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요한복음 4:3-42에 나타난 사마리아 여자, 그녀는 누구인가: 약혼식-유형과 인물 분석을 중심으로 한 내러티브 읽기

        김문현 한신대학교 한신신학연구소 2013 신학연구 Vol.50 No.1

        This article is a narrative-critical reading of John 4:3-42 as an analogy of an Old Testament ‘betrothal-type’ scene by focusing on the characterization of the Samaritan woman and Jesus. The narrative format of John 4:3-42 consists of five scenes. First, Jesus as the bridegroom finds it necessary to go through Samaria and stops at Jacob's well in Sycar. Second, the Samaritan woman comes to get water and Jesus requests a drink. After the woman questions his request, Jesus responds by questioning her knowledge of who he is and what he represents as living water. In the third scene, Jesus then challenges her to get her husband. After which, he reveals her private life history and identity. The woman declares Jesus as a prophet, which then leads to a discussion about true worship. The woman expresses faith that the Messiah is coming. Jesus then confirms his identity as the Messiah. The fourth scene reveals the woman testifying to the Samaritan people what Jesus has done for her. The Samaritan people then go to find Jesus. Jesus and disciples discuss earthly food verse spiritual food, and time of harvest. Finally, in the fifth scene, the Samaritans believe in Jesus because of woman's testimony. The Samaritans ask Jesus to stay with them. They proclaim Jesus as “Savior of the World.” And the spiritual betrothal is sealed. Under the rubric of the narrative criticism,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zation of the Samaritan woman along with the ‘betrothal-type’ scene provides a critical and important understanding of the contextual meaning of John 4:3-42. The implied author wants the reader to see Jesus as the bridegroom at the well. However, Jesus is not getting betrothed to an individual per se, but it is through the woman at Jacob's well that Jesus achieves a union with the Samaritan people who see Jesus as Savior of the World. The Image of Jesus as bridegroom with multiple believers as his bride is a symbol that is not lost on the readers of John's Gospel. The characterization of the Samaritan woman as bride is a major lens through which we see Jesus as bridegroom to seek his own people for eternal spiritual union.

      • 사마리아 종교의 타헤브(Taheb)

        조석민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09 Canon&Culture Vol.3 No.2

        이 글은 신약 성서에 암시된 사마리아 종교의 ‘타헤브’(bht, Taheb)에 관한 연구이다. 신약 성서 가운데 요한복음 4:19, 25은 사마리아 종교의 타헤브에 대한 지식과 이해가 요구되기 때문에 이 연구는 신약 성서 해석과 관련하여 큰 의미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 논문은 첫째, 사마리아인의 기원과 종교를 고찰하였다. ‘사마리아인들’은 ‘사메림’(Samerim)에서 비롯되었는데, ‘사메림’은 히브리어 ‘쇼메림’(~yrmv, ‘준수자들’)에 해당하며 ‘사마리아인들’은 거룩한 율법을 지키는 자들이라는 의미이다. 이 글에서 사마리아인의 기원에 대하여 세 가지 서로 다른 견해를 살펴보았다. 사마리아인들은 앗시리아에 유배되지 않은 북 이스라엘 원주민들의 후손들로 그들 가운데 종교적 순수성을 유지하려는 사람들이 어떤 이유로 세겜에 정착했다는 주장이 가장 가능성이 있다. 사마리아인들은 유일하신 하나님 한 분을 믿었으며, 모세는 유일한 하나님의 선지자이다. 사마리아 종교에서 절대적 권위는 오직 사마리아 오경으로 이것을 하나님의 계시로 이해한다. 사마리아 종교에서 그리심 산은 유일한 성소(聖所)이며, 그리심 산의 성소와 사마리아인의 번영을 회복하는 타헤브가 나타나 새로운 통치를 시작할 것을 믿었다. 둘째, 사마리아 종교에 등장하는 타헤브의 의미와 역할을 고찰하였다. 사마리아 종교의 종말론에 등장하는 ‘타헤브’는 그 단어의 어원이 히브리어 ‘수브’(bwv)와 동등한 사마리아 아람어(the Samaritan Aramaic)로 그 의미는 ‘귀환’ 또는 ‘회복’이다. 타헤브의 역할은 그 단어의 의미에서 볼 수 있듯이 회복자로서 그리심 산에 예배 처소를 회복하고, 참된 예배를 드리게 하는 것이며, 진리를 계시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 타헤브는 귀환자로서 사람들이 회개하고 돌아오게 하는 역할을 한다. 타헤브는 사마리아 문헌 속에서 사마리아 메시아로, 모세와 같은 선지자로, 세상 마지막 때에 나타나는 선지자로 묘사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 글에서 신약 성서에 암시된 타헤브에 관하여 요한복음 4:19, 25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요한복음 4장의 두 본문은 사마리아 종교에 등장하는 사마리아 메시아 타헤브를 분명히 암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find the Taheb in the Samaritan religion which is implied in the New Testament, in particular, John 4:19 and 4:25. For proper understanding on the John’s passages, knowledge of the Taheb in the Samaritan religion seems to be necessary, thus this study would be a meaningful result in relation to New Testament studies. In this paper, first of all, the origin of Samaritans and their religion have been investigated. The word ‘Samaritans’ originally comes from ‘Samerim’, which is a Hebrew word ‘Shomerim’ and its meaning is ‘keepers’ or ‘observers’. Thus the word ‘Samaritans’ means that they are to keep the holy Torah. In this essay, three different suggestions have been summarized in connection with the origin of Samaritans. The most plausible theory on the origin of Samaritans is that they were descendant of native Israelites who lived in the northern part of Israel, and were not exiled. Some of Samaritans wanted to keep their religious piety and purity, so they inhabited at Shechem with unknown reason. In the Samaritan religion, they believe in the only God, and Moses as the only prophet. The most authoritative cannon in the Samaritan religion is the Samaritan Pentateuch which is understood as God’s revelation. The Mount Gerizim is the only sacred place in Samaritan religion, and the Taheb will appear at the end of world, and he will govern the whole world in order to bless Samaritans. Second, the meaning and the role of the Taheb have been examined. The meaning of the Taheb in the Samaritan eschatology is found in the Samaritan Aramaic equivalent of the Hebrew bwv which means to return and to restore. The role of the Taheb, as implied in the meaning of the word, is to restore the true worship at the Mount Gerizim, and is to reveal the truth. Other role of the Taheb is to convert the people in order to return back to God. The Taheb in the Samaritan literature is depicted as the Samaritan Messiah, or a prophet like Moses, or the eschatological prophet. Finally, the Taheb implied in the New Testament, in particular, John 4:19 and 4:25 have been investigated in relation to the figure of Taheb, in order to find whether the passages show indirectly the Samaritan Messiah, the Taheb. The result is more positive then expected.

      • KCI등재

        사마리아 종교의 타헤브(Taheb)

        조석민(Sukmin Cho)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09 Canon&Culture Vol.4 No.2

        이 글은 신약 성서에 암시된 사마리아 종교의 ‘타헤브’(???, Taheb)에 관한 연구이다. 신약 성서 가운데 요한복음 4:19, 25은 사마리아 종교의 타헤브에 대한 지식과 이해가 요구되기 때문에 이 연구는 신약 성서 해석과 관련하여 큰 의미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 논문은 첫째, 사마리아인의 기원과 종교를 고찰하였다. ‘사마리아인들’은 ‘사메림’(Samerim)에서 비롯되었는데, ‘사메림’은 히브리어 ‘쇼메림’(??????, ‘준수자들’)에 해당하며 ‘사마리아인들’은 거룩한 율법을 지키는 자들이라는 의미이다. 이 글에서 사마리아인의 기원에 대하여 세 가지 서로 다른 견해를 살펴보았다. 사마리아인들은 앗시리아에 유배되지 않은 북 이스라엘 원주민들의 후손들로 그들 가운데 종교적 순수성을 유지하려는 사람들이 어떤 이유로 세겜에 정착했다는 주장이 가장 가능성이 있다. 사마리아인들은 유일하신 하나님 한 분을 믿었으며, 모세는 유일한 하나님의 선지자이다. 사마리아 종교에서 절대적 권위는 오직 사마리아 오경으로 이것을 하나님의 계시로 이해한다. 사마리아 종교에서 그리심 산은 유일한 성소(聖所)이며, 그리심 산의 성소와 사마리아인의 번영을 회복하는 타헤브가 나타나 새로운 통치를 시작할 것을 믿었다. 둘째, 사마리아 종교에 등장하는 타헤브의 의미와 역할을 고찰하였다. 사마리아 종교의 종말론에 등장하는 ‘타헤브’는 그 단어의 어원이 히브리어 ‘수브’(????)와 동등한 사마리아 아람어(the Samaritan Aramaic)로 그 의미는 ‘귀환’ 또는 ‘회복’이다. 타헤브의 역할은 그 단어의 의미에서 볼 수 있듯이 회복자로서 그리심 산에 예배 처소를 회복하고, 참된 예배를 드리게 하는 것이며, 진리를 계시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 타헤브는 귀환자로서 사람들이 회개하고 돌아오게 하는 역할을 한다. 타헤브는 사마리아 문헌 속에서 사마리아 메시아로, 모세와 같은 선지자로, 세상 마지막 때에 나타나는 선지자로 묘사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 글에서 신약 성서에 암시된 타헤브에 관하여 요한복음 4:19, 25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요한복음 4장의 두 본문은 사마리아 종교에 등장하는 사마리아 메시아 타헤브를 분명히 암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find the Taheb in the Samaritan religion which is implied in the New Testament, in particular, John 4:19 and 4:25. For proper understanding on the John’ passages, knowledge of the Taheb in the Samaritan religion seems to be necessary, thus this study would be a meaningful result in relation to New Testament studies. In this paper, first of all, the origin of Samaritans and their religion have been investigated. The word ‘Samaritans’ originally comes from ‘Samerim’ which is a Hebrew word ‘Shomerim’ and its meaning is ‘keepers’ or ‘observers’ Thus the word ‘Samaritans’ means that they are to keep the holy Torah. In this essay, three different suggestions have been summarized in connection with the origin of Samaritans. The most plausible theory on the origin of Samaritans is that they were descendant of native Israelites who lived in the northern part of Israel, and were not exiled. Some of Samaritans wanted to keep their religious piety and purity, so they inhabited at Shechem with unknown reason. In the Samaritan religion, they believe in the only God, and Moses as the only prophet. The most authoritative cannon in the Samaritan religion is the Samaritan Pentateuch which is understood as God’ revelation. The Mount Gerizim is the only sacred place in Samaritan religion, and the Taheb will appear at the end of world, and he will govern the whole world in order to bless Samaritans. Second, the meaning and the role of the Taheb have been examined. The meaning of the Taheb in the Samaritan eschatology is found in the Samaritan Aramaic equivalent of the Hebrew bwv which means to return and to restore. The role of the Taheb, as implied in the meaning of the word, is to restore the true worship at the Mount Gerizim, and is to reveal the truth. Other role of the Taheb is to convert the people in order to return back to God. The Taheb in the Samaritan literature is depicted as the Samaritan Messiah, or a prophet like Moses, or the eschatological prophet. Finally, the Taheb implied in the New Testament, in particular, John 4:19 and 4:25 have been investigated in relation to the figure of Taheb, in order to find whether the passages show indirectly the Samaritan Messiah, the Taheb. The result is more positive then expected.

      • KCI등재

        논문 : 토마스 아퀴나스의 여성관 -『요한복음 주석』에 나타난 "페미니즘"-

        손은실 ( Eun Sil Son ) 한국중세철학회 2014 중세철학 Vol.0 No.20

        본고의 주된 목표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요한복음 주석』에 나타난 ‘페미니즘’을 규명하고 그 유래를 밝히는 것이다. 이 주석서에서 4장의 사마리아 여인과 20장의 막달라 마리아가 나오는 본문을 주석한 부분이 본고의 주된 분석 대상이다. 이본문 주석에서 토마스는 두 여인이 ‘사도의 직무’를 수행했다고 해석한다. 사마리아 여인에 대해서는 특별히 그녀의 설교의 방식과 열매를 섬세하게 분석하고, 막달라 마리아에게는 ‘사도들의 사도’라는 호칭을 부여한다. 이 본문들에 대한 재해석을 시도한 20세기의 페미니스트 성서학자들은 이 텍스트들이 남성지배적인 주석과 설교 전통 속에서 왜곡되거나 하찮은 것으로 치부되어 왔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토마스는 이들보다 훨씬 앞서서 요한복음에 나타난여성의 사도적 역할에 주목하고, 그 어떤 현대 페미니스트 성서 해석학자 못지않은 페미니스트적 감수성을 보여준다. 그렇지만 토마스가 여성을 다루는 모든 텍스트에서 이와 같은 태도를 보여주는 것은 아니다. 본고에서 비교를 위해 분석한 바울서신 주석과 『신학대전』의 병행구절은 오히려 그가 속했던 시대의 가부장적 여성관을 반영하고 있다. 이렇게 상이한 심지어 모순되는 여성관을 보여주는 토마스의 텍스트를 이해할 수 있는 길은 토마스의 신학에서 성서의 권위가 가지는 위상을 기억하는 것이다. 그에게 성서는 신학적 사유의 최종적 근거이자 절대적인 권위를 가진다. 따라서 그에게 성서의 텍스트인 바울서신에 나오는 여성은 침묵하고 가르치지 말라는 주장이 오류일 수 없다. 마찬가지로 요한복음에 나타난 여성의 사도적 직무 수행과 설교도부인할 수 없는 성서의 증거이다. 따라서 토마스는 두 성서 텍스트의 주장을 모두 수용한다. 이러한 토마스의 태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토마스가 자기 시대 문화와 사회적그리고 종교적 맥락에 따라 성서를 읽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그 시대문화 속에서 여성의 종속은 기정사실이었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생물학적 이론과 사회구조는 여성의 종속적 지위를 강화했다. 이런 맥락에서 토마스가 바울서신에 나타난 여성은 침묵하고 가르치지 말라는 구절에 문제를 느끼지 않았던 것은 어쩌면 자연스러운 일이었을 것이다. 반면에 『요한복음 주석』에서 토마스가 남녀 차별을 넘어서는 복음적 여성 이해를 보여준 것은 자연스럽다고 보기 어려우며 놀라운 일이다. 토마스의 다른 텍스트에서 발견할 수 없었던 페미니즘이 이 주석서에서 거침없이 드러날 수 있었던 이유는 복음서 자체가 증언하는 내용, 즉 그리스도가 당대의 가부장적 사회 구조를 뛰어 넘어 여성에게 사도의 직무를 맡기는 내용에 토마스가 겸손히 귀를 기울인 것에서 비롯된다. 이를 통해 그는 사마리아 여인이 수행한 사도의 직무를 감탄할만한 방식으로 분석하고, 부활의 첫 증인이 된 막달라 마리아에게 ‘사도들의 사도’라는 호칭을 부여하며 자기시대의 가부장적 여성관을 과감하게 뛰어 넘을 수 있었던것이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feminism” in Thomas Aquinas’ Commentary on the Gospel of St. John and identify its origin. The object of the analysis is his interpretation of the pericopes containing Samaritan woman(chapter 4) and Mary Magdalene(chapter 20). Thomas commented that these women carried the “ministry of the apostles”. Particularly he dedicated a fine analysis to the method and the fruit of Samaritan woman’s sermon, and gave the title of “the apostle of apostles” to Mary Magdalene. Feminist biblical scholars of the 20th century attempted to reinterpret these texts and insisted that they have been distorted or dismissed as trivial in the male-dominated tradition. But Thomas payed attention to women’s apostolic roles found in the Gospel of St. John, and showed no less feminist sensibility than any other modern feminist biblical scholar. However, such an attitude is not found in any other text of Thomas dealing with women. His commentaries on some passages of Paul’s letters and their parallel passage in Summa Theologiae rather reflect the patriarchal view of women popular in the era to which he belonged. A way to understand this different or even contradictory views of women in the diverse works of Thomas is to remember his respect for the authority of the Bible. Indeed, the Bible has the absolute and ultimate authority in his theological reasoning. Therefore, for him neither Paul’s letters nor the Gospel of John can contain an error. So Thomas hold all the claims of the two biblical texts. In order to understand this attitude of Thomas, we must keep in mind that Thomas read the Bible according to the culture and the social and religious context of his time. Subordination of women in the era was an established fact, and the biological theory of Aristotle and the social structure strengthened the dependent status of women. In these circumstances, it is natural that the pauline phrase like “I do not permit a woman to teach, … she must be silent”(I Tim. 2: 12) did not appear to Thomas problematic. On the contrary, the evangelical view of women in the Commentary on the Gospel of John is not natural and surprising at that time. The reason why “feminism”, is found in the Commentary, contrary to other works of Thomas, is that Thomas humbly listened to the witnesses of the Gospel itself, that is, Christ entrusted the office of Apostle to women beyond the contemporary patriarchal social structure. Through his listening to the God’s word, Thomas could observe the apostolic office accomplished by women and surpass drastically the patriarchal view of women of his day.

      • KCI등재

        현대 여성 시각에서 바라본 사마리아 여자와 바스의 여장부 연구

        이현주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21 문학과종교 Vol.26 No.3

        “‘착한 여자’라는 이름의 억압, ‘나쁜 여자’라는 이름의 해방”이라는 구호 아래서, 현대 페미니스트들은 용감하게 자신들이 나쁜 여자라 불리기를 주저하지 않았다. 이들의 이와 같은 노력으로 나쁜 여자의 의미는 이전의 전통적인 의미를 벗어나 남성 지배적인 사회에서 여성의 권리와 지위를 찾기 위해 투쟁하는 여성이라는 긍정적인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이런 경향은 성서에 등장하는 여성 연구를 포함하여 인문학에서 나쁜 여자라 평가받았던 여성들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졌다. 본 논문은 「요한복음」 4장 1절에서 42절 사이에 등장하는 사마리아 여자와 초서의 『캔터베리 이야기』에 등장하는 바스의 여장부를 나쁜 여자를 재평가하려는 현대 페미니스트적 시각으로 분석해보고자 한다. 두 여자는 모두 다섯 번 결혼한 여성으로 기독교가 지배하는 남성 중심 시대상으로 볼 때는 분 명히 나쁜 여자였다. 하지만 현대 페미니스트적 시각으로 볼 때 이들은 도리어 여성이라는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고 당당하게 자신이 생각하고 배웠던 바를 이야기하고 투쟁했던 여성들로 재조명된다. Under the catchphrase, “Oppression under the Name of Good Women, Liberation under the Name of Bad Women,” modern and contemporary feminists have been daring to be bad women. As a result of their efforts, the traditional connotation of bad women, has developed into a positive one, which identifies women who are fighting against the traditional prejudices in the male-dominated society. This trend also has influenced the academic humanities including biblical women studies. This article examines the Samaritan Women in “John” 4:1-42 and the Wife of Bath in The Canterbury Tales from the present feminist point of view. These two women could be bad women in their own times because they were married five times respectively and spoke publically about what they learned and thought.

      • Women`s Ministry in the Gospels

        ( Miguel Luna ) 삼육대학교 선교와사회문제연구소 2014 Asia-Africa Journal of Mission and Ministry(AAMM) Vol.9 No.-

        Women`s Ministry in the Gospels explores the role of women in the gospels and their function and responsibilities in supporting Jesus` ministry together with His disciples. This article focuses on women who made a unique contribution as Jesus traveled around fulfilling His missions. It explains the service they provided before His suffering and after His resurrection and how the Holy Spirit continued empowering them to share Jesus` mission and ministry.

      • KCI등재

        투사에 관한 목회상담학적 고찰

        이두경 한국실천신학회 2023 신학과 실천 Vol.- No.83

        본 연구는 자아방어기제인 투사가 가진 심리적이고 신학적인 관점의 통합에 관한 고찰이다. 연구자는 개인이 은연중에 작동되는 투사가 핵심적 자아를 회복하는 방해 요인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투사와 관련하여 심리학의 성격과 마음의 구조를 설명하 는 이론들을 탐색하고 투사에 대한 심리적이며 신학적인 치료적 접근 방식을 시도하 였다. 그 대표적인 예로 버지니아 사티어는 가족치료 과정에서 심리내적 탐험 즉 빙산의 메타포를 활용한 점과, 칼 구스타프 융이 인격과 마음의 구조라는 모형을 설명한 점 에 주목하였다. 사티어의 심리내적 탐험과 융의 마음 구조에 관한 모형은 하나님의 형상을 가진 인간의 참자기를 찾아가는 과정으로 설명한다. 융은 인간 정신의 분열을 지양하고 통합하게 하는 요소로서 참 자기에 이르는 과정을 무의식과 관련하여 제시 하였다. 즉 융은 자아와 의식의 관계, 무의식과 그림자 및 아니마와 아니무스의 의식 화가 투사라는 체험양식으로 의식에 동화되는 것이라고 이해한다. 사티어는 빙산 탐색의 단계가 영혼 깊은 곳에서 자신을 지탱하는 핵심적인 자아를 발견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사티어 모델의 빙산 탐색은 행동, 감정, 감정에 대한 감 정, 지각, 기대와 열망의 단계를 거쳐 마지막으로 핵심적인 자아를 경험하게 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탐색 과정은 핵심적인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으로, 인간의 표면적 행동 양식은 감정과 지각과 기대와 열망을 표현하며, 미해결된 인간의 역기능적인 근원은 자존감, 의사소통의 방식, 가족 규칙 등과 깊은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사티어는 빙산 탐색을 지금-여기의 즉시성에 의한 만남으로 개념들과 접촉되며 참 자기와 접촉된다 는 점에 집중한다. 이는 게슈탈트의 이론적 개념에서 구체화 하고 있는데 특히 연구자는 투사의 심리 적 기제에서 그 대안적 접근 방식을 찾았다. 투사는 수용하기 힘든 공격성과 충동 등 자신의 일부를 외부 대상에게 전가하여 타인의 행동, 욕구, 생각, 특성으로 돌려 남 탓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적 축으로서의 투사가 지니는 의미와 심리적 개입 및 신학적 관점과의 연관성에 관해 연구하였다. 특히 예수그리스도와 대화하는 사마리아 여자의 장면에서 무의식의 투사물이 여자의 의식 안에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 아픈 현실에 마주한 여자의 자아상이 어떻게 하나님의 형상으로 회복되는지, 새로운 피조물로 그 녀가 어떻게 삶의 의미와 열정이 회복되고 이웃과의 관계가 새로워지는지에 주목하였 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목회상담의 심리학적이며 신학적 배경에서 투사에 관한 의미 를 고찰하고 이를 통한 목회적 돌봄 방안에 관하여 고민해 보았다는 데에 의의를 두고 있다. This study is a thesis on the integration of psychological and theological perspectives of projection, a self-defense mechanism. Noting that the individual's indiscriminate projection is an obstacle to the recovery of the core self, the researcher explored theories that explain the nature of psychology and the structure of the mind in relation to projection, and attempted a psychological and theological therapeutic approach to projection. Virginia Satir noted the use of the metaphor of the iceberg in the process of family therapy, and Carl Gustav Jung's description of the model of personality and the structure of the mind. Satir's inner exploration and Jung's model of the structure of the mind are described as a search for the true self of man, the image of God. Jung presented the process of attaining the true self as an element that avoids and unites the division of the human mind in relation to the unconscious. In other words, Jung understand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and consciousness, the unconscious and shadow, and the consciousness of anima and animus as assimilation into consciousness as a mode of experience called projection. Satir noted that the stage of iceberg search is to find the core self that sustains itself deep in the soul. The iceberg exploration of the Satir model is that it goes through the stages of action, emotion, perception, expectation and aspiration, and finally experiences the core self. The search process is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core self, the superficial behavior of human beings expresses emotions, perceptions, expectations, and aspirations, and the unresolved dysfunctional source of human beings has a lot to do with self-esteem, communication methods, family rules, etc. Satir concentrates on the iceberg expedition as an encounter by immediacy of the now-here, in contact with concepts and in contact with the true self. This is embodied in the theoretical concepts of Gestalt, and in particular the researcher has sought an alternative approach in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projection. Projection means that a part of oneself, such as aggression and impulsivity that is difficult to accept, is transferred to external objects, transferred to the behaviors, desires, thoughts, and characteristics of others, and ends up blaming others.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meaning of projection as a clinical axis and its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intervention and theological perspectives. In particular, in the scene of the Samaritan woman conversing with Jesus Christ, the projection of the unconscious works in the woman's consciousness to face the painful reality and restore her self-image as a broken image of God, her relationship with her neighbor, and her desire for life to be restored as a new creatu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xamined the meaning of projection in the psychological and theological background of pastoral counseling and considered how to provide pastoral care through it.

      • KCI등재

        전형적인 장면으로서 해석된 사마리아 여인의 이야기(요 4:1-42)에 나타난 익명성의 의미

        이달(Lee, Dal) 한국신약학회 2017 신약논단 Vol.24 No.2

        이 논문은 사마리아 여인의 이야기(요 4:1-42)에 대한 문학비평적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먼저 이 이야기를 해석하여 온 바탕이 되는 전형적인 장면이라는 양식에 관해 고찰하였다. 이 이야기는 주로 약혼의 전형적인 장면으로 해석되어 왔다. 구약성서를 비롯한 고대 문헌에서 비슷한 양식이 가지는 요소들이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 이 이야기를 환대의 전형적인 장면이라는 보다 넓은 틀 안에서 보아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약혼과 환대의 전형적인 장면으로 보는 해석은 내용에 앞서 형식면에서 일정한 해석의 틀을 제공해 준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개별적인 이야기가 갖고 있는 내용과 주제의 독특성을 간과할 수 있는 여지를 남길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필자는 사마리아 여인의 이야기가 가지는 익명성의 주제에 주목하였다. 요한복음 저자가 사마리아 여인을 등장인물로 설정하고 그녀를 통하여 말하려고 하는 메시지는 사마리아 여인이 갖는 실제적 인물로서의 영역을 능가하는 것이다. 약혼이나 환대는 하나의 모티프로 활용되고 있지만, 사마리아 여인의 이야기는 단지 남녀간의 사랑이나 나그네에 대한 환대라는 주제를 넘어서고 있다. 사마리아는 그 지역의 사람들, 전통, 관습이 함축할 수 있는 상징성 때문에 중요도가 더해진다. 사마리아 여인은 사마리아 사람들을 대표하는 인물임과 동시에 궁극적으로 이상적인 제자도를 대표하는 인물로서 형상화되고 있다. 사마리아 여인의 익명성은 해석의 미결정성과 간극을 매우는 독자의 역할을 강화시킴으로써 이상적인 제자로서의 대표성과 신비성을 더욱 두드러지게 만들어 준다. One of the literary-critical readings of John 4:1-42 is to use typescenes in which the themes of betrothal and hospitality come to the fore. In the light of these two type-scenes I attend to the element of anonymity of the main character of the narrative, the Samaritan woman. She represents more than a historical figure within a specific historical context. The Johannine account is more than a love story between a man and a woman or a custom of hospitality toward a stranger. It features a rich symbolic and multi-valent web of meaning. The geographical name Samaria carries complex set of cultural and social assumptions about its people, tradition, and custom. As a member of the community in Samaria, the Samaritan woman represents the ideal discipleship. By strengthening the universal and mysterious nature of the ideal disciple, the anonymity in the narrative allows the reader to fill up the gap and settle the indeterminacies of the text.

      • KCI등재

        사마리아 여인 이야기(요한복음 4:1-42)에 대한 개성화 관점에서의 연구

        김재성(Jae-Sung Kim)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9 신학사상 Vol.0 No.187

        사마리아 여인 이야기는 오랫동안 부도덕한 여인이 예수를 만나 회개하는 이야기로 해석이 되어왔다. 그 여인에게 남편이 다섯이 있었고 현재 살고 있는 남자도 남편이 아니라는 구절은 문자적으로 해석되어 왔다. 개성화의 관점에서는 이런 문자적 관점에서 벗어나 그 여인과 다섯 남편을 상징으로 보고자 한다. 개성화의 관점은 교리적 관점이나 기독론적 관점에서 보는 것에서 벗어나서 자아가 자기로 탄생하는 관점에서 본다. 예수가 그 여자에게 시혜를 베푼 사건으로 보는 주객구도를 깨고, 예수도 목이 마르며, 그 여인에게 구걸할 수도 있다는 관점에서 본다. 개성화의 관점에서는 그 여인만 변화되는 것이 아니라, 예수도 더불어 변화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본다. 복음서의 이야기를 과거에 일회적으로 완결된 이야기로 보지 않고 지금 여기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본다. 개성화의 사건은 2천 년 전에 한 번 일어나고 끝난 것이 아니라, 창조 이야기와 출애굽 사건에서도, 예언자들에게서도 일어난 것이다. 그것은 갈릴리 예수의 이야기에서 결정적으로 분출하였다. 사마리아 여인 이야기는 그 가운데 가장 아름답고 의미 깊은 개성화의 사건의 증언이다. The story of the Samaritan woman has long been interpreted as the story of an immoral woman meeting with Jesus and repenting. The phrase that the woman had five husbands and that the man who lives now is not her husband has been interpreted literally. Apart from the literal point of view, from the point of view of individuation I would like to see this woman and her five husbands as symbols. It is not a dogmatic or a Christological point of view, but a view of the birth from Ego to Self. It breaks the traditional subject-object frame in which Jesus always gives something to her. Rather, Jesus also was tired, thirsty, and could ask the woman for something. From the perspective of individuation, not only the woman is changed, but also Jesus was changed as well. The story of the Gospels is not a one-off story of something that happened in the past but a story that is taking place here and now. The event of individuation did not happen and end 2000 years ago. It happened in the story of creation, in the Exodus, and in the prophets. It culminated in the story of Jesus of Galilee. The story of the Samaritan woman is the testimony of the most beautiful and meaningful event of individuation among them.

      • KCI등재후보

        문자/상징 지표를 활용한 요한복음 4:18의 pe,nte ... a;ndraj와 nu/n o]n e;ceij에 대한 의미 재고

        송승인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2020 피어선 신학 논단 Vol.9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요한복음 4:18에 등장하는 두 표현 pe,nte ... a;ndraj와 nu/n o]n e;ceij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살피는 것이다. 본 논문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전반부는 이 두 표현의 의미에 대한 학자들의 여섯 가지 주요 의견을 검토한다(다섯 번 결혼하고 이혼한 부도덕한 여인으로 해석, a;ndraj를 “남편들”이 아니라 “연인들”로 해석, 앗수르 정복 후 사마리아에 정착한 다섯 지역 사람들의 이방 신들을 상징, 역사상 사마리아 사람들을 지배했던 제국들과 그들의 신들을 상징, 계대 결혼 제도, 경제적 이유로 다섯 번 결혼). 본 논문의 후반부에서는 이 여섯 가지 가능성 중 가장 설득력 있는 해석을 찾기 위해 6개의 상징/문자 지표를 활용한다. 첫 번째 지표는 물이나 물과 관련된 이미지가 문자적으로 뜻이 통하는지의 여부이다. 두 번째 지표는 제안된 해석(문자적이든 상징적이든)이 인접 문맥과 잘 어울리는지의 여부이다. 세 번째 지표는 인접 문맥에 다른 상징적 표현들이 있는지의 여부이다. 네 번째 지표는 속해 있는 내러티브 속에서 물이 강조가 되었는지의 여부이다. 다섯 번째 지표는 인접 문맥에 비교적 상세한 지리적 연대기적 정보가 등장하는지의 여부이다. 마지막 여섯 번째 지표는 인접 문맥에 상징이 사용되었음을 암시하는 단어가 있는지의 여부이다. 이 분석을 통해 우리는 이 여섯 가지 지표 중 첫 번째(남편 어휘가 문자적으로 뜻이 통하는지의 여부), 두 번째(제안된 해석이 인접 문맥과 잘 어울리는지의 여부), 다섯 번째(인접 문맥에서 비교적 상세한 지리적 연대기적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 지표는 문자적 해석을, 세 번째(인접 문맥에 다른 상징적 표현들이 있는지의 여부), 네 번째(속해 있는 내러티브 속에서 남편이 강조가 되었는지의 여부), 여섯 번째(인접 문맥에 상징이 사용되었음을 암시하는 단어가 있는지의 여부) 지표는 상징적 해석을 지지함을 알게 된다. 그리고 이 여섯 지표의 상대적 중요도에 따라 필자는 요한복음 4:18의 경우 이 여섯 가지 지표들 중 두 번째 지표인 “제안된 해석이 인접 문맥과 잘 어울리는지의 여부 지표”가 가장 중요한 지표로 작용한다고 평가하고, 따라서 요한복음 4:18의 pe,nte ... a;ndraj와 nu/n o]n e;ceij가 문자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고 결론 내린다. 그리고 위에서 열거한 여섯 가지 해석들 중 네 가지 문자적 해석들 가운데 “다섯 번 결혼하고 이혼한 부도덕한 여인으로 해석”이 “제안된 해석이 인접 문맥과 잘 어울리는지의 여부 지표”와 가장 잘 어울림을 관찰한다. 이 분석에 근거해 필자는 이 다섯 남편이 문자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며(좀 더 구체적으로는 이 여인을 다섯 번 결혼하고 이혼한 부도덕한 여인으로 해석해야 하며), 이 본문을 사마리아 여인이 예수를 선지자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예수의 인식 능력을 보여주기 위한 요한복음 저자의 문학적 장치라고 해석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two expressions, pe,nte ... a;ndraj and nu/n o]n e;ceij, in John 4:18. The article is divided into two main sections. The former half examines the six opinions of scholars on the meaning of these two expressions (interpreting as immoral woman who has been married and divorced five times, interpreting a;ndraj not “husbands” but “lovers”, symbolizing foreign gods of five people from five different regions who settled in Samaria after the conquest of Assyria, symbolizing the empires and their gods who ruled the Samaritans in history, the marriage based on levirate law, five marriages for economic reasons). In the latter half of this article, I use my six literal/symbolic indicators to find the most convincing interpretation among these six possibilities. The first indicator is whether the water or water-related image makes sense literally. The second indicator is whether the proposed interpretation (literal or symbolic) coheres well with its immediate context. The third indicator is whether other symbolic expressions are present in context. The fourth indicator is whether water is highlighted in the narrative in which it belongs. The fifth indicator is whether relatively detailed geographic or chronological information is present in the immediate context. The final sixth indicator is whether vocabulary suggesting the use of symbols is present. Through this analysis, we find that the first indicator (whether the vocabulary of husband makes sense literally), the second indicator (whether the proposed interpretation coheres well with its immediate context), and the fifth indicator (relatively detailed geographic or chronological information is present in the immediate context) support the literal interpretation and the third indicator (whether other symbolic expressions are present in context), the fourth indicator (whether husband is highlighted in the narratives in which it belongs), the sixth indicator (whether vocabulary suggesting the use of symbols is present) support the symbolic interpretation. And according to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se six indicators, I evaluate that the second indicator, “the indicator of whether the proposed interpretation coheres well with the immediate context”, is the most important indicator and conclude that pe,nte ... a;ndraj and nu/n o]n e;ceij in John 4:18 should be interpreted literally. Of the six literal interpretations listed above, I observe “interpreting the Samaritan woman as an immoral woman who has been married and divorced five times” best matches the “indicator of whether the proposed interpretation coheres well with the immediate context.” Therefore based on this analysis, I interpret the five husbands literally (more specifically, interpret this woman as an immoral woman who has been married and divorced five times), and see this text as the literary device of the evangelist to demonstrate the supernatural power of Jesus that helps the woman identify Jesus as the proph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