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승옥 소설의 죄의식의 경제와 자본주의 논리

        성해경 한국문학연구학회 2012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8

        김승옥의 문학은 자율적 주체의 등장, 자기의식을 가지고 자기 규범을 탐구하는 근대적 개인의 탄생이라는 측면에서 평가 받고 있지만 오히려 그의 인물들을 지배하고 있는 것은 숨 막힐 것 같은 죄의식이다. 이를 통해 그들의 "자기세계"가 전제하는 자유와 자율의 양상이 주체화 과정에서 특정하게 굴절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고는 김승옥 인물들이 죄의식을 통해 주체화되는 과정과, 그와 연관되어 그들이 욕망을 추구하고 욕망의 대상을 소유하는 방식을 연구하였다. 김승옥의 인물들이 원하는 것을 소유하고 그에 따른 죄의식의 문제를 해소하는 방식은 사물화된 교환의 논리에 따라 "경제적으로" 처리된다. 죄의식과 욕망 사이의 긴장에서 김승옥의 주체는 위악적 행위를 통해 보다 큰 죄의 죄의식을 감소시켜, 욕망을 적절히 충족하고 심리적 안정을 꾀하려 한다. 이렇게 작은 죄를 통해 큰 죄의식을 진정시키는 것은 김승옥 주체의 죄의식의 경제이다. 위악적 행위는 종종 타자의 희생을 전제하며 주체는 이 희생을 대가로 원하는 것을 소유하는데 이렇게 문제의 틀은 죄에서 교환으로 이동한다. 욕망의 대상 앞에서 주체는 타자의 희생이라는 죄를 통해 "적게 지불하고 많이 가져간다." 하지만 누가 지불했든 거래는 정당한 교환의 룰을 따르고 있으며 교환의 성립은 양자를 등가로 만들기 때문에 주체의 죄의식의 문제는 교환관계를 통해 구조적으로 처리된다. 요컨대 자기 처벌이나 심리적 보상 등의 행위의 논리적 보충을 통해, 그리고 타인을 사물화시키고 등가로 만드는 교환 논리를 통해 주체의 죄의식의 문제는 해소되는 것이다. Kim Seung Ok's novel is highly esteemed with appearance of autonomic subject, birth of modern individual searching for self-criterion through self-consciousness but it is breathless sense of guilt which controls his character. Watching the sense of guilt, freedom and self-regulation are distorted somehow. My article, after outlining the sense of guilt, will attempt to examine the process, in which Kim Seung Ok's characters become the subject through the sense of guilt and the way how they pursue their desires and the method how they possess an object of their desire. The way in which Kim Seung Ok's characters chase their desires and resolve the problem is almost invariably associated with the logic of exchange and the economic way. In the problem between the sense of guilt and the desires, the subject of Kim Seung Ok reduces bigger guilt making himself bad deliberately, Through this process, he could fulfill his desir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Like this, his characters decrease bigger sense of guilt through smaller guilt. To acquire desires, the subject has sinned against others. The subject could get something that he or she wants because of someone's sacrifice then the frame problem can change from sin to exchange. But the trade has been conducted by in due exchange. To make the trade possible the prices of the two things are same. So the problem of the guilty is solved through the exchange.

      • KCI등재

        김승옥 소설의 죄의식의 경제와 자본주의 논리

        설혜경 ( Hye Kyung Seol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2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8

        김승옥의 문학은 자율적 주체의 등장, 자기의식을 가지고 자기 규범을 탐구하는 근대적 개인의 탄생이라는 측면에서 평가 받고 있지만 오히려 그의 인물들을 지배하고 있는 것은 숨 막힐 것 같은 죄의식이다. 이를 통해 그들의 ``자기세계``가 전제하는 자유와 자율의 양상이 주체화 과정에서 특정하게 굴절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고는 김승옥 인물들이 죄의식을 통해 주체화되는 과정과, 그와 연관되어 그들이 욕망을 추구하고 욕망의 대상을 소유하는 방식을 연구하였다. 김승옥의 인물들이 원하는 것을 소유하고 그에 따른 죄의식의 문제를 해소하는 방식은 사물화된 교환의 논리에 따라 ``경제적으로`` 처리된다. 죄의식과 욕망 사이의 긴장에서 김승옥의 주체는 위악적 행위를 통해 보다 큰 죄의 죄의식을 감소시켜, 욕망을 적절히 충족하고 심리적 안정을 꾀하려 한다. 이렇게 작은 죄를 통해 큰 죄의식을 진정시키는 것은 김승옥 주체의 죄의식의 경제이다. 위악적 행위는 종종 타자의 희생을 전제하며 주체는 이 희생을 대가로 원하는 것을 소유하는데 이렇게 문제의 틀은 죄에서 교환으로 이동한다. 욕망의 대상 앞에서 주체는 타자의 희생이라는 죄를 통해 ``적게 지불하고 많이 가져간다.`` 하지만 누가 지불했든 거래는 정당한 교환의 룰을 따르고 있으며 교환의 성립은 양자를 등가로 만들기 때문에 주체의 죄의식의 문제는 교환관계를 통해 구조적으로 처리된다. 요컨대 자기 처벌이나 심리적 보상 등의 행위의 논리적 보충을 통해, 그리고 타인을 사물화시키고 등가로 만드는 교환 논리를 통해 주체의 죄의식의 문제는 해소되는 것이다. Kim Seung Ok`s novel is highly esteemed with appearance of autonomic subject, birth of modern individual searching for self-criterion through self-consciousness but it is breathless sense of guilt which controls his character. Watching the sense of guilt, freedom and self-regulation are distorted somehow. My article, after outlining the sense of guilt, will attempt to examine the process, in which Kim Seung Ok`s characters become the subject through the sense of guilt and the way how they pursue their desires and the method how they possess an object of their desire. The way in which Kim Seung Ok`s characters chase their desires and resolve the problem is almost invariably associated with the logic of exchange and the economic way. In the problem between the sense of guilt and the desires, the subject of Kim Seung Ok reduces bigger guilt making himself bad deliberately, Through this process, he could fulfill his desir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Like this, his characters decrease bigger sense of guilt through smaller guilt. To acquire desires, the subject has sinned against others. The subject could get something that he or she wants because of someone`s sacrifice then the frame problem can change from sin to exchange. But the trade has been conducted by in due exchange. To make the trade possible the prices of the two things are same. So the problem of the guilty is solved through the exchange.

      • KCI등재

        1970년대 대중소설의 죄의식 연구

        김지혜(Ji Hye Kim) 한국현대소설학회 2013 현대소설연구 Vol.- No.52

        This paper is aimed at doing research on ``a Sense of Guilt`` included in the popular novels in the 1970s. In the 1970s, a pop culture formed in Korean society on the basis of rapid economic growth, and the popular novel as a modern product was enjoying big popularity. Looking into the best-sellers at that time, such as the novels by Choi, In-ho, Cho, Hae-il, and Cho, Sun-jak, it`s confirmed that they include the then public`s sexual desire or deviative desire, and at the same time, deal with its consequent matter of a guilty feeling. From the psychoanalytical aspect, a sense of guilt is an expression of anxiety between ego and superego, having a close association with the formation of a main agent. Accordingly, a sense of guilt, which was one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appearing in popular novels in the 1970s, was not simply limited to the characters in novels, but it was also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 of a desire felt by the reading public of the time as a modern main agent. In the works 『Heavenly Homecoming to Stars』 by Choi, In-ho, or 『Winter Woman』 by Cho, Hae-il a woman`s ``Sexual Depravation`` is made as a topic, and these two novels are assuming the structure of remedying the male characters` sense of guilt by sublimating the female characters named ``Kyeong-a`` and ``E-hwa`` into a pretty, sacrificing ``Virgin``. In addition, the work 『Windmill of My Mind』 by Choi, In-ho is portraying the character Kim, Young-hu who was begotten by a concubine, and his process of being awakened to a sense of guilt after committing deviation while despising the existing value system. Young-hu realizes his own assumed evil through the love with Ms. Han, Myeong-sook, and enters into the symbolic order. In addition, Cho, Sun-jak`s novel ?Yeong-ja`s Heydays? is mentioning a sense of guilt assumed by the whole society by delineating the women in a red-light district and criticizing the logic of the jungle law created by capitalism. It may be safely said that the pubic main agent in the 1970s, who experienced such rapid industralization, internalized their anomie, and compassion & sadness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who were reified or victimized, into ``a sense of guilt``, and shared and resolved such a sense of guilt through a popular novel.

      • KCI등재후보

        현대 사회에서 정의감의 문제 : 존 롤즈(John Rawls)의 정의감을 중심으로

        고현범(Ko Hyun bum)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원 2014 생명연구 Vol.34 No.-

        이 글에서는 현대 사회에서 정의감의 문제를 롤즈의 『정의론』을 중심으로 감정 이론과 도덕 심리학의 관점에서 논의했다. 롤즈는 『정의론』에서 정의감의 발달 과정을 도덕 발달 과정을통해, 특히 죄책감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한다. 롤즈는 자연적 감정으로서 사랑과 정의감을 연결시키는데 이러한 연결을 죄책감에 관한 논의가 뒷받침한다. 데이는 감정 이론의 관점에서 이러한 롤즈의 정의감에 관한 논의를 비판한다. 데이에 따르면 롤즈의 죄책감 논의는 그 정의에 있어서 불확실할뿐더러 자연적 감정과 도덕 감정 간의 구별을 어렵게 한다. 그러나 자연적 감정인 회한과 도덕 감정인 죄책감의 구별에 관한 데이의 논의 또한 분명한 것은 아니다. 한편 자기-평가적 감정으로서 죄책감을 파악하는 테일러에 따르면 롤즈에게서 죄책감은 자기-평가적이라기보다는 지나치게 사회화된 감정으로 이해되고 있다. 감정 이론의 관점에서 제기되는 이러한 비판에 대해 이 글은 낙관론의 입장에서 가능한 반론을 구성해보고자 했다. 이 글이 옹호하고자 하는 롤즈의 낙관론은 다음 두 가지를 그 내용으로 한다. 즉 첫째 자연적 감정인 사랑과 도덕 감정인 정의감이 연관되고 함께 발달한다. 둘째 도덕 규범의 정당화 문제는 한 공동체 구성원들이 상호 인정하고 존중하는 원칙의 문제로 간주된다. 이 글은 이러한 낙관론의 관점에서 투겐타트의 논의가 롤즈 이후에 정의감을 이해하는 유의미한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을 보이고자 했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sense of justice in modern society concerning Rawls' A Theory of Justice in view of a philosophical study of emotion and moral psychology. Rawls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sense of justice focusing on guilty in A Theory of Justice. He relates love as natural sentiment to sense of justice, and this relationship is warranted through guilt. But Deigh criticizes it in view of the theory of emotion. According to Deigh, Rawls' argument about guilt is not only obscure in definition, but also blurs a distinction between natural sentiment and moral sentiment. But Deigh's argument about a difference between remorse as natural sentiment and guilt as moral sentiment is not clear. Beside, according to Taylor who interprets guilt as emotion of self-assessment, Rawls understands guilt as oversocialized emotion. This article aims at a reconstruction of optimism in order to raise the objection to the criticism. Rawls' optimism, which this article defends, includes two points. First, love as natural sentiment and sense of justice as moral sentiment are related and develop together. Second, justification of moral is considered as the problem of the principle that members of a society recognize and respect mutually. This article aims at asserting that Tugendhat suggest a meaningful way of understanding of sense of justice after Rawls in view of optimism.

      • KCI등재후보

        현대 사회에서 정의감의 문제 – 존 롤즈(John Rawls)의 정의감을 중심으로

        고현범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4 생명연구 Vol.34 No.-

        This article discusses the sense of justice in modern society concerning Rawls' A Theory of Justice in view of a philosophical study of emotion and moral psychology. Rawls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sense of justice focusing on guilty in A Theory of Justice. He relates love as natural sentiment to sense of justice, and this relationship is warranted through guilt. But Deigh criticizes it in view of the theory of emotion. According to Deigh, Rawls' argument about guilt is not only obscure in definition, but also blurs a distinction between natural sentiment and moral sentiment. But Deigh's argument about a difference between remorse as natural sentiment and guilt as moral sentiment is not clear. Beside, according to Taylor who interprets guilt as emotion of self-assessment, Rawls understands guilt as oversocialized emotion. This article aims at a reconstruction of optimism in order to raise the objection to the criticism. Rawls' optimism, which this article defends, includes two points. First, love as natural sentiment and sense of justice as moral sentiment are related and develop together. Second, justification of moral is considered as the problem of the principle that members of a society recognize and respect mutually. This article aims at asserting that Tugendhat suggest a meaningful way of understanding of sense of justice after Rawls in view of optimism. 이 글에서는 현대 사회에서 정의감의 문제를 롤즈의 『정의론』을 중심으로 감정 이론과 도덕 심리학의 관점에서 논의했다. 롤즈는 『정의론』에서 정의감의 발달 과정을 도덕 발달 과정을 통해, 특히 죄책감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한다. 롤즈는 자연적 감정으로서 사랑과 정의감을 연결시키는데 이러한 연결을 죄책감에 관한 논의가 뒷받침한다. 데이는 감정 이론의 관점에서 이러한 롤즈의 정의감에 관한 논의를 비판한다. 데이에 따르면 롤즈의 죄책감 논의는 그 정의에 있어서 불확실할뿐더러 자연적 감정과 도덕 감정 간의 구별을 어렵게 한다. 그러나 자연적 감정인 회한과 도덕 감정인 죄책감의 구별에 관한 데이의 논의 또한 분명한 것은 아니다. 한편 자기-평가적 감정으로서 죄책감을 파악하는 테일러에 따르면 롤즈에게서 죄책감은 자기-평가적이라기보다는 지나치게 사회화된 감정으로 이해되고 있다. 감정 이론의 관점에서 제기되는 이러한 비판에 대해 이 글은 낙관론의 입장에서 가능한 반론을 구성해보고자 했다. 이 글이 옹호하고자 하는 롤즈의 낙관론은 다음 두 가지를 그 내용으로 한다. 즉 첫째 자연적 감정인 사랑과 도덕 감정인 정의감이 연관되고 함께 발달한다. 둘째 도덕 규범의 정당화 문제는 한 공동체 구성원들이 상호 인정하고 존중하는 원칙의 문제로 간주된다. 이 글은 이러한 낙관론의 관점에서 투겐타트의 논의가 롤즈 이후에 정의감을 이해하는 유의미한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을 보이고자 했다.

      • KCI등재

        박완서의 「그 가을의 사흘 동안」과 모옌의 『개구리』의 서사구조 비교- 소재와 모티브의 유사성을 중심으로

        마희정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9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1

        The study is compared the narrative structure of Park Wan-seo and Mo Yan's works, based on the similarities of their material and motif, away from the 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 country and another one. Based on the aspect of violence, the two works share some similarities. For example, the main characters are a maternity doctor so their work is life-threatening and they are not free from a sense of original sin. In addition, negative elements such as rape, abortion, and murder form the basis of the work, and the characters suffer regret and remorse at the end of their lives. As such, "Three Days of Fall" and "The Frog" are composed of the narrative of "violence" inside and outside. The "violence" of a maternity doctor is a violent outburst of personal resentment and tasks. Their 'violence' is abnormal and pathological. They can never be free from a sense of guilt because what they have done professionally throughout their life is 'violence' against others. In other words, countries, societies and hospitals exert power on individuals, and individuals fall victim to their violence. This violence leads to a sense of guilt, and the sense results in salvation. Abortion and murder, in particular, overlap with the false sense of neglect and deception. The main characters, both perpetrators and victims, are obsessed with a sense of guilt. Instead of the dead children, they try to make a flower garden or have their husband make a doll. These devices, which try to expiate the accumulated sins of the main characters, reveal their prophetic properties. In particular, the main character of "The Fall" is conscious of the church bells and the main character of "The Frog" burns incense and bows to the altar. Their behavior is closely related to a religious ritual. The two narratives reveal three common traits: the vicious circle of violence and oppression, a sense of guilt and desire for salvation, and the unfinished conclusion of the baby's death and suicide attempt. In the last scene of "The Fall," the main character goes to the church unconsciously, carrying a dead premature baby. And in the last scene of "The Frog," Kudou cuts the rope to save his aunt from suicide and talks to her. The two last scenes show a slight possibility of hope instead of their tragedy. The main characters, however, have not reached their true recovery. The more they try to free themselves from a sense of guilt, the more they can't get out of their inner pain. It is because of the involvement of violent nations, the ethical ignorance of individuals and disregard of the truth. In addition, the narrative of violence breaks the dichotomous borders of perpetrators/victims, life/death, the fake/the real, and sacredness/snobbishiness. The main female doctors are doctors, so they show the power and arrogance to others. But in their later years, they have to pay the price of their life-threatening sins. Due to their deformed desire for life, their desire for recovery end up hiding the truth through self-delusion. 본고는 박완서와 모옌의 작품의 서사구조를 비교하였다. 비교의 준거는 나라와 나라 사이에서 전파되는 영향 관계의 시각에서 벗어나 소재와 모티브의 유사성에 있다. 두 작품의 서사를 통해 주인공이 산부인과 여의사라는 점, 그들의 일이 평생 생명을 훼손하는 일이라는 점, 원죄의식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점 등의 공통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강간, 낙태, 살인 등의 부정적 요소가 작품의 근간을 이루며 주인공들은 삶의 마지막에서 후회와 자책에 시달린다. 이처럼 「그 가을의 사흘 동안」과 『개구리』의 서사는 안팎으로 부정적인 서사로 이루어져 있다. 산부인과 여의사의 ‘폭력’은 개인의 원한과 과업을 폭력적으로 분출하는 양상이다. 그들의 ‘폭력’은 비정상적이고 병리적인 특징을 보인다. 평생 직업적으로 행한 일이 타인에 대한 ‘폭력’이므로 그들은 결코 죄의식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즉, 국가와 사회와 병원은 개인에게 권력을 행사하고 개인은 국가와 사회의 폭력에 희생양이 된다. 이 폭력은 죄의식으로 이어지고, 죄의식은 구원의 문제로 연결된다. 특히 두 작품의 폭력의 양상은 낙태와 살인이 방관과 기만의 허위의식과 겹쳐져 있다. 가해자이면서 피해자인 주인공들은 죄의식에 사로잡혀 있다. 주인공들은 죄의식을 해소하기 위하여 죽은 아이 대신에 채송화 씨를 심어 꽃밭을 만들려고 하거나 남편에게 인형을 만들게 한다. 주인공들의 누적된 죄의식을 속죄하려는 이러한 장치는 제의적인 속성을 드러낸다. 특히 「그 가을」의 주인공이 교회당의 종소리를 의식하거나, 『개구리』의 주인공이 제단에 향을 피우고 절을 하는 것은 제의적 의식이 종교적인 것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두 작품의 서사는 세 가지의 공통적인 특징을 드러낸다. 즉, 폭력과 억압의 반복, 죄의식과 구원에 대한 소망, 아기의 죽음과 자살 미수 등의 미완의 결말이다. 이때 「그 가을」의 마지막 장면에서 주인공이 죽은 미숙아를 안고 통곡하면서 교회당으로 흘러 들어간다든지, 『개구리』의 마지막 장면에서 자살하려는 고모의 밧줄을 끊은 커더우와 고모의 대화는 작품을 비극적으로 끝맺지 않고, 일말의 가능성을 열어두려는 작가의 의도적 장치이다. 일말의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주인공들이 진정한 회복에 이르렀다고 할 수 없다. 그들은 죄의식에서 벗어나려고 할수록 내면의 고통에서 헤어 나오지 못한다. 폭력적인 국가의 개입, 개인의 윤리적 무지와 외면이 함께 작용하였기 때문이다. 아울러 이러한 서사는 경계를 넘나들면서 가해자와 피해자, 생명과 죽음, 가짜와 진짜, 성과 속 등의 이분법적 구도를 해체하고 있다. 주인공 여의사들은 생명을 다루는 의사이므로 타인에게 전능하고 오만한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그들이야말로 말년에 이르러 평생 생명을 함부로 훼손한 대가를 치른다. 생명에 대한 기형적 욕망으로 인해, 회복에 대한 갈망은 자기기만을 일삼다가 끝끝내 진실을 은폐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인 모습을 보인다.

      • KCI등재

        오장환 시에 나타난 죄의식 연구

        차성환(Cha, Shung hwan) 우리말글학회 2021 우리말 글 Vol.91 No.-

        오장환 시의 시적 주체는 전근대의 봉건적 가치와 전통을 부정하며, 윤리적 기준을 찾을 수 없는 식민지 근대의 현실에서 ‘무의식적인 죄의식’을 느낀다. 이는 주체가 자기 자신의 공백을 메울 상징계의 기표 없이는 자신을 증명할 수 없는 주체의 불안과 유사하다. 시적 주체는 ‘무의식적인 죄의식’에서 벗어나기 위해 실제로 죄를 짓는 행위, 즉 ‘퇴폐’를 위악적으로 드러냄으로써 스스로도 알 수 없는 죄의식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킨다. 스스로 ‘죄’를 적극적으로 구성해 자신의 죄의식에 실체감을 마련해주고 ‘무의식적인 죄의식’에서 벗어나려는 시도인 것이다. 오장환의 시적 편력은 죄의식의 작용에 의한 주체화 과정으로 나타난다. ‘무의식적인 죄의식’을 ‘의식적인 죄의식’으로 전환시키는 과정, 곧 시적 주체가 자신의 공백(결여)에서 벗어나려는 시도이면서 동시에 식민지 현실에서 상징계적 자리를 찾기 위한 과정이다. ‘탕아 서사’는 ‘어머니’(인민) 앞에서 ‘탕아’로서 자신의 ‘죄’를 고백하는 행위를 통해 서둘러 주체의 자리를 확보하려는 ‘촉박한 동일화’로 이해할 수 있다. 오장환은 전시대의 전통과 외부의 윤리적 기준을 거부하면서 스스로 열어 젖힌 공백의 가능성을 서둘러 파기한 채 이를 사회주의 이데올로기라는 타자에게 이월시킨다. ‘퇴폐’는 새로운 세계와 윤리에 대한 일종의 가능성이다. ‘퇴폐’와 함께 ‘죄의식’을 끌어안고 있을 때만이 비로소 ‘시인’이고 ‘주체’일 수 있다. The poetic subject of Oh Jang-hwan denies the feudal values and traditions of the premodern era and feels "unconscious guilt" in the colonial modern reality where ethical standards cannot be found. This is similar to the anxiety of the subject who cannot prove himself without a sign of the symbolic world in which the subject will fill his own void. The poetic subject reduces anxiety about guilt that is unknown to himself by critically revealing the act of actually committing a crime, that is, "decadence", in order to escape from "unconscious guilt". It is an attempt to actively organize "sin" on its own to provide a sense of substance in one"s guilt and to escape from "unconscious guilt". Oh Jang-hwan"s poetic compilation appears as a subjectification process by the action of guilt. The process of converting "unconscious guilt" into "conscious guilt," that is, the process of finding a symbolic position in colonial reality as well as an attempt by the poetic subject to escape his void(lack). The "prodigal narrative" can be understood as a "precipitate identification" to hurry up and secure the position of the subject through the act of confessing one"s "sin" as a "prodigal" in front of the "mother"(people). Oh Jang-hwan rejects the traditions of the times and external ethical standards, hurriedly destroying the possibility of a gap opened by himself, and transfers it to another person called socialist ideology. Decadence is a kind of possibility for a new world and ethics. Only when it embraces a "sense of guilt" along with "decadence" can it be a "poet" and a "subject.“

      • KCI등재

        죄의식과 1980년대적 주체의 탄생

        서영채(Seo, Young-Chae)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0 No.42

        이 논문은 임철우의 장편소설 백년여관을 통해 1980년대적인 정신의 구체적인 모습을 규명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씌어졌다. 그 핵심에 놓여 있는 것은 광주항쟁과 연관된 죄의식으로서, 이 논문에서 그것은 다음 세 가지 요점에서 고찰되었다. 첫째, 1980년대 정신 속에 새겨져 있는 죄의식의 의미, 둘째, 죄의식이 주체화 과정으로 연결되는 양상, 셋째, 죄의식을 통한 주체화가 20세기 한국의 정신사에서 갖는 의미. 요약하자면, 죄의식의 어두운 터널을 통과하는 순간 정신은 주체가 된다. 그렇게 탄생한 주체는 자기 책임의 영역을 찾는다는 점에서 일차적으로 윤리적 주체이며, 또한 책임의 연대를 발견한다는 점에서 공동체적 주체이기도 하다. 임철우의 백년여관은 이런 주체 탄생의 드라마를 내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텍스트이다. 이 소설에서 임철우는 죄의식의 빈자리를 메워줄 수 있는 매우 구체적인 내용을 확보했다. 그것은 이광수에서 최인훈을 거쳐 오는 동안, ‘죄 없는 책임’이라는 매우 특이한 주체 형성의 드라마가 찾아 헤맸던 것이며, 이것이 확보되었다는 것은 20세기를 관통하며 한국의 근대화 과정과 함께 형성되어온 주체의 서사가 1980년대에 들어서 비로소 하나의 확실한 고정점을 찾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1987년 6월 항쟁으로 구체화되는 민주화라는 단어가 그것이다. 1980년대적인 정신은 ‘두 죽음 사이의 윤리’가 행위의 영역으로 옮겨감으로써 만들어지는 것이며, 거기에서 죄의식은 책임의 영역으로 옮겨감으로써 주체의 서사를 완성한다. 백년여관은 이런 주체화의 드라마를 포착해내고 있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figure out the spirit of 1980s in South Korea through analysing Yim Chulwoo"s novel, A Hundred Years Inn(백년여관). What lays in the core of it is the sense of guilt related with Kwangju movement; it is looked into on the three points: first, the meaning of the guilt inscribed in the spirit of 1980s; second, the guilt"s becoming to subjectification; third, the meaning of the subjectification made complete through the sense of guilt in the history of thoughts in 20th century Korea. In brief, a spirit is born to be a subject by getting through the dark tunnel of the guilt. Such a subject is at first an ethical subject in that it wants to get to its own place of responsibility; it is a subject of community in that it finds out the chains of communal responsibility. A Hundred Years Inn is a noticeable text in that it harbored a drama of the birth of such a subject; there it showed the subject obtained a certain and concrete content filling out the blank place of guilt, which have been chased by the very odd story of Yi Kwangsu"s and Choi Inhun"s "responsibility without violation". It means that the scenario of subjectification which have been made through 20th century Korea finds out a distinct anchoring point in 1980s; it is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which perfectly figure itself out at the June movement in 1987. The spirit of 1980s is built by transforming the energy of "ethics between two deaths" into the act; there the sense of guilt can complete its own story by getting to the realm of ethic of responsibility. A Hundreds Inn incarnated its drama.

      • KCI등재

        김원일의『슬픈 시간의 기억』에 나타난 죄의식의 표출과 과거 기억의 재현 양상

        박찬효(Park, Chan-hyo) 한국언어문학회 2013 한국언어문학 Vol.86 No.-

        『The Memory of Sad Times』 (2001) by Kim Won-il is a chain novel which deals with four elderly men who live in a nursing home and are awaiting their deaths after reminiscing on their painful past. This study focused on the expressive aspect of 'sense of guilt' of the four elderly men and observed the reappearance of past memories displayed in the work. The comfort woman who is the protagonist, foreigners' whore, a woman confined in patriarchal ideology, a teacher with cleft lip, and a weak intellectual are portrayed as historical marginal figures as well as the victims. However, through the. sense of guilt' and compulsive acts which bothered the protagonists, this work displays individual story excluded in public history as well as showed a mechanism where the representation of inflictor/victim was surpassed and the past became reconstructed Madame Han and Maam Cho Jung distort their past through self-focused confession and do not consider others such as their son or husband. In contrast to this, Scholar Yew of "I am afraid, and Jeong Ho Kim of 「I do not exist」. utilize the strained relations displayed in public history and in between the memories of others to break away from self-justification and view the past in an introspective manner. The past cannot be help but become reconstructed from the current time according to the external and internal perspectives However, in this work, the elderly-men stutter or speak in an illogical way due to their old age and a moment is suggested when they face their original sin in a paradoxical manner. Additionally, the return of the past is experienced through non-verbal phenomenon of 'physical My where original sin is imprinted' such as the My diagnosed with dementia, abnormalities in tones of lower My and stuttering symptoms, My fighting against disease, and loss of eyesight. Here, the reader is able to encounter the history of individuals who were excluded from the public discussion as well as the pain in the past history of Korea.

      • KCI등재

        해방기 채만식 문학의 자기풍자와 시대감각 연구

        박수빈 한국현대소설학회 2019 현대소설연구 Vol.- No.75

        This study is to generally explore Chae Man-sik's sense of the age through his novels written in the liberation period: The meaning of liberation and definition of the liberation period as time and space. The starting point of Chae Man-sik literature and heart of the age was his "sense of guilt." He was not free from the sense of guilt until he died after Korea's liberation because he was a pro-Japanese writer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a result, he had some limitations in criticizing and satirizing the reality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He failed to keep distance from targets of criticism and have moral high ground. For this reason, self-parody was striking in his literature. However, this study intends to reveal the fact that his self-parody didn't develop into only nihilism. He criticized the order of the world unchanged before and after liberation in despair through negative characters in his novel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nd warned in his historical novels that if Korea repeated its history of dependence on the power of foreign countries its fate would be endangered under the U.S. military government. Cautioning against the repetition of history and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breakin with the past, he finally foretold the possibility of a new world through the boy-character who was free from the sin and declared the intention to take a different path from the older generation. His literature in the liberation period, starting from the (ethnic) sense of guilt, showed the coloniality and non-subjectivity still prevalent in our world and furthermore attempted to find the ways in which our people can escape from historical shackles. 본고에서는 해방기에 쓰인 채만식의 소설들을 통해 그에게 해방이란 어떤 의미였는지, 그가 진단한 해방기란 어떤 시공간이었는지, 그의 시대감각을 총체적으로살펴보고자 했다. 해방기 채만식 문학의 출발점이자 이 시기를 관통하는 핵심은과거에 대한 채만식의 ‘죄의식’이다. 일제하에서 친일문인으로 활동했던 그는 해방후 작고할 때까지 이 죄의식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했고, 그로 인해 그의 해방기 문학 속 현실비판과 풍자정신은 일종의 제약을 갖게 됐다. 비판하는 대상으로부터거리감, 도덕적 우위를 확보하는 데 실패했기 때문이다. 그로 인해 해방기 그의 문학에서는 ‘자기풍자’가 두드러지게 나타나지만, 본고에서는 채만식의 자기풍자가결코 허무주의로만 흐르지는 않았다는 사실을 밝히고자 했다. 그는 해방기 소설에서 부정적 인물들을 통해 해방 전후 여전한 세계의 질서를 비판하며 절망했고, 역사소설들을 통해서는 외세에 의존하는 역사가 반복된다면 미군정하에서의 한국의운명도 위태로울 것이라고 경고했다. 역사의 반복을 경계하고 과거와 단절될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마침내 채만식은 죄로부터 결백하고, 기성세대와는 다른 길을 가기로 선언한 ‘소년-인물’들을 통해 새로운 세상의 가능성을 점쳤다. (민족적) 죄의식으로부터 시작된 채만식의 해방기 문학은 우리세계에 여전한 식민성과 비주체성을 효과적으로 보여주며, 나아가 우리민족이 반복되는 역사의 질곡으로부터 탈출할 길을 모색하고자 한 적극적 시도였다고 말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