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事大=守舊 對 獨立=開化의 二項對立的 近代敍事 프레임의 創出과 變容

        柳承烈(Lyu, Seungreul) 역사교육연구회 2017 역사교육 Vol.142 No.-

        This paper explores the creation of Korean modern narrative frame and its transformation afterwards. It examines how the original Korean modern narrative frame was created and standardized by the Japanese, and reviews the process and methods used to intentionally transform that frame by pro-Japanese Koreans. Modern narrative frame originally created by the Japanese was intentionally transformed during acceptance by means of adding or imitating. Such work was accomplished by Koreans experienced in studying in Japan, especially Waseda University alumni. Unlike Japan, the Enlightenment party playing a central role and setting extreme Conservatism party being its opposition were major changes. With the composition of enlightenment versus toadyism, the Enlightenment party’s leading role became fully emerged. From the Imo Gullan to Gapsin Coup, the Enlightenment party emerged as a key player, and in the Gabo and Eulmi era the Enlightenment party gained its historical status as a reform leader. Choe Nam-seon being the beginner, such intentional transformation on modern narrative frame was carried out across the board passing through Yi Pyong-do and Lee Son-keun. From Gapsin Coup to the ruin of the Korean Empire, not only modern narrative frame but also its content were filled in full swing with the enlightenment and reform works led by the Eenlightenment party and its successors.

      • KCI등재

        한말 도학파의 여성담론-艮齋 田愚를 중심으로

        황수연 ( Hwang Su Yeon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4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8

        본고에서는 한말 도학파의 대표적 인물인 간재 전우를 중심으로 한말 도학파의 여성담론에 대해 살펴보았다. 전우가 여성의 역할과 책임에 대해 어떠한 입장을 갖고 있는지 규명하기 위해 먼저 여성 인식에 대해 알아보았다. 전우는 여성이 ‘세도(世道)’와 ‘천지의 다스림(天地之治)’과 관련이 있다고 보아 가정과 가문의 영욕에 관계한다는 기존의 인식에 사회적 의미를 더하였다. 그리고 세상의 변화에 따라 대처하며 의지가 강한 행동을 하는 여성을 높이 평가하였다. 여성 담론은 열녀 담론과 교육 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전우는 더 이상 열녀를 재생산하기 위한 목적에서 열녀에 대한 기록을 남기지 않았다. 대신 더 이상 수절을 요구하지 않는 세상에서 굳건히 자신의 뜻을 지키는 태도를 높이 사고 그것을 나라를 팔아먹는 남성들을 비판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전우는 나라를 책임질 자식을 잘 기르기 위한 존재로서 어머니의 역할을 중시하고 교육 주체와 대상으로서 여성 교육이 중요함을 말하였다. 하지만 여성의 교육을 전통 교육으로 제한하고 자식에게도 전통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개화파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내외법을 강조하거나 수절을 지킬 것을 강조하는 등의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강하게 단속하는 모습은 도학파의 담론이 개화 담론과 대비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전통과 서구, 보수와 개혁이 혼재하는 시기에 당대를 인식하는 입장은 개화파와 도학파로 구분되며 이들이 상반된 견해를 갖고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하지만 이들의 담론이 내부적으로 일관성을 유지하지 않았으며, 각 담론간의 관계가 상호배타적이기만 한 것은 아니었다. 여성의 어머니로서의 역할 중시와 여성 교육의 필요성 강조, 미신타파 주장 등에 있어서 개화파와 도학파의 입장은 부분적으로 차이를 보이지만 공통되는 부분 또한 발견된다. 반면에, 겉으로는 확연히 상반된 입장에 있던 것으로 보이는 과부 개가 허용과 열녀에 대한 찬양은 양쪽 모두 여성을 여전히 타자로 인식했고 그들의 입장을 반영하지 않았으며 현실적 당면 문제에 대해 외면하였다는 점에서 다르지 않다. 개별 도학자의 여성 담론에 대한 연구는 개화파에 편중된 기존의 연구를 보완하고 궁극적으로 한말의 여성 인식과 여성 담론에 대한 전체적인 면모를 파악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discourse of Women of the Confucian in the late period of Chosun through Ganjae Jeon Woo who is a typical Confucian in that period. I checked his view of womanhood to reveal his recognition about woman`s role and responsibility. Jeon Woo added the social meaning to the existing cognition which women were related to the glory and shame of their home and family by defining women have related to the world`s order and control. And he set a high value on the woman who acted with her strong will by coping with the situation of the society. I investigated the discourse of Women on the focus that of virtuous women and woman`s education. Jeon Woo did not record the virtuous women to remake the virtuous women. In stead of that, he used the virtuous women in order to criticise the man who betray his country. Jeon woo put stress on the mother`s role as a educator teacher of their children who would have responsibilities their country and sai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s a educational subject and object. However, there are differ for the enlightenment party in a regard to limit the traditional education as a woman education and emphasizing traditional education to the children. Especially, exercising strict control on woman`s sexuality like the insistence men and women strictly kept their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keeping faithfulness of widow is contrast with the enlightenment party`s discourse. Generally, many people think that there were the enlightenment party and the Confucian party in the period of mixing the tradition and the west, the conservatism and the reform. But the discourse of the enlightenment party and Confucian party did not coherence preserving and were not exclusive each other. We can find that there are common elements of the opinion in the mother`s role as a educational teacher and the stress of female education and argue of breaking superstition even though there are little difference. On the other hand, the elite of the enlightenment party and the Confucian party still treated the woman as other and turned away their face in the woman`s present topic even if they admit the remarriage of widow or praise the virtuous women. I hope to compensate the biased study on the enlightenment party through investigating the individual confucian`s discourse of Women and finally to figure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view of womanhood and the discourse of women in the late period of Chosun.

      • KCI등재
      • KCI등재

        개화기 한국 근대 도서관의 형성과정에 관한 고찰

        송승섭 구보학회 2022 구보학보 Vol.- No.3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modern library in Korea. To this end,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y dividing people who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of modern library during the process of accepting Western Civilization in enlightening period into three groups. The first group investigated the Emperor Gojong, the last royal power during the Josun Dynasty, and the roles of foreign advisors and hired people who had a confidential relationship with the King. The second group investigated the influence, affected by the foreign students and diplomatic delegations who experienced the existence of libraries early in the process of inspecting advanced culture. The third group ferret out the examples of educational activities and library supporting activities by the King and missionaries those who influenced Reform Party. Based on the above investigation,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mance of various people in each field and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modern library and to organize the discourse on the formation of the first modern library in Korea. As a result, first, after the Japan-Korea treaty, King Gojong obtained and utilized books related to enlightening, acquired by Parkmoonguk and diplomatic delegations such as Sushinsa, Yeongseonsa, and Bobingsa. Furthermore, the foreign advisors and skilled engineers appointed by the King contributed to the construction of a Western-style library. Second, many member of Reform Party were the people who directly inspected or toured advanced libraries in Japan, the United States, Europe and Russia and they reflected their experiences into state affairs to establish publication & printing office, schools and libraries. Third, foreign mission agencies and missionaries contributed to establishing schools and libraries by having an effect on the King and Reform Party. Lastly, the Bakmun Association library established in Incheon, Korea in 1898 and the Yasogyo-Seowon established in Pyongyang, Korea in 1905, will be a new turing point on the discourse of the first modern public library in Korea. 이 연구는 우리나라 근대 도서관의 형성과정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개화기 서구 문명 수용 과정에서 근대 도서관 설립에 영향을 미친 인물들을 세 그룹으로 나누어 상호 관계성을 고찰하고자 했다. 그룹별로 첫째, 조선 시대 실질적으로 마지막 왕권을 행사한 고종과, 고종이 신뢰하는 외국인 고문관 및 고빙된 인물들의 역할을 조사했다. 둘째, 당대 정부의 외교 사절로서 선진 문물 시찰 과정에서 도서관의 존재를 일찍이 경험한 인사들과 유학생들이 미친 영향을 파악했다. 셋째, 당시 고종을 비롯한 조정과 개화파 활동에 영향을 미친 선교사들의 교육활동과 도서관 분야의 지원 활동 사례를 찾아냈다. 이상의 조사를 바탕으로 각 분야 여러 인물의 연계 활동들이 근대 도서관의 형성과정과 어떠한 관계가 있었는가를 밝혀내고, 근대 최초의 도서관 형성에 관한 담론을 정리하고자 했다. 그 결과, 첫째, 고종은 조일수호조규 이후 수신사, 영선사, 보빙사 등 해외 파견 인사와 박문국을 통해 개화 관련 서적을 입수해 활용했고, 그가 임명한 외국인 고문관과 고빙된 기술자들은 궁궐에 서양식 도서관을 건축하는데 기여했다. 둘째, 개화파 상당수는 일본과 미국, 유럽, 러시아 등 선진 도서관을 직접 시찰하거나 견학한 인물들로서 그 경험을 국정에 반영하여 출판・인쇄기관과 학교 및 도서관을 설립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셋째, 외국 선교 기관과 선교사들은 고종과 개화파 두 그룹 모두에 영향을 미치면서 학교와 도서관을 설립하는데 기여했다. 끝으로 1898년 인천에 설립된 박문협회 도서관과 1905년 평양에 설립된 야소교서원은 우리나라에 설립된 최초의 근대 공공도서관에 관한 담론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근대 김옥균의 재현과 시대 저항

        윤상현(Youn SangHyun) 동아인문학회 2016 동아인문학 Vol.37 No.-

        1930년대 전후로 해서 김옥균과 갑신정변에 관한 역사적 사실은 김옥균의 ≪갑신일록≫ 이후, 이에 근거로 한 다양하고 구체적인 문화담론이 이미 1920년대에 형성되었으며, 1930, 40년대에 이르러서는 소설, 희곡, 유성기 음반, 영화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들의 소재로 생산되면서 하나의 문화적 표상을 형성해 왔다. 그 예로 1932년 나운규가 각본, 감독, 주연한 무성영화 <개화당이문(開化黨異聞)>에서 나타난 김옥균 및 갑신정변 재현 또한 당시 근대 시기를 살아가는 민중들의 시대적 요청 혹은 저항에 의해 재생산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사실 <개화당이문>은 당시 정부의 검열로 인한 무차별적 삭제와 무성영화에서 유성영화로의 변화 속에 흥행에 실패하고 말았으나, 역사의 기억 속에 김옥균을 소환함으로써 과거에 조국의 위기 때 김옥균이 갑신정변을 일으켰던 것처럼, 1930년대를 살아가는 민중들에게 나라 잃은 민족의 설움과 분노를 저항하고 투쟁으로 이끌고자 하였다. 그러한 의미에서 나운규는 당시 김옥균과 개화당을 일진회라는 왜곡된 역사의 진실을 규명하고자 노력했을 뿐만 아니라, 식민지 시기 민중 스스로 주체적으로 제2의 김옥균이 되어 과거 실패했던 혁명이 아닌 앞으로 성공할 제2의 갑신정변을 이루어길 <개화당이문>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것이야말로 김옥균을 재현하는 의의이자, 시대 저항라고 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김옥균은 각 시대마다 현실에 투사됨으로써 시대적 요구, 혹은 대중의 문화적 소비 욕구에 의해 다양하게 굴절되면서 문화콘텐츠로 재생산되고 있으며, 이것은 오늘날까지도 변함없이 반복되어 오는 이유라고 해야 할 것이다. Around 1930s, the historical facts about Kim Ok-gyun and Gapsin Coup had been built as a cultural symbol through 1920s diverse and concrete cultural discussion depend on Kim Ok-gyun’s Gapsin Coup Diary and 1930s~1940s various cultural contents such as novel, play, gramophone album and movie. One example is a silent film <The Strange tales of Enlightenment Party> which was directed, written, leaded by Na Woon-gyu. Kim Ok-gyun and Gapsin Coup’s reemergence in that film can be shown as reproducing Kim Ok-gyun and Gapsin Coup through the influence of the people’s needs or revolt in that era. Even though, <The Strange tales of Enlightenment Party> had been failed at the box office due to the indiscriminate erasure by government’s censorship and the trend change from a silent film to sound film, this film tried to recall Kim Ok-gyun from historical memory, Gapsin Coup that Kim Ok-gyun aroused when his country faced crisis, and lead anger and sorrow of people who lost their country into resistance and struggle. In that context, Na Woon-gyu made efforts to clarify the distorted truth of Kim Ok-gyun and Enlightenment party that they are ‘Iljinhoe’. And his movie <The Strange tales of Enlightenment Party> also expressed his hope that the people of the colonial era become second Kim Ok-gyun with their own volition and make their own, another, successful, second Gapsion Coup unlike the first, failed one. And that is the reason why reemerge Kim Ok-gyun and that is revolting against era. Like this Kim Ok-gyun keeps reproduce in a refracted way to meet the public’s cultural need or to meet the needs of the periods by projecting in that period. And this must be the reason why reemergence happens in present day.

      • KCI등재

        ‘국민’ 담론 형성과 균열의 기원 - 『매일신문』을 중심으로

        박대현(Park Dae-Hyun) 한국문학회 2007 韓國文學論叢 Vol.45 No.-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observe the aspect and the era of the crack which occurs inevitably from citizen discussion formation process of Korean efflorescence. Maeil-sinmun(Everyday newspaper), which is published on latter half of 1890"s, shows the modern time desire which it collects Chosun(Korea)"s people to monolith of citizen. But the other inside Chosun, occurred by the modern times of enlightenment, starts to bring about the crack of modern citizen discussion.<BR>  The discussion practice in a editorial belongs to from the middle class and the life of the general layer populaces was estranged from enlightenment discussion and becomes the other. Otherwise, general news show without reserve a living of proletarian populace which falls down with the other of the modern time which is located outside of the divided line of the enlightenment discussion from the viewpoint of citizen, death, sanitary discussion.<BR>  In the modern times of enlightenment, the global competition has been interiorized and the patriotism of the citizen for the nation acquires the representation of death. The representation example is rightly Kim Duk-Ku"s death. Kim Duk-Gu has become the object of the collective grief, so the representation of death, which was ranked as the citizen cherishing object, has more strengthen a citizen discussion. In case the death of Kim Duk-Gu is inside of citizen discourse, death also exists outside of citizen discourse. Populaces which are countless appears in general news dies to be caused by with the life difficulty which becomes impoverished and dies outside of citizen discourse. Also Kim Duk-Gu"s death and peddler"s death is classified roughly into two types of grief and miscellaneousness, so it shows the divided line which it splits citizen discussion.<BR>  The divided line of citizen discourse becomes known clearly even from sanitary discussion formation process. From the viewpoint of a sanitary problem, anti-populace modern time planning of the modern times of enlightenment becomes known clearly. The features of the populaces which are estranged from sanitation starts to be embossed in the process where the sanitary discussion is diffused with daily of the populace. Considering a non-sanitary populace as savage, the nation which is a subject of sanitary security had been making the non-sanitary populace not only belong to modern time citizen but also be excluded from. The clear divided line of collecting and excluding had tighten the life of the populaces which does not become a sanitary citizen. As The civilization of the savage had been advanced with a blitz in a watch and discipline of sanitary police of the citizen nation, so a life of the populace had gotten into pressures and failure rather.<BR>  Most of nation had swarmed with the existence of Hwalbinparty(thieves of relieving poverty), which had been the other like the ghost who drifts outside of citizen discourse, with refusing to become the citizen. Existence of Majunggun(a leader of Hwalbin-party) is associated with the outside of the citizen which is not assuredly collected with the citizen in national formation process of the modern times of enlightenment. Of course, Majunggun had been not a subject or citizen, but only the people which blinked between the feudalism and modern time. Although the gangs of Majunggun are the existence which is must been disappearing simultaneously with modern time planning advanced, they are enough to be thought of symbolic existence of those days which traverse the divided line of citizen as the existence which had refused to belong to citizen.<BR>  As stated above, the lives of a enlightened citizen and nonenlightened citizen(a proletarian populace) is parted clearly from the viewpoints of citizen, death and sanitation, showing the era of the citizen discourse crack which result from formation process of cit

      • KCI등재

        19세기 경화학계 개혁론의 가치 지향과 현실 대응

        한보람 ( Han¸ Bo-ram ) 한국사상사학회 2021 韓國思想史學 Vol.- No.67

        본 논문은 서울을 지역적 기반으로 하는 경화학계, 그 중에서도 18세기 연암그룹의 인적 네트워크와 사상적 특징이 19세기 박규수 계열 개혁세력에게 어떻게 이어지고 있었는지를 고찰하는 작업이다. 지금까지 18~19세기를 연속적으로 바라보고자 한 연구 경향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으며, 18세기의 실학을 19세기의 개화사상과 연결시키는 시도가 대표적이었다. 그렇지만 이러한 시도는 ‘전근대적’ 유학에서 ‘근대적’ 실학을 분리시키거나 개화사상의 ‘근대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개화사상을 전통사회의 연결고리와 분리시켜 따로 세우려는 노력으로 인해 오히려 조선후기의 역사적 맥락과 단절시키는 결과를 낳은 측면이 있다. 또한 19세기개혁 세력, 특히 ‘개화파’ 인물들 대부분을 박규수라는 한 인물의 문하로 단순히 연결시키는 경향도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19세기 서울 지역을 기반으로 한 ‘개화파’ 인물들의 인적 연결망의 범위를 18세기 노론 경화학계의 인적 네트워크까지 확장하고, 그 속에서 연암그룹의 연결망을 더 세밀하게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박지원과 홍대용의 사상과 교유, 박지원과 노론 경화학계의 학맥, 혼맥, 친족의 연결고리, 소론과 교유와 연대 등 다양한 인적 연결망을 살펴보고, 그러한 네트워크가 세대를 넘어 19세기 박규수 계열 개혁세력으로 이어지는 연결고리를 복원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대표적인 개화파 인물 유길준이 일반적으로 박규수 문하로 설명되어 왔지만 민영익 계열과 친밀한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었던 측면도 살펴보았다. 또한 연암그룹과 박규수 계열 개혁세력의 개혁론이 ‘사(士)’의식과 집권층의 책임의식, 전통적 가치와 체제에 대한 신뢰를 기반으로 한 보수성 등에서 공통된 가치 지향을 가지고 있었고, 이러한 책임의식이 기반이 되어 19세기 박규수 계열이 농민항쟁과 개국이라는 현안에 대처함에 있어 민생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하는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었던 점을 짚어보았다. This study explores how the ideological features and networking of the Capital Based Learned Circles which has a regional base in Seoul, particularly the Yeonam Club, had descended to the reform force affiliated with Park Gyu-su. Previous research has viewed the 18-19<sup>th</sup> centuriessequentially, typically attempting to connect 18<sup>th</sup>-century Silhak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with 19<sup>th</sup>century’ senlightenment ideology. However, these attempts result in severing enlightenment ideology from historical contexts in the late Joseon Dynasty because most previous studies have tried to distinguish modern Silhak from premodern Confucianism or separate enlightenment ideology from the traditional society to emphasize the modernity of the enlightenment idea. In addition to this,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simply link most of the enlightenment party to Park Gyu-su’s affiliates. Motivated by these concerns, this research seeks to expand the enlightenment party’s networking range, whose regional base was Seoul, to that of Noron’s Capital Based Learned Circle, understanding the detailed network within the Yeonam Club. By examining the ideology and social intercourse between Park Ji-won and Hong Dae-yong, a variety of networking in school and marriage ties and domestic relations between Park Ji-won and Noron’s Capital Based Learned Circles, and social intercourse and solidarity within Soron, this study aims to restore the linkage between these networks and the next generation’s reform force affiliated with Park Gyu-su in the 19thcentury. Within these efforts, this research also investigates how Yoo Gil-joon, who was are presentative figure of the enlightenment party,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Min Young-ik’s affiliates, even though Yoo has been perceived as a pupil of Park Gyu-su. The Yeonam Club and the reform force affiliated with Park Gyu-su shared the value orientation in terms of classical scholarly consciousness, a ruling clique’s sense of responsibility, and conservatism based on the confidence in the traditional value and system. From this sense of responsibility, Park Gyu-su’s affiliates had been preparing countermeasures to cope with the uprising of the peasants and port opening, putting the most emphasis on the stabilization of the people’s livelihood; this research critically discusses these aspect

      • KCI등재

        慕齋 金安國의 敎化詩 一考察

        趙英麟(Cho, Younglin) 대동한문학회 2013 大東漢文學 Vol.38 No.-

        慕齋 金安國이 살았던 15세기 말부터 16세기 초엽은 士林派와 勳舊派의 정치적 대립과 갈등이 심화되어 戊午士禍, 甲子士禍, 己卯士禍 등이 발생한 시기로 慕齋는 이 시기에 靜菴 趙光祖와 함께 金宏弼의 수제자로서 中宗時代의 개혁적인 士林派의 중심적 인물로 활동하였다. 훈구계가 정권을 독단하다 시피한 16세기초엽 사회의 제 모순에 대해서 성리학적 윤리질서의 확립을 실현하고자하는 사림파의 현실적 요구는 강한 개혁을 단행하기에 이르고 『소학』이 ‘修己’를 위한 실천적 윤리규범으로 인식되면서 ‘小學之道’의 구현은 강한 현실 개혁적 성격을 띠게 되었다. 조광조는 급진적 개혁을 통하여 훈구와 정면 대결을 하다가 참화를 당했다. 이에 김안국은 훈구와 대결함에 우회적인 방법을 택하였는데 강학과 교화 등이다. 특히 경상도 관찰사로 부임하여 실시한 교화시는 단순한 성리학의 이념을 백성들에게 가르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소학』 또는 성리학의 태도와는 반대로 나가거나 정치권력만을 추구하는 훈구에 대한 비판도 교화시 안에 담겨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온건적 태도로 점진적 개혁을 단행하였던 모재는 기묘사화에서 참화를 면할 수 있었고 사화이후의 退去期나 復職期에도 사림세력의 성장을 주도하여 명종ㆍ선조대 사림에게 연결시켜주는 교량역할을 함으로써 훗날 이황과 율곡에 이르러 성리학이 안정적으로 확립되는 단초를 마련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의 교화시는 당대 風俗에 대한 비판적 省察, 官僚로서의 愛民意識 發現, 日用彛倫의 실천 促求, 先賢의 윤리적 삶에 대한 推仰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문학사에서 특이하게도 많은 교화시를 남겼던 김안국은 조선 성리학의 토착화에 큰 공을 세웠으며 이후 이언적 이황 이이 등의 성리학자가 배출되게 하는 과도기적 역할을 수행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From the late 15th century to early 16th century, when Kim An-Kuk had lived, there were conflicts and complications between Sarim party and Hungu party, which were so intensified that the massacres of scholars took placed in Muo(戊午), Gabja(甲子) and Gimyo(己卯) year. At the time he was a central figure in reformist Sarim, who was the excellent pupil of Kim Goeng-Pil with Jo Gwang-Jo in JungJong Age. In early 16th century, the Hungu dogmatized on power in the society. Concerning about this contradiction, the realistic requirement from the Sarim to realize the establishment of Confucian ethical order was gone to carry out some strong reforms. People recognizing Sohak(小學) as a practical ethical norm for Sugi(修己), the realization of ‘SoㆍHakㆍJiㆍDo(小學之道)’-it means the way to SoHak-came to have a character to reform the reality strongly. Jo Gwang-Jo was killed, as he was having a head-to-head confrontation with the Hungu through a radical reformation. Seeing this, Kim An-Kuk chose a periphrastic way, where there are a pursuit of study and enlightenment, in the showdown with Hungu party. Especially the poetry that he implemented when he went to Kyungsang-Do as a provincial governor not only taught the people a simple Confucian idea, but also criticized the Hungu that went to the contrary to 『Sohak』 and Confucian attitude or pursued only the political power. Mojae, who carried out the gradual reformation on this moderate stand, could avoid the disaster in Gimyo year. After that, he lead a development of Sarim force during the vacating term or the reinstating term and did a role as a bridge connecting to Sarim in MyungjongㆍSunjo age. It made a foundation to build up Confucianism stably in the future. The contents of his enlightening poetry include critical reflection for the contemporary customs, love for the people as a bureaucrat, urge to practice IlㆍYongㆍYiㆍRyun(日用彛倫), veneration about the ethical life of ancient sages and so on. Kim An-Kuk, who left many enlightening poetries unusually,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naturalization of Confucianism in Josun, afterward, he also did a transitional work to produce the great confucian scholars such as Lee Hwang and Lee Yi.

      • KCI등재

        1910년대 기행 담론과 기행문의 성격

        김경남(Kim, Kyung-Nam)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7

        이 연구는 근대적 글쓰기에서 1910년대의 기행문이 갖는 특징을 살피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기행문은 여행의 체험을 바탕으로 개인이 보고 듣고 느낀 바를 적는 글이지만, 근대 계몽기나 1910년대의 기행문은 그 시대의 기행 담론이나 식민 지배 정책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기존의 연구에서는 1910년대의 기행문에 대해 그다지 주목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1910년대의 기행문에는 식민지적 제약과 한계를 반영한 계몽주의와 사실적 재현주의가 드러난다. 이를 고려하여 이 연구에서는 1910년대 『매일신보』의 기행자료 730편을 조사하고 이를 159종으로 분류하여, 이들 자료에 나타난 한국인 기행문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매일신보』는 이 시기 우리글로 된 유일한 신문이었으며, 이 시기 주요 잡지인 『청춘』, 『학지광』 등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많은 기행 담론이 분포한다. 특히 『매일신보』의 기행 담론은 식민 지배 이데올로기와 계몽 이데올로기가 혼재되어 있다. 이 글에서 논의한 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시기 한국인 기행문 가운데는 고적ㆍ명승지 답사와 관련된 것들이 많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고적답사나 탐승 관련 기행문이 산출된 데에는 식민 시대의 관광의 산업화가 주요 배경으로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둘째, 1910년대 각종 시찰단 및 관광단 조직을 반영한 기행문이 산출되기도 했는데, 이러한 기행문은 대부분 친일 행적을 보인 사람들이 쓴 것이다. 유사한 맥락에서 식민지적 계몽성을 띤 사실적 기행문이 나타나기도 했는데, 이광수의 ‘오도답파기행’이 대표적이다. 이 기행문은 매일신보사의 후원을 받아 이루어졌다는 사실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지방 견학 과정에서 식민 이데올로기를 수용하는 입장에 서 있다. 그럼에도 이 기행문을 통해 1910년대의 시대 상황을 재현해 낼 수 있다는 점은 의미 있는 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discussion of travel and the travel essay in 1910"s. I found 730 materials in the MAEILSINBO(the newspaper it"s time). I divided these materials into type of material and contents(or theme). In this time, many travel materials and essay reflected the sprit of the age and colonial policies. Tn this time, the colonial government carried on various inspection policies. So many inspection team organized so-called tourist party and SICHALDAN(inspection team). In this time, many discussions of travel relating in the industrialized Japan or expansionist policies of Japanese imperialism. Some Korean writers wrote the travel essay in these tendencies. But some essay reflected in realism or reappearance. I called "colonial enlightenment" these tendency. For example, ODO-DAPSA -YEOHEANG(the travel essay which exploring five provincial) written by Lee Gwang-su reflected in this times and circumstances. The phenomena of travels had various aspects in 1910"s. I think that the travel essay literature was formed by 1910"s essay.

      • KCI우수등재

        「대한국국제」 반포(1899년)의 정치·사상적 맥락과 함의

        조계원(JO Gye-Won) 한국정치학회 2015 한국정치학회보 Vol.49 No.2

        본 논문의 목적은 「대한국국제」 반포(1899년 8월 17일)라는 사건을 ‘전제’(專制) 개념을 중심으로 한 사상사적 맥락 속에서 재해석하는 것이다. 이 사건은 유교적 정당화 방식을 통해 군주의 권위가 효과적으로 보장되지 않는 상황에서 『만국공법』을 통해 유입된 ‘주권’ 개념을 통해 이를 보강하려는 시도이다. 고종은 통치과정에서 내적·외적 간섭을 받지 않고 자신의 뜻대로 권력을 행사한다는 의미로 ‘전제’ 개념을 사용했다. 그러나 이러한 용법은 개화파의 정치개혁 논의와 연결되어 의도하지 않은 해석을 낳게 된다. 개화파는 통치자의 자의적인 결정이 가능한 정치체제에서는 상하의 정이 통하지 않아서 동심 또는 화합이 어렵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서양 정치사상의 ‘참주정/폭정’(tyranny) 개념과 관련되어 있다. 이를 통해 “전제정치” 체제인 대한제국은 군주 자신만이 홀로 존귀한 존재일 뿐 인민이 노예와 같은 저열한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한 나라라는 비판이 가능해진다. This paper aims to reinterpret the promulgation of the Constitution of the Daehan Empire in its historical context with a focus on the concept of ‘jeonje’(專制). This event was an attempt to reinforce the authority of the monarch, which was no longer effectively buttressed by the traditional Confucian way of justification, by drawing upon sovereignty, a newly imported concept in the International law. Jeonje was used by King Kojong with the intent to hold sway over political affairs without domestic as well as international interventions. However this resulted in an unintended interpretation when linked to the Enlightenment Party’s arguments for political reformation. The Enlightenment Party claimed that it was difficult to achieve concord or harmony in a political community in which the ruler made decisions in an arbitrary way, because nothing was shared between the ruler and ruled. This is closely involved with the concept of tyranny in western political thought. This event became possible to argue that the Daehan Empire was an absolute monarchy in which only the monarch was a noble agent, putting its people into the status of slav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