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치의 갱신과 작은교회운동

        하홍규 한국사회이론학회 2022 사회이론 Vol.- No.61

        This essay takes as its subject the renewal of religious values and small church movements. First, after developing the sociology of values, it tries to describe the small church movements as a value-oriented movement focusing on their orientation for the movements. The sociology of values is an attempt to develop a method of sociologically dealing with the values while discussing the problem of value itself. Values cannot be subject to empirical observation by themselves, but they become visible through the actions of people motivated by values. In particular, values can work most visibly at the moments of competing and conflicting social processes. The small church movements occurring in Korean Christianity are then viewed as the value-oriented movements, focusing on how the renewed values excavated from the repository of religious values are being realized by the practitioners of the small church movements. The small church movements do not just represent the emergence of small churches, but refer to dynamic activities in which various solidarity activities are carried out at the dimension of movement under new values such as ‘Beyond-Growth,’ ‘Beyond-Clericalism,’ and ‘Beyond-Sexism,’ which are in fact reversed from the existing values. Therefore, this essay defines the small church movements as value-oriented collective actions through the renewal of values drawn from the religious value repository, and argues that those values are practically revealed and shown by exercising actors in the process of renewed self-development of religion itself. Since religion is a treasure trove of values, the religious movements are the most appropriate topic to develop the sociology of values. 이 글의 주제는 가치의 갱신과 작은교회운동이다. 먼저 가치의 사회학을 발전시킨 후, 작은교회운동을 가치 지향적 운동으로 보고, 그들의 운동적 지향성에 대해 기술한다. 가치의 사회학은 가치의 문제 자체를 논의하면서, 가치를 사회학적으로 다루는 방식을 발전시키려는 시도이다. 가치는 그 자체로 경험적 관찰의 대상이 될 수 없지만, 가치에 의해 동기 부여된 사람들의 행위를 통해 가시화된다. 특히 가치는 경합하고 갈등하는 사회적 과정의 순간에 가장 가시적으로 작동한다. 그러고 나서 한국 기독교 내에서 일어나고 있는 작은교회운동을 가치 지향적 대안 운동으로서 묘사하여, 운동의 실행자들에게서 그들이 종교라는 가치의 보고로부터 발굴하여 추구하는 갱신된 가치가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 서술한다. ‘작은교회운동’은 단지 작은 교회들의 등장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가치를 전도시킨 ‘탈성직, 탈성과, 탈성별’과 같은 새로운 가치를 내걸고 운동 차원에서 다양한 연대 활동을 하는 역동적 활동을 가리킨다. 따라서 이 글은 작은교회운동을 가치의 보고로부터 끌어낸 가치의 갱신을 통한 가치 지향적 집합 행동으로 정의하고, 그 가치는 종교 자체의 갱신적 자기 발전의 과정에서 운동하는 행위자들에 의해 실천적으로 드러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종교는 가치의 보고(寶庫)이기에, 종교 운동은 가치의 사회학을 발전시키기에 가장 적절한 주제이다.

      • KCI등재

        기독 학부모의 자녀 양육론 -기독교적 가치 교육을 중심으로

        박은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0 기독교교육논총 Vol.24 No.-

        Value system has been confused and collapsed. Value systems of family, schools, Christian schools, even church schools have been also confused, so they have difficulties in teaching important values. Therefore,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responsibility of Christian families and the content and method of value education for Christian families to do their effective roles. Value is the concept of thinking of the important things in life and the concept of desirable things. It is the criterion which evaluates and judges something, so it functions in the cognitive area. It is also to have the motivation and attitude for something according to values, and it functions in the affective area. It is also to decide the direction of action and define one’s actions according to values. Therefore, it functions in the behavioral area. Values have been formed by interactions in the society. Many studies showed that agreement of parents on values and beliefs, agreement of parents-children’s opinion, the role of the father, parents’ positive response to the situations of moral conflict,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with warmth,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parents’ training for their children to participate religious activities were effective for value education. Christian parents need to teach the hierarchy of values, the values of purpose rather than the values of means, intrinsic values rather than extrinsic values and universal values. The author suggested the content of Christian value education; Christian beliefs, mature intrinsic faith, Christian values, such as, love, peace, freedom, and justice based on Christian world view. She also suggested that Christian parents need to check on their value system and be mature enough to be the positive identification models for their children. Christian parents need to realize how the quality of child-rearing influences the value education and to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and to use concrete methods for value education.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가치체계가 혼란해지고 붕괴되어 가족구조와 관계, 학교교육, 기독교학교, 심지어 교회학교까지도 가치체계가 변화하여 올바른 가치교육을 위한 기관으로서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기독교 가정이 가치교육을 효율적으로 담당할 수 있도록 기독교 가정의 책임에 대한 인식, 다른 기관들과 어떤 긴밀한 관계를 맺고 가치교육을 실시해야 하며, 어떤 내용으로 교육해야 하는지, 어떤 방법으로 가치교육을 실시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하고자 하였다. 가치란 삶에 있어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 바람직한 것에 대한 개념이다. 어떤 것을 평가하고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인간의 인지적인 영역에서 기능을 하고, 어떤 것에 대해 동기를 갖고 가치관에 따라 다른 태도를 갖게 하는 정의적인 영역에서 기능을 하고, 행동의 방향을 결정하고 실제로 가치관에 따라 행동을 규정짓는 인간의 행위적 차원에서 그 기능을 한다. 가치는 개인이 속한 사회와 문화의 영향을 받으면서 내면화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부모의 가치나 신념에 대한 의견 일치, 부모-자녀간의 의견 일치, 아버지의 역할, 도덕적 갈등 상황에 대한 부모의 적극적 반응, 애정을 가진 권위적인 양육방식, 부모-자녀의 긍정적 관계, 자녀들이 종교 활동에 참여하도록 훈련시키는 부모 등의 역할이 가치교육에 효과적이었음이 여러 연구들을 통해 밝혀졌다. 기독교적 가치교육을 위한 기독 학부모의 자녀 양육을 위해서 가치의 위계질서에 따라 가치가 선택되어 내면화되도록 교육해야 하며, 수단적 가치보다 목적적 가치를, 외재적 가치보다 내재적 가치를 추구하도록 방향을 설정해야 하며, 모든 사람들에게 변함없이공통적으로 적용되고 기준이 되는 가치, 즉 보편적 가치를 교육해야 한다고 가치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기독교적 세계관을 기초로 자녀들에게 기독교적 신념과 성숙한 내재적 신앙과 기독교적 가치, 즉 사랑, 평화, 자유, 정의의 가치를 교육내용으로 가르쳐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가치교육에 있어서 부모의 역할로 먼저 부모 자신들의 가치체계를 점검해보고 긍정적인 동일시 모델이 되기 위해 자신들을 성장시켜 나가야 함을 제안하였고, 가치교육에 있어서 현대 사회에서 많이 소홀해지고 있는 아버지의 역할에 대한 강조를 제안하였다. 부모의 양육방식, 즉 양육의 질이 가치교육에 영향을 끼침을 인식하고 자녀들과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도록 제안하면서 가정에서 실시할 수 있는 구체적 활동을 소개하였다.

      • KCI등재

        가치분석 수업의 이론적 기초와 교수전략

        이재호,김항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4 敎員敎育 Vol.40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heoretically explore issues raised in the transition from traditional values education to values education based on Western liberal philosophy in the context of values analysis by focusing on theory and teaching strategies. Methods: Firstly, the researcher analyzed the research outcomes of values education as a direct target of curriculum education through investigating values issues. Three fundamental issues arising from the changing trends in values education were identified. Subsequently, to gain a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se issues the discussion focused on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values analysis and teaching strategies. The theoretical basis of this theory based on the good reasons approach in analytic ethics was then examined. Finally in relation to these three issues, teaching strategies of values analysis were explored. Results: The two safety devices applied in values analysis teaching strategies, practical judgment, and value judgment serve as educational prescriptions to minimize limitations that may arise in granting young students the freedom to choose values. Regarding the relativistic issue of value criteria inherent in values education based on liberal philosophy, the values analysis theory not only takes a critical perspective but also applies it as a target for overcoming and implementing teaching strategies. Lastly, concerning the compatibility issue between granting individuals the freedom to choose values andestablishing the universality of value judgment the values analysis theory applies to teaching strategies the possibility that both aspects can be pursued and implemented simultaneously, rather than being mutually exclusive. Conclusion: It cannot be denied that in the classroom, the act of judging and deciding values is given to students. The crucial point is to consider how the results of individual judgments can be universally accepted and to understand values education in the discourse of practice beyond the discourse of explanation.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인 가치교육에서 서구 자유주의 철학에 기반한 가치교육으로의 변화과정에서 제기되는 쟁점을 가치분석의 이론과 교수전략과 관련하여 이론적으로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먼저 가치문제를 직접적인 탐구 대상으로 하는 교과교육으로서의 가치교육에 관한 그동안의 연구 성과를 분석하고 가치교육의 변화 양상이 초래하는 근본적인 쟁점 세 가지를 도출하였다. 그런 다음, 도출된 쟁점을 면밀하게 이해하기 위한 논의의 거점을 가치분석의 이론과 교수전략에 두고 이 이론의 근거를 분석윤리학의 정당근거론에 입각하여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세 가지 쟁점과의 관련 속에서 가치분석의 교수전략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가치분석 교수전략에서 적용하고 있는 사실판단과 가치판단의 두 가지 안전장치는 가치의 선택권을 어린 학생에게 부여하는 과정에서 초래될 수 있는 한계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교육적 처방이다. 그리고 자유주의 철학에 기반한 가치교육이 안고 있는 가치 기준의 상대성 문제와 관련하여 가치분석이론은 분명하게 비판적인 관점을 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그것을 극복의 대상으로 삼아 교수전략을 적용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개인에게 가치의 선택권을 부여하는 것과 가치판단의 보편성을 확립하는 것의 양립 가능성 문제와 관련하여, 가치분석이론은 양자가 이율배반의 성격을 띠는 것이 아니라 양자를 동시에 추구하여 구현하는 것이 가능함을 교수전략에 적용하고 있다. 결론 우리는 수업에서 가치를 판단하고 결정하는 행위 주체가 학생에게 주어져 있다는 점을 부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중요한 것은 개인이 내리는 판단의 결과가 어떻게 보편성을 확보하는 가운데 수용 가능한지를 고려해야 한다는 점, 그리고 설명의 담론을 넘어 실천의 담론에서 가치교육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 Teaching Young Children Values in a Multi-religious Secular Society

        Wu Pinhui Sandra(Wu Pinhui Sandra ) 한국공공가치학회 2023 공공가치연구 Vol.5 No.-

        Purpose: Singapore is a multi-religious society where the state is secular, and different religions coexist. Values are taught at home and in schools from young. The government has a set of national values that underpin the Character and Citizenship Education which begin from primary education. Howeve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national frameworks do not explicitly articulate the values that should be cultivated in children below six years of age up till November 2022, when the revised Nurturing Early Learners Framework is launched and explicate values that should be cultivated at preschool level. Against this diverse sociocultural context, this paper seeks to unpack these values and find out current centre practices on the ground. Method: This paper uses data of a qualitative study where purposeful sampling is used to select research sites and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various types of operator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landscape. Semi-structured interviews are conducted for data collection and analysed using thematic analysis. The data presented in this paper offers insights to the perspectives of centre leaders who lead and manage centres run by different operator types in a diverse early childhood education landscape. Results: The findings reveal that centre leaders’ interpretations of the values are generally aligned with the framework’s descriptors and uncover the complexity of values as overlaps across values. The study provides insights to current centre practices on values education. Conclusion: The study indicates alignment between leaders’ definitions and understanding of values espoused in the NEL framework and that values education does take place across early childhood development centre types. With the four values explicated for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landscape, there is greater clarity on the values that should be cultivated in young children from young.

      • KCI등재

        Influcence of School and Values Congruence o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Values Through A Statistical Analysis

        이광성(Lee, Kwangs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5

        오늘날 핵심적인 것과 핵심이 될 수 있는 것이 가치에 반영된다는 것은 분명하다. 조직 내 규범, 관행 및 문화는 교육에 대한 동기를 결정할 때 대부분 경우 개인에게 매우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기관 내 가치의 일치 여부는 개인이 학교나 성별에 관계없이 조직 가치를 구현하고 있음을 지속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기본적인 개인 및 조직 가치를 파악하고, 학교와 가치적합성이 개인 및 조직 가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범위는 한국의 초등학교 학생들이고, 설문지는 약 143부를 수집하여, 학교와 가치적합성이 개인 가치와 조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기 위해 이원중다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와 가치적합성에 따라 개인 가치와 조직 가치에 차이가 없었다. 둘째, 학교와 가치적합성이라는 변인은 서로 상호 작용을 하지 않았다. 셋째, 학교와 가치적합성의 상호 작용 효과는 개인 가치에서 나타났지만 조직 가치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The center of what individuals are today and what they may become is reflected in the values bestowed upon them. Many things and cultures within the organization are strongly connected in most individuals though education. Therefore the results in the congruency of values within the institution are consistently showing that the individuals are implementing the organizational values regardless of school or gender. The main object of this study is to help to identify basic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values, and how School and value congruence influenc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values. The scope of this study is done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About 143 copies of the survey were collected. The two-way multivariate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the aim of determining school and values congruence’s influence on individual values and organizational values. The conclusions are below.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both individual values and organizational values depending on the school and value congruence. Second, School and values congruence do not interact. Thir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school and value congruence appeared in individual values, whereas the interaction effect did not appear in organizational values.

      • KCI등재

        아시아와 유럽의 문화적 가치에 대한 비교연구

        김복래 ( Bok Rae Kim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08 유라시아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아시아와 유럽의 문화적 가치를 서로 비교하는 것을 주안점으로 삼고 있다. 아시아와 유럽의 상이한 가치를 심도 있게 상호 비교·고찰함으로써 유럽연합과 미래의 동아시아 FTA의 가능성을 21세기의 키워드인 ‘문화’라는 공통분모에서 찾아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라 사려 된다. 2006년에 인도네시아의 부통령 칼라(Jusuf Kalla)는 동아시아 정상회담에서 이른바 ‘아시아적 가치’를 동아시아 FTA와 동아시아 공동체와 연결시킨 바 있다. 그가 정의하는 아시아적 가치는 ‘경쟁’이 아니라, ‘협동’체제에 있음을 누누이 강조했다. 비록 1997~1998년 아시아의 금융위기로 인해 많은 타격을 받기는 했지만, 본 연구의 목적은 아시아적가치라 불리는, 한중일 삼국의 공통된 문화분모들을 모색하고 규명하는 데 있다. 아시아적 가치는 다양한 전통적 문화콘텐츠들로 이루어져 있다. 우리는 아시아적 가치를 역설적으로 ‘비(非)유럽적 가치’라칭할 수도 있으리라. 중동의 이슬람주의, 인도의 힌두이즘, 동남아의 불교사상에 이르기까지, 실로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종교와 문화요소들이 아시아적 가치라는 기치아래 집단 동원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최근 연구들은 동아시아의 급속한 경제성장과 관련하여, ‘유교적 가치들’에 집중되어 있다. 이른바 신유교주의 시대가 도래한 셈이다. 본 연구는 영미의 ‘제 1세계’와 소비에트 블록을 형성하는 ‘제 2세계’의 경제모델들과 비교하여, 아시아 제 3세계 국가의 경제모델을 문화적으로 설명하는 데 있다. 허만 칸은 동아시아의 역동적인 경제성장을 유교문화와 연결시킨 장본인이다. 칸의 신 유교주의 가설에 따르면, 동아시아 국가들은 전통적으로 공통적인 문화의 깊은 근원을 갖고 있다. 세계 시장체제에서 이러한 문화적 유산은 성공적인 경제활동 내지 비즈니스전략을 위한 비교우위를 형성해왔다. 허만 칸의 추종자들은 유교적 가치가 근대 아시아의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상응한다는 설득력 있는 주장을 폈다. 이러한 문화적 가설을 가지고 본 연구는 아시아적 가치를 심층적으로 재조명할 것이다. 즉 국가주의와 정치적 리더십에 있어서 리더의 인성중심주의, 가족주의, 자기 극기, 교육에 대한 강조, 세속주의, 근면, 사회적 복종과 합일, 협동과 조화 등 아시아적 가치로 정의되는 문화적 요소들을 유럽적 가치와 비교고찰할것이다. 17세기 프랑스의 현인이며, 저명한 사상가·철학자인 몽테뉴가 언급한대로 ‘비교가 능사’는 아니다(Comparaison n`est pas raison). 실제로 이질적이며 상이한 사회 문화적, 역사적 콘텍스트에서 성장 발전한 아시아와 유럽적 가치를 비교한다는 일 자체가 무모하고 불가능한 시도일 수도 있다. 그러나 유럽연합의 아버지 장 모네가 강조한 대로 경제 통합에서도 문화의 중요성을 간과할 수는 없다. 즉 경제적 이해관계나 득실만을 가지고 성공적인 경제통합을 이루기가 어렵다는 얘기다. 지면상의 이유로 본 연구는 첫째 프로테스탄트/유교주의적 윤리 내지 이데올로기의 비교, 둘째로 두 개의 상이한 가치들의 ‘동질성’과 ‘이질성’을 규명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물론 아시아적 가치에 연구의 우위를 두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두 개의 문화적 가치나 정체성이 유럽연합과 동아시아 경제협력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으며, 앞으로 어떤 역할을 하게 될 지를 집중적으로 조명할 것이다. 혹자는 동아시아의 FTA가 현실적으로 가능하지도 않을뿐더러, 동아시아 경제에 전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오지 못할 것이라고 부정적인 견해를 피력하기도 한다. 그러나 공통적인 문화 분모를 찾으면서 한중일 삼국이 상호 협력한다면, 무역마찰도 완화시킬 수 있으며, 문화와 관련된 신종 일자리도 대량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동아시아 지역의 ‘공중선’과 공통된 유대감을 가져오는 제도를 창출한다는 것은 장기적으로 볼 때 동아시아 지역발전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만일 필요하다면 문화가치를 창출하거나 개발하는 것도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research paper is to compare Asian & European values. It is very useful to find cultural common denominators called ‘Asian values`` among three countries: Korea, Japan and China for the future of East Asian FTA. In 2006 Indonesian Vice President Jusuf Kalla linked the concepts of Asian values with the proposed East Asian Free Trade Agreement and East Asian Community arising from the East Asia Summit. He defined Asian values as placing emphasis on co-operation over competition. Asian values contain various contents. Maybe, we can consider them as ‘non-European values`` which comprehend Islamism in the Middle East, Indian Hinduism, and Buddhism in Southeast Asia. However, a recent scholarly research is concentrated on ‘Confucian values`` in close relation with economic growth in East Asia. First attempt to explain the economic model of these ‘Third World`` countries, in parallel with those of American and European ``First World`` countries and Soviet-bloc ‘Second World`` countries began at the end of 1970s. It is Herman Kahn who contributes to link East Asian dynamic growth with Confucian culture. Kahn`s neo-Confucian hypothesis is that the countries of East Asia have common cultural roots going far back into history, and that under the world-market conditions of the past 30 years this cultural inheritance has constituted a competitive advantage for successful business activity. Herman Kahn`s followers suggest that Confucian values are ‘the modern day Asian Protestant ethics.`` With this cultural hypothesis adopted, we will reexamine Asian values such as statism or centralism of personalities in political leadership, familism, self-restraint, insistence on education, secularism, diligence, social obedience and unity, cooperation and harmony, etc., in comparison with European values. According to Montaigne, “comparaison n’est pas raison. In effect, there can be no comparison between two heterogeneous Asian/European values, respectively cultivated in a different socio-cultural, or historical context. Thus, on account of limit space, we will focus our attention first on Protestant/Confucian ethics; second on the ‘homogeneity`` and ‘heterogeneity`` in two disparate values in giving priority to so-called ‘East Asian values``; and finally on the perspective on two cultural identities and their role in European Union and in East Asian economic cooperation in wider and looser sense. According to Lee, a ‘formal regional integration in the form of a preferential trading bloc`` in East Asia is neither feasible nor beneficial to the region. As a way of bringing about regional economic cooperation, East Asian region (China, Japan, and South Korea) should create institutions that would provide ‘regional public goods.`` Why not create cultural values, if necessary?

      • KCI등재

        개인 가치와 조직 가치가 가치적합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광성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individual values and Organizational values on value Congruence. This research reviewed how the definition and function of individual values, Organizational values and value Congruence. To address this goal, explore Multi-regression analysis and T-test, analysis of varience were employed, 112 elementary students were th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result, Among many variables, Organizational value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value Congruence. The findings suggest that organizational values is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 of value congruence. This information is useful for organizations as they can now better predict the value congruence among the students and better develop the organizational value to fit with the individual values. We end by discussing directions on the Influence of individual values and Organizational values on value Congruence for future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개인 가치와 조직 가치의 의미를 살펴보고, 교육현장에 대한 조사연구를 통하여 개인 가치와 조직 가치가 가치적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했다. 첫째, 개인 가치에 있어서 유의미한 일반적 특성은 성별이고, 조직 가치와 가치적합성에 있어서 유의미한 일반적 특성은 학교이다. 둘째, 개인 가치, 조직 가치와 가치적합성을 묻는 하위 문항들의 신뢰도는 모두 Cronbach's α는 .70 이상이었다. 셋째, 가치적합성은 집단 합리성, 집단 질, 집단 인간성, 집단 혁신을 묻는 문항과 관계가 높았으며, 개인 가치를 묻는 문항들은 개인 가치를 묻는 문항들끼리, 조직 가치를 묻는 문항들도 조직 가치를 묻는 문항들끼리 서로 관계가 높았다. 넷째, 본 모형의 설명력은 55.8%로 나타났고, 이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독립변수인 조직 가치가 개인 가치나 여러 일반적 특성보다 가치적합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는 변수로 나타났다.

      • KCI등재

        A Review on the Relevance of Asian Values as a New Basis for Global Governance

        김성원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법학논총 Vol.37 No.2

        The 21st century may well be marked as the century of Asia. The rise of Asian countries in world politics provides conditions for the possible emergence of an Asian-influenced international system and an Asian perspective on global governance. In this aspect, Asian values would be suggested for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for Asian-centric version of global governance. However, without examining the core concept of Asian values thoroughly, advocacy of Asian values grounded in de facto crude material powers of Asian countries would not have any chance to make their voice heard rightly. Also, just projection of Asian values as the tool to blame Western countries for greedy imperialism and to suggest a brand new political and philosophical basis for global governance unilaterally does not make a huge contribution to the international society so long as Asian values totally disregard core value system, including human rights, democracy and liberalism prevalent in a global relations. In this regard, any claims concerning Asian values should be tested in terms of both possible merits and demerits for a new basis for global governance. For the purpose of gaining meaningful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Asian values should make an attempt to reflect current development of the global society, such as fostering human rights, establishment of democratic governance and laying a sound foundation for economic liberalism. Needless to say, advocacy of Asian values point rightly out that these development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are mainly made by interests of Western countries and that Non-Western countries do have difficulty to adjust themselves to these development. However, as noted above, just suggesting Asian values as the alternative basis for the global governance without correcting Asians values inherent weakness would be understood as another grumbling about well established principles of the global governance. Reexamining the core concept of Asian values, rectifying Asian values' weakness and adapting Asian values to current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relations, Asian values ultimately make a huge contribution to international society through correcting international injustices brought by Western values. With a view to expanding the core value of Asian values, it is high time for Asian values to review its merits and demerits as the possible candidate for new political philosophy in the age of Asian century.

      • KCI등재

        역사교육에서 가치 문제 논의 방식의 재검토 - 왜 역사교육에서 가치를 가르치는가? -

        김민정 역사교육연구회 2023 역사교육 Vol.168 No.-

        한국의 역사교육에서 가치문제는 국가 교육과정 개정과 역사교육의 목적 결정 시 핵심 쟁점이었다. 역사교육의 목적과 내용에서 '가치'의 의미와 다양한 지점을 강조하는 배경과 논의를 검토하여 역사교육에서 가치문제를 가르칠 때 어떤 내용과 방법으로 가르쳐야 하는지 논의하는 데 토대로 삼고자 한다. 연구 결과 다양한 차원에서 사용되는 가치의 용례를 ‘가치를 가르치는’ 접근과 ‘가치에 대해서 가르치는’ 접근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가치를 직접 가르치기보다 역사적 사고와 결합하여 가치문제를 다루어야 한다는 주장과, 과거에 대해 판단하는 주체로서 자신의 가치 체계를 객관화하여 보도록 가르쳐야 한다는 주장에 이르기까지 역사교육에서 가치를 다루는 방식 저변에 기초한 쟁점을 ‘고려시대 수업에서 가치를 논의하는 방식’을 중심으로 대별되는 연구 흐름 위에 위치시켜 확인하였다. 역사교육에서 가치의 결정은 단순히 도덕적 판단이 아니라 역사적 사고와 결합하여 가치에 대해 사고하도록 가르침으로써 역사학의 본질적 가치를 중심으로 역사교육의 목적을 추구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ssue of values in the history education of Korea that has been a key point of contention in the revision of the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determination of the objectives of history education. By examining the background that emphasizes the meaning of ‘value’ and its various aspects in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history education, this serves as a basis for discussing what content and methods should be used when teaching the issue of values in history education. The issue of values has been reviewed in terms of two approaches of ‘teaching values’ and ‘teaching about values.’ It argued that instead of directly teaching values, they should be addressed in combination with historical thinking, and that students should be taught to objectify their value systems by positioning their own values as well as teachers should demonstrate their decision process of making judgments by the means of modeling. The determination of values in history education should not mean simply a moral judgment but should pursue the objective of history education centered on the essential value of historiography by teaching to think about values in conjunction with historical thinking strategies.

      • KCI등재

        The Core Values that Support Health, Safety, and Well-being at Work

        Gerard I.J.M. Zwetsloot,Arjella R. van Scheppingen,Evelien H. Bos,Anja Dijkman,Annick Starren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13 Safety and health at work Vol.4 No.4

        BackgroundHealth, safety, and well-being (HSW) at work represent important values in themselves. It seems, however, that other values can contribute to HSW. This is to some extent reflected in the scientific literature in the attention paid to values like trust or justice. However, an overview of what values are important for HSW was not available. Our central research question was: what organizational values are supportive of health, safety, and well-being at work?MethodsThe literature was explored via the snowball approach to identify values and value-laden factors that support HSW. Twenty-nine factors were identified as relevant, including synonyms. In the next step, these were clustered around seven core values. Finally, these core values were structured into three main clusters. ResultsThe first value cluster is characterized by a positive attitude toward people and their “being”; it comprises the core values of interconnectedness, participation, and trust. The second value cluster is relevant for the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doing”, for actions planned or undertaken, and comprises justice and responsibility. The third value cluster is relevant for “becoming” and is characterized by the alignment of personal and organizational development; it comprises the values of growth and resilience. ConclusionThe three clusters of core values identified can be regarded as “basic value assumptions” that underlie both organizational culture and prevention culture. The core values identified form a natural and perhaps necessary aspect of a prevention culture, complementary to the focus on rational and informed behavior when dealing with HSW ris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