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華嚴五敎章> 의 敎判을 통해 본 事事無碍의 위치와 의미 : 法相敎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민윤영 翰林大學校 泰東古典硏究所 2007 泰東古典硏究 Vol.23 No.-

        『오교장』에 나타난 오교십종판(五敎十宗判)의 성립의도와 배경 및 그 교리적 내용들을 따져볼 때, 화엄교학의 실질적인 내용은 대승종교의 심식설이다. 법상종이 대승종교(大乘終敎)의 구유식(舊唯識)을 화엄교학의 이론적 기반으로 삼은 것은 특히 신유식(新唯識)에 대한 견제의식 때문이다. 법장은 화엄교학을 '원교(圓敎)'라고 정의하고, 그것을 대승종교의 위 단계에 두었음에도 불구하고, 대승종교의 심식설로 원교의 심식설을 대신했다. 그리고 그것으로 신유식, 즉 법상종의 교학을 비판했다. 결국 법장은 법상종에 대응할만한 원교의 심식설을 따로 제시하지 않았던 것이다. 결국 원교는 교리적 측면으로는 대승종교의 이사무애를, 수행론적 측면에서는 돈교(頓敎)의 입장을 받아들여 만들어진 또 하나의 교학적 입장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원교의 핵심교학으로서 특별한 경험을 통해서만 파악될 수 있다는 사사무애란 그 실질적인 내용은 이사무애의 연장선성에 지나지 않는다. 사사무애란 다만 화엄교학이 여러 교학 가운데서 가장 뛰어난 교학이라는 것을 보여주기 의한 의도 하에 만들어진 하나의 방편적 개념이자, 사종법계(四種法界)라는 화엄만의 특별한 가르침을 만들어내기 위한 일종의 구성물에 지나지 않는다. Taking into account Fa-Tsang's intentions and the context behind the doctrinal classification and contents of the 『Hua Yen Wu Jiao Zhuang(華嚴五敎章)』, actual contents of Huayen doctrine is the theory of citta-vijna ̄na(心識說) in the Final Doctrine of the Great Vehicle(大乘終敎). The reason Fa-Tsang chose the Older-translated Vijna ̄pti-ma ̄trata ̄(舊唯識)as his theoretical basis for the Hua-yen doctrine seems to have been his wariness for the growing powers of the Newer-translated Vijna ̄pti-ma ̄trata ̄(新唯識). Although Fa-Tsang defined Hua-yen doctrine as the Round Doctrine of the One Vehicle(一乘圓敎) and put it on a higher level, he replaced the theory of citta-vijna ̄na(心識說) in the Round Doctrine of the One Vehicle by the one in the Final Doctrine of the Great Vehicle. And this is what he used to criticize the Newer-translated Vijna ̄pti-ma ̄trata ̄ school(法相宗). Fa-Tsang did not come up with a theory of citta-vijna ̄na of the Round Doctrine of the One Vehicle which can replace the Newer-translated Vijna ̄pti-ma ̄trata ̄ school. Subsequently, the Round Doctrine of the One Vehicle is in fact just another doctrinal position, formulated by the principles borrowed from the Non-obstruction of Universal-Principle and Particular-Phenomena(理事無碍) in the Final Doctrine of the Great Vehicle in terms of doctrinal aspects, along with the Abrupt Doctrine of the Great Vehicle( 頓敎) in terms of the practice theory. 頓敎 the principle of the non-obstruction of particular-phenomena and particular-phenomena(事事無碍) is an intentional and expediential concept in order to show the superiority of Hua-yen doctrine among other doctrines, even a sort of composition forged with the intention of teaching the Universe of Four kinds(四宗法界) which is a unique teaching of Hua-yen.

      • KCI등재

        유럽인권재판소 ‘판단의 여지’(Margin of Appreciation) 독트린에 대한 비판적 고찰: 소수자 인권 보장과 지역인권재판소의 역할을 중심으로

        신윤진 한국인권학회 2023 인권연구 Vol.6 No.2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has habitually applied the margin of appreciation doctrine, granting states parties wide discretion to interpret the provisions and elements of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with respect to rights restrictions. The Court has applied this doctrine mainly in areas of essential liberty rights, whose restrictions deserve a stricter standard of review. A wider margin of appreciation has been recognized for states in cases where moral, religious or cultural elements in a given society are deemed to be closely engaged or where there is no European consensus on the matter at hand. General grounds provided by the Court for the application of the doctrine include: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the assumption that the state party is in a better position to interpret the elements of human rights cases compared to international judges, and respect for state sovereignty and democratic processes. Political considerations on the part of the Court to prevent conflict with states parties, secure the authority of the Court and maintain the operational stability of the Convention system also play a crucial role. The margin of appreciation doctrine, based on these elements and considerations, is used to easily justify discrimination and human rights violations against minority groups and individuals in society, as the doctrine tends to drive the Court’s review to uphold majoritarian preferences rather than universal human rights principles. The current use of the doctrine goes against the expected role of the regional human rights court to implement human rights principles coherently and independently of political pressure from within and outside individual states. It also distor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of human rights and hinders the realization of genuine values of particularity in human rights cases. Wide use of the doctrine has also jeopardized the proportionality principle and the rule of law. The Court needs to cease considering improper factors that it has invoked when applying the doctrine, and should instead establish a coherent and systematic adjudication standard, based on the proportionality principle, that incorporates elements necessary for a concrete and contextualized rights review.

      • KCI등재

        암스트롱의 자연주의와 인과력의 원리

        김희정(Kim, Hee-Jeo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0 철학사상 Vol.35 No.-

        암스트롱의 자연주의에 의하면 실재는 ‘단일한 시공의 체계일 뿐’ 이다. 암스트롱은 초월적 존재자들이 시공의 체계에 영향을 미치는가, 아닌가 하는 문제를 제기한다. 초월적 실재론자의 어느 대답도 논박된다는 식으로 그는 자신의 자연주의를 옹호하고자 한다. 그런데 암스트롱의 자연주의는 자신의 임재적(immanent) 보편자 실재론과 양립 불가능하다고 지적된다. 이 논문은 그런 지적과 같은 입장에서 인과력의 원리를 중심으로 자연주의를 옹호하는 암스트롱의 논증에 대해 문제점을 제기하고자 한다. 이 논문의 I절에서는 약한 의미의 자연주의를 논박하는 암스트롱의 논증을 소개한다. 그리고 II절에서는 이 딜레마 논증의 첫 번째 뿔에 대한 암스트롱의 두 가지 지적이 모두 문제가 있다는 것을 논증한다. 이 논문의 III절에서는 딜레마 논증의 두 번째 뿔에 대한 암스트롱의 논박이 가진 문제점을 지적한다. 그가 첫 번째 뿔을 논박할 때와 마찬가지로 선결문제 요구의 오류를 범하고 있다는 것을 논증한다. 마지막으로 초월적 보편자의 존재와 그것이 시공의 체계와 연관을 맺는다는 것이 양립가능하다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According to Armstrong’s naturalism in a strong sense, reality is merely a total spatio-temporal system. He raises a question whether transcendental entities have causal affects on this system. He tries to defend his naturalism by refuting both answers of transcendental realists. However, it is pointed out that Armstrong’s naturalism is incompatible with his immanent realism on universals. I agree to that point. In this paper, I argue that there are some problems in Armstrong’s arguments for his naturalism by focusing on causal power. In section I, I present Armstrong’s arguments against naturalism in a weak sense. In section II, I argue that Armstrong"s objections on the first horn of the dilemma have difficulties. In section III, I argue that Armstrong’s refutation of the answer on the second horn is not successful. I argue that he is, here again, begging the question. In the end, I show that the existence of transcendental universals is compatible with their causal connections to our spatio-temporal system.

      • KCI등재

        성리학과 홀리즘의 비교

        김철호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3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7 No.3

        이 글은 성리학과 홀리즘을 비교함으로써, 전통사상과 20세기의 대안적 사상 간의 소통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 것이다. 홀리즘은 도가나 불가와 비교할 경우에는 연속성을 보게 되고, 성리학과 비교할 경우는 연속성과 차이를 함께 보게 될 것을 기대해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같음과 다름을 아울러 봄으로써 상호 간의 특징을 이해하는 방향을 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성리학을 세계관과 공부론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교육적 문제들을 통해 양자 간의 특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교육적 문제들로는 세계관 및 공부론과 관련이 있는 인간과 자연(환경교육), 인간과 인간(다문화교육), 앎과 행함(도덕교육)의 세 가지를 선정하였다. 결론적으로는 성리학과 홀리즘은 인간과 자연의 유기적 연계, 문화와 문화 간의 연속성과 차이에 대한 인식과 존중, 직관적이고 영적인 것을 포함한 균형 잡힌 방법론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공통된 기초를 지니지만, 성리학이 보다 인간중심적이고, 보편적 의미를 강조하며, 앎 공부 또한 중시한다는 점에서는 차이가 있음을 논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Neo-Confucianism on today's environmental issues, multi-cultural issues, and moral education issues by analyz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Neo-Confucianism and Holistic Education. To this end, in chapter two I focused on Zhu Xi(朱熹)`s explanation on the origin of nature in the respect of ch`i(氣) and on the essence of nature in the respect of li(理). Then I examined Zhu Xi`s theory of self-cultivation focused on Geogyeonggungri(居敬窮理). From this, in chapter three, I asserted that there are the holistic aspect in Neo-Confucian world-view and theory of self-cultivation in that nature and human, our culture and other cultures, knowledge and behavior are in integrated relations. But, on the other hand, I concluded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Confucionism and Holism in that Confucianism is more ‘human-centered’ and prefer to use the term ‘universal moral principle’ and ‘moral knowledge.’

      • KCI등재

        장로교회에서 보편교회와 지교회와의 관계 : 동질성과 차별성

        안은찬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21 복음과 실천신학 Vol.60 No.-

        본 논문의 목적은 개혁교회 및 장로교회에서 보편교회와 지교회의 적절한 관계를 발견하고 그 동질성과 차별성을 드러내어 교회법 제정 을 위한 입법론적 제언을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보편교회와 지교회를 정의하고, 성경과 개혁신학적 관점 및 교회법적 관점 그리고 국가법적 관점에서 그 동질성과 차별성의 의미를 밝혔다. 필자는 개혁 신학의 입장에서 보편교회와 지교회가 위계적인 질서를 거부하면서도 성령 안에서 하나 됨을 이루기 위하여‘체계정당성의 원리’을 충분히 고려하여 교회법 법제화에 다음과 같은 점을 제언하였다. 첫째, 교단의 헌법과 교회법들은 신앙고백서와 역사적 교회법과 일치되도록 제 · 개정되어야 한다. 둘째, 교단 총회의 교권주의화를 방지하는 제도적 법 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장로교회에서 시행하고 있는 교단 헌법상의‘예배모범’과‘예배서’의 법적 성격을 명확히 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교회의 교회정관은 상기 역사적 신앙고백과 교회법의 전 통은 물론 국가법과 교회법이 충돌하지 않도록「정관제·개정 심의위 원회」를 두어 지교회를 도와야 함 등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make legislative suggestions for the enactment of church laws by discovering the proper relationship between universal and particular church in the Reformed and Presbyterian church and revealing their homogeneity and differentiation. To this end, it first defined the universal and particular church, and revealed their homogeneity and differentiation from the biblical and Reformed Theological perspectives, perspectives of church law and national legal perspectives. From the perspective of reformed theology, I confirmed that the universal and particular church should be united in the Holy Spirit, while rejecting hierarchical order thoroughly. First, the constitution of denomination and the laws of the Church must be enacted and amended to match the confession of faith and historical church law. Second, institutional and legal mechanisms should be in place to prevent the abuse of authority of the General Assembly of the Church. Third, It is shall be clarified the legal nature of the ‘The Directory for Worship’ and ‘Service Book’ of worship under the constitution of the denomination implemented by the Presbyterian Church. Finally, the church bylaw should include the historical confession of faith and the tradition of church law, as well as the establishment of a “Committee to deliberate on constitution and church bylaw” to help local churches to prevent conflicts between national and church law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