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회규칙(國會規則)의 성격(性格)에 관한 몇 가지 문제

        박찬주 ( Chan Ju Park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서울대학교 法學 Vol.51 No.4

        헌법 제64조 제1항에서는 『국회는 법률에 저촉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의사와 내부규율에 관하여 규칙을 제정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필자는 이 규정과 관련하여 이 글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고 있다. 첫째는, 헌법에서 국회가 제정하는 의사와 내부규율에 관한 법규범에 대해 『규칙』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고 하여 국회규칙의 지위에 대해 法段階說에서 말하는 법률보다 하위개념으로서의 지위만 인정하여서는 아니 된다. 그리고 국회와 함께 독립된 헌법기관인 대법원, 헌법재판소,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제정하는 법규범에 대해 국회규칙에서 사용하는 『규칙』과 동일한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고 하여 모두 동등한 효력을 인정할 것도 아니다. 국회규칙을 제정하는 국회는 입법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국회규칙에 대해서는 법률로서의 지위가 인정되어야 한다. 둘째는, 국회규칙에 대해 법률로서의 효력을 인정하는 경우에 법률규정과 충돌하는 국회규칙의 효력이 문제되는데, 필자는 헌법 제64조 제1항 규정에도 불구하고 국회규칙은 저촉되는 법률을 묵시적으로 폐지하거나 개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인정하고 있다. 셋째는, 국회법 제166조 제1항에서는 『국회는 헌법 및 법률에 저촉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의사와 내부규율에 관한 규칙을 제정할 수 있다』고 규정하지만 동 국회법 규정은 헌법 제64조 제1항과 실질적으로 同語反覆(tautology)의 규정일 뿐 국회규칙의 제정에 대한 위임근거가 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Article 64 (1) of the Constitution provides “The National Assembly may establish the regulations of its proceedings and internal disciplines: Provided, That they are not in conflict with Act.” The writer draws several conclusions in relation of that Article in this essay. First, we should not treat the National Assembly Regulation as a mere regulatory norm the status of which is lower than legal norm, as Article 64 (1) of the Constitution uses the notion of ``regulation``. And we should bear in mind that, though National Assembly Regulation uses the same notion of ``regulation`` like regulations of other independent constitutional organizations such as Supreme Court, Constitutional Court, and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the normative status of the National Assembly Regulation is not same with those of other independent constitutional organizations. The normative status of National Assembly Regulation is law while those of the other independent organization are under-stage than law. This difference stems from the lawmaking power of the National Assembly. The National Assembly can take the legal norm instead of regulatory norm when they think fit. Secondly, if provisions of the National Assembly Regulation collide with those of a previous law, the possibility of indirect abolishment or repeal of the provisions of the law by those of the inconsistent Regulation should not be denied irrespective of Article 64 (1) of Constitution. Thirdly, Article 166 of the National Assembly Act can not be the ground of delegation to National Assembly for establishing the regulations concerning proceedings and internal disciplines, as Article 166 of the National Assembly Act provides “The National Assembly may establish the regulations concerning proceedings and internal disciplines within the scope of not contrary to the Constitution and Acts,” that Article is only a tautology of Article 64 (1) of the Constitution.

      • KCI등재

        일본의 의원규칙에 관한 연구 - 의원규칙의 제정 및 공포 절차를 중심으로 -

        윤기중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경희법학 Vol.53 No.4

        Regarding the regulations of the National Assembly of Korea, there is a problem of contradiction and conflict between the “National Assembly Law” and the National Assembly Rules due to mutual overlap rules. In particular, discussions on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separate regulations for the enactment of the regulations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procedures for the prosecution of the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are recently a re-emerging issue. In order to find out the answer, I examined the case of Japan which is comparatively similar to our country. In Japan, there are no legal standards for distinguishing between jurisdictions between the “National Assembly Act” and the legislature. Regarding the legal nature of the legislative rule, it is divided into views that are viewed as statutory and non-statutory. In addition, Japan does not have separate enactment and amendment procedures for the legislative rules. There is no separate provision for promulgation procedures. Similar problems are pointed out in our country. Regarding the issue of contradiction and conflict between the “National Assembly Law” and the National Assembly regulations due to the mutual duplication regulations, it seems that the most effective and feasible way to systematically arrange the National Assembly regulations based on the “National Assembly Law”. Regarding the legal nature of the Parliamentary Rule, it should be construed differently, not as a uniform rule, but as a rule of law if it has a legal nature in the rules of the National Assembly, otherwise it is not a law. On the other hand, in Korea, unlike other constitutional agencies, the National Assembly does not have separate rules for the establishment and regulation of the regulations of the National Assembly. Unlike Japan, the regulations of the National Assembly are scattered. In this regard, it is considered that the necessity of enactment of separate rules of enactment and promulgation procedures is greater than that of Japan in that it is a form of law recognized by the Constitution and has legislative power as an independent law of the National Assembly. 우리나라의 국회규칙과 관련해서는, 상호 중복 규정으로 인한 「국회법」과 국회규칙의 모순·저촉의 문제, 국회의 경우 다른 헌법기관과 달리 「국회규칙의 제정 및 공포 절차에 관한 규칙」을 별도로 마련해 두고 있지 않은 점 그리고 국회규칙의 법적 성격 등이 문제되고 있다. 특히 국회규칙의 제정 및 공포 절차에 관한 별도의 규칙 제정 필요성에 관한 논의는 최근 다시 부각되고 있는 쟁점 사항이기도 하다. 이에 그 해답을 찾고자 비교적 법체계가 우리나라와 유사한 일본의 경우를 살펴보았다. 일본의 의원규칙(議院規則)은 각 의원(議院)이 의원 내부의 절차 또는 규율에 관하여 자주적으로 결정해 놓은 룰이다. 대표적으로 중의원규칙과 참의원규칙 등이 있다. 명치시대(1868년) 헌법과 달리 현행 일본 헌법에는 「국회법」을 예정하고 있지 않다. 그럼에도 실제로는 「국회법」이 별도로 존재하고 있고, 더욱이 「국회법」과 의원규칙 사이에는 각각의 소관사항을 구분하는 법적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상호 모순·저촉의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고 한다. 의원규칙의 법적 성격과 관련해서도 법규로 보는 견해와 법규로 보지 않는 견해로 나뉘어 있다. 또한 일본은 각 원(院)에서 회의, 기타 절차 및 내부규율에 관한 규칙을 정할 수 있도록 한 「헌법」 제58조에 근거하여 의원규칙을 제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원규칙에 관한 별도의 제정 및 개정 절차를 두고 있지는 않다. 공포절차에 관한 별도의 규정도 없다. 이와 관련해 우리나라의 경우도 유사한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상호 중복 규정으로 인한 「국회법」과 국회규칙의 모순·저촉의 문제와 관련해서는 「국회법」을 근거로 국회규칙을 체계적으로 정비하는 방안이 가장 효율적이고 실현가능해 보인다. 국회규칙의 법적 성격과 관련해서는 이를 일률적으로 정할 것이 아니라 국회규칙 가운데 법규적 성질을 가진 경우는 법규로,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법규가 아닌 것으로 각각 달리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우리나라 역시 다른 헌법기관과 달리 국회의 경우 별도의 「국회규칙의 제정 및 공포 절차에 관한 규칙」을 마련해 두고 있지 않은데, 일본과 달리 국회규칙이 산재해 있다는 점, 국회규칙이 국회의 자율권 보장을 위해 「헌법」이 인정한 하나의 법형식이고 국회의 독자적인 자주법으로서 법규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일본보다도 별도의 제정 및 공포절차에 관한 규칙 제정의 필요성은 더욱 크다고 판단된다.

      • 국회선진화법을 고려한 제20대 국회 초선의원의 특성 및 역할기대

        임동욱 한국교통대학교 2016 한국교통대학교 논문집 Vol.51 No.-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characteristics and role expectation of the Freshmen in the 20th National Assembly in according to the National Assembly Advancement Law. The National Assembly Advancement Law makes it difficult to compromise than the past. Because of the existence of the law, the Freshmen are more importanat in addition to the fact that they always hold a majority in the National Assembly, which means that they can play a decisive role in decision-making. This study find the fact that the Freshmen in the 20th National Assembly tend to be most liberal since the 16th National Assembly. The ideology distribution of the three major parties’ Freshmen is very similar to their affiliated party’. In addition, the ideological difference between the ruling party and the two opposition's Freshmen is much greater than ever. It is expected that the conflict between the ruling and the oppositions parties in the National Assembly will be more intensified than before. Accordingly, public distrust on the National Assembly will be growing. Therefore, the Freshmen in the 20th National Assembly should take the role of reducing the gaps and conflicts of ideology.

      • KCI등재

        제19대 국회 평가:국회선진화법과 입법 활동

        이한수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14 의정연구 Vol.20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revision of National Assembly Law in 2012 on the legislative activities in the 19th Korean National Assembly. This study argues that the revision stressing consensus in terms of decision making influences legislative conflicts and efficiency. In particular, the revision tends to reduce violent legislative conflicts and enhance compromises between majority and minority parties. To examine these arguments, this study compares legislative activities in the 18th National Assembly and the 19th National Assemb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ercentage of passed bills in the 19th National Assembly is higher than the percentage of passed bills in the 18th National Assembly. In particular, the percentage of passed bills proposed by legislators increased while the percentage of passed bills proposed by government decreased in the 19th National Assembly. Also, the 19th National Assembly spent more time to pass the government bills than the 18th National Assembly. Dealing with major bills, the majority and minority parties showed more cooperative actions, and violent legislative conflicts were not observed in the 19th National Assembly. These results partially support the arguments that the revision of National Assembly Law in 2012 tends to increase legislative efficiency and reduce violent legislative conflicts. 이 연구는 제18대 국회에서 개정된 국회법이 입법 활동에 미친 영향을 검토한다. 이 논문은 합의제를 강화한 국회선진화법이 입법 갈등과 입법 효율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특히, 국회선진화법은 법안 처리 과정에서 폭력적 입법 갈등을 줄이고 다수당과 소수당 간의 타협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주장들을 검토하기 위해 본 연구는 제18대 국회 전반기와 제19대 국회 전반기의 입법 과정과 쟁점 법안들의 처리 과정을 비교 분석한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제18대에 비해 제19대 국회에서 전체 법안 가결율은 증가하였다. 특히, 의원 발의안의 가결율이 증가한 반면 정부 발의안의 가결율은 감소하였다. 정부 발의안이 가결되기까지 걸린 평균 처리 기간 또한 증가하였다. 쟁점 법안의 경우 제18대에 비해 제19대 국회에서 좀 더 타협적인 법안 처리 과정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폭력적 입법 갈등 또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합의제적 의사결정을 강화한 국회선진화법이 폭력적 입법 갈등을 줄이고 입법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는 이 연구의 주장을 부분적으로 뒷받침한다.

      • KCI등재

        위헌결정 법률의 제안자 분석 및 개선방안

        김삼화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서울법학 Vol.30 No.2

        Since the Constitutional Court was established, a lot of laws have been ruled unconstitutional. This paper analyzed which of the proposed legislations, those by the government or those by the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were ruled unconstitutional. In aggregate, government-submitted legislations had a higher rate of unconstitutionality than legislations proposed by the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Since the 18th National Assembly, however, the number of unconstitutional rulings on legislations proposed by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have increased compared to those on government-submitted legislations. If an unconstitutional law is implemented, the people’s fundamental rights, among other merits, may be violated. Hence,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proposals from the government and the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The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should conduct a stricter and more accurate review of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government-submitted proposals. The National Assembly has no committee to review the unconstitutionality of proposals. However, if a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asks the Legislative Council Office of the National Assembly to draft a bill,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easure, such as mandating the Legislative Council Office to review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bill, to improve the constitutionality of proposals. The National Assembly should thoroughly review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proposed legislations during the Committee in which the legislation was proposed as well as the Legislation and Judiciary Committee to ensure that any legislation that is unconstitutional is not passed. Efforts are also needed to improve constitutional expertise of the participants involved in drafting of laws, such as the government officials and congressional aides. The government and the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should prevent the ratification of unconstitutional bills. Furthermore, the National Assembly should exercise efforts to protect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people by preventing any unconstitutional laws from ratification during the review process. 헌법재판소 설립 후 위헌결정을 받은 법률이 상당히 많다. 이에 정부와 국회의원 중 어느 쪽에서 제안한 법률안이 위헌결정을 더 받았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는 정부 법률안이 의원 법률안보다 더 많았다. 그러나 제18대 국회 이후에는 의원 법률안에 대한 위헌결정이 정부 법률안보다 더 많다. 위헌법률의 시행으로 국민들이 기본권 등의 침해를 입지 않도록 법률안 제안권을 가진 정부와 국회의원의 합헌성 제고 노력이 필요하다. 정부의 경우 법제처의 위헌심사가 보다 엄격하고 정확히 진행되어야 한다. 국회는 위헌 심사기구가 마련되어 있지 않고 의원개인에게 맡겨져 있으나, 의원의 의뢰에 따라 국회법제실에서 법률안 입안시 위헌성 검토 항목을 신설하는 등 합헌성을 제고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국회는 위원회의 심사와 법사위 심사시 위헌여부를 충실히 검토하여 위헌성을 띤 법률안이 통과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정부 소관부처 담당자와 의원실 보좌진 등 입법관여자들에 대한 헌법 전문성 제고 노력도 필요하다. 정부와 국회의원은 입안과정에서 위헌성을 띤 법률안이 입안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고, 국회는 법률안 심의시 위헌성을 가진 법률안이 통과되지 않도록 국민의 기본권 보호를 위하여 적극 노력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상 국회 인근 집회 금지 규정에 대한 연구

        이희훈(Lee Hie Houn) 유럽헌법학회 2018 유럽헌법연구 Vol.0 No.27

        집시법 제11조 제1호에서 국회의 기능 보호와 의원 등의 신변 보호 등을 위하여 국회 인근 집회에 대해 전면적으로 금지하는 규정의 입법의 목적은 국회의 본질이 국민의 의견을 대신해 주는 대의적 국가기관의 기능을 가장 충실히 행해야 한다는 점과 만약 집시법상 동 조항이 없더라도 국회의 기능 보호와 의원 등의 신변 보호 등을 실현해 줄 수 있는 집시법과 형법상의 다른 대체 규정들이 이미 많이 있다는 점 등에 비추어 볼 때 정당하지 않다. 이에 향후 국회는 집시법 제11조 제1호의 국회 인근 집회 금지 규정을 조속히 삭제 또는 폐지해야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설사 집시법 제11조 제1호의 국회 인근 집회의 금지 규정의 입법 목적이 정당하더라도, 국회를 직접 항의의 대상으로 하지 않은 집회, 소규모인 집회, 국회의 업무가 없는 휴일이나 휴회에 개최되는 집회, 행진의 경우에는 국회의 기능 보호와 의원 등의 신변 보호 등을 해칠 위험성이 크지 않다. 이에 향후 국회는 집시법 제11조 제1호에서 국회 인근에서 집회를 예외적으로 개최할 수 있도록 조속히 개정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e legislation, which Provision of Entire Assembly Prohibitions near the Parliament House in number 1 of article 11 of the Law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for the protection of the functions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physical safety of the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so on, is not to be justified in the fact that substance of the National Assembly should be the most faithful function of the representative state agency that replaces the opinions of the people, and that there are many other alternative Provisions in the Law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and the Criminal Law that can realize the protection of the functions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physical safety of the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so on. In the future, the National Assembly will have to remove or abolish the Provision of Entire Assembly Prohibitions near the Parliament House in number 1 of article 11 of the Law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Even if the purpose of the legislation, which Provision of Entire Assembly Prohibitions near the Parliament House of number 1 of article 11 of the Law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is justified, it is little risk of harming the protection of the functions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physical safety of the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so on will be subject to any direct protests, small-scale assembly, assembly held on holidays, recesses, closing of a meeting and marching without the work of the National Assembly. In the future, the National Assembly should revise the number 1 of article 11 of the Law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as soon as possible to hold an exceptional assembly near the Parliament House.

      • KCI등재

        연구논문 : 행정입법에 대한 국회 통제의 가능성과 한계 -국회법 제98조의2 제3항 개정의 위헌 논란을 중심으로-

        장영수 ( Young Soo Chang ) 국제헌법학회, 한국학회 2015 世界憲法硏究 Vol.21 No.2

        법치주의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필요한 요인들은 무수히 많지만, 그 중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의 하나가 현대 행정국가의 가장 중요한 특징의 하나인 행정입법의 객관성과 공정성의 확보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편으로는 입법과 행정의 관계가 올바르게 정립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법치행정을 통한 국민의 인권보장이 제대로 확보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국회법 제98조의2 제3항 개정안에 대해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하는 과정에서 매우 첨예한 견해의 대립이 벌어진 바 있다. 국회가 제정한 법률과 정부에서 제정한 행정입법이 상하관계에 있으며, 모법에 반하는 행정입법은 그 존립의 근거를 상실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그런데 국회법 제98조의2 제3항 개정에 대해 위헌론까지 대두되고 있는 것은 행정입법에 대한 국회 통제의 필요성과 가능성에 대한 이견 때문이 아니라 통제의 방법이 문제되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국회법 제98조의2 제3항 개정안에 따른 국회의 수정ㆍ변경요구권은 정부의 행정입법권을 통제하는 것을 넘어서 국회가 행정입법의 내용에 대해 사실상의 결정권을 행사하는 것으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는 권력분립에 반하는 것으로서 위헌의 소지가 충분하다고 보았다. 물론 법률에 위배되는 행정입법의 문제점은 결코 가볍게 평가할 수 없는 것이며, 기존의 국회통제가 충분치 못했기 때문에 보다 강력하고 효율적인 통제장치 도입의 일환으로 수정ㆍ변경요구권을 규정하게 된 것이 무조건 잘못된 것이라고 단언하기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다만, 이러한 새로운 통제장치가 정당성을 얻기 위해서는 몇 가지 보완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다. 수정ㆍ변경요구권의 행사 이전에 사전적으로 정부의 소관행정기관의 장에게 소명의 기회를 주는 것도 필요하고, 사후적으로 국회의 수정ㆍ변경요구권 행사에 대한 이의절차도 확보되어야 한다. 이러한 보완장치들을 제대로 갖출 경우에는 개정 국회법 제98조의2 제3항에서 규정한 국회의 수정ㆍ변경요구권에 대한 위헌성 논란도 대부분 해소될 수 있을 것이다. There are several factors for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the rule of law.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securing objectivity and fairness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which is a representative feature of modern administrative state. On the one hand this can set up correc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legislative and the administrative, on the other hand this can guarantee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through rule of law in public administration. However, acute tension between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President Park has arisen in process of exercising presidential veto on the revision in the Clause 3 of NATIONAL ASSEMBLY ACT Article 98-2, which the Assembly plenary session passed lately. It is unarguable that legislation by National Assembly is above legislation by the government(so called, administrative legislation), and administrative legislation against a parent law will lose the base of its existence. Nonetheless, unconstitutionality of the revision come to the fore. The reason is not the disagreement about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the control by the National Assembly, but the way to control. In this article. if National Assembly has the right to demand for modifying and changing administrative legislation, it will be not control to administrative legislation but actual decision about the content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Thus, it would be unconstitutional in regard to the separation of powers. Certainly, problems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against law are not downplayed on the following point: the National Assembly does not have sufficiently controlled the government, so the National Assembly regulated the right to demand for modifying and changing administrative legislation as strong and efficient controlling method(system) to the government. This article emphasized the method(system) requires several complementary measures to be legitimate and justifiable. Before exercising of the right, the National Assembly give the government(especially, chief of an organization) the opportunity to explain the law which the National Assembly intends to modify and change. Also, there will be procedure for the government’s raising an objection to the National Assembly’s exercising. With complementary measures, the controversy over unconstitutionality of the revision will be resolved.

      • KCI등재

        17대 남 ·녀 국회의원의 입법활동 성차분석: 여성관련 법률안 입법과정을 중심으로

        최정원,김원홍,윤덕경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08 의정연구 Vol.14 No.1

        This study excercised whether there are sex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members of the 17th national assembly through analyzing their activities on the legislation process on women's issues. For this study, we reviewed whole legislation bills and the particular bills on women's issues proposed, starting from 2004 to 2006 year, 30th of June. For analyzing those bills, we carried out analysis over the national assemblymen's activities of the standing committee on the legislative process, based on studying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legislation and stenographic records in the national assembly. The result of this study followed below. First, women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have been more active in making women's issues law because they showed more interest on women's issues than men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The 17th national assembly in which women elected in national assembly have been increased saw more laws on women's issues proposed and legislated. Also, more laws on women's issues proposed and discussed have been observed in the standing committee where women have more seats than men in the national assembly. Second, increased women's seats and activities in the national assembly led men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into having gender-sensitive perspectives. This could make activities in the national assembly go toward becoming more gender equality. We have also observed increase of women's issue-related law proposed and discussed by men members of the 17th national assembly. This clearly showed the reinforcement in terms of degree of gender sensitiveness for men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Considering those results, women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have more gender sensitive perspectives, which could affect men's activities in the national assembly. This could support a political representation for women in the national assembly. 본 연구는 17대 국회의 입법 활동을 분석함으로써 남 녀 국회의원 간 성차가 나타나는 지를 분석하고 있다. 이를 위해 2004년 5월 30일부터 2006년 6월 30일까지의 시기 동안 국회의원이 발의한 전체 법률안 및 여성관련 법률안을 대상으로 한 입법실태 분석과 속기록을 중심으로 한 국회의원들의 상임위원회 활동에 관한 행태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여성의원들은 여성과 관련된 입법에 더욱 관심을 가짐으로써 여성의원들이 여성관련 법률안 발의에 보다 적극적이었음이 나타났다. 여성의원이 증가한 17대 국회에서 보다 많은 여성관련 법률안이 발의, 입법되었고, 여성의원이 많이 소속되어 있는 상임위원회일수록 여성관련 법률안의 발의 및 심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증가된 여성의원의 수와 여성의원의 입법활동은 남성의원들의 성인지적 시각을 변화시켜 17대 국회에 들어와 남성의원들의 여성관련 법률안 발의가 증가하였으며 심의과정 역시 남성의원의 성인지성 정도가 강화되어 국회 의정활동이 과거보다 성평등적으로 나아갔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여성의원들은 정책의 결과뿐만 아니라 입법의안들을 발의, 심의 및 결정하는 과정에서 성별 차이를 갖고 있으며, 이는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이 확보되어야 함을 뒷밤침한다.

      • KCI등재

        의원입법에 대한 부패영향평가 도입 가능성에 관한 소고

        민경선(Min, Kyoung Sun) 한국부패학회 2021 한국부패학회보 Vol.26 No.3

        의원입법에 대한 질적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되는 가운데, 이와 관련한 다양한 연구가 나오고 있으며, 대부분의 연구는 의원입법의 질적 개선방안으로 국회의원의 전문성 강화, 입법과정에서 국민 의견 수렴 강화 등을 언급하고 있다. 본고는 다른 측면에서 입법절차에 대한 개선을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정부입법절차에서 거치는 부패영향평가제도의 도입을 제안한다. 2006년에 정부입법절차에 처음 도입된 부패영향평가는 국민권익위원회가 법안에 대해 다양한 평가기준을 가지고 분석하여 부패유발요인을 제거하도록 법제처 심사 전 단계에서 소관부처에게 권고하는 사전적 부패예방제도이다. 시행이후 2019년 12월까지 정부입법을 통한 제정 및 개정된 3,815개 법률 중 645개 법률(16.91%)이 부패영향평가를 통해 개선 권고되었다. 의원입법은 현재 부패영향평가를 받지 않고 있는 바, 의원입법에 도입 될 경우, 의원입법의 질적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 하지만, 의원입법에 정부입법과 동일한 부패영향평가 절차를 도입하는 것은 행정부에 의한 국회 입법권 통제, 또는 행정부에 의한 국회의원의 입법 자율권 침해가 될 수 있기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의원입법의 질적 개선과 국회의원의 입법 자율권 보장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부패영향평가 제도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이에 대한 방안으로, 부패영향평가와 관련하여 국회법제실에서 부패영향평가를 실시하고, 국회입법조사처에서 의원입법 지원시 부패영향평가 평가기준을 고려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효과적인 지원을 위해 국민권익위원회에게 자문을 의뢰, 국회에 부패영향분석 관련 전문관을 파견, 국회의원 보좌관 및 입법조사관 등을 대상으로 부패영향평가 교육 도입 등이 필요하다. Since 2000, the number of laws introduced by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of South Korea has dramatically increased. With this new phenomenon, experts believe that the quality of law might be deteriorating. Previous literature suggests the National Assembly should improve the quality of laws, but they do not explain how to implement these plans. This study suggests a new tool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legislation introduced by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the corruption risk assessments. The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executes the corruption risk assessments developed to prevent corruption by analyzing corruption-causing elements in laws. The corruption risk assessments have evaluated laws introduced by the government, but they have not evaluated laws introduced by a National Assembly member due to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autonomy. This study provides plans for implementing the corruption risk assessments on the laws introduced by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First, the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should advise the National Assembly Secretariat on implementing the corruption risk assessments. Second, the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could dispatch corruption risk assessments experts to the National Assembly Secretariat. Finally, the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could provide training programs to the officials of the National Assembly Secretariat.

      • KCI등재

        한국 여성정책 의제의 변화와 확대 : 17대 국회 전반기 입법활동을 중심으로

        김원홍,윤덕경,최정원 韓國女性開發院 2008 여성연구 Vol.74 No.-

        본 연구의 목적은 17대 국회의 여성정책 의제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17대 국회 전반기 동안 국회의원이 발의한 여성관련 법률안과 본회의 및 전체 상임위원회의 회의록을 분석하여 이전의 경우와 비교해 보았다. 분석 결과,한국의 여성정책 의제는 지속적으로 증가·확대되고 있으며,각 시기에 따라 이전 시기에는 제기되지 않았던 새로운 여성정책 의제들이 등장하고 있다. 여성의원이 증가한 17대 국회에서 보다 많은 여성관련 법률안이 발의,입법 되었고,여성의원이 많이 소속되어 있는 상임위원회일수록 여성관련 법률안의 발의 및 심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여성정책 의제의 내용은 시기별로 차이가 나며,최근으로 올수록 여성정책의제는 여성 문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분야에 걸쳐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정책 의제의 방향이 단순한 여성 문제에서 성인지성 강화로 전환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7대 국회에서 이루어진 여성관련 법안들은 이전에 비해 성인지성 정도가 강화되었으며,심의과정 역시 전반적으로 보다 성인지적으로 변화하였다. 이는 17대 국회의 증가된 여성의원의 수와 입법 활동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볼 때,여성정책 의제가 성인지성을 확보하고 확대되기 위해서는 여성의 문제를 대표하는 여성의원의 증가가 필수적이며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을 기반으로 하여 국회 입법활동에서의 성인지성을 확산시켜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women's policy agenda through analyzing legislative activitics in the 17th national assembly. For this study, we carried out analysis over the change and characteristics of women's policy agenda through analyzing and comparing assembly records of the standing committee on women's policy agenda proposed and discussed during 2004 to 2006 year, 30th of June. The result of this study followed below. Firstly, women's policy agenda proposed and discussed in the 17th national assembly has been consistently incrcased. Also, new women's policy agenda that was not expected to be proposed in the past assemblies emerged in the 17th national assembly. The 17the national assembly in which women elected in national assembly havc been increased saw more laws on women's issues proposed and legislated. Morc laws on women's issues proposed and discussed have been observed in the standing committee where women have more seats than men in the national assembly. Moreover, contents of women's policy agenda varied periodically and lately showed various aspects of women's policy agenda that was not confined to women's problem itself. Secondly, dircction of women's policy agenda was that its gender-sensitivcness has went reinforced from simple women's issue. Increascd women's seats and activities in the national assembly led men elected in the national assembly into having gender-sensitive perspectives. This could make activities in the national assembly go toward becoming more gender equality. We have also observed increase of women's issue-related law proposed and discussed by men elected in the 17th national assembly. This clearly showed the reinforcement in terms of degree of gender sensitiveness for men elected in the national assembly. Considering those results, increase of women's seats in the national assembly that could represent women's issues is necessary in order to obtain and expand gender-sensitiveness of women's policy agenda. Also, gender-sensitiveness in making legislative activities, based on women's political representation in the national assembly. should be expan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