습관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

        강보은 ( Gang Bo-eun ),김은빈 ( Kim Eun-bin ),김정섭 ( Kim Jung-sub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7 교사교육연구 Vol.56 No.1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학습습관, 진로정체감,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학습습관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2년 3차 자료 중 유효한 2257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학습습관, 진로정체감,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을 하였다. 학습습관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과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1982)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습관, 삶의 만족도, 진로정체감은 서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다. 둘째, 진로정체감이 학습습관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가진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학습과 진로를 함께 다루어주는 장기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ident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y habit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The data gathered for this study was based on the raw data produc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ho surveyed 2,257 third year middle schools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2012). The data was analysed using the Pearson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To calculate coefficient of the mediating variables, the Sobel test was adopted.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tudy habits,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identity. Second, career identit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study habits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programs were provided to increase middle school student`s life satisfaction through study habits and career identity.

      • KCI등재

        부모의 그릿이 자녀의 협동심에 미치는 영향 : 자녀 그릿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강보은(Kang, Bo-Eun)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3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그릿과 협동심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부모의 그릿이 자녀의 그릿을 통해 자녀의 협동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 자료는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조사 2018 1차년도 초등학교 4학년과 중학교 1학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먼저 부모의 그릿과 자녀의 협동심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기초 모형을 분석하였다. 이후 자녀의 그릿을 매개 변인으로 투입한 최종 모형 분석을 통해 부모의 그릿이 자녀의 협동심에 미치는 과정을 탐색하였다. 그릿과 협동심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기 위해 구조모형을 동원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1차년도 초등학교 4학년과 중학교 1학년 자료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결과가 모두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기초 모형에서는 부모의 노력지속이 자녀의 협동심(집단촉진, 팔로워십, 갈등문제해결)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최종 모형에서는 자녀의 노력지속을 통해서만 부모의 노력지속이 자녀의 협동심(집단촉진, 팔로워십, 갈등문제해결) 촉진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흥미유지는 중학생 분석에서 자녀의 흥미유지가 집단촉진에 미치는 정적 영향만 유의하게 확인되었다. 논의 및 결론: 그릿 중 노력지속이 흥미유지보다 협동심에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이 연구 결과는 이후 협동심 발달 연구에 기초 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impact of children s grit on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 s grit and children s cooperative competence. Metho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the adjustment of standard errors to account for hierarchical data structure, was employed using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of Korean youths,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KCYPS 2018). Analytical strategy proceeded in two step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s grit, perseverance of effort and consistency of interest, and children s cooperative competence were estimated after holding family background characteristics at constant. After retaining the basic model, two factors of children s grit were specified into the equation to assess the mediating impact of parent s grit and cooperative competence.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on both the 4th grade elementary and the 1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Results: Findings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s perseverance of effort and children s cooperative competence(group promotion, followership, conflict resolution), whereas the parents consistency of interest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y construct of children s cooperative competence. In the full model, it was found that parent s perseverance of effort contributed to promoting children s group promotion, followership, conflict resolution through the children s perseverance of effort. This pattern results were consistent across age groups.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the perseverance of effort relative to the consistency of interest in promoting children s cooperative competence.

      • KCI등재후보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협동심 발달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력과 조절효과

        강보은 (Bo Eun Kang),이수지(Suji Lee),윤민종(Minjong Youn)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4 교육연구 Vol.46 No.1

        이 연구는 자녀의 협동심 발달을 촉진하는 효과적인 양육태도를 실증적으로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따스함, 자율성지지, 구조제공, 거부, 강요, 비일관성)가 자녀의 협동심(집단촉진, 팔로워십, 갈등문제해결)에 미치는 장기 영향력과 양육태도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분석 자료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중학교 1학년 코호트(1학년, 3학년) 자료를활용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이중 통제를 적용한 다중 회귀 분석 방법을 동원하였다. 연구 결과 자녀의 집단촉진에는 부모의 양육태도 중 따스함과 구조제공이 장기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며, 팔로워십과 갈등문제해결에는 부모의 구조제공이 정적 영향을 미치고 거부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협동심 발달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협동심 수준이 낮은 자녀일수록 부모는 자녀가 가정에서자신의 존재가 거부당하는 경험을 하지 않도록 수용적인 태도를 보여주는 것이 자녀의 협동심 발달을위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자녀의 협동심에 도움을 제공하는 부모의 양육태도를 실증적으로 면밀하게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 결과는 자녀의 협동심 발달을 위한 구체적인 지원 방안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explore the effective parenting styles that foste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ooperative competence.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the lasting impact of parenting styles(warmth, autonomy support, structure, rejection, coercion, chaos) on children's cooperative competence(group promotion, followership, conflict resolution). Additionally, this study aims to scrutinize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se parenting styles. Using the cohort of middle school students(1st and 3rd graders)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KCYPS 2018), this study employ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a dual control approach. The results revealed that parental warmth and structure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sustained positive impact on children's group promotion. Similarly, structure had a lasting positive effect on followership and conflict resolution. Conversely, rejection exhibited a detrimental impact on these dimensions of children’s cooperative competence. Regard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parenting styles, this study identifies substantial moderation by parental rejecting attitudes. To elaborate, when children exhibit lower levels of cooperative competence, parents demonstrating accepting attitudes— preventing the experience of familial rejection - prove effective in fostering cooperative competence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develop specific measures to support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ooperative competence

      • KCI우수등재

        수업방법이 학업 성취도 분위에 따라 미치는 영향력 분석

        이수지,강보은,윤민종 한국교육학회 2023 敎育學硏究 Vol.61 No.5

        Using data from the Analysis on the Actual Status and its Level of School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teacher-centered and learner-centered instruction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Quantile regression was employed to account for the differential effect of teaching methods by achievement level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eacher-centered lecture style had a positive impact on every quantile of student achievement in every subject. The lecture style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for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quantile in Korean and English as for high achieving students. Student-centered discovery and inquiry teaching, however, had a negative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in general, and for low achieving students in particular. Also, student-centered discussion method had a negative impact on students with low quantile and high quantile achievement in Korean and English. This study, which empirically confirmed the differential effect of teaching methods by achievement levels, discusses the need to expand educational support in order to improve teaching methods for students with different academic performances. 이 연구는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 중학교 자료를 활용하여 교수자 중심 수업과 학습자 중심 수업이 학업 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교사의 수업방법이 학생의 성취수준에 따라 차별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분위회귀분석(quantile regression)을 활용하여 모든 학업 성취도 분위에서의 정보를 제공하였다. 분석 결과 교수자 중심의 강의법은 국어, 수학, 영어 성취도의 모든 분위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강의법은 국어와 영어에서 상위수준의 학생들보다 낮은 성취수준의 학생들에게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습자 중심의 발견 및 탐구학습은 주로 낮은 성취수준의 학생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의법은 국어와 영어에서 주로 성취수준 하위학생과 상위학생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취수준별 수업방법의 차별적인 영향력을 검토한 이 연구는 교사의 수업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교육적 지원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논의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