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사문학의 문화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

        고순희 ( Soon Hee Ko ) 한국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16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7

        이 연구의 목적은 가사문학이 지닌 문화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를 규명하는 데 있다. 먼저 규방가사를 중심으로 ‘가사 짓기의 문화’가 지니는 문화적의미를 살폈다. 양반가 여성의 ‘가사 짓기의 문화’는 ‘인문학적 정신의 생활화’라는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글쓰기의 생활화’는 현대인이 잃어버린 소중한 정신적 가치이다. 가사문학이 지닌 정신적 가치를 계승 발전시킨다면 우리 민족성에 대한 긍지를 높일 수 있다. 그리하여 가사문학은 문화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다음으로 가사문학이 관광의 키워드인 ‘장소’로 환원될 수 있는 가능성이많다는 점을 살폈다. 다양한 작품세계를 지닌 엄청난 수의 가사문학은 각각‘장소’로 환원되어 지역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가사문학을 문화관광자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해보았다. 문화관광자원의 개발은 관광패러다임의 변화에 대응해 ‘작은 기획’을 필요로 한다. ‘작은 기획’을 통해 지역의 주민이 그 ‘장소’를 우선적으로 즐기고 향유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사문학은 이러한 관광패러다임의 변화에 대응하여 문화관광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아이템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Value of Gasa as a Resource of Culture-Tourism’. First, focusing to female Gasa, I investigated the cultural meaning ‘the culture of writing Gasa’. ‘The culture of writing Gasa’ have the cultural meaning which is the ‘daily life of the humanistic spirit’. The ‘daily life of the humanistic spirit’ is a spiritual value which modern peoples has lost. We need to inherite and develop the humanistic spirit of ‘Gasa’, and need to heighten our pride on the ethnicities. Therefore we must positively exhume ‘Gasa’ as a Resource of Culture-Tourism. Secondly, I investigated the point that ‘Gasa’ have the possibility to connect to the ‘place’. The ‘place’ is a keyword of tourism. ‘Gasa’ has various work-worlds, and huge pieces. If ‘Gasa’ connect to the ‘place’, It can help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region. Finally, I suggested the ways to conjugate ‘Gasa’ as a Resource of Culture-Tourism. The resource development of culture-tourism need a ‘little planning’ that response to changes in the tourism paradigm. A ‘little planning’ will make preferentially residents to enjoy the ‘place’. ‘Gasa’ is the best item to conjugate as a Resource of Culture-Tourism thatresponse to changes in the tourism paradigm.

      • KCI등재

        <경복궁영건가(景福宮營建歌)> 연구

        고순희 ( Soon Hee Ko ) 한국고전문학회 2008 古典文學硏究 Vol.34 No.-

        본고는 <경복궁영건가>의 작품세계를 분석하여, 그 의미를 밝히고 가사문학사적 의의를 재규명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본으로는 총 5편이 확인되었다. 작가는 나이가 70세이며, 조정대신이고, 경복궁 중건 사업에 깊이 관여하고 있었던 영의정 조두순이 확실하다고 보았다. <경복궁영건가>의 작품세계를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첫째, 경복궁의 역사를 서술한 전반부는 경복궁 중건의 정당성을 말하고자 한 것이었다. 둘째, 순조로운 공사의 진행을 말하는 가운데 부역군들의 자발적이고도 즐거운 노동만을 집중적으로 기술하였다. 셋째, 자신을 `나`로, 백성을 `너`로 설정하여 대화함으로써 스스로 몸을 낮추어 백성의 비위를 맞추려하였다. <경복궁영건가>는 19세기 중엽 상승한 민중의 힘을 역설적으로 반영해 보여준다는 의미를 지닌다. 그리하여 <경복궁영건가>는 19세기 중엽에서 개화기로 넘어가는 시기에 상층 사대부 가사의 변화 양상을 보여준다는 가사문학사적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world of the work, Gyeongbokgung Yeonggeonga, enlighten its meaning, and reconfirm its significance in Gasa literature histor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five different versions of this work. And the writer was identified as the prime minister of Joseon dynasty Jo dusun, who was 70 at that time and deeply engaged in the project for reconstruction of Gyeongbokgung. I analysed the world of the work, Gyeongbokgung Yeonggeonga into the three aspects. First, the purpose of the first half of description about Gyeongbokgung history was to proclaim the justice of reconstruction of it. Second, he described intensively on workers` voluntary and pleasant labor while stating smooth process of construction. Third, he set himself as `I` and the people as `you` when making conversation so that he might compliment the people by humbling himself. `Gyeongbokgung Yeonggeonga` has some implication that it paradoxically reflects the people`s power which increased in the middle of 19C. Therefore `Gyeongbokgung Yeonggeonga` has a significance of Gasa literary history in the sense that it tells us the changing aspect of Gasa of illustrious officers in the upper clas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만주망명 가사 <간운□> 연구

        고순희 ( Soon Hee Ko ) 한국고전문학회 2010 古典文學硏究 Vol.37 No.-

        <간운□>의 작가가 김우락 여사임을 밝히고, 그 생애를 살폈다. 김우락은 독립운동가 김대락의 여동생이자,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초대 국무령을 지낸 이상룡의 부인이다. <간운사>는 만주에 망명한 지 4년쯤 지난 시기에 고국의 형제자매를 그리워하며 지은 가사이다. <간운□>는 생애의 중요 국면을 기억하고 회상하며 자신의 심정을 고백했다. 작가는 만주에 살면서도 가사를 창작하고 낭독도 즐겼다. 작가의 가사 창작?향유와 가족의 반응 속에서 가사를 둘러싼 전통과 근대의 길항 작용을 엿볼 수 있다. <간운□>의 여성인식은 전통적 여성인식의 자장 안에 있다. 그런데 미세하게나마 근대적 여성인식을 향한 원심력의 작용이 감지된다. 19세기 중반에 태어나 20세기를 살아가는 한 노년 여성이 일제침략과 만주망명이라는 근대사의 충격에 의해 근대를 수용하지 않을 수 없었고, 그로 인해 여성인식의 외연이 확장된 양상이다. <간운□>에 드러나는 독립운동가 가족의 생활상과 독립투쟁의식은 근대를 수용한 양상으로 의미가 있다. 국권상실이라는 역사적 조건 하에서 `노블레스 오블리지(Noblesse Oblige)`의 실체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가사문학사적 의의를 지닌다. <Ganwunsa> is a work of gasa that has been introduced its text but almost no other parts known today. However, the contents of the work have many clues to trace the author. Therefore, the author of the work is known now as Mrs. Kim Woo-rak and her life has been known. Kim Woo-rak was born to a prestigious family in Andong and married to a man of a prestigious family in Andong as well. She was a younger sister of independent independence activist Kim Dae-rak and was a wife of Lee Sang-ryong who served as the first prime minister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After the Korea-Japan Annexation (in 1910), all of her family exiled to Manchuria to devote in independent movement. <Ganwunsa> is the gasa that she wrote while longed for her brothers and sisters remained in her homeland at a time she spent 4 years in Manchuria. The author wrote gasa and enjoyed reading them while living in Manchuria. In her <Ganwunsa>, she reminisced important phases of her life (growing → marriage → separation → exile → separation) and confessed how she felt in her memory. She mobilized the customary phrases and writing method of gasa for noble class women to express her emotion and sentiment of the time. The author lamented the position of women who have to long for brothers and sisters all their lives. While doing so, she fulfilled "the custom for woman to be submissive to her husband" and "three things woman has to comply with" in her life. The perception of women for <Ganwunsa> was within the boundary of the traditional perception of women. But it displays the expansion of external links from the traditional perception of women to the modern perception of women while present at the sit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 work environment of <Ganwunsa> was within the modern life in exile to Manchuria and independence movement. But the author focused on expressing her ordinary life and reminiscence that she did not directly portray the life as an independent activist and consciousness in independence struggle. She was a traditional woman born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but she had to accept the shocking modern society in losing the national sovereignty as an important phase of her life. By doing so, she gave up the tradition and accepted the modern times with several indications.

      • KCI등재

        특집 : 세계문학의 패러다임과 한국고전시가의 보편적 가치 ; 만주망명가사와 디아스포라

        고순희 ( Soon Hee Ko ) 한국시가학회 2011 韓國 詩歌硏究 Vol.30 No.-

        만주망명가사는 일제 강점기에 서간도로 망명해 독립운동을 하던 혁신유림 문중에서 창작된 7편의 가사를 말한다. 만주망명가사는 식민 상황에 대한 분노, 만주 망명 동기, 만주 이주 노정, 만주 생활, 독립과 환고향의 희구 등을 담고 있어 만주 디아스포라 문학으로 다룰 필요가 있다. 2장에서는 먼저 만주망명가사 7편의 개관을 제시했다. 이어 서간도 선택, 탈고향의 과정과 만주망명 여정, 만주에서의 생활 등을 살핌으로써 이들의 망명 생활이 정착 생활이 아니라 철저히 ``유목민 생활``이었음을 밝히고, 그 구체적인 양상으로 <신세타령>을 분석했다. 3장에서는 만주망명가사 7편을 관통하는 서정적 자아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규명했다. 7편 가사는 시적 정조의 핵심에 ``민족적 자아``를 지닌다. ``민족적 자아``란 ``개인 정서와 민족의식이 합일된 자아``를 의미한다. 육친에 대한 개인적 서정도 민족적자아에 수렴되어 있다. 4장에서는 작가들의 문화적 정체성이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살폈다. 작가들은 떠나온 식민지 조국에 절대로 소속할 수 없었고, 이주해간 중국에도 소속하려 하지 않은 ``경계인``으로서 중국에 동화되지 않았다. 이들은 그들만의 문화적 정체성을 지키려 했는데, 그 노력의 한 가지가 가사 창작이었다. 만주망명가사는 만주 디아스포라 의식의 초기적 양상을 드러낸다는 의미가 있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look at the Manchurian exile Gasa from a diaspora perspective. In Chapter II, this research suggested 7 pieces of Manchurian exile gasa first. Then, this research looked at their living in exile is not a settled one but a thoroughly ``Nomadic Life`` and as its detailed aspect, analyzed <Shinsetaryeong>. In Chapter III, this research inquired into what the essence of lyrica ego which penetrate 7 pieces of the Manchurian Exile Gasa. The seven pieces of Gasa assumes ``National Ego`` in the core of poetic sentiments. ``National Ego`` means ``the ego in which personal emotion and national consciousness`` are united into one. The lyricism of these pieces of Gasa corresponds with the historical imagery of a nation while jumping over the stage of personal emotion. In Chapter Ⅳ, this research took a look at in what aspect authors`s cultural identity appeared. The authors were marginal people who couldn`t belong to their colonial fatherland they left at all, or intended to belong to China they emigrated to. They tried to retain their own cultural identity instead of being assimilated to China, and one of such efforts was creation of Gasa. Manchurian Exile Gasa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exposes an initial aspect of Manchurian diaspora consciousness.

      • KCI등재

        일제강점기 < 경탄가 > 연구 -한 명문대가 후예의 봉건적 지식담론과 가문의식-

        고순희 ( Soon Hee Ko ) 한국시가학회 2015 韓國 詩歌硏究 Vol.39 No.-

        이 연구의 목적은 <경탄가>의 텍스트 분석을 통해 작가가 일제강점기 폭압적 정치구도와 강력한 근대문명사회로의 진전에 대응하여 보여준 현실인식을 규명하는 데 있다. <경탄가>의 작품세계를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누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일제강점기 한 명문대가 후예의 현실인식을 규명했다. <경탄가>의 작가는 치열하게 전개되었던 당시의 이념적, 역사적 변화 현실에 전혀 대응하지 않았다. 다만 유교적 이념에 입각하여 왕이 마련해 놓은 봉건적 체제와 질서 안에서 당대의 현실을 바라보았다. 작가가 집요하게 추구한 것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조선시대와 관련한 봉건적 지식 담론의 전달이다. 근대 학문인 ‘신학’이 날로 증대되는 현실이었지만 새로운 지식에 대한 성찰을 스스로 차단하고 한학자의 특권인 봉건적 지식을 자녀에게 전달하며 지식권력을 발휘했다. 또 하나는 명문대가의 후예라는 가문의식이다. 작가는 승품을 따내고, 명문대가의 후예라는 인식을 가족에게 심어주고, 여성통제 이데올로기의 강조를 통해 가문의 영속을 기도했다. 작가는 대내외적 혼란이 극심했던 격변기에 직면했던 자신의 문제를 가문의식으로 극복하고자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작가의 현실인식은 근대담론이나 일제강점의 현실을 회피하고 봉건적 지식담론과 가문의식 그 자체에 함몰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경탄가>의 작가가 보여준 현실인식은 당대 독립운동에 투신한 양반가 후예의 것이나 전통적 사고를 고수하던 도학파의 것과 구별되는 것이다. <경탄가>는 일제강점기 역사적 변혁기와 근대문명사회에 직면하여 명문대가 후예가 보여준 다기한 현실인식과 그에 따른 행보 중 극단의 한 예를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reality awareness of the writer through analyzing the text of <Gyungtanga>. It works by dividing the analysis into the first half and second half, and based on this I will reveal the reality awareness of the writer. The author did not correspond at all to the reality of historical and ideological change. Just on the basis of Confucian philosophy he only looked at the reality in the feudal system and order. The writer was intensively pursued two. One is the delivery of knowledge feudal discourse relating to the Joseon Dynasty. Despite the modern period increasing modern studies, He himself block the reflection on the new knowledge, he has demonstrated the knowledge power. Another is the family consciousness as a descendants of nobility family. The writer raised the government office, instilled the family consciousness as a descendants of nobility family to his family, wanted the honor of the family through the women control ideological. The writer had to overcome his problems to face on extreme confusion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with the family consciousness as a descendants of nobility family. Thus, the real recognition of the writer has avoided the reality of the modern discourse and the Japanese occupation, has buried itself in feudal knowledge discourse and the family consciousness as a descendants of nobility family.

      • KCI등재

        동학농민군 지도자의 가사문학 <경난가> 연구

        고순희 ( Ko Soon-hee ) 한국시가학회 2016 韓國 詩歌硏究 Vol.41 No.-

        <경난가>는 동학농민군 지도자로 활동했던 학초 박학래(1864~1943)가 창작한 가사문학이다. 4음보를 1구로 하여 425구가 되는 장편가사로 아직 학계에 소개되지 않은 작품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경난가>의 작품세계를 분석하고 그 문학적 의미와 문학사적의의를 규명하는 데에 있다. 먼저 <경난가>의 창작 배경과 이본 문제를 살폈다. 작가는 동학농민군으로 활동한 전력때문에 몰수된 재산을 되찾기 위해 서울을 다녀와야 했으며, 유랑생활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따라서 <경난가>의 창작 배경에는 갑오년 동학농민군으로 활약했던 작가의 정체성이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전하고 있는 두 이본 가운데 한국가사문학관본이 정본이며, <경난가>의 내용은 1897년 봄 안강읍 옥산리에 정착할 때까지이다. 다음으로 <경난가>의 작품세계를 살폈다. 작가는 갑오년 9월부터 1897년 봄까지 자신이 겪은 `서울 왕복 노정과 유랑생활`, 즉 `경난사`를 시간적 순서를 밟아가며 서술했다. 서울 왕복 노정과 유랑생활은 매우 이질적인 두 세계로 보이지만, 작가의 동학농민군 활동때문에 빚어진 것으로 일관성을 지닌다. 한편 작가는 동학농민군지도자의 정체성을 버리지 않고 `갑오년 동학농민전쟁의 상황과 참상`을 줄곧 서술했으며, `길에서 만난 민중(동학인)의 사연`에도 관심을 두고 서술했다. 마지막으로 <경난가>의 문학적 의미와 문학사적 의의를 규명했다. <경난가>는 갑오농민전쟁기라는 역동적 시기에 대응해 치열하게 자기의 삶을 개척해나간 한 양반 동학농민군 지도자의 삶과 의식을 반영하고 있다는 문학적 의미를 지닌다. 아울러 동학농민전쟁시기 박학래라는 인물 및 당시 민중의 형상을 생생하게 증언하는 다큐멘터리로 기능한다는 문학적 의미를 지닌다. 그리고 <경난가>는 갑오농민전쟁 당시 `역사·사회 현실에 대응한 가사문학`을 대표하는 가사 작품이라는 문학사적 의의를 지닌다. “GyongNanGa” is a Gasa written by Park-HakLae(1864~1943) who was the reader of Donghak peasant army. This Gasa is a long work of 425 lines, and is yet unknown to academ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world of work, and to clarify the literary meaning and literary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is work. First of all I searched the creative background and the problem of scripts. The writer went to Seoul because of receiving the stolen property, and had a nomadic lifestyle because of a past record activating the reader of Donghak peasant army. In the creative background of "GyongNanGa", the writer`s identity as the reader of Donghak peasant army was importantly operated. Among the two scripts, the hangukgasamunhakgwan`s script is the formal text. The contents of "GyongNanGa" end to the spring of 1897. Next I analysed the world of "GyongNanGa". The writer recorded his `Roundtrip to Seoul and nomadic life`. Two of the worlds seems to be very heterogeneous, but two of the worlds has consistency. Along with this, the writer described `Situation and Misery of Donghak Peasants War` and `The Story of Peoples meeting at the road` Finally I probed the literary meaning and literary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is work. "GyongNanGa" has the literary meaning to reflect the life and consciousness of one reader of Donghak peasant army, and to function as the documentary to represent the modern period. The literary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is Gasa work is the representative one among the Gasa works to respond to the history and society at the period of Donghak Peasants War.

      • KCI등재

        만주망명가사의 작품세계와 미학적 특질

        고순희 ( Soon Hee Ko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2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5

        이 논문은 만주망명가사의 작품세계를 분석하여 그 미학적 특질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만주망명가사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여성의 작품이다. 먼저 작품세계의 양상을 객관적으로 분석했다. 서정적 세계, 서사적 세계, 그리고 교술적 세계 등 진술양식의 분석틀로 나누어 그 양상을 분석했다. 작품 전체를 지배하는 것은 서정적 세계이다. 서정적 세계는 ``고국과 고국인에 대한 서정``과 ``나라의 현실에 대한 서정``으로 구성되었다. 서사적 세계는 망명서사와 결혼서사로 이루어졌다. 망명서사는 직접적으로, 혹은 서정적 진술 속에서 서술되었다. 교술적 세계는 젊은 작가의 가사에서 발현되었다. 젊은 작가는 논리적으로 자신의 견해를 서술하기도 하고 애국계몽의 발언을 당당히 표출했다. 다음으로 만주망명가사의 미학적 특질을 규명했다. 만주망명가사는 현대의 독자들과 만나 실현화될 때 다양한 미학적 특질을 드러낸다. 만주망명가사는 가사 장르의 기본적 특성 상 시적 평면성을 어느 정도 지닌다. 하지만 서사적 세계와 교술적 세계는 작품에 현실성을 부여하고, 이러한 현실성은 서정적 세계의 진정성을 확보해주었다. 그리고 다소 평면적일 수 있는 가사문학임에도 불구하고 현실성과 진정성으로 말미암아 그 시적 긴장을 어느 정도 유지할 수 있었다. 한편 만주망명가사는 여성 특유의 소박하면서도 생생한 문체로 말미암아 시적 생동감을 획득하고 있는 미학적 특질을 드러낸다. 이러한 만주망명가사의 미학적 특질은 남성 작 만주망명가사 <憤痛歌> 및 ``만주망명인을 둔 고국인의 가사``의 것과 차이점을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oetic statement form and explicate their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Gasa at Manchuria Exil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6 Gasa`s <WemoSa>, <JosonByeolseo>, <GanunSa>, <WonbyeolGara>, <SinseTaryeong>, <NunmulpurinYibyeolga> which is written by women. In Chapter 2, The world of these gasa`s has been analyzed in three ways. First the lyrical world of those works were analyzed from two viewpoints, (1), the missing on the lost country and the peoples in there, (2), the outpourings of spirit into the reality that the country has been taken away by Japan. Secondly the narrative world of these gasa`s were analyzed. Thirdly the didactic world of these gasa`s were analyzed. The feature of the lyrical, narrative and didactic world of these gasa`s were objectively analyzed .In Chapter 3,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Gasa at Manchuria Exile`` is clarified. When the works meet with readers, the works is realized and reveals various aesthetic characteristics. ``Gasa at Manchuria Exile`` has basically poetic planarity, because these ganre are Gasa. But the lyrical and narrative world has reality and authenticity, therefor maintain the poetic tension. the didactic world which is made by two young women give to works reality. On the other hand ``Gasa at Manchuria Exile`` gains the poetic vibrancy by the simple and vivid style of feminine. Thes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Gasa at Manchuria Exile`` Were compared with <Buntongga> written by nan and ``Gasa`s written by the Families of Diasporan Koreans in Manchuria``.

      • KCI등재

        서남지역 중국소수민족의 모피와 피혁류 복식 연구

        고순희(Ko Soon-Hee),장현주(Jang Hyun-Joo) 한복문화학회 2010 韓服文化 Vol.13 No.2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r and leather clothes worn by the China's minority races in Southwest regions by classifying them into caps, costumes, and shoes, based on the study of the literature. It also tries to compare them with those of the Northeast Mongolia, the precedent study. It is found out that the leather hats were worn by the nomads in the highland of the southwest regions to protect them from the intense cold weather and the ultraviolet rays. They are classified into 3 types by shape: cylinders, flower petals and helmets. Their clothes included the long topcoats for protection against cold, coats, vests and cloaks. The length of the top coats had the distinctiveness of the Tibet's, with their length to the ankles and their sleeves to the thighs. The edges of the top coats were decorated with the leopard or tiger leathers to emphasize manly valor. They wore their vests with the fur parts inside on clear days and with the fur parts outside on rainy days. They used their cloaks for protection against wind in the daytime. They were heavy and thick enough to use them as a blanket at night. They were appropriate for nomad life. As for their shoes, boots were well developed. At the same time, shoes were found out for their daily lives. Considering the cold weather and the height of the southwest regions, furs and leathers used for their clothes were very useful for protection against cold weather. They gave importance to both function and ut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