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사회복지관 간호사와 사회복지사가 인식하는 사회복지관 간호사의 역할

        장윤경 대한간호학회 간호행정학회 2004 간호행정학회지 Vol.10 No.4

        As this study is the descriptive research study that tries to present the basic data aiming to establish a role of nurses for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by surveying the role expectation and the degree of role performance towards nurses for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that nurses for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social workers recognize, it carried out the Questionnaire research targeting nurses who are working for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located in Seoul and social workers of institutions where nurses are working, and then analyzed the results, an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Both the group of nurses and the group of social workers were highly recognizing the necessity and the importance of nurses for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expected that more effective services will be possible to be offered by means of that nurses do work for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However, compared to the degree that social workers recognize a nurses specialty, the nurses thought that their specialty is not acknowledged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even in case of duty friction between groups being felt while social workers and nurses are working together, nurses were experiencing further friction of duties. While nurses are well recognizing their roles, they are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recognizing the degree of role performance lower than expected, thu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ole expectation and the role performance could be seen. Also, the group of nurses showed the higher role expectation towards nurses than the group of social workers, and in relation to roles of a counselor, referral resource, an advocator, an educator, a case manager, a and a coordinator, the degree of role expectation by the group of nurses i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group of social workers, thus it could be seen that there is difference in the expectation degree between both groups, as to a role of nurses for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In particular, as to a role of universally medical services, the expectations between nurses and social workers showed mutual agreement, but in relation to a role of nurses for community in the more expanded sphere, social workers did not show a receptive attitude, thus it was indicating that there exists an element of role conflict. In relation to the role performance of nurses for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nurses were feeling the disorder degree more than social workers, in all items of disorder factors, and there was difference in recognition between nurses and social workers, as to the priority of disorder factors. Because of, through this study, having been found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role expectation, the degree of role performance, and a disorder factor between nurses and social workers, as to the nurses for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it is required a study with a more diversified method on a role of nurses for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 사회복지관의 학교사회복지실천 현황 및 과제

        홍순혜 ( Soon Hae Hong ),방진희 ( Jin Hee Pang ),김선화 ( Sun Hwa Kim )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12 사회복지실천 Vol.1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관의 학교사회복지실천 현황을 파악하고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서울·경기·인천에 위치한 44개 사회복지기관의 주요 설문 분석 결과, 첫째, 사회복지관에서의 학교사회복지 사업 비중에 대한 인식수준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둘째, 사회복지관이 실시한 학교사회복지 프로그램은 사회봉사, 사례관리, 학생 자원봉사 활동 지원 순이었다. 그리고 각 프로그램은 학교급이 낮을수록 사례관리의 비중이 높았으며,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사회봉사프로그램 및 자원봉사활동 지원의 비중이 높았다. 셋째, 사회복지관의 학교사회복지 실천의 어려움에 대한 기관차원의 어려움에는 예산·인력 부족, 학교의 욕구에 맞는 서비스 제공의 어려움, 사업 효과성 증대를 위한 여건의 불안정이 제시되었고, 학교 차원에서의 어려움은 학교의 협조 부족과 사회복지에 대한 인식·이해·신뢰 부족, 학교 내 일정한 담당부서의 부재, 시간 조율 및 배분의 어려움, 지속적인 사례관리 및 개입의 제한, 학교와 기관 프로그램의 중복으로 인한 어려움이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실무자 차원에서의 어려움으로는 학교와의 의사소통 및 업무조정의 어려움, 기관-학교-교육청 간의 평등한 상호관계 형성의 어려움, 잦은 외근과 5일 근무제로 인한 학교와의 프로그램 연계 어려움, 학교와 자신의 소속 기관 모두 신경을 써야 하는 부담 등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연구의 함의와 더불어 사회복지관의 학교사회복지실천의 활성화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school social welfare practices by social welfare centers and to seek measures for activating such school social welfare practices. The results of analysing the survey targeting forty-four social welfare center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showed the following: First, the social welfare centers had considerably high recognition level with respect to school social works. Second, the school social work programs carried out by the social welfare centers were community service, case management and support for students volunteer in the local community in the order of frequency. While the case management was of great importance in schools with lower level, the community service and support for students volunteer were of great importance in schools with higher level. Third, the following difficulties were raised in the school social welfare practices: in terms of center, a manpower shortage, difficulty in providing services to satisfy schools` demands and unstable conditions for the increase in the effect of the social work; in terms of school, a lack of school cooperation, insufficient recognition, understanding and confidence of the social welfare, absence of a department in charge of the school social welfare, difficulty in adjusting and distributing time, restriction on continuous case management and intervention and overlapping programs between the school and the center; and in terms of hands-on worker, difficulty in communicating with the school and adjusting works, difficulty in forming equal relationship among the center, the school and the education office, difficulty in linking a program to the school due to a frequent outside work and a five-day work week and burden of taking care of both the school and the center. Based on the foregoing results of the analysis, an implication of the present study and measures for activating and improving the school social welfare practices by the social welfare center have been presented.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의 중심축이 되는 기관단체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협의회와 종합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김범수 ( Bum Soo Kim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10 공공정책연구 Vol.27 No.2

        본 글은 사회복지영역의 중심축이 되고 있는 지역사회복지의 중심기관단체인 사회복지협의회(Council on Social Welfare)와 지역사회복지관(Community Welfare Center)의 발전과정 속에서 나타난 과제와 전망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우리나라 지역사회복지영역의 가장 중심축의 역할을 수행해온 기관은 사회복지협의 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2000년대가 되면서 사회복지협의회는 커다란 혼란에 접어들게 된다. 바로 명칭도 유사한 지역사회복지협의체(The Public and Private Joint Commission for Community Social Welfare)가 등장하였기 때문이다. 이밖에도 최근에는 광역시는 물론이고 일부 기초자치단체까지 지역복지재단의 건립이 증가하고 있다. 지역 내에 건립되고 있는 지역복지재단도 기존에 설립 운영되고 있는 사회복지협의회의 역할과 기능적인 측면에서 유사한 점이 많다는 점에서 사회복지협의회가 앞으로 지역사회에서 역할을 수행해 나가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예측된다. 또한 지역사회복지의 최일선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지역사회복지관도 최근에는 많은 수의 노인종합복지관이나 장애인종합복지관이 건립 운영되면서 일부지역에서는 업무의 중복으로 고민하고 있다. 때문에 보건복지부에서는 2010년도에 한국사회복지협의회에 연구용역을 의뢰해 사회복지시설의 다기능화에 대한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한국사회복지협의회는 이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설치 운영과, 일부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에 지역복지재단의 설립이 증가하는 상황 속에서 지역 내에서 중복되는 당면과제와 업무의 문제점을 제시해 보았다. 또한 지역사회복지관도 2010년도에 진행되고 있는 사회복지시설의 다기능화에 관한 연구와 모델사업이 앞으로 어떻게 제도화되느냐에 따라 지금까지 가까운 지역에 건립 운영되던 노인종합복지관과 장애인종합복지관의 통합적인 사업진행의 방향이 어떻게 진행될 것인가 등에 관한 내용들을 논해 보았다. This study tries to present the issues and future of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and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which are the central part of local community social welfare.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has been playing the key role in local community social welfare in Korea. However, in 2000s,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faced a great challenge because the Public and Private Joint Commission for Community Social Welfare, which is similar in name to Council on Social Welfare, appeared. In metropolitan areas and local smaller communities, in addition, Local Welfare Foundation increased in number recently. There are expected great difficulties for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to work in the community because the newly being established Local Welfare Foundation have the similarity in their role and function. There are duplicate issues facing local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 in recent years, which provide welfare service prior to any other organization, because so many new welfare centers for the senior and the handicapped have been established and have become competitors in providing welfare service. Therefore, the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Welfare requested the Korean Council on Social Welfare to do a research project on multi-functionalization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2010. At this time, this paper attempts to present the urgent issues and problems the Korean Council on Social Welfare faced while the Public and Private Joint Commission for Community Social Welfare and many local welfare centers have been established in metropolitan areas and other local communities. In addition, this article tries to discuss the direction of the integrated programs of social welfare centers for the senior and the handicapped, which will be dependant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and model program on multi-functionalization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관 설치를 위한 수요추정 방법과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오민수,김주연 한국지방행정학회 2023 한국지방행정학보 (KLAR)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a reasonable and simple application methodology to help calculate the appropriate supply of social welfare centers in local governments. To this end, a demand estimation model was derived by reviewing previous research on facility supply and the minimum standards for basic living infrastructure supply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social welfare center supply estimation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was set with four main variables. First, the actual demand for social welfare centers was counted as potential targets, centering on the low-income and vulnerable class, and then set as the demand for facilities. Second, it was set as a capacity variable that can be used in one social welfare center, centering on the annual available population at the social welfare center. Third, the average moving distance between the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 and the social welfare center was set. This is a variable considering accessibility. Fourth,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social welfare centers was set to consider spatial equity. Based on these four variables, Seongnam City was applied as a case study, and the appropriate number of social welfare centers with a population of 920,000 was derived as 14. The strength of this study is that first, the capacity of social welfare centers was considered in the model. Second, local governments can use it simply. 본 연구의 목적은 시군구에서 사회복지관의 적정한 공급량을 산정 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합리적이면서도 간명한 적용방법론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사회복지분야 기존 시설 공급에 대한 방법론을 검토하였으며, 국토교통부의 기초 생활 인프라 공급 최저 기준 등을 검토하여 수요추정 모델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사회복지관 공급의 추정 모델은 4가지 주요 변수로 설정하였다. 첫째는 사회복지관의 실 수요를 저소득 및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잠재적 대상자로 집계한 후 이를 시설물의 수요로 설정하였다. 둘째는 사회복지관에서 연간 이용가능한 인구를 중심으로 1개 사회복지관에서 이용이 가능한 역량 변수로 설정하였다. 셋째는 사회복지관과 지역의 중심부로부터의 평균이동거리를 입지할당 측면에서 고려하였다. 넷째는 사회복지관 간 이격거리를 설정하여 공간적 형평성을 고려하였다. 이 네 가지 변수를 토대로 사회복지관의 수용역량을 기준 값으로 설정한 후 사회복지관과 중심부 간 이격거리 소요 시간, 사회복지관 간 이격거리 소요시간을 계수로 적용하여 해당 지역의 적정 사회복지관 수가 산출되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추정 모형의 적용을 성남시 사례로 적용하였으며 인구 92만에 적정한 사회복지관 수는 14개소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그 동안 선행연구에서 한계로 지적되었던 서비스제공의 역량을 고려하면서도 지방자치단체에서 간명하게 활용할 수 있는 수요추정 방법론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자원봉사센터 민간 위탁운영에 대한 연구: 지역사회복지협의회를 중심으로

        이상우,김준표,장영신 한국융합과학회 2022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1 No.9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ssibility and prerequisites of contracting-out of the volunteering center by local social welfare council. Methods In this study, a subject analysis was performed for focus group interviews by 10 officials from the Si/Gun/Gu social welfare council and Si(City)/Do(province) social welfare council. Result The results of the study as follows. First, investigating the operation status of volunteering in the local social welfare councils, some topics were derived such as ‘Absence of cooperation network between social welfare councils’, ‘Low awareness of Social Welfare Volunteer (VMS)’, and ‘Lack of project budget and legal basis’. Second, as a results from topic analysis of contracting-out operation in local social welfare council, some topics were derived such as ‘Expansion of local volunteering by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social welfare councils’, ‘Utilization of the origins of social welfare councils’, ‘Compatibility of 1365 and VMS’, ‘Promotion of creative·professional activities of volunteering centers’, and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promoting volunteering’. Third, in the task about contracting-out of volunteering center, some topics such as ‘Strengthening of local social welfare council capacity’, ‘Preparing infrastructure for volunteering centers’, ‘Delegating authority to the consignment management agency’, and ‘Improving the volunteering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Conclusion Based on study results, some policy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were presented about the contracting-out of volunteering centers by the local welfare councils in the middle of volunteering environment changes.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복지협의회 자원봉사센터 민간 위탁운영의 가능성 및 선결 과제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시‧군‧구 사회복지협의회 및 시‧도 사회복지협의회 관계자 총 10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수행하여 수집된 질적 자료를 주제분석을 수행하였다. 조사기간은 4월 23일 오전과 오후 2차례 동안 진행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복지협의회 자원봉사활동 운영현황을 조사한 결과, ‘사회복지협의회 간 연계협력 네트워크 부재’, ‘사회복지자원봉사(VMS)의 낮은 인지도’, ‘사업예산 부족 및 법적 근거 미비’ 등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둘째,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자원봉사센터 위탁운영에 대한 주제분석 결과, ‘사회복지협의회 역량 강화를 통한 지역 자원봉사활동의 확장’, ‘사회복지협의회 고유 특성(공공성‧대표성‧유연성) 활용’, ‘1365자원봉사와 사회복지자원봉사(VMS)의 양립 가능성’, ‘자원봉사센터의 창의적‧전문적 활동 촉진’, ‘자원봉사활동 활성화를 위한 기반 마련’ 등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마지막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자원봉사센터 위탁운영 과제로는 ‘지역사회복지협의회 사업수행 역량 강화’, ‘자원봉사센터 위탁운영에 필요한 인프라 마련’, ‘자원봉사센터 위탁운영 기관에 대한 실질적인 업무 권한 위임’, ‘자원봉사활동 성과평가 체계 개선’ 등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자원봉사 제도적 환경변화 속에서 지역사회복지협의회가 자원봉사센터를 위탁운영하는데 필요한 정책 제언 및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지역형 복지 구축에 따른 사회복지관의 자주적 기능 강화 방안

        김광병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7

        Local welfare refers to social welfare tasks that reflect the traits of and are unique to a region. This study aimed to explore ways to strengthen the independent functions of social welfare centers as a means of promoting local welfare. To that end,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appropriateness of recognizing local welfare and the roles that social welfare centers perform. Results showed that, since social welfare centers were public by nature, all of the centers in the country were standardized and failed to reflect local characteristics. However, the independent functions of social welfare centers were guaranteed, being the only legal entity that supports local welfare based on the Social Welfare Services Act.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at, in order to strengthen the independent functions of social welfare centers, they should enhance subsidies due to their public nature, discretion based on their emergency measures, and creativity so as to demonstrate local characteristics. To achieve these objectives, current social welfare centers should be changed to local welfare-oriented public social welfare centers, be supported by local governments regarding budget and additional staffing, and serve as integrated case management centers. 지역형 복지는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해당 지역만이 가지는 사회복지사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지역형 복지 구축의 한 형태로서 사회복지관의 자주적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우선 지역형 복지 구축의 당위성을 살펴보고 사회복지관이 수행하고 있는 기능을 진단하였다. 그 결과 사회복지관은 공공성을 지녔지만 전국의 사회복지관이 동형화 되어 지역적 특성을 살리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사회복지관은 사회복지사업법에 따라 지역복지 기능을 수행하는 유일한 법적 전달체계라는 점에서 자주적 기능이 보장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관의 자주적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공공성 강화라는 측면에서 보완성을 높이고, 긴급성 대응이라는 측면에서 재량성을 강화하며, 지역성 확보라는 측면에서 창의성을 갖출 것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관이 지역형 공공사회복지관으로 전환, 지방자치단체의 예산지원과 추가인력 배치, 통합사례관리 센터로서 역할이 필요함을 제안했다.

      • KCI등재

        남양주 희망케어센터와 경기도 무한돌봄센터의 사회복지전달체계로서의 적절성 비교

        박경숙 ( Kyung Sook Park ),장명숙 ( Myung Sook Chang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3 사회보장연구 Vol.29 No.4

        확대되고 있는 사회복지급여와 서비스가 국민의 욕구에 맞추어 적절하게 전달되지 못하고 있는 문제가 오랫동안 공공복지전달체계의 과제로 남아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번 공공복지전달체계의 개편이 시도되었고 그동안 지자체 현장에서도 다양한 공공복지전달체계 개편 모형들이 시행되었다. 본 논문은 희망복지지원단의 모체라고 볼 수있는 남양주 희망케어센터와 경기도 무한돌봄센터의 적절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각 센터의 내부종사자와 외부 협력기관의 사회복지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희망케어센터와 무한 돌봄센터의 적절성을 실행구조와 성과측면에서 평가하였다. 희망케어센터가 외부 협력기관 사회복지전문가들로부터 무한돌봄센터보다 대부분의 적절성 문항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었으나 내부종사자들로부터는 자원개발, 접근성향상, 네트워킹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 결과로부터 남양주 희망케어센터처럼 일반행정기관으로부터 독립된 조직에서 권역별로 접근성을 높이면서 자원개발과 서비스연계, 사회복지전문사례관리에 민관이 협력하여 집중하는 체제가 향후 공공복지전달체계 개편방향에 주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Inadequate delivery of the increasing social welfare benefits and services on behalf of the people`s needs has been the unsolved problem for the public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for a long time. Several different pilot projects have been attempted at the level of central government and various social werlfare delivery models were newly implemented at the level of local governmen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is paper tries to compare adequacy of the “Hope Care Centers” in Namyangjoo Si and the “Unlimited Care Centers” in GyeongGi Do as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s. Adequacy of these delivery systems was evaluated at the two different levels-operating structure and performance outcomeby the workers in the two centers and the social welfare professionals working in the other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the same local areas. The “Hope Care Centers” received better evaluation than the “Unlimited Care Centers” on the most of the questions for adequacy evaluation from the social welfare professionals working in the other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hey also received better evaluation on the questions about resource development, accessibility and necessity of networking from the workers in the two centers. The results suggest that we need to develop the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which is independent from the public administration office, is more accessible to people by setting up the frontline offices at the more local levels than county level, and provides collaborative work environment between the public and non public workers for case management, resource development and service linkage.

      • KCI등재

        종교 사회복지의 과제와 전망

        윤용복 ( Yoon Yong Bok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20 종교문화비평 Vol.37 No.37

        본 연구는 현재 한국의 종교사회복지 활동의 현상을 간단하게 조망한 다음 몇 가지의 과제를 제시하려고 하였다. 첫 번째 과제는 종교 사회복지에 대한 명확한 개념화가 필요하다. 종교사회복지에 대한 각 종교별 개념은 있지만, 그조차도 관점에 따라 달리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종교일반에서의 종교 사회복지 개념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것은 전체 종교 사회복지의 과제 가운데 첫 번째이면서도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된다. 개념정의를 통해서 각 종교 소속 신자들이 사회복지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유용한 근거가 마련될 것이며, 사회복지 활동의 명확한 목적의식도 만들어질 것이다. 두 번째 과제는 일반사회복지 분야에서 접근하기 어렵거나 소홀하기 쉬운 틈새 복지에 대한 종교 단체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본다. 예를 들어 우울증으로 인한 자살과 같은 사회적 문제, 그리고 대형 참사로 인한 심리적 불안 등등은 일반 사회복지가 접근하기 어려운 분야들이라고 본다. 이러한 영역에 종교적 특성, 예를 들어 참선이나 명상, 그리고 피정 등과 같은 종교적 프로그램을 일반적인 내용으로 개발해서 접근한다면 사회복지에서 종교만이 할 수 있는 역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세 번째 과제는 종교 사회복지 시설의 대형화 추세에서 벗어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법인이나 시설들의 대형화는 사회에서 또 하나의 권력으로도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대형화에 따른 클라이언트의 비인격화 내지 사물화의 경향이 나타날 위험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지나친 대형화보다는 개개인을 인격적으로 대할 수 있는 규모의 시설들이 적합할 수 있다. 네 번째 과제는 각 종교의 이념에 집착한 나머지 클라이언트가 종교적 실천을 위한 도구가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종교 사회복지는 항상 클라이언트의 입장에서 활동하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말이다. 단순히 종교적 구원을 위한 행위는 사회복지의 효과도 기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도리어 종교 사회복지에 대한 사회적 반감만 일으킬 수 있다고 본다. 또한 이것은 시혜적 성격의 종교 사회복지에서 벗어나기도 어려울 것이다. 마지막으로 종교 사회복지 활동에 지나친 종교적 목적을 설정하는 것을 피해야 할 것이다. 사회복지 활동을 선교의 수단으로 삼지 말고 사회복지 자체를 목적으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 더불어 종교 사회복지는 전체 사회의 복지를 추구하는 큰 그림을 그려야 할 것이다. 즉 사회정의라는 측면에서 사회구조의 개혁을 위한 접근이 필요한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some suggestive ideas by critically reviewing the various aspects of the religious welfare systems and its activities in Korea. My primary concern, firstly, is to clarify the confused and varied concepts of the social welfare in the religious arena. Every religious institute has its own social welfare concepts based on their perceptions on the welfare. Therefore, the comprehensive concept on the social welfare should be strictly delineated. With this definition the religious devotees will contribute their charitable exertions for the sake of the welfare; and their motivations for it would be clarified along with their religious causes. This definition is more than to “clarify” the meaning involved in it, but guides to the crucial commitment in the religious social welfare activities. The devotees in the religious orders will participate in the social welfare activities by and through conceptualizing the welfare ideal and their purposes will be intensified. Secondly, the religious organizations would play the crucial roles, especially counting on the secular social welfare, whose activities are often in the blind spots and ignore the urgent cases of welfare. For instance, some social welfare involvements are too intriguing to be approached by the secular social welfare system, which is excluding the cases of the suicide, the depression or the traumas due to major accidents. If these issues are approached with the religious orientations and programs such as meditations or retreats, it is much functional rather than to dealing with the secular social welfare. Thirdly, it is necessary to avoid oversizing the facilities and the institutions. The corporations and the facilities of the social welfare system are growing bigger and larger, and eventually, they are functioning as the powerful social organizations. Caused by this enormity, the facilities are apt to impersonalize the clients and even ignore them to be material objects. Accordingly, the facilities of proper size will be suitable in order to satisfy an individual's demand with good care. Fourthly, the clients should not be used as tools for the religious conversion, which has been usually articulated by the religious ideologies. The religious social welfare should be practiced and performed only for the sake of the client's demands. The religious redemptive activities will not give any positive effects on the social welfare. If so, it is only ended in bringing the societal antipathy to the very religious institute. Such an activity will be away from the give-and-take charity format of so-called the religious hypocrisy. Lastly, the social welfare activities should not be used as a means of religious propagation and conversion, but should utilize the social welfare itself as the objective. In other words, the reform of the societal structure is needed for the sake of the social justice only.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사회복지현장실습 내실화를 위한 사례연구

        은선경(Sun Kyoung Un),김혜선(Hyesun Kim)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22 한국사회복지교육 Vol.60 No.-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사회복지현장실습의 내실화를 위해 실습기관 슈퍼바이저와 실습생을 대상으로 실습경험을 탐색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아동센터 주요 서비스와 표준실습교육 매뉴얼을 기반으로 현장실습의 내용을 구성하고, 이를 반영하여 실습지도를 시행한 실습기관의 슈퍼바이저, 실습생을 인터뷰하고 실습자료들을 수집하여 분석하는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아동센터의 실습은 실습기관의 인적⋅물적 자원 확보의 목적과 실습지 선정에 어려움이 있는 실습생의 이해관계가 일치하면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실습교육의 내용은 보호와 학습멘토링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역아동센터의 5대 서비스 영역의 실습은 강의로 제공되었다. 실습기관에서는 짧은 기간에 많은 내용을 다루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고, 실습생들은 아동면담, 다양한 프로그램의 계획과 실행 등 다양한 실습경험의 확대를 요구하였다. 셋째, 지역아동센터 실습의 내실화를 위해 실습기관 간 교류를 기반으로 하는 운영체계 개선이 필요함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 내 지역아동센터 현장실습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공통실습교육을 운영하는 방안을 실천적 함의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plore the social welfare field training experiences of the supervisors and trainees of the practice institution and to derive improvement for the substantiality of the social welfare practicum at the community children center. To this end, a case study was conducted in which the contents of the field training were composed based on the main services of the community children center and the standard practice training manual, and the interview data of supervisors, trainees, and practice materials of the training instituti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welfare field training was being conducted at a community children center as the interests of the training institution that wanted to secur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and the trainees who had difficulties in selecting a training site in the field of interest coincided. Second, as for the contents of the practical education, an experience centered on protection and learning mentoring is being made under the influence of Covid 19, and the practical contents of the five service areas of the community children center were provided as a method of education. The training institute had difficulties in dealing with a lot of content in a short period of time(160 hours), and the trainees needed to expand their various experiences, such as interviewing children and planning and operating various programs. Third, it was deduced that it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operating system based on exchanges between training institutions in order to substantiate the practice of community children center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 plan to operate a common practice education by forming a field practice consortium at a community children center in the local community was presented with practical implications.

      • KCI등재후보

        가족정책의 효율적 전달 체계 운영을 위한 종합사회복지관의 가족복지사업과 건강가정지원센터사업의 비교연구

        조현순(Cho Hyun-Soon),정은(Chung Eun) 한국비영리학회 2008 한국비영리연구 Vol.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변화되고 있는 정부의 가족정책 방향에 근거하여 건강가정지원센터와 종합사회복지관과의 사업내용을 비교분석하여 효율적 가족복지 전달체계로서의 역할 정체성을 규명하며 이들 간의 협력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BR>  이를 위해 건강가정 사업의 전담 조직인 시ㆍ 군ㆍ 구 건강가정지원 센터의 사업과 건강가정지원법 제정 이전부터 가족 지원 사업을 전개해온 종합사회복지관의 2005년도 사업결과를 기반으로 법률상의 건강가정사업 수행현황과 두 전달체계의 강점과 약점으로 분류하여 파악하였다.<BR>  사회복지관은 가족 유형별 지원 사업을 주 기능으로 건강가정지원센터는 예방기능을 주 기능으로 지정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도적 보강이 필요하다. 첫째. 현행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업무를 건강가정사업에 근거한 교육과 문화 사업에 집중하되 전 국민을 대상으로 사업량을 설정하고 실행되어야 한다.<BR>  둘째. 현행 사회복지관의 가족복지 업무를 보강하며 가족유형에 근거한 전문 상담 팀과 사례관리팀을 강화하여 가족지원센터의 역할을 담당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lans of cooperation between health family support center and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family welfare delivery system based on changing policy of family of the government.<BR>  If the value of policy that the basic law of health family pursues is not focused only on preventing dismantle of families based on traditional family value, regarding the role play as a part of exclusive organization of health family projects by integrated social welfare hall under the premise of diversity and integration, it shall not be unobserved as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nd it must be included in the chapter of discussion of exclusive organization as early as possible so that these infrastructures can realized aimed goal and can provide efficient services by establishing mutual cooperation system with health family support center.<BR>  Therefore, I would like to suggest as follows through this study.<BR>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 shall designate support projects per type of family as its main function and health family support center shall designate prevention function as its main function. For this, we need the following systematic reinforcement.<BR>  First. the current businesses of health family support center shall focus on education and cultural project based on health family projects but the amount of projects shall be adjusted and implemented with the target of all people of the nation.<BR>  Second, by reinforcing the family welfare business of the current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 it shall conduct the role of family support center by reinforcing professional counseling team and cases management te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