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서울굿의 유흥성을 바라보는 시각

        홍태 남도민속학회 2009 남도민속연구 Vol.19 No.-

        이 글은 서울굿의 유흥성을 바라보는 시각을 정립한 글이다. 굿은 제의성을 목표로 하지만, 그 목표 달성을 위하여 유흥성을 강조한다. 독립적인 굿거리가 아닌 <대감거리>가 후대에 오면서 독립적인 굿거리가 된 것은 유흥성을 강조하는 차원에서 대감신의 위상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아울러 진오기굿에서도 <사재삼성거리>를 철저하게 유흥성을 강조하는 측면으로 연행하여 굿에 참가한 재가집의 긴장을 완화시켜 굿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게 하는 데 기여한다. 현재 실체가 규명되기 시작한 <은하다리굿>은 무당굿이 줄타기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음을 드러내는데 이 역시 굿의 유흥성을 드러낸다. 이러한 유흥성을 강조하는 것은 무당굿이 다양한 공연물을 의식한 결과이다. 20세기에 접어들면서 판소리의 무대화가 일었다. 창극과 국극으로 대표되는 판소리의 무대화는 기존 판소리의 공연성을 재점검하게 했다. 단순히 ‘제’라는 것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특정 판소리 창자의 개성을 그대로 받아들여 무대에 올려 관객의 호응을 받는 ‘류’로 변화했다. 무당굿도 다양한 변화가 일어났다. 무당굿이 단순하게 무당굿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무당굿에 나오는 사설들이 유용한 공연물로 인식되게 되었다. 무당굿에서도 나름대로의 유흥성의 확보를 위해 노력하였을 것이고, 그러한 흐름의 연장선상에서 유흥성이 있는 다양한 거리들이 새롭게 재편된 것으로 본다. 제의성을 강조하던 무당들이 무속의 생명력을 확보하고, 대중성을 확보해가던 19세기~20세기 초의 유흥문화의 흐름에서 경쟁력을 갖기 위하여 유흥성을 굿에 적극 수용했다. 이것은 달리 말하면 한국 무속이 가지고 있는 현실 적응력이다. 이러한 적응력으로 말미암아 한국 무속은 개화기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살아남을 수 있었다. 무속이 공연 예술화하는 현실의 흐름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유흥성을 받아들인 것이다. This paper described the viewpoint of amusement about seoul gut. Though gut had a ritualism as a goal, it insisted an amusement in order to achieve a goal. Daegam geo-ri on posterity became independent gut geo-ri , that’s because the status of daegam god became different on an aspect of insisting an amusement. Moreover, sajaesamseing in Jinogi gut geo-ri absolutely was performed on a side of insisting an amusement. Amusement of gut was bound up with both eunhadari gut, which identified substance, and relation of walking a tightrope and mudang gut. Insisting an amusement is a result thing that mudang gut became conscious of various performances. Several factors of mudang gut became aware of useful performance, not just mudang gut. Mudang gut certainly tried to keep an amusement. On this extension line of stream, a variety of gut including an amusement were newly reorganized. This is the actual adaptation of Korean shamanist practice. Korean shamanist practice have been alive and through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age of enlightenment because of actual adaptation. A responsive Korean shamanist practice about stream of reality have accepted an amusement.

      • KCI등재후보

        서울굿 신령 대신의 의미와 기능

        홍태 무형유산학회 2022 무형유산학 Vol.7 No.2

        이 글은 서울굿 신령 대신의 의미와 기능을 살핀 글이다. 한국 무속에서 무당은 굿을 맡은 자신의 근본을 내세우는데 이러한 상징으로 존재하는 것이 대신이다. 대신은 서울굿에서 무당의 조상을 의미하면서 무당이 존재할 수 있는 영적 기반을 나타낸다. 그것은 무당이 가지고 있는 권능의 기반이 되기도 한다. 점상 앞에 앉아 점사를 뽑는 서울의 무당을 일러 대신이라고 칭하는 데에서 무당은 단순하게 내림굿을 통해 입무하고 무업에 종사하는 것이 아니라 내력을 가지고 계보를 이어오면서 굿을 맡은 근본이 있음을 내세운다. 이것은 굿을 맡은 무당의 정당성 확보가 되면서 무속의 정당성을 나타내는 기반이 된다. 황해도굿에서는 이를 일러 성수하고 하는데 서울굿의 대신보다는 범위가 넓어 모든 신령을 의미하면서도 굿을 맡은 무당을 의미하기도 한다. 호남지역에서는 <치국잡이>를 통해 근본을 드러내지만, 대신이나 성수와 같은 구체적인 신령은 없다. 하지만 근본과 내력을 살피고 쳐드는 점에서는 서울굿과 일치한다. 이러한 탐색을 위해 서울굿에 나타난 대신의 양상을 살폈고, 비교 고찰을 위해 황해도굿의 성수를 살폈다. 세습무에게는 대신이 나타나지 않아 이와 유사한 기능을 가진 <내림>, <치국잡이>를 살펴 대신처럼 근본을 내세우는 것이 한국 무당굿에 보편적으로 존재하고 있음을 나타냈다.

      • KCI등재

        서사무가 바리공주의 形成과 展開

        홍태 한국구비문학회 1997 口碑文學硏究 Vol.4 No.-

        바리공주는 한국 서사무가의 대표라 할 만하다. 전국적으로 誦되어 상당량이 채록보고 되어 있으며 굿판에서 서사무가가 소멸지고 있지만 아직도 바리공주를 구송할 수 있는 무당이 상당수 남아 있다는 것에서 바리공주의 자료적 가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리공주에 대한 연구 성과도 어느 정도 진척되어 있는데 바리공주가 집중적으로 연구된 것은 90년대에 들어오면서부터이다. 각 대학별로 바리공주를 주제로 한 석사학위논문이 발표되었으며 각 異本別 특징 및 巫歌圈의 區劃, 신모신화로서의 연구, 판소리와의 관련성 및 비교 연구, 바리공주 구송 현장에 대한 연구 등이 이루어졌다.

      • KCI등재

        수륙재 문화콘텐츠화의 방향과 과제 검토

        홍태,박인서 실천민속학회 2017 실천민속학연구 Vol.29 No.-

        This article has examined the direction and task of developing Suryukjae, an iconic Buddhist ritual, into culture content. Today, Suryukjae is held in several temples around the country but it falls short of developing it further into cultural content, and this article seeks to address relevant issues and to suggest the right direction. First, literary research into bibliographic data has confirmed a lack of basic data and a subsequent need for establishment of cultural content. Many scholars engaging in research of cultural content should step up effort in pointing out the necessity of constructing these basic data, and examine closely how these basic data actually work in the field of performance. There are literature data, but discussing them in this reality of not many people examining them may be pointless. Watching the image content reaffirms a need to secure accurate and abundant image data with high priority. Therefore, images should be recorded on a session basis but it is also necessary to record images on a field basis as well. To do this properly requires collaboration between the professional photographers and the experts in relevant fields as well. It is the field inspector of Suryukjae who is in charge of all of these and more. A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what is stated above requires the establishment of the viewpoint for Suryukjae. First, we need to recognize Suryukjae as a narrative. Next, we should examine how each of those components works in narrative story. This raises a need to view Suryukjae as a performing arts. In addition, Suryukjae should not be viewed centered around Seoldan and/or Monk Eosan, but instead on the scene where Suryukjae is performed and on communications with the audience so that it is taken from the perspective from all participants. Here are several suggestions to accomplish these successfully, including, first, establishing the basic data of Suryukjae and building archives, developing content incorporating consumers' desire, third, expansion of combining performance arts with Buddhist rituals, fourth, developing a variety of performances and fifth, solidifying the status of Suryukjae by raising awareness of the value of death. For this, Buddhist rituals should be popularized with more intensive research into Buddhist rituals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viewpoint of viewing Buddhist rituals as one of the folk rituals. 이 글은 불교의례의 대표인 수륙재의 문화콘텐츠화의 방향과 과제를 살핀 글이다. 현재 여러 사찰에서 수륙재가 설행되고는 있지만 현장 자료를 바탕으로 한 문화콘텐츠화는 진행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이 글을 쓴 것이다. 먼저 그동안 간행된 문헌자료를 살펴보니 문화콘텐츠의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가 많지 않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문화콘텐츠를 연구하는 많은 학자들이 이러한 기초 자료 구축의 필요성을 더욱 지적해야 할 것이고, 기초 자료가 설행 현장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도 살펴야 할 것이다. 문헌 자료가 있지만 이를 살펴보는 이가 적은 현실에서 문화콘텐츠를 논하는 자체는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영상 자료를 살펴보니 정확하고 풍부한 영상 자료의 확보가 우선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재차별로 영상을 기록해야 하겠지만, 분야별로의 영상 제작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라면 촬영 전문가와 해당 분야 전문가의 협업이 요청된다. 이 모든 것을 넘어서는 것은 수륙재 현장 참관 조사가 되겠다. 그러기 위해서 수륙재를 바라보는 관점 정립이 필요하다. 먼저 수륙재를 서사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서사 줄거리에 각각의 구성 요소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살펴야 한다. 이것은 수륙재를 공연예술로 바라볼 필요성까지 제기한다. 그리고 수륙재를 설단 중심, 어산 스님 중심으로 볼 것이 아니라, 수륙재가 설행되는 현장 중심, 관객과의 소통을 염두에 두어서 모든 참가자 중심으로 바라보아야 한다. 이러한 것을 이루기 위해서는 첫째, 수륙재 기초 자료의 정립과 아카이브의 구축 필요, 둘째 수요자 욕구 반영한 콘텐츠 개발, 셋째 공연예술과 불교의례의 만남의 확충, 넷째 다양한 공연물의 개발, 다섯째 죽음의 가치 인식 제고로 수륙재 위상 정립 등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불교의례를 대중화해야 하고, 불교의례 연구를 좀더 집중해서 진행해야 하고, 불교의례를 민속의례의 하나로 바라보는 관점 정립이 필요하다.

      • 무형문화자원으로서 근현대 산업유산의 가치와 의미 -인천 지역을 중심으로-

        홍태 무형유산학회 2020 무형유산학 Vol.5 No.1

        This article is an exploration of the value and meaning of modern and contemporary industrial heritages as intangible cultural resources. As laws that would bring great changes to intangible cultural asset policies became public in 2016, interest in modern and contemporary industrial heritages increased. As inheritances are passed down among generations in response to sociocultural environments, their values are acknowledged. At this, this article explores the meaning of modern and contemporary industrial heritages focusing on the Incheon area. First, this article established people (memories), time (history), spaces (locations), and objects (components) as standards of perception in the observa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industrial heritages. Modern and contemporary industrial heritages are based on the flow of history. There would be a periodical background to when these were created and as time passes, they become history. History is recorded, gains its own value, and controls the awareness of people. Also, modern and contemporary industrial heritages possess the placeness of the spaces they are located in. The reasons for why they are located in their spaces are related to the social flow of the times, the thoughts of people, and periodical changes. Objects, which are the components of modern and contemporary industrial heritages, show time and space in detail. Spaces pass on total and general meanings and objects that are components can pass on individual and personal meanings. Single memories given to people through the combination of space and time are formed into stories and passed on. Stories are based on the memories of the individuals who narrate them and the memories and interpretations of the individuals are combined, recreated into new stories, and are spread and passed on. Stories demand detailed evidence when they are spread and passed on and objects have important meaning as components. Also, as focus is placed on time, space, and components, people’s memories are what look into these subjectively and add meaning to modern and contemporary industrial heritage. Therefore, the memories accumulated by individuals should be collected with focus placed on time, space, and components so that they can be utilized as intangible cultural resources. Many industrial heritages related to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remain in Incheon and there are several that were established in Korea for the first time. If memories related to these are collected, they can become intangible cultural resources. If memories and records of modern and contemporary industrial heritages are collected, they become recorded cultural heritages, and if these are utilized, they becom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For this, research is needed first on archive construction, second on individual life histories, and third on various skills focused on manual labor. In addition, new methods that can add value to currently existing modern and contemporary industrial heritages and manage them must be searched for and systematic research must be conducted.

      • 서울 전농동부군당의 향방

        홍태한(Hong, Teahan) 서울민속학회 2016 서울민속학 Vol.- No.3

        이 글은 서울시 동대문구 전농동부군당의 현재 모습을 바탕으로 전농동부군당의 무신도봉안 양상 및 실존인물 조반의 부군신령화 등 몇 가지 특징을 살펴본 글이다. 현재 전농동부군당에는 11점의 무신도가 봉안되어 있는데 무신도의 도상과 이름을 바탕으로 하여 두 유형으로 구분하여 의미를 살폈다. 무신도의 한 유형은 전형적인 무속의 신령들을 봉안한 것으로 이는 전농동부군당이 마을당이기 때문이다. 또 다른 한 유형은 조선시대 국왕의 거둥 행차를 그림으로 그린 것이다. 행차의 앞과 뒤에 따르는 여러 행렬의 모습을 그린 것으로 처음에는 부군당의 배경 역할을 하다가 어느 순간 무신도로 받들어지게 된 것으로 보았다. 또한 전농동부군당에는 조반(趙胖)이 부군신령으로 봉안되어 있다. 전농동에 전농시(典農寺)가 있어 국왕의 농사 행사를 감당했고, 이러한 성격이 조선시대 토지 개혁과 관련이 있는 조반을 부군신령으로 모셨다고 보았다. 현재 전농동부군당은 공원으로 꾸며져 있다. 부군당보존회가 있어서 모든 제의를 맡고 있어 새로운 마을신앙 모델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This article has taken a look at a few characteristics on the basis of the present appearance of Jeonnong-dong Bugundang in Dongdaemun-gu. Currently, Jeonnong-dong Bugundang has 11 pieces of Musindo enshrined and, on the basis of the drawing and name of Musindo, it is classified for two types to take a look at the implication. A type of Musindo is to enshrine the local gods of traditional shamanism as it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Jeonnong-dong Bugundang is the village shrine. Another type was to paint the march of the king during the Joseon Era in painting. It is the drawing of appearance for several marches leading in the front and following in the back for the march that it was shown at first to support Musindo in certain moment after engaging in the role of background of Bugundang. In addition, Jeonnong-dong Bugundang has Joban enshrined as Bugunsinryeong. Jeonnong-dong has an administrative office of Jeonnongsi to engage in the agricultural events for the king and this type of characteristics are considered as enshrined Joban as the Bugunsinryeong pertinent to the land reformation of the Joseon Era. The current Jeonnong-dong Bugundang is built for a park. The Bugundang Conservation Society undertakes all propositions to be considered as the model for new village faith.

      • KCI등재

        황해도 진진오기굿의 연행구조와 의미

        홍태한 ( Hong Tea-han ) 배달말학회 2019 배달말 Vol.64 No.-

        이 글은 황해도 진진오기굿의 연행 구조와 의미를 살핀 글이다. 황해도굿은 현재 서울, 인천, 경기에서 주로 연행되는데 특히 망자를 천도하는 진오기굿이 자주 열린다. 진오기굿은 망자가 죽은 이후 언제 열리는지에 따라 명칭이 다른데 이 글에서 대상으로 삼은 것은 망자의 죽음 이후 49일 전에 주로 열리는 진진오기굿이다. 망자의 갑작스러운 죽음이 가져온 슬픔과 충격에서 벗어나도록 도와주는 굿이 진진오기굿이다. 이 글에서는 황해도 진진오기굿의 굿거리 구성을 살펴보고, <안등신 좌정하기>와 <영실감흥거리>가 진진오기굿을 바라보는 만신의 서로 다른 관점의 반영임을 제시했다. 그리고 진진오기굿을 구성하는 개별 굿거리의 의미를 도출하고 이를 통해 황해도 진진오기굿은 시왕과 사자가 중심이 되다가 마침내 망자를 출연하게 하여 죽음이 가져온 이별의 고통을 치유하고 있다고 보았다. 이것은 망자와 산자의 갑작스러운 단절이 진진오기굿을 통해 소통으로 이루어지고, 굿이 진행되면서 자연스러운 분리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제시했다. 결국 황해도 진진오기굿은 죽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죽음을 수용하게 하는 유용한 장치임을 규명하였다. This article is on the performance structure and its implication of Jinjinogi-gut of Hwanghaedo. The Hwanghaedo-gut is mainly performed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today, and in particular, the Jinogi-gut that leads the deceased to heaven is frequently held. The Jinogi-gut has different named depending on when it is held after passing of the deceased, and the subject in this article is the Jinjinogi-gut that is mainly held 49 days prior to the passing of the deceased. The gut that helps to break away from sorrow and shock from the sudden passing of the deceased is the Jinjinogi-gut. In this article, the gutgeori (performance of shamanism) composition of the Jinjinogi-gut of Hwanghae-do has been sought, and it presents that < Andeunsin Gwajeonghagi > and < Youngsilgamheunggeori > are reflecting the mutually different point of view of the mansin (10 thousand gods or sometimes, female shaman) that looks at the Jinjinogi-gut. And the implication of individual gutgeori that composes the Jinjinogi-gut is formulated, and through this endeavor, the Jinjinogi-gut of Hwanghae-do has become the center of Siwang (ten underworld kings) and saja (the angel of death), and with the deceased appearing at last, it is considered to be healing of pain from departure from the death. It has presented that the sudden isolation of the deceased and the live people is made in communication through the Jinjinogi-gut, and with the gut (shaman dance) in progress to make natural separation. Consequently, the Jinjinogi-gut of Hwanghae-do has been clarified as it enhanced the understanding of death and it is the useful device to accommodate death.

      • KCI등재

        강화 교동도 진오기굿의 구성과 특징

        홍태한(Hong, Teahan) 한국무속학회 2013 한국무속학 Vol.0 No.27

        이 글은 강화도의 부속 섬인 교동도에 전승되는 진오기굿의 구성과 특징을 살핀 글이다. 교동도에는 독자적인 구성을 가진 진오기굿이 전승되고 있어 관심을 가질 만하다. 교동도 진오기굿은 사자와 함께 망자가 들어오고, 망자가 여러 죽음의 정황을 상세하게 말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지역의 굿과 다르다. 임종 시의 모습, 입관 하관시의 모습을 이야기하고 이것이 마을 주민들에게 인정받음으로써야 굿이 완성된다. 또한 교동 진오기굿에는 서사무가로 연행되는 〈바리공주〉가 없다. 김포 강화 등지에 바리공주가 연행되고 있음에서 이 부분은 교동굿의 독특함이라 할 만하다. 아울러 장단의 짜임이나 굿상차림, 무복의 활용도 독자성이 있고, 자리전과 시왕시루를 통해 죽음 이후의 결과를 알아보는 것도 독자적이다. 무엇보다도 교동도 진오기굿은 한국의 무당굿이 지역적으로 대단히 다양했음을 보여주는 증좌이다. 앞으로 지역별로 전승되는 독자적인 무속 양상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looked into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Jinogi Gut, which has been inherited in Gyodong-do, which is an ancillary island of Ganghwa-do. It is noteworthy because Jinogi Gut, which has a unique composition, has been inherited in Gyodong-do. Jinogi Gut in Gyodong-do is featured with certain scene in which the angel of death enters the field of Gut along with the dead, and the dead explain the situations of various deaths in detail. The Gut is completed when the appearance at the time of dying and the appearance of a casket and lowering a coffin into the grave are explained to and approved by the villagers. Also there is no “Barigongju” (Princess Bari), which is performed as a narrative shamanistic song in the Jinogi Gut of Gyodong. From the fact that Barigongju is performed in Gimpo and Ganghwa, it becomes a feature of the Gyodong Gut. Furthermore, the composition of the beats or table settings of the Gut and the utilization of a shamanistic harment have unique features. Also it is unique that the result after death is sought through Jarijeon and Siwangsiru. Above all Jinogi Gut of Gyoding-do is proof in showing that the shamanistic Gut of Korea has received great local influences. In future, it is necessary to pay much more attention to unique shamanistic patterns that have been inherited by re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